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로시설물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여화선(Yeo Hwa Sun),김신원(Shin Won Kim),이경은(Kyoung E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도로시설물이란 도로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물로 대규모의 수직적인 구조물을 말하며, 도시경관을 이루는 중요한 시각적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시가지 내에서 볼 수 있는 도로시설물의 경우,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채 도시미관을 저해시키는 시각적 장해 요소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도로시설물의 조형적 특성 및 현대적 경향을 분석하여, 도로시설물의 바람직한 조성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도로시설물에 대한 개념과 국내외 현황, 그리고 국내 도로시설물의 조형적 특성분석과 현 도로시설물의 문제점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도시경관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된 도로시설물 중 2007년 이후 조성된 곳으로, 조형적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는 30곳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도로시설물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형태, 재료, 색채의 세 가지 분석항목을 설정하여 각 항목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시경관개선을 위한 도로시설물의 다양성 및 조형적 특성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경관개선을 위한 대부분의 사업이 노후한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조성범위가 국소적, 제한적이며 기존 도로 시설물과 부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조성되는 도로시설물의 경우, 계획 단계에서 시설물의 심미적 기능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유지 관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가변적이거나 일시적인 표현방법들은 지양해야 하며, 내구성이 강하고 기존 구조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소재를 도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연구 방법을 통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It is defined that road facilities is a vertical structure to maintain street, and important visual element of cityscape. However, we can sometime meet road facilities which is not suit for its function and not visually match with other road facilities on the streets. Even some of the road facilities destroys beauty of cityscape.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surveying present condition, personality, and current trend of road facilities that can be used for improvement of cityscape. In order to overcome this study, it has been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conception of road facilities, case study in Korea as well as oversea and dividing road facilities into categories depending form, color, and material in Korea. An object in this study have been singled out from road facilities that it manifest formative character especially the 30 sites construct with intend to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since 2007. For study on formative character of Road facilities,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itemize form, material, color. This research has been caused to find out variety and character of road facilities for city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disharmony between road facilities is easily shown during the study because the roads have decrepit facilities and limited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in limited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beautification has to be applied from planning period. Moreover, durable material has to be a part of consideration to install to reduce maintenance cost, and temporary decoration has to be limited to harmony existing facilities.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meaning as a basic research.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be suggest objective ways in this study.

      • KCI등재

        가로경관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장애물존 설치에 관한 연구

        채민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Diverse types of street facilities such as street trees and lights, signal lights, and bus stops are installed on the street to ensure safety and convenience of pedestrians and drivers. Although there are national level standards such as 「Road Design Standard」, 「Sidewalk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 and others related to street road design, these standards can be considered to be drafted mostly for the benefit of motorists, cyclists, and pedestrians. However, there are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in a disorderly manner and without a standard that take over the sidewalk secured for pedestrians, thus encroaching upon effective width for walking and damaging the streetscape from a scenery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se problems by installing a barrier zone. (Method)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legal definition of the road where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design of roads currently in use in Korea. Among them, this study identifies the existenc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acility installation. Secondly, the study distinguished the current status pertaining to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on roads in Korea from three aspects: space, usage, and scenery. The study then carried out research on the integrated design and installation of street facilities in advanced nations for comparison purposes. Thirdly, the need for the adoption of an obstacle zone is highlighted as a measure for solving the road-related problems caused by indiscriminate facility installation. Lastly, the study presents detailed installation standards for the definition of barrier zone and standards for barrier zone installation, type, installation location, effective width, and facility installation. (Results) As a mean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recommends separating spaces for sidewalks and facility installation by creating a separate barrier zone where all types of facilities can be installed from an initial stage of design. Barrier zones can be a realistic measure to prevent the encroaching of facilities on space for pedestrians and improve streetscapes. (Conclusions) For most of the roads in Korea, the effective width of the sidewalk for pedestrian safety is not secured due to facilities that are installed indiscriminately. A barrier zone is an effective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Active adoption of the concept of the barrier zone can secure aesthetic harmony and safety from a pedestrian viewpoint. From a civic perspective, it can produce positive results by improving the streetscape. Furthermore, in order for the concept of the barrier zone to become established nationwide, this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legal standards for installing barrier zone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연구배경 및 목적) 도로에는 보행자나 자동차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가로수, 가로등, 신호등, 버스승차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로시설물이 설치된다. 도로설계와 관련해서는「도로설계기준」,「보도설치 및 관리지침」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러한 기준들은 대부분 자동차나 자전거, 보행자의 측면에서 제시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형식을 이용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의 설치방법이나 위치 등에 관한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통일된 기준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시설물의 관리주체가 지자체, 경찰청, 한국전력 등과 같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설치 또는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기준이 없이 무질서하게 설치되는 시설물들은 보행자를 위해 확보한 보도공간을 점유해 보행 유효 폭을 잠식하거나 경관적 측면에서는 가로경관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설계에 장애물존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가로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하고, 정돈된 가로경관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시설물이 설치되는 도로의 법적 정의 및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도로설계와 관련된 설치기준 및 지침 등을 알아보고, 그 중에서 시설물 설치와 관련된 내용의 유무를 파악한다. 둘째, 국내 도로의 시설물 설치 현황을 공간적 측면, 이용적 측면, 경관적 측면의 세 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선진국 도로의 가로시설물 통합설계 사례를 비교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한다. 셋째, 무분별한 시설물 설치로 인한 국내 도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장애물존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장애물존의 정의 및 장애물존의 설치 기준, 유형, 설치 위치, 유효 폭, 장애물존 내의 시설물 설치기준 등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을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서 도로를 설계하는 초기 단계부터 각종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장애물존을 별도로 마련하여 보도와 시설물 설치공간을 분리시킬 것을 제안한다. 장애물존은 시설물로 인한 보행공간의 잠식을 방지하고, 가로경관을 개선시키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결론) 국내 도로의 대부분은 무분별하게 설치되는 시설물들로 인해 보행자를 위한 최소 보행 유효 폭이 감소하거나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장애물존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장애물존 개념의 적극적인 도입은 보행자 측면에서는 보행의 쾌적성 및 안전성이 확보되고, 도시 측면에서는 가로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존 개념이 전국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장애물존을 설치해야 하는 법적기준을 마련할 것을 향후 연구의 방향성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도로교통시설물 관리 하자와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판례를 중심으로 Focus on the Judicial Precedent

        홍성필,김만배,장순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行政論叢 Vol.41 No.2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과 달리 도로교통시설물의 설치·관리의 하자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 도로이용자는 물론 도로관리자 양측 모두 소극적인 실정이다. 그러나 국민의 권리의식 향상 등으로 이와 관련된 행정책임 관련 소송은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로교통시설물의 설치·관리의 하자에 관한 국내·외 판례를 탐색적 방법으로 조사·분석하여 하자(瑕疵)의 판단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도로이용자나 도로관리청 양측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고 도로의 하자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한계 때문에 개별적인 도로교통시설물의 하자 유형별 그 판단기준을 도출하는 대신 모든 도로교통시설물의 하자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하자판단 요소에 대해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자의 유형을 교통안전시설물, 노면관리, 도로의 결손, 공사구간, 갓길의 관리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판례를 조사하고 이를 종합하여 최소한의 하자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In our country, both road user and road manager are passive with respect to a duty for a certain defect in a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 road traffic facility, differently from other foreign countr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an administration duty related suit will be sharply increased based on an enhancement of a right awareness of people.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is research to search and analyze a local and foreign judicial precedent concerning any defects in a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 road traffic facility based on a search method and to increase a prediction possibility for both road user and road managing organ by suggesting a judgment reference with respect to any defects and to clarify a duty limit, for thereby preventing a certain traffic accident due to a defect in road. In this research, a judicial precedent is intensively analyzed with respect to a common defect judgment element of a defect of a road traffic facility, instead of extracting a type based judgment reference of a separate road traffic facility due to various limits. In detail, the judicial precedents are search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ypes of the defects are divided into a traffic safety facility, a road surface management, a defect in a road, a construction period, and a management of side road, and a minimum defect judgment reference is suggested by integrating the above matters.

      • 서울시 구조・구급 비상도로 도로안전시설물에 관한 연구

        채종길,박성호,최승현,도명식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2020년에 서울을 대상으로 광역적인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구조・구급차량의 신속한 이동을 위한 비상도로망(안) 이 제시된 바 있으나, 비상도로망이 실제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비상도로임을 알리는 도로안전시설물(차선, 표지판, 차단기 등) 의 표식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도로이용자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는 규격화된 것이 없 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비상도로 관련 다양한 도로안전시설물 표식을 제안하고, 적절한 설치위치에 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도로시설물에 대한 손실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황신범,김상호,이창희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6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재해 발생 시 인명 대피와 복구물자의 이동 등 재해 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사회기반시설인 도로시설물에 대한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위하여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DB의 도로시설물 피해자료와 침수흔적도를 활용하여 도로시설물 피해액을 추정하기 위한 손실함수를 개발하였다. KRF (Korean Reach File) 유역을 침수구역 생성에 따른 도로시설물의 피해발생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재해 규모와 지역의 방재능력,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도로시설물의 현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KRF 유역 내 침수면적과 도로면적을 독립변수로 결정하였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관계 그래프를 바탕으로 지역별 분류를 통하여 광역시와 시군에 대한 도로시설물 손실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로시설물 손실함수는 재해저감 대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해예방 정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event of damage due to heavy rains and typhoons,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extent of damage to road facilities that are actively used in disaster situations, for example, for evacuation and movement of recovery supplies.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loss functions for estimating the damage amount of road facilities by utilizing road facilities damage data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B and flood trace map. The Korean Reach File (KRF) basin was selected as the scope of damage due to creation of flooded areas, and inundation area and road area of KRF basin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take into account the scale of the disaster, regional prevention ability with respect to disasters, and status of road facilities that could sustain damag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loss functions for road facilities were developed for metropolitan cities and counties through regional classification. These loss function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disaster prevention policy by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disaster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도로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자산가치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안재민,박종범,이동열,이민재,An, Jae-Min,Park, Jong-Bum,Lee, Dong-Youl,Lee, Min-Jae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4

        도로시설물은 국가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물이며 국가에 필수적인 기반 시설물이다. 현재 국내 관리대상 도로시설물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관리비 예산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건설되어 축적된 도로시설물에 대한 비용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산이 지닌 가치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지표는 자산가치로써 화폐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국외에서는 자산관리 및 자산가치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실제 공용중인 도로시설물에 적용을 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도로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자산가치평가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산가치평가방법을 기존의 문헌과 연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정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시설물에 자산가치평가방법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과 특성이 반영된 자산가치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산가치 프로세스에 따라 실제 공용중인 도로시설물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각 자산가치평가방법들의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가장 활용성이 높은WDRC(Written Down Replacement Cost)방법을 이용하여 자산관리업무 수행 절차를 위한 자산 관리 업무지원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Infrastructure are the essential element in the country for they are the basic facilities forming the basis of economic activity. In Korea Infrastructure which are subject to the management of government are increasing annually, and subsequently the budget of maintenance costs is expected to rise significant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onstructed and accumulated infrastructur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future assets will be needed which includes the determination of the asset status, management subjects, and the location, the maintenance of their performance and state, and the prediction of the cost required to increase their useful lifetime. However, in the domestic cases the road facilities valuation has not been done systematically, and the preparation and research on this is scarce. Thus, the systematic procedure for the road facilities valua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asonable asset valuation methods. First, the valuation methods was investigated and summarized throughout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literature. Second, to apply the investigated valuation methods to the road facilities the valuation process that reflects domestic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has been developed. Third, a working Bridge, Highways, and General national ways were applied to the general valuation proces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final step a schematic diagram of the asset management support by WDRC valuation method was presented.

      • KCI등재

        국내외 도로 교량 시설물의 점검 및 성능평가 체계 비교⋅분석 연구

        이호찬,임재훈,강영종,공정식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9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0 No.6

        Road bridges are much important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that bring great social utility. The have made traffic flows smooth basically and took charge of an important role in balancing development of the nation evenly. As societies advanced, it became much more significant to retain and maintain the existing soci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rather than building new road bridges in terms of creating sustainable economic productivities. It became highly critical to assess road bridges objectively to ensure their roles a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at they have been in charge, as most of bridge facilities got aged over time. Investigations and assessments of road bridge facilities should be able to accurately diagnose their current conditions and judge whether enough required performances are satisfied. By integrating assessment results, judging current condition state and predicting the future of facilities can be made precisely. Hereby, decision-making process for sustaining and maintain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can be improved efficiently. In this research,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assessment systems of road bridge facilities had been conducted(U.S, Japan and Republic of Korea). Analyzing different countries’ bridge maintenance systems, existence of appraisal items for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systems, and assessment systems how to integrate different performance categories are compared. 도로 교량 시설물은 그동안 인적, 물적 자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증대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어왔다. 최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기반 시설물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속적 유지·관리를 통해 사회적 자산인 시설물 유지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도로교량 시설물의 점검 및 평가체계는 시설물의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시설물을 이용에 있어서 필요한 성능들의 만족여부를 면밀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로써, 교통 인프라 시설을 유지관리하는데 필요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도로 교량의 성능평가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도로 교량 시설물의 점검 및 평가체계 비교·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국내 도로 교량 시설물의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서의 점검 항목 및 평가방식, 국내 제1 종 및 제2종 시설물 종합성능평가에서의 평가항목 및 체계 분석과, 제3종 시설물 안전등급 평가 매뉴얼의 평가항목 및 체계에대한 대응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외 교량 점검 및 평가 매뉴얼을 분석을 통해, 국내 도로 교량 시설물의 점검 및 평가체계와의 비교·분석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도로시설물 디자인총량제에 관한 연구

        황인진(Hwang, In Jin),정태열(Jung, Tae Yeo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우리나라가 고도의 경제성장을 거쳐 경제적인 여유를 향유하게 되어 도시의 경관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그 결과로 디자인요소가 시설물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간접자본시설물 중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도로시설물을 공간적 범위로 고속도로 시설물에 대한 미적⋅기능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규제와 디자인의 다각적 활용유도 및 권장하는 방안으로 도로시설물에 디자인 총량제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디자인 총량은 수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치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배색원리에 입각하여 권장부, 유도부, 자유부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방식, 옥외광고물의 총량율에서 착안한 방식 및 공사용 임시시설물 디자인에서 착안한 방식 등 3가지 방식에서 제시한 디자인 총량을 제안하였다. 그 제안에서 제시한 디자인 총량은 주조부(권장부)는 전체면적의 70%를 차지하며 통일성을 표현하고, 보조부(유도부)는 전체면적의 20%를 차지하며 연속성을 표현하고, 강조부(자율부)는 10%를 차지하며 다양성을 표현한다 할 수 있다. 디자인총량제를 적용할 수 있는 도로시설을 시범적으로 옹벽과 방음벽, 터널로 제안하였으나, 이 3가지 시설물 중 도시경관 및 도로이용자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어있는 방음벽을 중심으로 사례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사례는 디자인총량제를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가이드라인 및 매뉴얼에 의한 설치 및 배치, 표준화 등 공공시설물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개별적인 각각의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지 못하고 공공디자인행정 측면에서의 표준화 및 통합화라는 정책적 방향성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 졌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으며, 향후에도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디자인총량제에 대한 적정비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교량, 휴게소, 졸음쉼터 등 타 도로시설물에 대하여도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As Korea has enjoyed economic growth through high economic growth, the perception of urban landscape has increased, and as a result, design factor has become an important measure to select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and recommend various regulations and designs to improve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value of highway facilities in a spatial range, Suggesting the introduction of the total amount system. The total amount of the design is recognized as the difficulty in presenting the numerical standard, and the method of applying the recommendation part, the guidance part and the free part separately based on the coloring principle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imilar effect to the numerical standard, The total amount of design proposed in the three methods including the method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method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 of temporary facilities for construction are presented. The total quantity of design suggested in the proposal consists of three parts; The main part, occupying 70 percent of total area, expresses the unity. The supplementary part, 20 percent of area, presents the continuity. The highlight part, 10 percent of area, shows the diversity. A prototype of a road facility that can be applied the design total amount system was proposed as a retaining wall, a sound barrier, and a tunnel. However, a case was created focusing on the sound barrier which is most exposed to urban landscape and road user among these three facilities. The cases were divided into the case of applying the design total amount system and the case of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installation, layout, and standardization by design guideline and manual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 design elements, and the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and integration in public design administration It is regrettable that it is done with the point of view,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vestigate other facilities such as bridges and resting places by suggesting the appropriate ratio of the design total amount system through questionnaires in the future.

      • KCI등재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를 활용한도로주변 시설물 DB 구축 및 위치 정확도 평가

        김재학,이홍술,노수래,이동하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3

        Technology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4th industry is self-driving sector. The self-driving sector can be seen as a key set of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y, especially in the DB sector is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as a business. The DB, which was previously produced and managed in two dimensions, is now evolving into three dimensions. Among the data obtained by Mobile Mapping System () to produce the HD MAP necessary for self-driving, Point Cloud, which is LiDAR data, is used as a DB because it contains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at present, it is not widely used as a base data for 3D modeling in addition to HD MAP production. In this study, MMS Point Cloud was used to extract facilities around the road and to overlay the location to expand the usability of Point Cloud. Building utility poles and communication poles DB from Point Cloud and comparing road name address base and lo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DB extracted from Point Cloud is also higher than the basic road name address of the roa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ansion of the facility field sufficiently. 최근 자율주행 분야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이하여 주요한 기술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자율주행 분야는 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중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정밀도로 지도 및 도로시설물 구축을 위한 DB 분야가 필수적인 부분이다. 기존 2차원 자료형식으로 제작되고 관리되던 지도 DB가 3차원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더불어 이러한 정밀도로 지도를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로 Mobile Mapping System(MMS)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특히 MSS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자료 중에서 LiDAR를 통해 취득되는 정밀 Point Cloud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정밀도로 지도 구축 및 도로시설물 관리 등을 위한 다양한 관련 DB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정밀도로 지도 제작 시 3D 모델링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만 활용되는 것으로만 국한되어 그 사용 범위가 넓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MMS 취득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MMS LiDAR Point Cloud를 활용하여 도로 주변 시설물을 추출하고, 그 위치를 현장조사 성과와 중첩하여 비교․분석하여 그 위치 정확도에 기준한 도로시설물 분야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oint Cloud로부터 전신주와 통신지주 DB를 구축하고 도로명주소기본도와 위치 비교를 수행한 결과, Point Cloud에서 추출한 시설물 DB의 위치 정확도는 도로명주소기본도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MMS Point Cloud 자료를 도로시설물 관리 분야에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후 이를 통해 도로시설물 지도 확대 구축하고, 도로대장 관리 등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경관과 디자인을 반영한 도로경관디자인 시스템의 구현방안 연구

        손원표 ( Son Won-pyo ),강전용 ( Kang Jeon-yong ),노관섭 ( Noh Kwan-sub ),정태열 ( Jung Tae-yeol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우리나라의 도로건설 및 투자는 그동안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에 따라 도로의 양적 확장에 치중하여 도로환경 측면에서 열악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의 세계적인 기조와 쾌적한 자연환경에 대한 욕구 증가에 따른 도로경관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가치있는 경관자원을 보전하기 위한 필요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성과 주행성은 물론,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도로를 건설하기 위하여, 「도로경관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경관과 디자인을 고려한 아름답고 새로운 도로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로경관설계 및 도로시설물디자인 기법을 개발하여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도로경관설계 시스템」을, 상세설계단계에서는 「도로시설물디자인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하였으며, VR과 평가지표를 활용한 「도로경관디자인 VR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설계 절차에 따라 경관디자인 평가를 시행함으로써 도로설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ndition of road construction and investment of Korea is poor in an aspect of road environment, which is mor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roads due to the mean while economic growth oriented policy. However, the needs of preservation of valuable environmental resources are increasing as the understanding on road landscapes is expanded due to the recent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he desire of comfortable natur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will picture the beautiful new roads, which the 「Road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based landscape and design are considered to build better roads that provide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and safety to the us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ways of carrying out the "Road Landscape Design System" and "Road Facility Design System" which are developed and gradually applied at basic and detailed design phases and the "VR evaluation system for the Road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which is operated by road design procedures to apply the evaluated designs to the practical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