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 이해

        염민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at in-depth understanding region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that university administrative professors think. The two research questions include: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in the Gwangju and Jeonnam-do region, and regarding the status,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in the local universities? Second, how do they think about region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By employ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dministrative professors working for major universities in the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mmon theme identified in the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in the region was 'employment', but the recognition of the recruitment of new students and other issues differ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versity to which the interviewees belong. The perception of the loc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was multi-layered and complex, and can be broadly summarized into eight themes: emphasizing survival and substantial change on the concept of innovation, local innovation biased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mphasizing social value and context, etc. The author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results in three themes: the sensitivity of using key terms, respecting university’s initiative and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local governments to be involved in local universities, a reflective approach within universities. Finally,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for regional innovation were specifically presented dividing institutional reforms and consciousness chang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두 가지다. 하나는 광주전남지역 대학의 현황은 어떠하며, 그에 대한 보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이다. 다른 하나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주요 대학의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의 역할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방법에 속하는 반구조화 면담기법을 활용했다. 면담은 주요 대학의 보직자 1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광주전남지역 대학의 현황에 대한 보직자의 인식에서 확인한 공통 주제는 ‘취업’이었으나, 신입생 충원, 교수 연구역량, 대학원 진학에 대한 인식은 보직자가 속한 대학의 규모에 따라 달랐다.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에 대한 보직자 인식은 다층적이고 복잡했는데, 크게 여덟 가지 주제로 압축할 수 있다: ‘혁신개념에 생존과 실질변화 강조’, ‘산학협력에 치우친 지역혁신’, ‘사회적 가치와 맥락도 중시’, ‘내밀한 지역사회 문제’, ‘지방대학 역할에 대립된 태도’, ‘지자체-대학 연계는 지역특성 기반 교류협력 강조’, ‘대학주도의 연계협력과 지자체 역할확대’, ‘대학혁신은 교육과정과 교수업적평가에 초점’ 등이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의미를 세 가지 대주제로 나눠 제시했다. 첫째, 지역혁신과 지방대학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개인이 처한 상황과 맥락에 따른 접근을 전제해야 하며, 지역혁신의 개념화 작업에서는 경제적 관점의 산학협력과 정치적 측면의 민주주의를 함께 중시하는 균형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혁신의 주체로 대학의 주도권을 존중하되 지방정부가 지방대학의 운영과 재정에 관여할 수 있는 법적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지방대학의 역할에 대한 대학 내부의 반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결론에서는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대학 역할을 제도개혁과 의식개혁으로 나눠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 연구

        강경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university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focused on the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Metho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third-year 10 students in university D,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introspection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 which are qualitative approaches. Results: At the beginning stage, prior knowledge about university class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a new class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and a clas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itabil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At the execution stage, the university class course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found that the change from the instructor's teaching-centered class to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centered class, the instructor's lecture-centered class to learner's interaction-centered class, simple class structure to complex class structure, and instructors class management to class management linked to university support,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uitability, relative benefits, and complex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At the outcome stage, the outcome of university education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as the result of increased concentration through interest induc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usable results,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ve benefits and observability of innovation proliferation theor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effective university class from the perspectives of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willingnes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to practice university classes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s required.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the instructor. Thir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ifferentiated teaching method model for each university in terms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대학생의 대학수업의 경험을 통해 효과적인 대학수업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Rogers(2003)의 혁신확산이론을 이론을 개념적 틀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D대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10명으로 질적 접근인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수업의 시작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에 대한 선행 지식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수업,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수업으로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업의 실행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과정은 교수자의 교수 중심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중심 수업, 교수자의 강의 중심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중심 수업, 단순한 수업 구성에서 복잡한 수업 구성, 교수자 개인의 수업 운영에서 대학의 지원과 연계된 수업 운영으로의 변화로 혁신확산이론의 적합성, 상대적 이익, 복잡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업의 결과 단계에서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의 성과는 흥미유발을 통한 집중력 향상,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 활용가능한 수업의 결과물로 혁신확산이론의 상대적 이익, 관찰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교육혁신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실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교수-학습 차원에서 교수자의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대학 특성화 차원에서 각 대학마다 차별화된 교수법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오현규(Hyun Gyu Oh),서경화(Kyung Wha Seo),박은진(Eun Ji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지역 대학 및 지역 혁신과 관련하여 진행되어온 기존 논의가 혁신의 궁극적인 주체인 ‘지역 학습자’와 이들의 ‘지역 경험’에 대해 간과해 왔음을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현재 진행되는 지역 대학 혁신 논의에 있어 학습자의 ‘지역 경험’이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지역 대학 혁신 사업이 지닌 교육적 기획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기존 논의에 있어 간과해 온 근본적인 문제인 지역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시도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 대학을 둘러싼 최근 환경변화 및 이슈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지역 대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정책적 접근에 있어 간과해 온 지역 대학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토대로 비교적 모범적으로 학습자의 ‘지역 경험’을 고려하여 대학 혁신을 이루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 검토를 통해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초점을 두어 지역 학습자, 지역 대학, 지역사회 공동체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결과 논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기반한 지역 대학 혁신의 방향과 관련하여 1) 지역 학습자가 지역에서 정주하면서 지역의 유⋅무형 자산을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언, 2) 다양한 주체의 호혜적 관계 형성에 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에 대한 총체적 경험을 활용하기 위한 제언, 3) 학습자의 지역 경험이 지역사회에서 실질적인 필요가 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결론 지역 대학 혁신과 관련한 정책이 여러 기관과의 상생 구도 속에서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 학습자의 ‘지역 경험’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행정적, 정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던 지역 대학 혁신 정책에 대해 교육적 관점에서의 새로운 문제제기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critically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regional universities and regional innovations have overlooked the ultimate subject of innovation, ‘local learners’ and their ‘local experiences’, and points out that the current ongoing local university innovation It was done to argue that the learner's ‘local exper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iscussion.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local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 as an educational plan, this study attemp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ocal experience’ of local learners, a fundamental problem that had been overlooked in previous discussion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and issues surrounding local universities, and attempts a conceptual examination of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at local universities,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has been overlooked in existing policy approaches to local universities. In addition, based on this series of discussions, by present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are achieving university innovation by considering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as a relatively exemplary model, focusing on the ‘local experience’ of learners, local learners, local universities, and the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practical contribution to development. Results Based on the discussion,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regional university innovation based on the learners' local experiences. The proposed directions include: 1) Suggestions for enabling local learners to settle in the region and meaningfully utiliz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of the region. 2) Suggestions for utilizing the holistic experience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the formation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mong various stakeholders. 3) Suggestions for transforming learners' local experiences into practical needs within the local community. Conclusions In order for policies related to local university innovation to be implemented in an educationally desirable direction in a win-wi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local experience’ of local university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raise a new problem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for the regional university innovation policy, which has been carried out from an existing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대학 진학에 대한 경기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의 누적효과 분석

        임현정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경기도 혁신학교 재학이 대학 진학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혁신학교 재학 경험의 종단적 효과 및 혁신교육의 연계를 통해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경향점수의 종단적 역확률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고등학교 재학 경험은 대학 진학 여부, 4년제 대학 진학 확률, 진학 대학의 서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대학 진학에 대한 혁신중학교 재학 경험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학 소재지와 대학서열에 대한 혁신중학교와 혁신고등학교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혁신교육의 연계가 대학 진학에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수능성적은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대학 진학에 대한 경기도 혁신고등학교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진학 대학의 소재지 및 대학서열에 대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혁신교육을 받은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배가되거나, 혁신고등학교 졸업생 중에서 일반중학교 출신은 불리한 반면, 혁신중학교 출신은 유리한 대학 진학 결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혁신교육 연계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혁신(사업)을 위한 역량교육이냐, 역량교육을 위한 혁신이냐?-역량과 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the concept of competency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which is linked to the 3rd cycle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are indeed vali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implemented in the name of autonomous innovation (this is a sentence fragment and doesn’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whether universities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truly innovating when it comes to education. Although competency is a competency that must be cultivated in all curricula, regardless of whether that entails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r a major curriculum,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handbook of universities reduces the concept of competency to the concept of generic skills and divides competencies into major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endency has further solidified the dichotomy of the curriculum and has caused distortion within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these reasons, it is difficult to find innovation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at uniformly operate a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a given manual for evaluation. However, looking at the case of Minerva University, which is innovating education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e find first that competency is presented as an ability to be cultivated not only in the cornersto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ut also in the major curriculum. This is different from the dichotomy approach of competencies as taught at Korean universities. Second, the core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of Minerva is a tool for achieving sub-competence and competency,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C (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 the acces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competency, ease of practice, and measurability are all increased. This enables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re competency concept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y as practical knowledg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hird,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ore competencies are conducted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tools and self-rubrics to enable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at the level of learner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is is different from the self-reported core competency diagnosis of learners at Korean universities. Despite the advantages of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reduces individuals to skills. Second, it takes a segmented approach to core competencies rather than a holistic approach, and finally, it is limited in regards to education because it fosters customized talents which meet the demand, not talents which create social demand. True innovation in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learners’ self-innovation, not top-down government-led innovation. In other words, innovation in education begins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 worl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cquire self-organization skills. 본 연구는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와 연계된 대학 혁신 지원사업에서의 역량(핵심역량, 전공능력, 학습능력) 개념과 역량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를 논하는 동시에, ‘자율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정부 주도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과연 교육의 혁신을 이루고 있는지를 성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과 전공 교육과정을 불문하고 모든 교육과정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편람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일반적 기술(generic skill)의 개념으로 환원하고 역량을 이분화함으로써 전공과 교양 교육과정의 이분화를 더욱 공고히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왜곡을 야기하였다. 때문에 평가를 위해 주어진 매뉴얼에 따라 역량 기반의교육과정을 일률적으로 운영하는 대학들에게서 교육의 혁신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해 교육 혁신을 이루고 있는 미네르바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면 첫째,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코너스톤 코스는 물론 전공 교육과정에서도 함양되어야 할 능력으로제시된다. 이는 한국 대학의 역량의 이분법적 접근과 차이가 있다. 둘째,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은하위역량 및 역량 성취를 위한 도구로서 HC(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의 설정을 통해역량의 측정 가능성과 적용성, 실천의 용이성, 진단과 환류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교수자와학습자 모두에게 핵심역량 개념의 모호함을 극복하고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도를제고하게 만든다.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과 하위역량 설정 구도와 차별되는 점이다. 셋째, 핵심역량의진단과 평가는 학습자 차원에서 평가 결과의 환류가 가능하도록 객관적인 평가 도구와 자체적인 루브릭을 통해 진행함으로써 학업성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는 한국 대학에서 이뤄지는 학습자의자기보고식 핵심역량 진단과 차별된다. 이러한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장점에도불구하고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은 첫째, 개개인을 기능으로 환원하고 둘째, 핵심역량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성과 측정을 위해 핵심역량에 대해 분절적으로 접근하게 만들며마지막으로, 사회의 수요를 창출하는 인재가 아니라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진정한 교육의 혁신은 탑다운 식의 정부 주도 혁신이 아닌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혁신을 통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주변 세계와 소통하며자기 구성 능력을 획득할 때에 교육의 혁신은 비로소 시작된다.

      • 지역대학과 출연(연)의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민철구,송완흡,현병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정책연구 Vol.- No.-

        지역대학과 출연(연)의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대학은 지난 수십년간 양질의 인력을 배출하고 사회적 지식기반을 구축하여 우리사회가 높은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대학은 급속한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학의 난립에 따른 학생수급의 위기, 대학의 재정난, 경쟁격화에 따른 통폐합의 위기, 지역경제의 악화에 따른 배출학생의 취업난 등으로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 특히 기반이 취약한 지역대학의 경우 상당수의 대학이 존폐의 위기에 놓여있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한 편이어서, 우리사회가 앉고 있는 대학의 문제는 대부분 지역대학의 문제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과학기술 측면에서 또 다른 혁신주체인 출연(연) 또한 매우 급속한 환경변화를 맞고 있다. 대학과 산업계 연구기관의 연구역량이 급속히 신장되면서 과거 출연(연)이 독주하던 기술개발의 시대가 가버린 것이다. 이제 출연(연)은 국가차원에서 대학, 산업계 등의 타 연구주체와 적절한 업무분담을 하는 한편, 이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보다 높은 차원의 기술개발에 나서야 할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특히 과거 출연(연)의 고유영역이었던 미래첨단기술 영역에 대한 배타적 권리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산업기술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출연(연)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기술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로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부가 최우선의 정책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혁신시스템 구축은,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고 있은 이들 2 혁신주체 간의 협력을 통한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현실에 입각하여 이 연구는 지역대학과 출연(연)이 지역혁신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갖고 협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살펴본 후, 현실적으로 협력이 가능한 협력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절차와 단계를 대안으로서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지거나 새롭게 제기하는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지역대학과 출연(연) 현재 정부가 국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하는 있는 지역혁신체제(RIS) 구축의 성패는 지역별 강접과 특성화 요소를 살린 시스템 구축 여부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혁신주체 중 공급자인 지역대학, 지역 공공연구기관, 그리고 출연(연)의 혁신역량 제고와 네트워크 활성화가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지역대학과 출연(연)의 학연 협력시스템 구축은 지금까지 추구되었던 산학, 산연 중심의 지역혁신 활동에 있어 취약한 혁신역량을 획기적으로 보강함은 물론 출연(연)의 미래발전을 위한 새로운 기능부여라는 측면에서, 현재 대부분의 지역에서 실질적인 지역혁신 거점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역대학의 역할 강화와 함께 지역과학기술혁신 강화를 위한 유용한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주요국의 대학공공연구소 협력시스템 사례분석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대학과 정부연구소의 협력은 국내외에 걸쳐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최근의 기술환경이 IT, BT, NT 등 첨단기술 영역에 있어 연구와 교육의 경계영역 구분이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초-응용-개발-상업화라는 전통적 연구개발 절차가 무시되고 기초연구에서의 성과가 산업응용으로 직행하는 등의 혁신프로세스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들어 일부 출연(연)의 노력으로 대학과의 실질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은 이렇다할 실적이 없으며, 다만 연구소가 필요로 하는 연구조원의 확보와 일부 교수와 협력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출연(연)-대학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외국의 경우 대학과 정부연구소 간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특히 협력 내용에 있어 양질의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추구하는 한편, 공동연구를 통한 연구생산성 극대화를 추구하는 등 보다 현실적 관점에서 대학과 정부연구소의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주요국의 대학-정부연구소 간 협력사례에서 우리가 참고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연구소가 대학 학부생과 석박사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분야 교육에 광범위하게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대학과 출연(연)의 연구인력 유연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거의 모든 국가에 있어 정부연구소 연구원들은 대학교수의 지위를 가지고 있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가 추구하는 대형연구사업의 추진에 있어 대학과 정부연구소 간의 협력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연구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교수의 연구소 전직과 연구자의 대학교수로의 이동이 필요에 따라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같은 유연성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공확률을 높이는 한편, 궁극적으로 대학과 국가의 기술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셋째, 목적이 뚜렷한 대형 국책사업을 중심으로 한 대학과 정부연구소의 협력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넷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대학과 정부연구소 간의 협력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국가차원의 기술경쟁력이 지역단위까지 확산에는 많은 비용이 들며, 경우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지역현실에 맞는 혁신체제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미국 San Diago의 바이오 크러스터, 핀란드의 오울루, 중국의 창장 하이테크 단지와 중관충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같은 사례는 지역혁신이라는 목적으로 대학, 정부연구소, 산업계 등이 다중적 관계를 맺고 협력하는 시스템으로, 대학과 정부연구소의 협력은 지역혁신사업의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다섯째, 협력의 새로운 차원인 네트워크 협력방식이 도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사례분석을 종합할 때, 우리나라에 있어 지역대학과 출연(연)의 협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로서, 과학기술 환경의 변화추이에 적응함은 물론 지역혁신체제의 성공적 구축, 그리고 지역대학과 정부연구소의 경쟁기반 확충을 위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협력방안의 모색과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BT분야의 학연 협력사례를 통한 협력강화 방안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및 BT 클러스터의 창출을 위해서는 산학 연간의 긴밀한 협력과 각각의 역할분담 명확화가 필요하다. 정부의 연구개발 사업비 투입에 대한 분석에서 보았다시피 일부 생물정보학기술분야,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분야등에서 출연(연)과 대학이 나름의 특화된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동일한 패턴의 연구비 수주형태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도 학계에서는 있어서는 세계의 톱을 목표로 한 독창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출연(연) 및 공공연구기관에서는 규모화된 원천기반연구와 더불어 유전자 자원수집보존, 안전성 추구 등 산업계 및 대학이 대응하기 어려운 과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첫째, 학연 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생명(연)의 사례에서 볼 수 있다시피 정부의 특연사 관리지침의 변경으로 프로티어사업에서 지역별 특성화에 부합하는 학연발전모델로는 연구중심대학과 출연(연) 등이 연계하는 연구기반 확산지역에서의 연구중심대학을 중심으로 한 협력형태 (유형Ⅰ), 지역대기업, 출연(연)과 지역거점대학 간의 협력모델 (유형Ⅱ), 지역중소기업과 지역연구소, 기술교육형 대학의 협력모델 (유형Ⅲ)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 같은 상이한 패턴은 지역별 산업여건과 기술혁신 잠재력 등을 종합 고려하여 설정한 것으로, 지역대학과 지역 연구기관이 차별화된 특화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지역과학기술 혁신역량강화 등 지역혁신체계 구축의 리더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협력과제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는 추세이다. 물론, 이러한 감소폭 만큼 위탁과제로 전환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협력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폐지된 공동연구사업에 대한 지침을 건설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개발을 추진함에 있어서는 주요한 성과들이 신속하게 이전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제공, 공모에 의한 과제선정 등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이와 더불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과 연구소가 협력하여 지자체에서의 BT 단지 창출 노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특히, 지자체 차

      • KCI등재

        선진국 대학교육 혁신 사례 연구: 대학생 핵심역량 제고방안을 중심으로

        고경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nnovative curriculum and educational innovation methods developed so far in advanced countries in preparation for the need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measures university supporting policy for customized education innov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ases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major advanced countries. By examining this, we are looking for the direction in which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measures should be activated in the future. Next,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that are emerging to nurture customized talent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university students who are recognized externally The tools for diagnosing core competencies are summariz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ases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developed countries that have made efforts to enhance their core competencies, it is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methods that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pursu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overall changes and innovations in the education system, including universities, are expected in the midst of rapid changes in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by society due to the rapid reorganiz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garding the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confirmed that the talents need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reative talents, convergence talents, and relational performance talents. And,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o select and enhanc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nurturing talent. 본 연구는 대학교육 혁신 필요에 대비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선진국의 혁신 교육과정 및 교육혁신 방안들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맞춤형 교육혁신을 위한 대학의 정책적 지원방안, 주요 선진국의 대학교육 혁신 사례를 검토해 봄으로써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대학교육 혁신방안들을 활성화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고 있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다가올 미래사회의 변화와 대학교육 혁신 방향을 살펴보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대두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들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아울러 핵심역량을 제고하고자 노력한 선진국들의 대학교육 혁신 사례를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내 대학들이 추구해야 할 교육혁신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급속하게 진행되는 산업구조의 개편과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해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을 포함한 교육 시스템의 총체적인 변화와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과 관련하여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창조형 인재, 융합형 인재, 관계성과형 인재임을 재확인함으로써 이에 필요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 혁신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방향과 실제에 대한 분석 연구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방향과 실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대학교육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 대학교육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도입 단계는 목표와 주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교육혁신의 방향에서 목표는 사회적 요구, 주체는 대학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혁신의 실제에서 목표는 국가 교육정책의 목표, 주체는 국가기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시행 단계는 운영체제와 구성원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교육혁신의 방향에서 운영체제는 자율성, 구성원의 관계성은 수평적 관계 형성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혁신의 실제에서 운영체제는 의무성, 구성원의 관계성은 수직적 관계 형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의 평가 단계는 결과물과 인프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교육혁신의 방향에서 결과물은 가치, 인프라는 환류체계 구축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혁신의 실제에서 결과물은 성과, 인프라는 통제기제의 구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혁신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rough analyzing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which collects data focusing on the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y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st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amined focusing on goals and subjects. In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goals are social needs and the subjects is university. In the practic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goal is the goals of the government s education policy and the subjects are government institutions. Secon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amined focusing on operating system and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operating systems show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s a horizontal relationship. In the practic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operating system is mandat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s a vertical relationship. Third, in the evaluation st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amined focusing on results and infra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result is value, and the infrastructure is a reflux system. In the practic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e result is performance, and the infrastructure is the establishment of control mechanis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process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지역혁신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정립과 활성화 방안

        민철구,박기범,정기철,조현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지역혁신체계가 강조되고 지역대학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대학이 직면한 대·내외적 환경변화는 그러한 환경변화에 부합할 수 있도록 지역대학의 역할을 재정립할 것을 요구한다. 이때 지역혁신체계는 지역대학의 역할정립에 있어서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세계적 경쟁심화에 따른 대학 간 경쟁이 오히려 대학의 고유한 가치와 역령을 배제하고 획일화 된 순위경쟁에 매달리게 하는 상황에서, 지역혁신체계를 통한 지역 혁신주체 간의 연계와 지역 고유의 자산을 활용한 경쟁력 강화는 지역발전과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라는 2가지 과제의 합리적 연계를 가능케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급속한 환경변화 과정에서 지역혁신체계의 관점을 바탕으로 지역대학의 역할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지역현신체계를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구체적 현실을 반영하여 ‘한국형 지역대학 연할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지역혁신사업에 대한 지역대학의 참여현황을 토대로 지역과 대학의 연계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한국형 지역대학 역할모델을 기반으로 유형화를 시도하여 각 지역대학별로 역할을 구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이 지역대학의 역할정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지방대학의 역할정립과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바람직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혁신쳬계에서 지역대학은 그 역할에 따라 연구중심대학, 교육-연구 연계대학, 교육중심대학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형 지역대학의 역할모델’을 구축할 경우, 대학의 유형은 각각 지식의 창출에 중점을 두는 연구중심대학, 지역 내의 상호학습을 가능케 하고 지식의 창출과 확산 모두를 담당하는 교육연구연계대학, 지식의 확산과 지역과의 파트너십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담당하는 교육중심대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대학지원체계는 지역혁신체계상에서 지역대학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론은 정부 재정지원사업의 다양성이 개별 대학의 특성화를 유도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교원 1인당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 전체 대학의 R&D 지원이 거의 균일하게 배분되고 있다는 사실은 거의 모든 4년제 대학이 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하는 현재의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고, 정부 재정지원사업의 근본적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대학이 그 역할을 확고히 세우고, 경쟁력을 강화시키도록 정책제안을 하였다. 정책제언· 농지역대학의 역할을 보다 분명하게 정립하고 이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즉 지역대학 자체의 구조개혁과 시스템 개선뿐만 아니라 지역대학의 역할정립과 특성화 발전을 위한 대학 유형별 구체적인 정책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대학 구조개혁을 위해서는 대학 간 통폐합 및 정원조정과 대학 자체 자율적 역량강화를 위한 재정지원방안으로 블록펀딩 형태의 지원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 시스템 개선의 측면에서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 간의 역할분담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으며, 광역권별 연합대학 구축사업 확대,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한 RIS 운영체계 구축 등을 시행해야 한다. 한편 지역대학의 구조개혁 이외에도 이들의 역할에 맞게 특성화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연구중심대학, 교육연구연계대학, 교육중심대학별로 구체적인 발전정책과 그에 따른 재정지원 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연구중심 대학의 경우에는 지역 내의 R&D 사업 참여확대를 통한 지역 내 출연, 이업과의 연계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학과/조직과 같이 보다 큰 단위의 재정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교육연구연계대학의 경우에는 기업 및 직업훈련기관과의 연계강화와 우수인력의 지방정착을 위한 재원마련이 필요하며, 교육중심대학의 경우 지역인재양성을 위해 HRD 중심의 재정지원 확대와 평생교육기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업 R&D 및 혁신에 대한 대학연구의 역할

        성태경,조현대,이대희,Paul Sommers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사회의 지식창고로서의 대학이 산업 R&D 및 기술혁신활동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대학연구의 성과 및 지식이 산업계로 전달되는 파급경로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 기본적으로 대학연구는 산업 R&D 및 혁신에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전반적으로 대학연구의 산업계 R&D 및 기술혁신에 대한 역할, 즉 ‘대학효과(university effect)’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보면, 의료정밀기기, 화학, 기계장비 등이 대학연구의 혜택을 가장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산출된 지식과 기술이 산업계로 파급되는 경로를 5개 그룹으로 유형화 시킨 결과, 유형 Ⅳ(공동연구 및 계약연구)와 유형Ⅲ(기술자문, 회의, 세미나)이 지배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유형 Ⅴ(분가 및 조인트벤처)를 비롯하여, 유형 Ⅰ(학술대회, 세미나)과 유형 Ⅱ(논문, 저서, 보고서, 특허)를 통해서도 대학이 산업계 R&D 및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책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재 정부, 기업, 대학은 공동연구 및 계약연구(유형 Ⅳ)와 분사 및 조인트벤처(유형 Ⅴ)를 중요한 파급경로로 전제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다른 유형의 파급경로, 즉 학술논문, 특허, 학술대회, 세미나, 기술지도, 인력양성 등 다양한 형태로 기술지식이 파급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