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현혜순,김윤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06월부터 2022년 08월까지 A시와 D시에 위치한 지역의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대학생의 우울 점수는 평균 0.45점, 대인관계 만족도는 3.73점,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34점이었다. 대상자의 우울은 학년(F=5.252,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664, p<.001), 거주형태(F=3.171, p=.025)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인관계 만족도는 연령(t=2.755, p=.006), 주관적 건강상태(t=3.953, p<.001), 거주형태(F=7.640, p<.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연령(t=3.362, p=.001), 주관적 건강상태(t=4.080, p<.001), 학업 성적(F=9.642, p<.001), 흡연(t= 2.384, p=.018)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우울(r=-0.314, p<.001), 대인관계 만족도(r=-0.447, p< .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해 대학생활 요소 중 우울 감소와 대인관계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박진영 대한지방자치학회 2012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개인배경,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 아존중감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조사는 광주·전남지역의 전문대학 및 일반대학의 26 세 이상 성인대학생 대상으로 8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자료분석에는 653부가 이용 되었다. 성인대학생의 개인배경별로 대학생활적응 및 하위요인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 과, 월소득을 제외한 성별, 결혼여부, 전문대학 및 대학간, 근로형태별, 연령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성인대학생의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대학생활적응 및 하위요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적응에는 자아존중감, 직장선후배 및 동료지원 등이, 심리육체적응에는 자아존중감, 직장선후배 및 동료 지원 등이, 교육의질적응에는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 등이, 성인학생관계적응에는 학업탄력성, 대학선후배 및 동료 지원, 자아존중감 등이, 대학공부적응에는 자아존중감이, 일반학생관 계적응에는 자아존중감, 직장선후배 및 동료 지원 등이, 외부상황적응에는 직장선후배 및 동료 지원, 자아존중감 등이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반영하 여 대학내·외에 적용될 수 있는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고명주,최보영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349 college students (freshmen,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using scales related to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ch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bility (self-regulation mode/volitional control mod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self-regulation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rd, self-regulation mode turned out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urth, volitional control mode showed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self-regulation ability could contribute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le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self-regulation mode should be put before volitional control mode.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4학년 대학생 34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루어졌고, 학업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자기조절양식/의지적억제양식), 대학생활적응은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기조절능력 전체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의지적억제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대학생 자신의 자기조절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의지적억제양식보다 자기조절양식이 우선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

        정선영 ( Sunyoung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핵심자기평가의 관계를 살펴보고, 핵심자기평가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220명이었다. 측정도구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핵심자기평가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핵심자기평가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핵심자기평가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의 경우 핵심적 자기평가가 긍정적인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좀 더 잘 적응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심리적 만족감과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안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ore self-evaluation, and to verify whether core self-evalu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s measurement tools, the Academic Stress Scale, the Core Self-Evaluation Scale, and the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re self-evalua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core self-evalua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shows that for college students experiencing academic stress, the core self-evaluation enables positive students to better adjust to college lif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및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의 만족도차이에 관한 연구 - K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을 중심으로(2013년~2016년) -

        박수진,구영애,오윤자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1

        대학생 시기는 학교 교육을 마치고 사회로 진출하는 준비과정으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인데 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은 학업과 진로 등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되어도 학교 내에서는 적극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 대학생들의 복지를 위한 시설과 제도가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진로결정에 관한 문제는 대학생들에게는 더욱 절실하고 구체적인 과제로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이 늘어나게 되 면서 자퇴, 전과, 편입, 공무원 준비 등 진로변경을 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와 가치관의 변화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 선택과 결정에 도움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에서 보다 효과적 으로 대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적 맥락을 고려한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과 진로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진로지도 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진로, 가치관, 대학생활 만족 도에 대한 주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둘째, 연도별(2013~2016년) 대학생의 진로와 가치관의 변화 및 대학생활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2016년 최신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와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대학생들은 행복한 가정과 경제적 안정도 중요하지 만 무엇보다 건강을 인생의 행복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공적인 진로 및 취 업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전공에 대한 중요성과 경계가 허물어지고 대학생활에서 본인의 의 지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교육을 통해 대학생 본인의 의지대로 진로방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성 과 흥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진로결정을 위하여 자신의 특성 및 적성을 알아보 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 취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한 후,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현장 체 험 및 실습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자신의 특성 및 적성을 알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 취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 한 후,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전에 현장 체험 및 실습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ven though university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life as a preparation process of advancing into society after completing the school education, there are insufficient facility and system for welfare of university students as schools not being able to provide active help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going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with studies and career. Specially, the issue of career decision is a more urgent and specific matter to university students that a phenomenon of changing course as dropping out of school, changing major, transfer, and preparing for civil service is happening more frequently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career decision. Therefore,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changes in career, values,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an help with selection and decision of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in counseling and career-decision making that considered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contex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obtain implications of career guidance strategy. First,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reviewed the key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studies on career, values,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secondly, difference in career, value, and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university life was investigated by year(2013∼2016), and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 in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ir value based on the latest data of 2016.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health most importantly for happiness of life than happy family and economic stability, and in research on influencing factors of successful career and employment, they placed a high importance on aptitude and interest because the boundary of importance of major crumbled down and they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career by their own will through education anywhere and at any time. It was ident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look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aptitude for career decision, acquire various information on the right career and employment for them, and put effort to decide their career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s field experience and education before they decide their career.

      • KCI등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배성아(Sung Ah Bae),김수영(Soo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숙달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 대학생활적응이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 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C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서 2014학년도 1학기에 운영한 교양과목을 수강 중인 4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료된 설문지 420개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대학생활적응이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적응성이 높아지고, 숙달목표를 추구하면서 대학생활적응력이 높은 학생이 숙달목표지향성만 높은 학생보다 진로적응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에 직접 영향을 주고,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하여 진로적응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당국은 진로상담이나 취업 프로 그램을 운영할 때, 학생들의 숙달목표지향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 고, 대학생활적응력을 함께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their perceive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tudy,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chanism beyond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nd their perceived career adaptability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4, we collected data from 445 students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C region, and 420 respons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for the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s shown that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their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nd their perceive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at college administration need to not only consider students’ mastery goals when designing and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or coaching programs, but also find ways to promote student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형은(Seo, Hyung-Eun),김혜진(Kim,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link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a non-face to fac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COVID-19.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22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in February 2021.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ssessed by the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subdomains were soci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an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with an academic achievement sca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s test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correlations among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daptation (ρ=.42,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ρ=.29, p=.001); academic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elf-efficacy (ρ=.66,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ρ=.58, p<.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display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ρ=.41, p<.001).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ly full mediating effects by college life adaptation in the Sobel s test (z=5.86, p<.001). Conclusions Social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igh academic self-efficacy, and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are very likely to have a tremendous impact on their career or future after grad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adap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비대면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 2021년 2월 25일부터 2월 26일까지 수집된 자료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22명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적응 도구로 측정하였고, 하위영역은 사회적응과 학업적응이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학업성취도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중 사회적응은 학업적응(ρ=.42, p<.001), 학업성취도(ρ=.29, 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ρ=.66, p<.001), 학업성취도(ρ=.58, 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ρ=.4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응은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Z=5.86, p<.001). 결론 간호대학생의 원만한 대학생활의 적응과 높은 자기효능감, 그리고 우수한 학업성취도는 졸업 후의 자신의 진로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학습환경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의 비교

        서명옥(Seo Myungok),강윤심(Kang Yunsim),최보영(Choi, B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간의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82명과 해외 대학에 재학중인 한국인 해외유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12월에 걸쳐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조사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우울, 학업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생과 한국인 해외유학생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지지, 자기격려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상관관계를, 학업소진과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국내 대학생은 자기격려가 한국인 해외유학생은 사회적지지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고, 우울과 학업소진은 두 집단에서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사회적지지, 자기격려, 학업소진, 우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terms of social support, self-encouragement, depression, academic burnout,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address the goal, 282 Korean college students and 161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y completed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019 to December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self-encourage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college adapta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nd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whereas academic exhaustion and depress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self-encouragement is found to exert a positive correla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le social support has the same effect on that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Depression and academic burnout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both group 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implies a necessity for developing a new program that helps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원철(Weon-Cheol Jeong),김진영(Jin-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을 방해한다는 가설을 전제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일부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8명(남학생 61명, 여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성별과 학년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고, 장애대학생의 지각된 낙인과 우울은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임이 드러났다. 특히 우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지지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낙인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접근들 못지않게 장애대학생을 둘러싼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For the purpose of the reas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8 SWD from questionaries in B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grade and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justing campus life of SWD.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Social support of SWD also had positive impact on the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of SWD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igma, depression of SWD and their adjustment of campus life. This study verified tha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justing level in college life of SWD, it was as important to make social support to be delivered at SWD as decreasing the perceived stigma and depression of SWD.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som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his study question and remark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대건(Dae Geon Shin),박은영(Eun young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대학생활부적응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대학생활부적응이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상북도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대학생활부적응 척도와 그릿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28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PROCESS macro Model 1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부적응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가 대학생활부적응을 매개하여 우울에 미치는 정적영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학생들에게 그릿향상을 목적으로 한 개인심리치료, 집단심리치료 등을 실시하여 대학생활에 적절히 적응 할 수 있도록하고 더 나아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대학생활과 그 이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and grit on the path to depression mediated by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University students in D, K Province completed the survey composed of career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CES-D), maladjustment on college scale, and Grit scale. Data from 282 studen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was verified i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 career stress affecting depression. Second, Grit show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when career stress, mediated by maladjustment on college, affected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gri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 of career stress on depression by mediating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This is expected to improve college life and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personal psychotherapy and group psychotherapy for grit improvement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adapt appropriately to college life and further reduce stress on their car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