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문제행동이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순희,한미림,김경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of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on their peer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4 young children aged four and five years who had been enrolled in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The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problem behaviors and peer interactions were rated by their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dminister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C+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positive peer interac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active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ssive and magical cop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including hyperactivities, aggressive behaviors, anxiety, withdrawal while their negative peer interac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assive and magical stress coping behavior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Second, young children’s active stress coping behavior were a variable to predict their positive peer interactions. Thir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hyperactivities, aggressive behaviors, and anxiety) and positive, passive and magical stress coping behaviors were variables to predict their negative peer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enhance young children’s positive peer interaction by guiding them to apply appropriate stress cop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stressful situation each child confront and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toward stress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문제행동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만 4, 5세 유아 234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유아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문제행동, 그리고 또래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행동은 능동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수동적 및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문제행동(공격행동, 위축행동, 미성숙)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능동적 대처행동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수동적 및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문제행동(과잉행동, 공격행동, 위축행동, 미성숙)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능동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셋째, 유아의 스트레스에 대한 능동적 대처행동과 수동적 대처행동은 유아의 부정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유아의 신비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과잉행동과 공격행동은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또래간 건전한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해 유아들이 학급에서 직면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스트레스에 대한 개별 유아의 반응양식을 고려하여 각 유아가 적절한 방식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괴롭힘 주변인의 방어 및 동조 행동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의 조절효과

        오인수(吳仁秀),임영은(林伶垠),김서정(金瑞貞)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주변인 행동 및 집단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주변인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이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학생 229명을 대상으로 대처전략(적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과 주변인 행동(방어정도, 동조정도), 집단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적극적 대처행동은 방어정도와, 공격적 대처행동은 동조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적극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방어의 정도가 높으며, 공격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동조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집단효능감은 적극적 대처행동과 정적 상관을,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집단효능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행동 전략을 많이 사용하며, 공격적 대처행동 전략은 적게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집단효능감은 적극적 대처행동에 대한 방어정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공격적 대처행동이 동조정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효능감은 조절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ping strategies, bystander’s reactions, and collective efficacy. A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coping strategies and bystander’s reactions was examine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9 fourth grade students in four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Coping strategies(active coping, aggressive coping), bystander’s reactions(defending behavior and assisting behavior),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assess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he initial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 and aggressive cop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ssisting behavior. Collective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ive cop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ve coping.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defend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The relationship of aggressive coping with assisting behavior was not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Education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감정코칭이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미림 ( Han Mi-rim ),김경숙 ( Kim Ky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감정코칭이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 5세 유아 234명과 이들 유아의 어머니들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유아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정서조절능력을 평정하고 유아의 어머니들이 자녀에 대한 자신의 감정코칭 정도를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능동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유아의 수동적 대처행동 및 신비적 대처행동과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감정코칭과의 관계에서도 능동적 대처행동은 어머니의 감정코칭과 정적 상관관계 있었고 수동적 대처행동 및 신비적 대처행동은 어머니의 감정코칭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감정코칭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능동적 대처행동에 정적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유아의 수동적 대처행동과 신비적 대처행동에는 부적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감정코칭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s of young children’ emotional regultion and their mothers’ emotion coaching on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0 young children aged four and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The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rated by their teachers while the mothers rated their own emotion coaching for their childr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dminister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C+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active stress cop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own emotional regultion and their mothers’ emotion coaching while their passive or magical stress coping behaviors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own emotional regultion and their mothers’ emotion coaching. Second, mothers' emotional coaching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active coping behaviors while therse variable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passive and mysterious coping behaviors. Therefore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tion and their mothers’ emotion coaching were variables to predict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 KCI등재

        자기통제력과 소비스트레스가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복미정,서정희,윤혜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가정 소비생활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는 기혼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과 소비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한 후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기통제력은 중간 정도였고, 소비스트레스는 구매 후 스트레스보다 구매 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사회적 지지행동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적극적 대처 행동, 회피행동의 순이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행동, 적극적 대처행동, 회피행동 등과 같은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행동은 교육수준, 취업여부, 거주지역, 배우자의 직업에 따라, 적극적 대처행동은 월평균 가계소득, 교육수준, 배우자의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회피행동은 배우자의 직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기통제력, 소비스트레스,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행동, 적극적 대처행동은 구매 후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피행동은 자기통제력, 구매 전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기통제력과 소비스트레스가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사회적 지지행동에는 취업여부, 거주지역(서울, 인천, 경기도와 부산, 대구, 울산, 경상도)과 구매 후 스트레스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적극적 대처행동에는 교육년수와 구매 후 스트레스만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회피행동에는 배우자의 직업(공무원·사무직), 자기통제력과 구매 전 스트레스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구매 후 스트레스는 회피행동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사이버불링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방원,홍혜영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from 1485 middle school students(814 male, 671 female)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scale, stress coping behavior scale, and suicidal ideation scal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of all the scales were performed,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Additionally,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subtypes of the moderating variables which showed significance difference by gender. Also,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specifically performed for the high-risk group for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 suicidal ideation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and suicidal ideation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Suicidal ideation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and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ggressive coping behavior, active coping behavior,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 which were the subtypes of stress coping behavior, presente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active coping behavior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 among the subtypes of stress coping behavior were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s on the relation between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사이버불링피해 경험과 자살생각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 지역 소재의 남녀중학생 1485명(남 814명, 여 671명)의 연구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 도구로는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스트레스 대처행동, 자살생각 척도가 사용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공격적 대처행동,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자살생각과 공격적 대처행동, 자살생각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자살생각과 적극적 대처행동, 자살생각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유형인 공격적 대처행동,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에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 사이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 사이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유형인 적극적 대처행동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이 중요한 조절변인이었음을 밝혔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박미화,박현진 한국발달지원학회 2014 발달지원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살펴 보고,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H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적극적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소 극/회피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 응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이 학교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은 학 교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인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 매 개하였으며,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이고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의 경향이 높고,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학생은 소극/회피적, 공격적 대처행동의 경향이 높고, 학교생활적응도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자아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색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소득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

        하유정(Ha, Yu-Jeo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부모유형의 특성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저소득가정의 4,5,6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과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부모양육태도의 차이는 권위 · 통제태도에서 차이가,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부모양육태도는 권위 통제측면과 적대 · 거부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양육부모유형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는 가족응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은 애정 · 수용태도와, 소극적 대처행동은 적대 · 거부태도와, 회피적 대처행동은 민주 · 자율태도와,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권위 · 통제태도, 애정 · 수용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기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과의 관계는 가족응집성이 연결형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가족적응성과의 관계는 적응성이 강한 융통성일 때 적극적 대처행동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가족체계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에서는 보통균형가족의 경우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행동에서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가족기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애정 · 수용태도가 적극적 대처행동에, 권위 통제태도가 회피적 대처행동에 영항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는 애정 · 수용태도와 적대 거부태도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경우 적극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연결형과 밀착형에서 가족적응성중 강한융통성과 경직형에 영향을 주었고, 가족체계유형에서는 극단가족과 중간가족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에 대해서는 가족응집성중 단절형과 분리형, 가족적응성 중 경직형과 구조형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that were perceived by children can affect stress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style of par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7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4th, 5th and 6th year and it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bout stress from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in 2 children study centers and 3 welfare centers of Seoul and other cities.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SPSS 15.0 program.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tudy also differences in parent’s authority and control over children based on their grades at school. and study took a look at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and there we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authority · control and hostility · rejection. In addition to that, study also saw differences in child’s perception about function of family according to styles of parents, there were some meaningful gap in family cohesion. Secondly, study also focused on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were connected with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Study results showed that active coping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ate · acceptant attitude and passive coping behavior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hostile · rejective attitude. Finally, study took a look at how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function of family affected stress coping behavior of children. It showed that parents with affectionate and acceptant attitude affected children’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parents with disciplinary and controlling attitude, dodging coping behavior respectively. And concerning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it is shown that affectionate . acceptant · hostile’ rejecting attitude are influential. Additionally, children from connected, enrneshed(based on family cohesion) and very flexible(based on family flexibility) type of family have tendency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Contrary, children from rigid (based on family flexibility), extreme and mid-range(based on family system type) family seemed not to cope with their stress actively. Moreover, children from disengaged, separated family (based on family cohesion) and rigid, structured family(based on family flexibility) were negatively affected in their coping behavior seeking social support.

      • KCI등재

        또래 괴롭힘 피해와 우울, 불안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이선미,유성경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ve/evasive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n the link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SEM) approach. Data were gathered from 600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ponses(n=532) from th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Stress Coping Behavior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partially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Second,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bot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The finding demonstrated that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partially accounted for the links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certained (a)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on the peer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b)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ve/evasive cop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on the peer victimization and anxiety. Employing appropriate coping behavior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help sooth the negative emotions produced from peer victimiz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peer victimization counsel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또래 괴롭힘 피해수준과 우울, 불안 관계에서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 모형 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우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동시에 두 변인의 관계를 소극/회피적 대처,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모형을 설정 하였다. 또한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이 불안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동시에 두 변인의 관계를 소극/회피적 대처, 공격적 대처행동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두 연구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을 최종 구조 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배부한 총 600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68명을 제외한 532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은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우울 관계를 유의미하게 부분적으로 매개하였으나, 공격적 대처행동은 두 변인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즉, 또래 괴롭힘 피해수준이 공격적 대처행동에 대해 정적인 관계만 가질 뿐, 공격적 대처행동이 우울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둘째,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은 또래 괴롭힘 피해 수준과 불안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효의식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 행동의 매개 효과

        이찬민,배희분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conflict coping behavior on the impact of husband’s Hyo-consciousness perceived by middle-aged woman on martial satisfaction. To that end, 316 middle-aged married women aged between 45 and 65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Baron and Kenny’s mediator effect, and bootstrap verification using SPSS 18.0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husband’s Hyo-consciousness perceived by wife and the family-oriented Hyo-consciousness. The same was tr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oriented Hyo-conscious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other sid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motion-oriented Hyo-conscious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total score of Hyo-consciousnes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emotion-behavior expressive conflict coping behavior. The family-oriented Hyo-consciousness (perceived by wif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igious, avoidant, emotion-behavior expressive conflict coping behaviors. The emotion-oriented Hyo-consciousne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the behavior-oriented Hyo-consciousness had it with emotion-behavior expressive and avoidant conflict coping behavior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conflict coping behavior on a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Hyo-consciousness and marti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onflict coping behavior, it had been found that avoidant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emotional behavior expression conflict coping behavior have a mediated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artial counseling or educational program’s development which helps for middle-aged women to deal with conflict factor caused by paternal-centered and patriarch Hyo-consciousness more actively and efficiently. And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basic data on apreventive level to enhance marti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효의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45~65세에 해당하는 중년 기혼여성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 효과검증, 부트스트랩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효의식 총점과 가족지향의 효의식, 그리고 행동지향의 효의식과 결혼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정서지향의 효의식과 결혼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효의식 총점은 회피적 갈등대처행동 및 감정행동표출 갈등대처행동과, 가족지향의 효의식은 신앙의지 갈등대처행동, 회피적 갈등대처행동, 감정행동표출 갈등대처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정서지향의 효의식은 회피적 갈등대처행동과, 그리고 행동지향의 효의식은 감정행동표출 갈등대처행동 및 회피적 갈등대처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 여성이 지각하는 남편의 효의식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갈등대처행동 하위요인 중에서 회피적 갈등대처행동과 감정행동표출 갈등대처행동이 완전 또는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부권 중심의 가부장적 효의식으로 인한 갈등적 요소에 대하여 우리나라 중년 여성들이 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부부 상담이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중년 여성들의 부부갈등이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부분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동의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윤정민,김정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nxiety. For this purpose, 723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rs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children's perfectionism according to gender. It was observed that girls used more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than boys. Moreover, girls were more anxious than boys. Seco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boys' active, passive/avoidant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and girls' active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s. In contra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n effect on girls aggressive and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s only. Third, while boys' passive/avoidant coping behaviors had an effect on levels of anxiety. girls' passive/avoidant, social support seeking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s had an effect on anxiety. Fourth, passive/avoidant and aggressive coping 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학년생과 6학년생 총 7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완벽주의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추구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며, 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남아의 경우 적극적 대처행동,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적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아의 경우 적극적 대처행동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여아의 공격적 대처행동과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아의 경우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이, 여아의 경우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이 각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은 아동의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