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 中漢語使用者在"這―"、 "那―"使用上的異同点

        梁敬美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2 中國硏究 Vol.30 No.-

        본 논문은 2000년 3월 25일부터 2000년 12월 12일 사이의 3명의 20여명의 한국인과 중국인으로 구성된 7.3시간의 "현장 담화(situated discourse)"를 언어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말뭉치 언어학", "직시(deixis)이론", "담화표지(discourse markers)이론"등에 근거하여 그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 표현 형식의 21가지 기능을 묘사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기초가 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這-"와 "那-"의 화용 및 담화기능 연구)" 에 의하면 채집한 담화 속에 나타난 "這-(this-)"와 "那-(that-)"의 기능은 모두 21가지로서 크게 "화용기능", "담화기능", "현장기능"으로 나뉘며, 화용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공간직시", "사물직시", 성질직시", "시간직시", "담화직시", "대용", "연결"등 7가지가 있고 담화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정황용", "화제 대비", "화제 도입", "화제전환", "말 뺏어오기", "말 유지하기"등 6가지가 있다. 현장기능에 속하는 것으로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일반 현장기능"과 "말더듬", "말실수", "인용", "말끊김", "모호"등 5가지 "특수 현장기능" 등이 있다. (단 통계의 경우 하나의 표현형식에 하나의 기능만을 부여함) 본 고의 목적은 한국인과 중국인인 중국어 사용자의 "這-"와 "那-" 사용상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중국인의 "這-"와 "那-"의 사용은 這-와 那-자체를 놓고 볼 때 대체로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여 어느 기능이 어느 단어를 사용하게 되는 독특한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또 한국인의 사용 분포와 다른 양상을 띈다. 외국어로 중국어를 말하는 사람(제2언어 습득자, 여기서는 한국인)의 중국어 사용이 모국어 화장의 언어사용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그들의 언어가 아직까지는 계속 변화 상태에 놓여 있는 이중언어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일 것인데, 본 고는 그 초보적 단계로 지사사의 담화표지까지에의 사용을 묘사, 분석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한중 사용자의 "這-"와 "那-"사용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이미 담화표지로 볼 수 있는 "일반현장기능"에 속하는 "단어 찾기", "담화 찾기", "메꾸기"등 3가지 기능의 경우 중국인은 "這個"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인은 "那個"를 많이 사용하는 데, 이의 원인으로 한국인의 입말에서 근칭에 해당하는 지시사 "이"가 담화표지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반면 중칭의 "그"와 원칭의 "저"는 담화표지로 자주 사용되는 현상이 중국어의 사용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 우리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這-"와 "那-"가 사용 중 빈도수가 높은 단어 및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대조하였는데, 이에서도 몇 가지 다른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구어 담화표지로 쓰이는 ‘어디’의 기능

        홍민경(Hong Minkyoung),홍종선(Hong Jo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구어에서 담화표지로 널리 사용되는 의문사 ‘어디’의 기능에 대한 검토 및 분류를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의문사 담화표지를 논한 기존 연구들이 의문사형 담화표지의 기능을 설정함에 있어서, 담화표지 그 자체가 아닌 담화 전체 혹은 문맥에 이끌려 의미기능을 논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전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표지의 기능 설정 방법을 일일이 검토하여 오류의 근거를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검토를 통해 의문사 ‘어디’의 담화표지 기능을 크게 텍스트적 기능과 대인적/상호작용적 기능범주로 나누어 분류한 후, 전자에는 ‘발화 시작, 발화 유지’를, 후자에는 ‘긍정적 태도 표현, 부정적 태도 표현, 강조’라는 5가지 기능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담화표지 ‘어디’가 실제 구어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두 종류의 구어 말뭉치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말뭉치 자료에 따라 그 사용빈도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는데, 다양한 담화표지들의 사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구어 균형 말뭉치의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인 의문사 담화표지 ‘어디’의 운율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이 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른 담화표지들의 의미 기능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the interrogative word 어디(where) used as a discourse marker in spoken language. There are previous studies which discussed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 They, however, failed to clarify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sentence and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marker itself. we examined previous research and pointed out that their approach to classifying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is partially wrong. In this paper, we set two categories for classifying the discourse marker 어디(where) ; the textual mode and the interpersonal mode. There are five functions as a sub-category; one set of functions(initiating discourse, sustaining discourse) belongs to the former and another set of functions(positive attitude, the negative attitude, emphasizing) belongs to the latter.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rovide much implication for studying the semantic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us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scourse marker 어디‘ in two other spoken corpus and obtained different result depending on the data. This finding suggests that large, balanced, spoken corpus should be constructed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

        말뭉치 자료에서 나타난 ‘-길래’의 담화 의미 기능에 대하여

        이지선(I, JiSeon)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39 No.-

        인과 연결어미인 ‘-길래’는 평서문에서는 ‘화자의 행동을 초래한 외적인 근거’라는 의미를 의문문에서는 ‘발생한 상황을 초래한 이유를 질문’하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문장을 중심으로 한 해석이다. 그런데 ‘-길래’는 문법적 난이도와 사용 빈도의 측면에서 중급 이상의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교수되는 문법 항목이기 때문에 문장 이상의 담화 상황에서 사용되는 담화적 요소가 된다는 특성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은 유창한 의사소통을 위해 담화적 요소의 하나인 ‘-길래’의 담화적 기능을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진정란(2004, 2005), 권미숙(2017), 고우미(2018)의 3편에 그칠 뿐만 아니라, 제시된 기능들을 분석해 본 결과 잘못 제시되거나 파악되지 못한 담화적 기능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세종코퍼스의 말뭉치 자료에서 검색한 ‘-길래’가 쓰인 현대 문어 및 구어를 대상으로 ‘-길래’가 결합된 선행절에서 그리고 ‘-길래’의 후행절을 중심으로 한 문장 전체에서 나타나는 의미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길래’의 담화적 기능들과의 비교 및 대조의 방식을 통해 가장 타당성이 있는 ‘-길래’의 담화적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행절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기능으로는 ‘상황소개, 변명, 이유의 궁금증, 이유질문, 이유설명, 추가설명’을 그리고 후행절을 중심으로 한 ‘-길래’ 구문 전체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는 ‘핀잔, 비난, 부정적 감정표현, 비꼼, 따짐, 놀림, 감탄’을 ‘-길래’의 담화적 기능으로 분석해 내었다. 이중 ‘추가설명, 비꼼, 따짐, 부정적 감정표현’은 본고에서 새롭게 제시한 ‘-길래’의 담화적 의미 기능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길래’의 담화적 기능에서 ‘변명’과 ‘핀잔’ 및 ‘비난’을 대표적인 담화적 기능으로 보았는데 이는 인과 연결어미가 평서문과 의문문에서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 속성을 제외한 담화 상황에서 ‘-길래’가 가지는 의미 기능의 경향 및 특성을 반영한 결과였다. 즉 ‘-길래’는 화자에게 부정적인 담화 상황에서 자신을 변호하기 위해 혹은 발생한 사태에 대해 화자의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나는데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The causal connective suffix ‘-길래’ means ‘external grounds for causing the speaker’s actions’ in the written statement, and ‘questioning the reasons for causing the situation’ in the questionnaire, which is an interpretation centered on sentences. However, ‘-길래’ is a grammar item that is taught to foreign learners above intermediate level in terms of grammatical difficulty and frequency of use, so it becomes a discourse element used in discourse situations beyond sentences. Therefore, foreign learners ne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discourse function of one of the discourse elements for fluent communication, and the preceding research on this is not only three works: Chin, Chongnan (2004, 2005), Kwon Mi-sug (2017), and Kowoomi (2018), but also analyzed the presented functions. In response, I analyzed the meaning function that appears throughout the sentence, focusing on the preceding clause combined with ‘-길래’ and the trailing clause of ‘-길래’ for modern octopuses and collocations with ‘-길래’ searched in the corpus data. In the process, this paper tried to present the most valid discourse function of ‘-길래’ through the method of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길래’ presen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I analyzed ‘Introducing the situation, excuse, Wondering why, Reason question, Reason explanation, Extra explanation,’ as a function centered on antecedents, and ‘scolding, criticism,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sarcasm, hair-splitting, teasing and admiration’ as a discourse. Among them, ‘Extra explanation, sarcasm, hair-splitting , and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discourse meaning function of the newly proposed ‘-길래’ in the main paper. Finally, in the discourse of ‘-길래’ presented in this paper, ‘Excuse’, ‘Scolding’ and ‘Criticism’ were seen as representative discourse functions, based on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길래’ used to defend himself in negative discourse situations or to negatively respond to what happened.

      • KCI등재

        ‘이, 그, 저’의 담화 기능 차이와 담화 기능별운율 특징

        송인성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이 연구에서는 구어 자료를 이용하여 ‘이, 그, 저’의 담화 기능을 분석하고 각 담화표지 간 담화 기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 그, 저’의 담화 기능에 따른 운율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각 기능과 관련된 주된 운율 특징을 조사하였다. 먼저 ‘이, 그,저’의 담화 기능을 분석한 결과, ‘이’는 발언권 유지와 강조 기능이 나타났다. ‘그’는발언권 유지, 발화 시작, 강조, 머뭇거림, 수정하기 기능이 실현되었다. ‘저’는 공손, 발화 시작, 발언권 유지, 머뭇거림 기능이 나타났다. ‘이, 그, 저’에 모두 나타나는 담화기능은 발언권 유지(디딤말, 시간 벌기) 기능이다. ‘이, 그’에만 나타나는 기능은 강조기능이고, ‘그, 저’에만 나타나는 기능은 발화 시작, 머뭇거림 기능이다. 수정하기 기능은 ‘그’에서만 나타났고, 공손 기능은 ‘저’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각 담화 기능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발화 시작과 시간 벌기나 머뭇거림 기능이 함께 실현되고, 공손 기능에 발화 시작이나 머뭇거림의 기능이 함께 나타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이, 그, 저’의 담화 기능에 따른 운율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음성 자료와 음성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 그, 저’의 음높이 유형, 길이, 선·후행 위치에 실현되는 휴지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담화 기능에 따라 고조, 저조, 고저조의 음높이 유형과 장음과 비장음의 실현과 선행, 후행, 선·후행 위치에서의 휴지 출현 빈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 그, 저’에 실현된 담화 기능을 분석하여 담화표지간 담화 기능의 차이를 살펴본 점과 음성 자료와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그, 저’에 실현된 담화 기능별 운율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ext of Baebijangjeonand discuss the reality of Jeju depicted in the story. To address thestory from its formation, various versions of Baebijangjeon wereanalyzed in comparison to estimate how the story had been created,and in terms of content, it was investigated how the reality of Jejuwas reflected onto the study by investigating a few points showingthe negative image and lifestyle of Jeju. From this approach, thefollowings were revealed: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versionof Baebijangjeon is Sindyeongsusang(新訂繡像) Baebijangjeon(裵裨將傳) published by Singuseorim in 1916. Second, Baebijangjeon was formulatedby integrating the editorial of Pansori with a new story creationapproach, used for a new traditional novel. It would be reasonable toassume that it was published as an old printed novel without transitionfrom the editorial of Pansori to a Pansori-style traditional novel. Third, a character ‘Aerang’ was used to negatively narrate a gisaengof Jeju along with local characteristics of Jeju and in turn, it led toa negative perception of gisaengs of Jeju and it was found to berelevant with historical fa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story, the life of Jeju, which was somewhat neglected in literature of Korea,was described in detail, such as the exotic images of female divers, thereality of ship operation, and the exploitation of local specialties of Jeju.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Baebijangjeon as awork published as an old printed novel without transition from theeditorial Pansori to a classic Pansori novel: In respect of its formation,it was formulated by integrating the editorial of Pansori onto a newstory creation approach, used for a traditional novel, and in terms ofcontent, it could be defined as a work depicting and describing thereality of Jeju.

      • 러시아어 대화체 장르에서 말 끼어들기의 유형 및 담화기능

        엄순천(Eom SunChe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어 대화체 장르에서 ‘말 끼어들기’ 담화 전략의 특성 및 유형 그리고 기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그런데 ‘말 끼어들기’는 ‘말 끼어들기’를 행하는 주체와 ‘말 끼어들기’를 당하는 객체의 대립적인 구도 속에서 활성화되는 대화자질인데 본 논문에서는 ‘말 끼어들기’의 주체에 논의를 한정시킬 것이다. ‘말 끼어들기’란 다른 화자가 발화 순서를 무시하고 현 화자의 발언권을 방해하는 현상인데 그 결과 ‘말 중단시키기’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현화자가 자신의 발화를 중지하지 않아서 일정 기간 동안 둘 혹은 그 이상의 화자가 동시에 발화하는 ‘말 중복’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말 끼어들기’는 대화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대화참여자의 권리이자 의무와 관련된 담화전략이며 ‘말 중단시키기’와 ‘말 중복’은 ‘말끼어들기’의 하위범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말 끼어들기’의 유형을 담화기능에 따라 ‘우호적’,‘중립적’, ‘비우호적 말 중단시키기’, ‘청자반응신호장치’, ‘실수로 인한 말 끼어들기’로 나누고 있다. 이 때 ‘말 끼어들기’의 유형별 빈도수를 보면 우호적인 ‘말 중단시키기’가 전체의 49.2%인 206회로 가장 많고 다음은 중립적인 ‘말 중단시키기’가 19.1%인 80회, ‘청자반응신호장치’가 14%인 59회, 비우호적인 ‘말 중단시키기’가 11%인 46회, 실수에 의한 ‘말 끼어들기’가 6.7%인 27회의 순이었다. 이처럼 ‘우호적인 말 중단시키기’가 가장 많이 발견된 이유는 대화체 장르라는 장르의 특성에 의한 것이며, 또 ‘실수로 인한 말 끼어들기’의 빈도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아 ‘말 끼어들기’가 즉흥적, 우연적, 비체계적인 화행활동이 아니라 화자의 일정한 담화전략에 의해 발생하는 대화자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유형별 담화기능에 있어서 ‘우호적인 말 중단시키기’는‘대화를 공동으로 이끌어 감’, ‘화자와 청자의 친밀감 증진’, ‘사실 재확인 요구’, ‘동일 화제의 지지’, ‘제안이나 권유’ 등의 기능을 담보하는데 ‘대화를 공동으로 이끌어가는 기능’이 전체의 35.4%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화자와 청자의 친밀감 증진의 기능’이 25.2%, ‘사실 재확인 요구의 기능’이 20.9%, ‘동일 화제 지지의 기능’이 14.1%, ‘제안이나 권유의 기능’이 4.4%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중립적인 말 중단시키기’는 ‘자신의 발화일관성 성취’, ‘정확한 정보교환’, ‘생각이나 명상’, ‘객관적인 사실 확인’, ‘제안에 대한 의례적인 표현’의 담화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중 ‘자신의 발화일관성 성취’ 기능이 전체의 45%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정확한 정보교환 기능’이 28.7%, ‘생각이나 명상의 기능’이 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우호적인 말 중단시키기’는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박’,‘선행발화의 부정’, ‘선행화자에 대한 비꼼이나 야유, ‘의심이나 의혹’등의 담화기능을 수행하는데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박’의 기능이 전체의 69.5%로 가장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러시아어 대화체 장르에 있어서 ‘말 끼어들기’를 행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말 끼어들기’의 유형및 담화기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말 끼어들기’를 당하는 객체의 관점에서의 연구는 다음의 과제로 넘겨지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variety of types and the discourse function of intervention in Russian Spoke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 analysis and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s. After the intervention occur ‘interruption’ and ‘overlap’. The intervention means talk by more than a speaker at a time involving a second one speaking, and that the second one has projected his talk to begin at a possible completion point of the prior speaker's talk. If that's apparently the case, for example, his starts is in the environment of what could have been a completion point of the prior speaker's turn, then it means an overlap. If it's projected to begin in the middle of a point yhat is in no way a possible completion point for the turn, then it means as an interruption. In Russian spoken language the intervention can include four types according to various discourse functions: ‘favorable intervention’, ‘neutral intervention’, ‘unfavorable intervention’, ‘back-channels’, ‘inadvertent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discourse analysis, the phenomenon of the intervention is found 418 total. Among them ‘favorable intervention’ is found 49.2%(206 times), ‘neutral intervention’: 19.1%(80 times out of 418), ‘back-channels’: 14%(59 times), ‘unfavorable intervention’: 11%(46 times),‘inadvertent intervention’:6.7%(27 times). Above all, the ‘favorable intervention’ performs the discourse function of‘commonness composition of discourser’, ‘with the increase of the speakers' intimacy’, ‘the demand of factual reconfirmation’, ‘the support of discourse topic’, ‘suggestion or recommendation’, among them ‘commonness composition of discourser’ is found the most of all as of 35.4%. Next, the ‘neutral intervention’ performs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consistency of self-talking’, ‘the exchange of correct information’, ‘the thinking or meditation’, ‘the confirmation of facts’, ‘the cliche of proposals', among them ‘the consistency of self-talking’ is found the most of all as of 45%. Finally, the ‘unfavorable intervention’ performs discourse function of ‘the refutation against the counterpart in the discourse’, ‘negation’, ‘sarcasm,‘suspicion or discredit’, among them ‘the refutation against the counterpart in the discourse’ is found the most of all as of 35.4%.

      • KCI등재

        濟州方言 談話標識 ‘계메’의 韻律的 特性과談話的 機能의 相關關係

        신우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4

        本考의 目的은 자유 발화를 토대로 제주방언 담화표지 ‘계메’의 韻律的 特性과 談話的 機能을 살피는 것이다. ‘계메’는 ‘불분명한 태도, 완곡한 부정, 강조, 시간 벌기, 발언권 가져오기’의 5가지 談話 機能으로 發話에서 實現된다. 不分明한 態度의 機能으로 나타나는 ‘계메’는 다른 機能들에 비해서 發話 位置와 음높이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特性을 보인다. 그리고 婉曲한 否定의 機能으로 나타나는 ‘계메’는 평균 發話 길이가 다른 4가지 機能들과 비교하면 중간 정도로 實現되며 주로 低調의 음높이 유형을 가지고 나타난다. 時間 벌기의 談話的 機能의 ‘계메’는 가장 긴 發話 길이를 지님과 동시에 後行하는 休止 區間을 갖는다. ‘強調, 發言權 가져오기’ 機能으로 실현되는 ‘계메’는 다른 機能들에 비해서 짧은 發話 길이를 가지며, 高調로 實現되어 유사한 韻律的 特性을 보인다. 하지만 ‘發言權 가져오기’의 機能을 할 때는 先行 發話와 겹쳐서 實現된다는 측면에서 ‘強調’의 기능과 구별된다. 즉 제주방언 담화표지 ‘계메’는 그 談話的 機能에 따라 韻律的 特性이 다르게 실현되며, 이는 談話的 機能과 韻律的 特性이 서로 相關關係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marker ‘-kjeme’ for its prosodic featur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s well 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these function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speech of 30 speakers of Jeju Korean and I also analyzed the marker’s prosodic features by using phonetic equipment and acoustic materials. After careful analyzation, I have sorted out five functions among various discourse-textual functions of ‘-kjeme’: uncertain manner, negative manner, hesitation, emphasis, and interruption of utterance. I found by looking at the function of negative manner, that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 is medial and mostly has low pitch when compared to the other four functions. When ‘-kjeme’ occurs through the function of delay, it has the longest average length of utterance and at the same time has a pause that follows. The function of emphasis and the interruption of utterance have a short length of utterance when compared to the other functions and also have similar prosodic features to each other. The interruption of utterance is different, however, from the function of emphasis in that the function of interruption of utterance is realized as an overlapping utterance. Consequently, prosodic features are important in the analyzation of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kjeme’.

      • KCI등재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일상 대화를 중심으로―

        오은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5

        Purpose: Classify the educational functional of the discourse marker ‘Ani’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Methods: The daily conversation data of Sejong corpus was selected, extracted using the Antconc program and analyzed based on function. In addition, The teaching status of the discourse maker ‘Ani’ wa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the meaning function for education was selec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The discourse marker ‘Ani’ was used mostly for ‘refutation’ purposes, followed by ‘further explanation’, ‘changing topics.’ The phrase ‘Geunde’ was the most often used together with the discourse marker ‘Ani.’ Analysis of the portmanteau showed that ‘Geunde’, was used for ‘changing topics’ while the portmanteau ‘Geunikka’ was used for ‘further explanation.’ Therefore, these words were taught to be used together. Out of the 12 textbooks analyzed, only 3 of them contained the discourse marker ‘Ani’ a single tim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function was presented using TOPIK’s grading criteria and levels 3, 4 were required to learn functions with high frequency while levels 5, 6, 5% lower. 목적: 말뭉치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기능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고자 한다. 방법: 세종 구어 말뭉치 중 일상 대화 데이터를 선정하여, Antconc 프로그램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능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였다. 결과: 담화표지 ‘아니’의 ‘반박’기능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부연설명’, ‘화제 전환’ 등이 뒤를 이었다. 담화표지 ‘아니’와 함께 사용된 연어로는 ‘근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어 표현별 자주 사용된 기능을 살펴본 결과, ‘근데’는 ‘화제 전환’, ‘그니까’는 ‘부연설명’ 기능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해당 연어 표현을 함께 교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교재분석에서는 12권의 교재 중 3권에서만 1회씩 담화표지 ‘아니’가 등장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OPIK의 등급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교육용 의미 기능을 제시하였는데, 3․4급은 빈도수가 높은 기능을, 5․6급은 5%이하로 나타난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담화분석과 신약성경해석 언어학적

        김두석(Doosu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이 가지는 신약성경 본문 해석의 유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주전 5세기에 인도 언어학자 파니니(Panini)가 언어학의 기초를 놓은 뒤 현대에 이르기까지 언어학적 해석방식은 텍스트의 의미를 고찰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성경해석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성경해석에 비평적 방식이 도입된 이후 여러 방법론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기이한 현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언어학적 해석방식인 담화분석의 일반적 개념과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을 소개한 후, 로마서 14:1-15:6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해석자의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인식에 의한 해석의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언어가 표현하는 세계 자체에 관심을 가지며, 데이터와 의미론의 시스템 아래에서 담화를 해석한다. 둘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 방식은 언어의 각 요소가 본문 안에서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적으로 창출하는 의미에 집중한다. 셋째,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문법의 사용과 기능, 구조와 문맥, 그리고 언어와 상황적 배경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결정한다. 따라서 체계기능언어학의 담화분석은 언어학적 이론과 실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으며, 구조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제공함으로 전체 메시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측면에서 성경본문 해석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discourse analysi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Since the Indian linguist Panini laid the foundation of linguistics in the fifth century BC, linguistic approaches have been deemed a critical way to interpret texts. Regretfully, however, biblical scholar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method. Considering various modern criticisms have been applied in biblical studies, it is an odd phenomenon. This paper, therefore, provides a general definition of discourse analysis a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hen applies to Rom 14:1-15:6 as a test case. Through thi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inimizes the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by readers’ subjective and intuitive understandings but pays attention to the world that the given discourse depicts and provides its meaning based on semantic system and linguistic data. Secon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cerns corporate meaning that each linguistic component of discourse creates integrally with other elements. Third,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uggests meaning through multi-layered relations such as language in use, context, the function of grammar, and context of situation. To conclud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discourse analysis may contribute to the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at it reflects linguistic theory and practices, provides a concrete method for structural analysis, and suggest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through semantic system.

      • KCI등재후보

        우리말 담화표지 '막' 고찰

        김영철(Kim Young-cheol)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8 No.-

        본고는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부사 '막'에 대한 특성과 함께 담화표지로서 담화 상에서 어떠한 담화기능을 담당하는가를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담화표지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부사로서 '막'의 특성과 함께 부사 '막'이 담화표지로서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담화표지가 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파악하여 보았다. 3장에서는 담화표지 '막'의 출현의 위치와 다른 담화표지와의 결합관계, 담화 상에서 다양한 담화기능에 대하여 파악하여 보았다. '막'의 담화기능 은'선 · 후행 발화의 경계표시 기능, 선행 발화를 보충 설명하는 기능, 청자의 주의를 요구하는 주의 집중 기능, 후행 발화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 벌기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부사의 기능을 가진 '막'은 의미적으로는 불필요한 요소이지만 실제적인 의사소통에 있어서 화자의 발화 목적이나 의도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필요한 언어형식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a characteristic of 'Mak' as an adverb and the function of it as a discourse mark in everyday Korean language. 'Mak' function as an adverb in sentence, also its faculty is changed its meaning and function by the intonation or situation. The discourse function of 'Mak', the discourse mark is various as a function to mark boundary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supplementation of precede conversation, an attention, in order to gain time" by the situation. 'Mak' is unnecessary in meaning of sentence, but it is a necessary linguistic form to communicate the purpose or intention of discourse to the listener with effective.

      • KCI등재

        우리말 담화표지 ‘인자’ 고찰

        김영철(Kim, Young-cheol)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본고는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부사 ‘인자’에 대한 특성과 함께 담화표지로서 담화 상에서 어떠한 담화기능을 담당하는가를 고찰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담화표지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부사로서 ‘인자’의 특성과 함께 부사 ‘인자’가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담화표지가 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파악하여 보았다. 3장에서는 담화표지 ‘인자’의 출현의 위치와 다른 담화표지와의 결합관계, 담화 상에서 다양한 담화기능에 대하여 파악하여 보았다. ‘인자’의 담화기능은 ‘선·후행 발화의 경계표시 기능, 선행 발화를 보충 설명하는 기능, 청자의 주의를 요구하는 주의 집중 기능, 후행 발화를 생각할 수 있는 시간 벌기’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사용 빈도수가 높은 ‘인자’는 의미적으로는 불필요한 요소이지만 실제적인 의사소통에 있어서 화자의 발화 목적이나 의도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필요한 언어형식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a characteristic of ‘Inca’ as an adverb and the function of it as a discourse mark in everyday Korean language. ‘Inca’ function as an adverb in sentence, also its faculty is changed its meaning and function by the intonation or situation. The discourse function of ‘Inca’, the discourse mark is various as a function to mark boundary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supplementation of precede conversation, an attention, in order to gain time" by the situation. ‘Inca’ is unnecessary in meaning of sentence, but it is a necessary linguistic form to communicate the purpose or intention of discourse to the listener with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