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 실제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성은,방은령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적 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 464명을 대상으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육실제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육실제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은 교사의 학력, 연수경험, 연령, 지도경험, 다문화유아 유무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실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교육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는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 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 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능력이 높았다. 둘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1단계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성향의 하위변인 중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및 수평적 집단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2단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세 하 위변인(일반기능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모두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 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 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 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이 유아교사의 다문화 특성을 설명하는 주 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orientation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seco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n that relationship.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e study. First, does the cultur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sks if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cultur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econd,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Vertic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collectivism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s sub-variables, general teaching efficacy, instruction teaching efficacy, and human relationship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th,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verifying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lso the research suggests that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can be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박인숙,김정신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최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교육을 둘러싼 주요쟁점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서구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사교육, 교육과정개발, 교수방법, 문화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세, 관점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민감한 영향력을 받는 시 기이다. 타인을 탐색하는데 인종, 민족성, 사회적 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편견과 고정관념은 이 후 유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매 우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다문화교육 실천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 해를 돕고 동시에 다문화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운영 및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다문화소양, 다 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 치는가?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 과를 미치는가? 연구수행을 위해 적용된 연구도구로서 다문화 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 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 중하는 정서적 준비상태로 Mitchell(2009)의 연구도구가 채택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nnett(2007)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설문지가 채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내용 지식과 교과교육지식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과 Wesche(2005)의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 를, 다문화교육 실천의지는 윤현숙(2008). 이명희, 홍순옥(2009)의 다문화교육 실천에 관한 설문지를 적 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 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실천의지 척도 25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와 교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갈등상황이 발생해 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지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이 다문화교 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 적 환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정서가 준비되면 교사가 다 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학습자료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클수록 다문화적 상황을 긍정적으 로 인정하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며 유아들에게도 적합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다문화교육의 실용성이 부각되고 있어 다문화 교육은 유아기부터 체계적 으로 실시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의지 및 자질을 확인하는 일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도출해낸 결론은 다름 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양을 고양시 키기 위한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는 결론이 본 연구에서도 밝혀졌듯이 교사들은 이를 위해 다문화상황을 인지하도록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견해에 대해 의식적으로 개방하며 타문화의 관점을 정확하게 인 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에 민감해야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수 업에서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자신의 학급을 보다 통합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 들에게 다문화소양과 교수의 실천의지를 육성하는 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게 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올바른 개념을 쌓음으로서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그들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태도는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사 는 유아를 문화적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문화를 민감하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이 이 를 학습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 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배경’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들 즉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육 실천의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시대에 요구 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인 이해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교 사교육과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jor issues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the mulcultural approach to, have been issuing. Especially, in West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35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For date collection 250 cop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al related variables scale were widely distributed targeting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offer basic data to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e teacher curriculum for pre-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ality become commonplac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ble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when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infa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sirable in order to confirm a commitment to multiculturalism, and the qualities of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di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fforts to promote litera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urns as teachers for multicultural situation trying to think of others and other open consciously or opin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ccurately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to the learner's background, and the recognition that this diversity can be questioned in the curriculum or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ir classroom to create a more integrated and professor of multicultural literacy to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to foster a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will need to perform.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imself will b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tantly tries to stud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s laying on their learning and life need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hird,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keenly aware of the different cultures,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ultural presence of the infant so that they can learn it effectively plan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practice and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you will need to create that can be one of the 'background' 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proposed variab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ese specific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수역량의 조절효과

        임명희 교육종합연구원 2020 교육종합연구 Vol.18 No.2

        한국은 국가 간 국제적 교류의 사회환경 변화로, 국제결혼 및 결혼이민자등 외국인 수 증가로 다문화가족이 확대되어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되었다. 이에 정부는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중앙 및 지자체가 실행 계획을 작성하여 추진하도록 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족의 확대로 어린이집 및 유치원을 이용하는 다문화가족 아동도 급증하였다 이에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다문화교수역량의 정도에 따른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다문화교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직경력, 연수경험, 지도경험에 따른 차이검증결과 경력별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른 다문화감수성, 연수경험에 따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 지도경험에 따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은 평균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역량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교수역량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아교사 다문화감수성 강화프로그램 개발, 체험 및 활동 중심의 다문화교육 연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등 방안 모색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다문화교수역량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에서는 지식, 기술 및 태도에 대한 단계적인 영역 및 내용을 구성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유아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역량강화 및 증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희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정서지능의 전반적인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고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과 대전․충청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교사 91명의 온라인 설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정서지능의 전반적인 수준은 모두 보통 이상이었으며, 각 영역의 하위변인 중 상호작용향유도, 인간관계 효능감, 타인정서인식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상호작용자신도, 수업기능 효능감, 자기정서조절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점수는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 중 다문화관련 수업 수강 경험과 연수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정서지능은 근무기관 내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이 다문화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differences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al background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also tested. The analysis results from online questionnaires taken by ninety-on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and Daejeon․Chungchung province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bove normal level. Among sub-variables, levels of interaction enjoyment, human relations efficacy, and awareness of other people’s emotion were higher than others, but levels of interaction confidence, class function efficacy,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lower than others. Second, the level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differed by multicultural class attendance and teacher training exper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ir institution. Lastly,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The study results presente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ain factor to promot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suggested way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

        서재복(Seo Jae-Bok),임명희(Im Myoung-He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이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에서 255부의 성실한 응답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북지역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다문화교수역량간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 절대 및 증분 적합도 지수는 χ2=91.157(p<.001), RMR은 .012 RMSEA는 .085, GFI는 .945, NFI는 .919, CFI는 .945 등으로 기준에 적합하였다. 셋째, 경로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을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 경로에서 총 효과가 .542로 p<.05 수준에서 의미가 있었으며, 직접효과는 .155(p<.001), 간접효과는 .388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이처럼 전북지역 유아교사가 지각한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역량에 미치는 총 효과는 .542로 직접효과 보다는 간접적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전북지역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은 다문화교수역량에 있어서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간접적인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문화교수효능감 하위요인인 일반생활, 수업 기능, 그리고 인간관계를 통한 효능감 향상을 위한 연수 및 지원 노력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sensitiv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th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The study was conducted on 300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and 255 sincere respons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th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teaching that are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of infant teachers, the absolute and incremental fitness index of the final research model χ2=91.157(p<.001),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was good at .012,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was good at .085, GFI(goodness-of-fit-index) was .945, NFI(normal fit index) was .919 and CFI(comparative fit index) was good at .945. Third, the analysis of the route relationship showed that the total effect was .542(p<.05) on the route carried by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ectivenes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the direct effect was .155(p).001), the indirect effects were at the level of .388(p<.05). As such, the total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volume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which is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is more indirect than the direct effect among the 5.54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had a high indirect effec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the volume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se results show the need for the general life and classroom function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infant teachers and it shows the need for training and support efforts to improve efficacy through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초등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따른 다문화 교수효능감 비교

        정동영(Chung Dong-young),강나혜(Kang Na-hy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119명과 일반교육 교사 83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조사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가장 중요시하는데,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인간관계 증진을 가장 중요시하나, 특수교육 교사보다 일반교육 교사가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으나, 일반교육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인식의 개방성과 존중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와 일반교육 교사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 공통점을 지니나, 일반교육 교사가 특수교육 교사보다 다문화 인식의 존중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인간관계 증진을 더욱 중요시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다문화 인식에 따라 이들의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elected 1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83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ed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respect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laced the highest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ut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of multicultural awareness, but the promotion of human relation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foun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openness and respectability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general education teachers value the respe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place more importance on promoting human relations i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에 문화성향,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유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수평적 집단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직적 개인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변인 중 문화차이 존중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고, 두 번째로 상호작용 주의도가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 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인간관계 교수효능감,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 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 성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11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collectivism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vertical individualism respectivel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sensitivity’s subvariables,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respectively. Third, early childhood prese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influenced multicultural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efficacy on interpersonal relations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on everyday situation and efficacy on instructional competency respectively. Fourth, multicultural sensitivity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Fifth,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has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s of multicultural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attitude. Such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정연주 ( Jeoung Yeon Joo ),신혜영 ( Shin Hye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탐색하고,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 유치원의 3-5세반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6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ayes(2017)가 제안한 model 4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은 5점 척도에서 모두 3.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은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은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공감과 경청, 반응과 기억 등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360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3-5 year old classe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ampl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data.. The model 4 research method by Hayes (2017)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somewhat higher than usua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both the overall and sub-factors.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a positive effect can be obtain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y raising the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 및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김미진,김혜진,손유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과 배경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밝히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83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은 배려중심의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문화감수성은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경력과 연령, 학력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은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 중에서 배려중심 관점과 사회적 행동 관점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