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과 상호문화역량에 관한 연구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cultural cultural competence and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cultural competen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multiculturalism had a significant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group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 the will to practice sustainable life-related lifesty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cultur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to cultivate intercultural capacity for pre-primary teachers. Groups with a high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mutual reflection among intercultural competencies, and those who supported sustainable development had significantly higher mutual respect among intercultural competenc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mutual conflict management, mutual communication, mutual respect and mutual reflection among sub-factors of cross-cultur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The group with high sustainable development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areas such as mutual conflict management, mutual respect, mutual communication, and mutual refle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were closely related. In the future,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able to cultivate intercultural capacity,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과 상호문화역량을 조사하여 지속가능발전과 상호문화역량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의지, 상호문화역량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군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지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군은 지속가능한 삶 관련 생활양식 실천의지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다문화교육 여부에 따른 상호문화역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속가능발전 이해 정도가 높은 군은 상호문화역량 중 상호 성찰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지속가능발전을 지지하는 군은 상호문화역량 중 상호 존중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지속가능발전 및 상호문화역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문화역량의 하위요인 중 상호 갈등관리, 상호 의사소통, 상호 존중과 상호 성찰은 지속가능발전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지속가능발전 수준이 높은 군은 다른 군에 비해 상호 갈등관리, 상호 존중, 상호 의사소통, 상호 성찰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속가능발전과 상호문화역량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과제

        정기섭(Chung Ki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이 연구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념에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살펴보면서 다문화교육 논의 및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배경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회적 차원을 주제로 한 연구가 거의 없고, 다문화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논의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성을 실천적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과정을 규제하는 이념으로 파악하고, 지속가능성의 한 부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틀 에서 다문화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구가 현상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가짐으로써 방향을 상실한 채 그때그때의 땜질식 처방을 하는 것은 아닌지에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교육 논의에서 사회통합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구성원 모두의 능력습득을 요구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하는 능력에는 사회적 결속과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능력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 의 물질적 욕구를 스스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도 포함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debate and research by examining the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idea of social sustainability. The background i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ocial dimension in th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vie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iscuss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is study first identifies sustainability as idea that regulates the proc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s social sustainability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is study denn defines in the framework of social sustainability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s concerned only with phenomenal problems, so that it will lose its direction and make a tinkering prescription at that time. Second, in the debate on multicultural education, soci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of all members to adapt to changing society. Third, the ability to acquire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rocure the material demands of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성 동향 분석

        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1

        Recently,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have been emerging, but many people in the education field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s, causing confusion in their field appl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concepts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s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lthough the concepts of ME, GCED, and ESD each have differences in their starting and stressed points, the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 common goal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o cultivate members of a fair and sustainable society in preparation for an uncertain future, confirming the need for mutual convergence. First, the concept of ME, a region-centered approach, is expanding to GCED in an era where complex global issues are emerging, and in light of the times, it was suggested that combining ME with GCED would result in synergy.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achieve true sustainable development, a leap from environment-centered ESD must be accompanied by ME (or GCED). Convergence education of ME (or GCED) and ESD reflected in curriculum can develop students into global citizens and ultimately achieve true sustainable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conclusion, ME is an essential content that GCED and ESD have as a common denominator, and needs to be expanded into GCED to meet the needs of the globalization era. If GCED is implemented to reflect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ESD. In the future, if an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that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is implemented in schools, we will be able to develop students into members of a sustainable and fair society, that is, global citizens, and ultimately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최근 다문화교육(ME), 세계시민교육(GCED),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으나 교육계 종사자 다수가 그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해 현장 적용에 혼선을 겪고 있다. 이에최신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위 개념의 관계성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ME, GCED, ESD의 개념은 각각 그 시발점과 강조점에는 차이가 있으나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여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구성원을 양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관점에서 공통된 목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호 융합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지역 중심 접근이이뤄졌던 ME은 복잡한 글로벌 이슈가 대두되는 시대적 상황을 맞아 GCED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있으며 GCED와 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시너지를 얻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었다. 또한 진정한 지속가능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환경 중심의 ESD에서 도약하여 ME(또는 GCED)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이강조되고 있었다. ME(또는 GCED)과 ESD의 융합적 교육은 교육과정에 반영됨으로써 학생들을 세계시민으로 성장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진정한 지속가능발전을 이룰 수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ME은 GCED 및 ESD가 공통분모로 담고 있는 필수조건으로 세계화 시대의요구를 담아 GCED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GCED가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을 반영하여 시행된다면결국 ESD로 기여할 것이다. 향후 이런 관계성을 이해한 융합적 교육 접근이 학교 현장에서 이뤄진다면우리는 학생들을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사회의 구성원, 즉 세계시민으로 성장시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적용 방안 연구

        김아영,차우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3

        As the school curriculum changes, the topic of cross-curricular have also changed. In this paper, we analyzed how the topic of cross-curricular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In addition, the relevance of continuing cross-curricular topics to moral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as sketched, and found a way to apply the topic of cross-curricular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the function of integrating social values and curricular valu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mbracing and systematizing the topic of cross-curricular learning related to value education. 학교 교육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교육과정 상 요구하는 범교과 학습 주제 또한 변화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범교과 학습 주제가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범교과 학습 주제로 선정되는 주제들과 도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 교육과정 내의 가치를 통합하고 사회적 가치를 통합하는 기능을 하는 도덕과 교육과정은 ‘가치교육’과 관련된 범교과 학습 주제를 포용하고 체계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손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beral music education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crete program, and examin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instructor's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viewpoint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ight types of global citizens that have been recently distinguished by academia are summarized. Eight global citizenships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a cosmopolita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econd is a advocacy global citizenship. The first includes moral global citizenship, political global citizenship, economic global citizenship, and cultural global citizenship, while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and spiritual global citizenshp. Based upon this typolog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sof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cultural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this research developed two liberal courses, <Understanding of World Music> and <Understanding Word through Soundscape>. In <Understanding World Music>, I tried to have an idiomatic sensitivity to the difference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I tried to accept other cultures as dynamic subject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stagnant others to cultivate cultural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Understanding of Word through Soundscape>, I tried to expand the scope of music and derive environmental awareness by bringing the sounds of the environment into the theme, believing that social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through critical studing of soundscap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estimate that liberal music education can play its role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was mo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develop liberal music education into a behavior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urther research on more sophisticated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s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시하였으며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교수자의 세계시민에 대한 개념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입장을 점검하기 위해서 최근 학계에서 구분하는 여덟 가지 유형의 세계시민을 정리하였다. 여덟 가지 세계시민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이며 두 번째는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이다.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에 속하는 세계시민은 도덕적 세계시민, 정치적 세계시민, 경제적 세계시민, 문화적 세계시민이 있으며,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에는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 그리고 영적 세계시민이 있다. 이를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은 온건한 세계시민교육과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열 세 항목에 따라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문화적 세계시민,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그리고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에 주목하였으며 교과목 <월드뮤직의 이해>와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를 개발 및 실시하여 성찰하였다. <월드뮤직의 이해>에서는 다양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다름에 대한 관용적인 감성을 갖추고자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타문화를 정체된 타자로 인식하지 않고 역동적인 주체로 받아들이려 하였다. 문화적 세계시민과 비판적 세계시민을 함양하기 위해서이다.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에서는 환경의 소리를 주제로 가져오면서 청각의 확장을 도모하였으며 환경적 인식을 도출하려 하였다. 이는 사회적 세계시민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을 배양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이다. 연구의 결과로 교양 음악교육이 세계시민교육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교과목 설계 및 시행을 통하여 가늠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영역은 물론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예술교육의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교양 음악교육이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 교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