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관 전시공간 내 뉴 미디어의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단경 ( Danqiong Liu ),유정 ( Ting Liu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여러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는‘미디어 컨버전스'의 시대로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이른바 뉴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전시공간에서도 융합형태의 미디어들을 활용한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여러 가지 미디어들이 융합된 뉴 미디어를 통해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고, 상호교류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뉴 미디어는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끌어들여 공간의 현장감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면서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공간과 교류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시공간에 있어 뉴 미디어 활용에 따른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 뉴 미디어 활용 전시공간의 발전 추세를 파악하여 향후 새롭게 출현할 전시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위치한 2010년 이후에 개관된 뉴 미디어 미술관 5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뉴 미디어의 개념 및 유형,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그 후 전시 공간의 체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조사 대상에 대해 분석 요소로 도출된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의 표현특성에 따라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전시공간을 적용한 뉴 미디어기술의 체험은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적용된 표현 특성은 감각자극성과 상호작용성 이었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조명, 색채, 그래픽, 사운드, 3D 투영, 비디오 영상, LED 디스플레이, 2차원 그래픽과 문자 등을 3차원 4차원의 입체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사람들의 시각과 청각, 촉각을 자극하고 있었다.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 체험적 특성 중에서 다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사례에서 색채, 조명,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등 다양한 뉴 미디어 기술을 사용 하였으나, 대부분의 전시관에서는 관람자에게 풍부한 체험 동선과 다양한 주제의 전시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관람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체험동선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결론) 대부분의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뉴 미디어의 활용은 아직 완벽한 구현의 단계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단순한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의 발전 방향에 있어 공간과 관람자 간의 쌍방향 인터랙션을 강화하는 방안이 더 확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 전시공간은 작품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보다 공간의 형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전시 공간 속에서 더욱 다양한 체험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뉴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융합을 통한 새로운 미래 전시 공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 which various media are fused, the space utilizing fusion media emerging in the exhibition spa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exhibition space creates a new environment through integration and exchange with various media. New media, in particular, encourage people’s curiosity and interest, maximize their sense of space, and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 understand the development trend of new media using exhibition space, and provide basic data about future exhibition space.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ive media museums newly opened in Seoul since 2010.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new media and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were summariz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 precedent study was then conducted to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inally,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ressiveness of sensory stimuli, interactivity, diversity, and complexity derived from the analytic element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were classified according into four: sensory stimulation, interaction, diversity, and complexity. The most frequently used expressive traits were sensory stimulation with interactions. In most cases, 3D stereoscopic animations stimulate people’s sight, hearing, and tactile sense of light, color, graphics, sound, 3D projection, video images, LED displays, 2D graphics, and text. Diversity is the lowest among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In all cases, a variety of new media technologies were used, such as color, lighting, graphics, animation, and sound. However, most exhibitions do not provide visito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 circles and exhibitions on a variety of topics, so they cannot help. (Conclusions) The use of new media in most museum exhibits has not yet reached completion, and there is a much simpler one-sided approach than interactive methods. Therefore, in the future, we will find a way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spectators in museums development. .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ll be able to host more diverse experiences in the exhibition space by diversifying the forms of space available through a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be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leading to a new exhibition space.

      • KCI등재

        휴대 전화 전자파를 이용한 뉴 미디어아트 연구

        이수진(Lee, Su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뉴 미디어 아트(New Media Art)란 무엇인가? 이제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이지만 정의내리기 간단하지 않다. 뉴미디어의 예술적 개념은 미적으로 접근할 때 다다 예술 운동이 시작된 2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이다. 미디어는 대상의 정보나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매개이다. 따라서 뉴 미디어아트는 시대변화에 따라 언제나 새롭게 탄생한다. 지금 21세기의 뉴 미디어아트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식이 있다. 우리는 뉴 미디어아트(New Media Art)를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컴퓨터 아트(Computer Art)”, “멀티미디어 아트(Multimedia Art)” 그리고 “인터랙티브아트(Interactive Art)”로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 미디어 아트를 한 장르에 국한하지 않은, 작품 “EMF Efx”를 통해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 문제와 기술 방법을 고찰한다. 문화와 사회 문제 그리고 미학과 관련하는 미디어 아트는 새로움을 반영하는 미디어 기술 기반의 예술 작품 세계라고 할 수 있다. 기술의 발달로 작가의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해 졌다. 따라서 뉴 미디어 아트를 작품과 물리적인 상호 작용(interaction)을 경험하는 것은 뉴 미디어아트의 일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F Efx”를 통해 뉴 미디어아트가 기술 기반으로 표현 양식의 영역을 넓히고 작품과 상호 작용(Interactive Art)함으로서 예술이 작품을 통해 무엇을 표상하는지 고찰한다. 또한 작품이 관람자와 직접 소통하게 될 때, 관람자의 감상 태도와 경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논한다. “뉴 미디어의 문화적 뉴 미디어는 기술적 발전이 낳은 전혀 새로운 미디어라기보다는 그것을 새로운 것으로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실천들과 정치경제적 관계들 속에서 뉴미디어로 지칭” 하기 때문이다. What is new media art? It is not simple to define the word that is familiar to us. For artistic aesthetic approach to the concept of new media, it has begun to the 20th century Dada art movement. We define a media is to store and deliver information or data1) and which are used to represent the Object through media. Thus, the definition of new media art is always updated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Now, 21st century, new media art is based on the computing system which are a variety of ways to represent the Object. We are classified new media art such as "digital art", "computer art", "multi-media art" and "interactive art". In this paper, we study media art reflect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rough analysis of the work of “EMF Efx”. Media art can be called the world of a work of art which reflects its culture and 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aesthetics in state of art. As developing technology, the works of arts are possible to be expressed to diverse ways in state of the art. Interactive art of new media art that is possible to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computing system(machine, device etc..) and human. In this paper, we study the media art represent what kinds of subject is and how it works by it using technology-oriented. Also “EMF Efx” shows that is expanding the area of technology-based new media art form.. We discuss that how it works to communicate directly between the spectators and artworks via interactions and how the spectators have the attitude and experience. "New media of culture is just not because new media but because creating new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Also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make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at has produced a whole new media.

      • KCI등재

        뉴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치료의 표현과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주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현대 예술치료는 뉴 미디어를 저장, 기록의 소극적 수단이 아닌 적극적 치료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뉴 미디어와 가상환경은 기존 예술매체의 경우와는 다른 정서적, 감각적 성격을 발생시킨다. 본고는 뉴 미디어의 미학적 경험과 표현의 특성을 통해 예술 치료적 활용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뉴 미디어의 표현은 비물질적인 과정과 시스템을 다루는 것으로써, 관람자는 참여자로서 창작에 관여하며, 총체감각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 때 미디어와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은 독특한 정서적 효과들을 생산하게 된다. 뉴 미디어의 예술행위는 가상공간에서 비물질적인 과정으로 존재하며 사용자의 얕은 감정적 거리와 깊은 투사라는 양가적인 정서적 효과를 생산한다. 예술치료에 사용되는 뉴 미디어는 자아 반영과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가상의 표현 환경을 제공하며, 몰입적 정서 경험으로 소통과 표현을 증가시킨다. 뉴 미디어는 예술치료과정에서 다양한 예술 형식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원적인 수행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특성과 증상에 따라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뉴 미디어의 사용 범위와 방향을 설정하고 유도할 필요가 있다. In modern art therapy, new media are not restricted to passive means of recording and storage but serve as active and virtual therapeutic tools which generate novel emotional and sensual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xisting art medi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art therapeutic applica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expressions of new media. Since new media present processes and systems in dematerialized fashions, spectators become participants involved in creation and obtain holistic sensory experiences. This type of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participants produces unique emotional effects. In particular, new media in art therapy provide virtual environments where one can safely express, reflect, and reconstruct one’s own ego; therefore, immersive 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increase. Moreover, artistic acts in new media exist as dematerialized process in virtual space, bringing about an ambivalent emotional state, namely shallow emotional distance and deep projection. As such, new media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forms of art for multiple therapeutic purposes. Therefore, therapist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their clients and determine specific functions and directions of new media use.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 예술의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기법을 중심으로 -

        박세령,이재령,권태정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현대 공연에서 뉴 미디어의 출현으로 공연 예술의 환경 또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그 표현 방법까지 다양해져 ‘기본 원칙이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김형기, 2014) 뉴 미디어 예술의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표현방법에 따라 진화해 온 공연의 역사에서 뉴 미디어의 활용은 지금의 공연 문화는 물론 미래의 공연 문화까지도 주도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뉴 미디어의 기술을 활용한 공연 예술의 표현방법은 그 대중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우선적으로 정형화되고 싶지 않은 예술의 분야와 정형화되기를 원하는 IT기술 분야 간의 충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기술 간의 이해가 부족하고 그 기술 간의 융합 모델도 많지 않으며 각 기술 간의 융합적인 시도와 그 구체적인 사례연구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학습으로 뉴 미디어의 개념과 공연 예술에 표현된 뉴 미디어의 활용사례를 연구하고 뉴 미디어의 한 분야라 할 수 있는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연 예술 표현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제안의 내용으로는 첫째 공연의 구체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둘째 그 모델의 구현 방법에 관해 이론적으로 설명하며, 셋째 그 모델로 구현된 공연의 활용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특히 활용방법에서는 본 저자가 직접 기획하고 연출한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리얼타임 애니매이션 기법을 이용한 구체적인 공연 모델을 소개하고 향 후 활용 계획을 이야기 한다.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in contemporary performances, the environment of performing arts has also changed a lot. The new media arts have come to the age when ‘the basic principles need to be newly defined' (Kim, 2014). The use of new media in the history of performances that have evolved according to the way of expression is predominantly predicted that it will lead not only the present performance culture but also future performance culture. Nevertheless, the way of expressing the performing arts using the new media technology has not been popularized.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nflict between the field of art that does not want to be stereotyped first and the field of IT technology that wants to be stereotyped. The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technologies and the lack of convergence models among the technologies make it difficult to integrate each technology and its specific case stud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of expressing new performing arts based on real - time animation technique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field of new media by studying the concept of new media and the use cases of new media expressed in performing arts by prior learning I want to. The contents of the proposal are to present a concrete model of the first performance, secondly to explain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the model theoretically, and thirdly to talk about how to use the performance implemented in the model. In particular, we will introduce concrete performance models using real-time animation techniques, focusing on performances produced and directed by the author, and discuss future plans for use.

      • KCI등재

        뉴 미디어 광고 연구의 동향과 전망

        이홍일,박철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1 마케팅관리연구 Vol.16 No.2

        This study analyzed trends, patterns, and methods of new media advertising researches based on published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fine a pattern of increasing new media advertising research, usage variables, theories and methodologies. The new media advertising researches could be sorted into advertisement communication, marketing and IS field. Especially, the IS field are studied more in domestic. The pattern of new media advertising studies started from explanatory research, medium effectiveness, consumer perception, consumer response, and comparative study of nations and medias. Also, used theories are more for users aspect lik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UGT), innovation diffusion theory(DIT), cognitive dissonance theory (CLT), and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The most using variables are types of brand, products and media and its features, consumer tendency variables and related to message characteristics. The most authors used to quantitative approach including experiment and survey conduct empirical studies in new media advertising. Also the pattern of methodology is similar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Finally, it need to develop theory of new media for integrate of diverse media theories and appropriate for new type of media include from traditional acceptance theory of media to current.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 되어있는 뉴 미디어 광고 연구 분야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들의 유형과 특성을 정리 하여 전반적인 연구의 흐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들을 분석하고자 5가지 측면 (연구분야, 연구흐름, 사용이론, 사용변수, 방법론)측면에서 그 특성을 분석 하였다. 뉴 미디어 광고에 대한 연구들을 광고커뮤니케이션, 마케팅, IS 분야로 구분해 본 결과, IS분야의 연구는 해외 연구보다는 국내 연구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뉴 미디어 광고 연구 분야의 연구흐름은 탐색연구, 매체효과연구, 소비자 지각연구, 소비자 반응연구, 비교연구(매체별, 국가별) 순으로 진행된 특성을 보였다. 사용이론으로는 이용과 충족이론(UGT), 혁신확산이론(DIT), 인지 부조화 이론(CLT), 합리적 행동이론(TRA)등의 수용자 측면의 이론을 주로 사용되었다. 사용변수로는 브랜드, 제품, 미디어의 특성과 유형 등의 특질과 소비자 성향관련 변수군 그리고 메시지의 특징과 같은 변수들이 사용되었다. 방법론 측면으로는 실험연구와 서베이 연구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국내외 연구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뉴 미디어 광고 분야의 이론적 발전을 위해 전통적인 미디어 수용이론에서 부터 현재까지 적용된 다양한 이론들을 종합하고 뉴 미디어 광고 형태에 적합한 미디어 이론의 개발과 다양한 미디어 이론들을 종합하고 통합적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미디어 이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를 통해 본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and city through the case of new media art based on locative media which raises important media betwee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Locative media which is embodied in combination of specific site and data space reconstitute human experience in modern city and demand the redefinition of urbanity.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art which reinterpret feature of locative media in the field of artistic experimen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meaning of technological, esthetic change can be understand in the urban context. The greater part of locative media art is planned in the specific urban context, reinvent real place and virtual data space as community through the interactivity with participants. To analyse urban meaning of locative media practice, I research emergence of urban community mediated by locative media and site-specificity of locative media art. And I present the geography of topological cit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opographical peculiarity of new city is confirmed by the concept of ‘overexposed city’ which is defined by Paul Virilio. He focused on ‘cinecitta’ as prototype of overexposed city. This concept plays a crucial role in being able to recontextualization feature of new media which is represented by locative media relation to urban space. In this point of view, the term of 'media city' has not only meaning of city mediated by media technology but also possibility of considering city as media. As a result, relationship between city and media through the case of locative media art is not simple combination of individual sphere but in complementary relations in media hi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중요한 미디어로 대두된 위치기반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뉴 미디어 아트 사례 분석을 통해 뉴 미디어와 도시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특정한 장소와 데이터 공간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는 위치기반 미디어는 현대 도시에서의 인간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도시성 자체에 대한 재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의 특징을 예술적 실험의 영역에서 재해석하는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는 뉴 미디어 시대의 기술적, 미학적 패러다임 변화의 의미를 도시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대부분은 구체적인 도시 공간의 맥락에서 기획되어 현실의 장소와 가상의 데이터 공간을 참여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의 영역으로 재창조한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 미디어 실천의 도시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위치기반 미디어에 의해 매개된 도시 공동체의 출현과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장소 특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위상학적 도시의 지형도를 제시했다. 새로운 도시의 지형학적 특성은 폴 비릴리오에 의해 정의된 바 있는 ‘과잉노출의 도시’ 개념을 통해 확인했다. 그는 과잉노출 도시의 원형으로서 ‘영화도시’에 주목했다. 이 개념은 공공 공간에서 위치기반 미디어 기술을 통해 재현되고 있는 뉴 미디어의 특성을 도시 공간과의 관계성으로 재맥락화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시티’등의 용어는 매체기술에 의해 매개된 도시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도시 자체를 미디어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의 의미임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위치기반 미디어 아트의 실천을 통해 본 도시와 미디어의 관계는 개별적 영역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매체사적으로 밀접한 상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제3의 구술성 :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이동후(Dong-Hoo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0 언론정보연구 Vol.47 No.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발달은 단선적인 발전의 역사라기보다는, 미디어 간의 관계가 보다 복잡해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형성하는 진화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구술은 가장 오래된 커뮤니케이션 형식으로서, 뉴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대체되거나 부정되는 대신 지속적으로 ‘잔존’하거나 변화해 왔다. 이 글은 월터옹(Walter Ong)의 구술성, 문자성, 제2의 구술성 개념 등을 기반으로 웹 2.0 시대‘뉴 뉴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특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멀티미디어성, 상호 작용적 연결성, 이용자가 생산한 마이크로 콘텐츠 등에 기초한 ‘뉴 뉴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은 제1의 구술성과 문자성 그리고 제2의 구술성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이들보다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 글은‘뉴 뉴미디어’ 시대에 ‘말’이 현존하는 방식을 제3의 구술성의 개념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 뉴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말의 매개 방식, 감각 체계, 텍스트성, 시간성, ‘나와 너’의 현존성, 상호 작용의 방식 등을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뉴 뉴미디어 이용자가 다양한 말의 형태를 다루고 읽고 저작할 수 있게 되면서 갖게 되는 소위 ‘트랜스 리터러시(transliteracy)’라는 미디어 이용 양식의 흔성적 성격을 주목해 보았다. The historical progression of communication media is not a unilinear but a compound evolutionary process whe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dia ha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spoken word, as the oldest form of communication, has continued to exist as a 'residue' or to transform, rather than to be replaced by the advent of new media.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new new media' communication in the age of Web 2.0 through the notions of Walter Ong's primary orality, literacy, and the secondary orality. The communication modes of 'new new media,' based on multimedia, interactive connectivity, and the user-generated micro-contents, can be construed as an extension of primary orality, literacy, and the secondary orality -with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makes an effort to explore the modes of the presence of the word through the notion of' tertiary orality.' For this exploration, it examines the forms of words mediated via 'new new media,' the sensory system, textuality, temporality, the I-you relationship, and interactivity, in relation to the existent communication modes. In addition, it focuses on the hybridized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via 'new new media', through which users move across media and become transliterate.

      • KCI등재

        2012년 대통령선거와 뉴 미디어의 정치적 영향

        이준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4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6 No.1

        이 논문에서는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뉴 미디어의 정치적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이 연구는 먼저 뉴 미디어와 올드 미디어의 제반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한다. 그 다음으로 이 논문은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뉴 미디어의 동원효과를 가설로 삼아 통계적 분석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뉴 미디어의 진보적 성향을 가설로 삼아 통계적 분석을 시도한다. 연구결과 TV 시청 등 올드 미디어를 통해서 후보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유권자와 뉴 미디어로 후보와 관련된 정보를 의존하는 유권자 사이에는 서로 차이가 큰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뉴 미디어의 동원효과는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나 뉴미디어의 진보적 성향은 입증되었다. This essay ascertains the political effects of new media that had o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oters who used the old media (TV) and the new media (internet, twitter. ect), respectively. Then, this study compares the impacts of various mass media on voter turnout and vote choic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very different voters appear to have used the old media and the new media to get election information during the 2012 campaign. In addition, the new media seem to have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voter participation, but the new media turn out to have had negative impacts on the conservative candidate.

      • KCI등재

        투명 재질의 특성에 따라 혼합 재구성한 뉴 미디어아트 사례 연구

        이시아,김형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다양한 사례 분석과 뉴 미디어아트에서 투명 재질을 활용하여제작된 예술작품에 대한 연구에 있다. 또한, 투명 재질과 뉴 미디어아트 기술이 응용되어 전통 예술을 뛰어넘는 재구성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논문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뉴 미디어아트의 투명 재질 응용, 뉴 미디어아트의 혼합과 재구성 형식의 투명 재질 응용, 뉴 미디어아트의 투명 재질 혼합과 재구성의 개념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또한, 투명 재질의 응용 사례분석을 통해 그 내적 특성과 법칙을 표현대상을 통해 분류하여 분석한다. 특히, 예술가들이 전통예술 형식과 비디오 설치, 인터랙티브 아트 등과의 융합을 하여 장르의 발전에 의해 나타난 전통예술의 표현과 미적 감각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예술 창작에서 유리, 물, 광학 기기, 스모그 유체 등으로 대표되는 투명 재질은 시각과 공간적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독특한 미적 감각을 표현하고 있다. 투명 재질은 뉴 미디어 아트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풍부하고 개성 있는 연출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뉴 미디어아트에서 투명 재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혼용과 재구성은 공간 예술의 상황을 구성하였다. 심오한 예술적 감정 표현을 통해관객에게 깊은 사색이 가능한 예술적 경험이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이 연구결과는 뉴 미디어아트에따른 투명 재질의 구현으로 표현된 허상 이미지, 인터랙션 체험의 새로운 특징을 요약함으로써 각종시각효과를 구축하고 관람객에게 다각도, 다차원의 체험을 제공하며 미래 뉴 미디어아트와 투명매질예술 창작에 방향성 있는 미학의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뉴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스 브랜딩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연구 -구글과 네이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위의전,김성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is creating the more multidimensional environment over time. This new media environment has also actively changed the role of consumers. Also, such changes have had the major impacts on the corporate branding activ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rans-branding as a brand marketing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trategy for using trans-branding in a new media environment. First, I studied about new media environment, trans-branding, and storytelling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the brand storytelling requires the storytelling strategy consisting of the Story, the Tell and the Ing. In this study, I compared Google (the top brand in the world) and Naver (the top brand in Korea) using media based on such a brand storytelling. These two companies have the common features of maintaining the brand messages consistently and providing the services by recognizing users as collaborators. However, while Google is actively leveraging new media to provid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Naver is somewhat lacking in this respect. So when I look at the results based on the market share, Google took the top share in the world. This high share of Google seems to be due to the following trans-brand storytelling strategy. In other words, such a high share of Google seems to be because Google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brand story, but also actively utilizes the new media and provides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현대의 뉴 미디어 환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더욱다차원적인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소비자의 역할은 과거와 다르게 능동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브랜드 또한 보다 복합적인 경험 제공이 요구된다. 이에 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서 다양한 뉴미디어를 활용한 트랜스 브랜딩과 적절한 스토리텔링구성 방안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뉴 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스 브랜딩 스토리텔링 활용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일차적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뉴미디어 환경, 트랜스 브랜딩, 스토리텔링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트랜스브랜딩 스토리텔링 전략 요소로서 Story(메시지), Tell(전달 방식), Ing(인터랙션) 및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사례분석 시 뉴미디어 환경이라는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는 브랜드 분야 중에서도 검색 엔진 브랜드를 택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세계 1위 브랜드인 구글과 국내 1위 브랜드인 네이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는 브랜드 메시지를 일관적으로 유지한다는 점과 사용자를 협력자로서 인지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통점을 살펴볼수 있었다. 그러나 구글은 뉴 미디어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과 이로 인해 다차원적인 경험을 제공하는데 비해 네이버는 이러한 점이 다소 부족하다는 차이점이나타났다. 따라서 점유율을 기준으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세계 1위 점유율의 구글과 같이, 뉴 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스 브랜딩 스토리텔링 전략의 경우브랜드의 스토리를 일관적으로 유지하되 뉴미디어의적극 활용과 다차원적인 경험 제공이 성공 요인으로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