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4세기 고려말(高麗末), 조선초(朝鮮初) 농업기술 발달의 추이 -수도(水稻) 경작법(耕作法)을 중심으로-

        염정섭 한국농업사학회 2007 농업사연구 Vol.6 No.1

        15세기 초반 태종대에 만들어진 농서로 현재 『農書輯要』가 남아 있다. 이 농서는 元代의 農書인 『農桑輯要』를 抄錄하고 吏讀를 붙여 간행한 것이었다. 간행연대가 아직 불확실하지만 15세기 초반 태종대로 추정된다. 고려말 합천에서 復刊된 『農桑輯要』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후에도 계속 주요한 참고 농서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조선왕조의 農政策을 수행하는 데 참고서적으로 인용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의 농업현실에 맞는 農書를 편찬하는 데 底本으로 이용되었다. 이행과 곽존중이 맡아서 편찬한 《농서집요》는 중국 華北지방의 특성에 맞추어 엮어진 농업기술서인 《농상집요》의 내용 전부를 초록하여 번역한 것은 아니었다. 《농상집요》의 일부만 발췌하였을 뿐 아니라 抄錄할 부분을 선택하고 본국 俚語로 번역하면서 《농상집요》의 내용순서가 《농서집요》에서 달라지기도 하였다. 『농서집요』의 농업기술로 먼저 벼 耕種法을 살펴보았다. 이때 『농서집요』의 벼 경종법을 回換農法이라고 규정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休閑法과 移秧法이 같이 수행되고 있다는 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15세기에 편찬된 농사직설 에 정리된 벼 재배법이 水耕 直播法 중심의 連作法인 것을 감안한다면, 14세기 무렵 한국의 농업기술 발달 가운데 특히 벼 재배법은 休閑法에서 連作法으로, 그리고 直播法에서 移秧法으로 농업기술의 발달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This essay aim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farming techniques in paddy-field farming during the 14th century. At first we research the method of rice farming by way of examine Nongseojipyo(農書輯要). Nongseojipyo is the first agricultural manual in Korean history. It gathered farming technology which had used during that times by peasants, and it named as Essentials of Farming Manuals(Nongseojipyo : 農書輯要), and it had published since 1409. First of all this manual`s publishers extracted some portions of Essentials of Farming and Sericulture (Nongsangjipyo : 農桑輯要), the China`s old agricultural manuals, and therefore translated it in consideration of native farming method. In 1429 Straight Talk on Farming(Nongsajiksol : 農事直說) was compiled by Jeong Cho(鄭招) and Byen Hyomun(卞孝文) under Sejong(世宗). This was designed to meet the specific conditions of Korean natural feature. We inquire into wet-field cultivation method(水田農法). In Nongseojipyo(農書輯要) the general method of plowing and seeding(耕種法) was two ways. The one is two or three field system, the other is rice transplantation method. In wet-rice cultivation method of 15th century, due to three method in Nongsa Chiksol, the principal method was the direct sowing of wet-tilled fields. Farmers irrigated wet-fields or gathered rainfall, and then tilled with plough. Beforehand the seed was soaked to pregerminate it. The second method was the direct sowing of dry-tilled fields. In case they had suffered from spring drought, they could have adapted to rice cultivation. The technic of transplant rice seedling was the third. The government of Chosun Dynasty constructed many dams(堤堰) and bo(洑) for irrig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water supply establishment had been increased in 15th and 16th century. In this point we can find the development of farming method.

      • KCI등재

        조선시대 農書 어휘 연구

        이광호,조정아 우리말학회 2003 우리말연구 Vol.13 No.-

        농서는 국어학 자료로서 상당히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음운 분석을 통한, 부분적인 논의만 있었을 뿐이지, 전반적인 검토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리고 현전 농서 전체를 검토하기 보다는 일부 농서에 대한 부분적인 검토가 이루어졌었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농서 전반에 걸친 국어학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농서에 대한 본격적이고 전반적인 논의에 앞서, 농서에 나타난 표기법적 특성과, 어휘의 교체와 대응이라는 부분을 우선 검토하였다. 농서에만 나타나는 어휘 표기 특성과, 해당 어휘의 교체 및 대응이라는 논의 속에서, 앞으로의 어휘 분석의 기초를 마련하는 작업인 셈이다. 본고에 이어서 앞으로의 논의는, 어휘의 변화나 난해 어휘 분석으로 나타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농서(農書)의 전통과 <농가월령가>의 구성 전략

        권정은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onstitutional features of NongGa-WolRyongGa(農家月令歌) among the developing process of Nongseo(農書) Which is a agricultural technology book. NongGa-WolRyongGa(NongGa) consists of agricultural affairs and customs based on WolRyong and this works boasts of the meticulous information about the agricultural various farming job, for which sometimes NongGa was categorized as a kind of Nongseo.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lots of Nongseo. For example, Nongsagikseol(農事直說), Geumyangjabrok(衿陽雜錄) in 15c and Saekgyoung(穡經), Nongsajibseong(農家集成) in 17c prove interest about agriculture. Through the 18~19c, Sanrimkyounjea(山林經濟) Kwanongsocho(課農小抄) Nongjeonghyaeyo (農政會要) Imwongyoungjaeji(林園經濟志) are famous for its massive information and detail. NongGa was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Nongseo in 19c. But at the same time, the form of WolRyongche originally heads for clear categorize in order of time of a year. To solve out that kinds of dilemma, NongGa use the special organization that insert the amusement of free time or seasonal customs among the precise agriculture information, for example how to raise the special plants or breed silkworms etc.. On the one hand NongGa entirely take advantage of Korean jargon instead of Chinese character, by which the information in NongGa could be easy, clear and abundant. As a result NongGa’s strategy to carry out the information can show good example. 이 논문은 정학유의 <농가월령가>를 조선시대 농서의 전통과 함께 그 구성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월령체라는 형식 아래 농가의 일 년을 엮은 <농가월령가>는 그 내용의 치밀함과 현실성으로 인해 때로는 일종의 농서로 분류되기도 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농가월령가>를 분석하기에 앞서서 우선 조선시대의 농서에 관심을 갖고,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주요 농서의 특징을 정리했다. 그 결과 조선 초기에는 세종대의 <농사직설>과 최초의 사찬 농서인 <금양잡록>을, 17세기에는 <농가집성>과 <색경>의 가치를 정리했다. 다음으로 18~19세기에는 실학의 발전 속에 <산림경제>와 <과농소초>, <농정회요>와 <임원경제지>가 어떤 특징을 지니며 부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 농서의 정보력 아래 월령체의 본원적 특성을 살리며 <농가월령가>가 어떻게 작품화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미 백과사전적 범위로 확장되었던 19세기 농서의 정보를 요약 지향의 성격을 지니는 월령체에 담아내는 것이 결코 쉬운 과제는 아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가월령가>는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꼼꼼히 제시하면서도 구성의 묘미를 활용하는 등 독자적인 방법으로, 농경 정보를 최대한 수록하되 일반 농서와 차별되는 문학적 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農事直說』의 편찬과 보급에 대한 재검토

        김상태(Kim Sang-T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6 No.-

        세종조에 편찬된 『농사직설』은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로서 진전된 농업기술의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농사직설』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가 『농사직설』의 농업기술에 대하여 연구가 집중되어 농서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치중했다고 생각하였다. 그 결과 농서 자체로서의 가치가 부각되어 당시 사회 안에서 『농사직설』이 어떠한 의미에서 받아들여지고 운용되었는가에 대한 평가는 소홀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먼저 『농사직설』이 갖는 농업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권농정책의 산물이었던 농서로서 주목하여 『농사직설』의 정책적 운용이라는 점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농사직설』은 양계지방의 농업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편찬되었지만 이는 양계지방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국적인 농업생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양계지방만을 위한 농서 편찬이었다면 굳이 전국적으로 이를 보급할 이유가 없다고 여겨진다. 또한 전국적인 농서보급은 새로운 稅制의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니 貢法이 그것이었다. 공법의 전국적 시행을 위해서는 균등한 세제의 부과를 할 수 있는 일정 정도의 생산력 향상이 이루어진 바탕 위에서 가능했기 때문에 하삼도의 일부 지방에서 행해지고 있는 진전된 노농의 농법을 채록하여 이를 전국으로 보급하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농사직설』의 가치나 평가를 왜곡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이해에 대하여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를 제기해 보는 것이다. This thesis is to show how Nongsajiksul(農事直說), which was the first agricultural text and had been considered as a work of the most advanced agricultural technique in Korea was concerned with agricultural policy in King Se-Jong era. The preceding studies, so far, have focused on the agricultural technique and the value of this book in technical aspects. As the result, these studies neglected the social application and political management of this book at that time. First of all, this thesis is to be concerned about the social and political aspect rather than technical one of Nongsajiksul(農事直說). In the first place for this dealt with how agricultural policy was and how agricultural encouragement policy was limited at that time. The government of that time has spread the agricultural encouragement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ies. For this it was essential to put off the conscription and enlistment of work force for the military service, becaus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is policy was the timely choice of farming. In addition, the government set forward to stop the disaster from local officers' decay. This thesis included the change of the farming method after the publication of Nongsajiksul(農事直說). In the first place, this book established both the method for high productivity not only in Yanggae(兩界) region but also in the whole country and the system of Gongbup(貢法), the general rule for the collection of a tax. Gongbup(貢法) was made on the basis of tax system of some parts in Hasamdo(下三道), which was one of the most advanced agricultural tax rules in the country. While Nongsajiksul(農事直說) had been considered only as the contemporary farming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had been a advanced and very resonable ones. From this point, this thesis focused on the objective observation of the value of Nongsajiksul(農事直說), without distortion and exaggeration.

      • KCI등재

        18세기 후반 徐命膺의 『本史』 편찬과 『本史』의 구성 체제

        염정섭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49 No.-

        Bonsa written by Seo Myeong-eung was covered in the Bomanjaechongseo. He wrote this farming manual based on the physiocracy and family discipline ie. science of agriculture about A. D. 1785. He compiled Bonsa in historiography pattern of Sima Qian, which was used in Sagi(史記).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nsa closely, we had to consider nine Ji(志) as the most important parts of Bonsa. So we thoroughly examined nine short scripts attached in front of every Ji. In our opinion, there are fou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onsa. First of all, Seo's aim in compiling Bonsa was to totally arrange every agricultural techniques. He gathered many farming manuals compiled in China and Joseon and utilized them in the way of reassigning contents in farming manuals. Secondly, he urged to acquire systematic completion and whole contain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he sought to make a new foundation of science of agriculture, which is considered to leap the limit of many farming manuals compiled in China and Joseon. Thirdly, he defined his attitude as one of the patron on the scientific method, but he also showed flexibility in understanding magical information derived from long-time agricultural experience. Lastly, he proceeded from step of scientific research to practical solution. So we argue that he was trying to compile perfect farming manual. 徐命膺이 편찬한 『本史』는 『보만재총서』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重農의식과 農學을 家學으로 삼은 학문적 바탕을 토대로 『본사』를 편찬하였다. 그는 농정, 농사에 관련된 사항을 史書의 紀傳體 형식으로 새롭게 구성하여 『본사』를 편찬하였다. 八穀을 本紀로 삼고 있고, 八穀이 세상에 나오게 만드는 일과 관련된 것은 志로, 채소와 과실과 관련된 것을 世家로, 그리고 樹木, 草卉, 藥材 등 그 밖의 식물들은 列傳으로 정리하였다. 『본사』의 農書로서의 성격에 대해서 검토할 때 보다 깊은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 바로 ‘九志’였다. 九志마다 각 志의 서술 배경, 서술 목표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짤막한 引에 해당하는 글이 붙어 있다. 九志의 引을 검토하여 『本史』의 성격, 내용 서술의 특징을 찾아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서명응은 『본사』 편찬을 통해 古今에 모두 부합하는 農法의 정리를 지향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중국과 조선의 農書를 모두 수합하여 각 농서에 서술되어 있는 내용을 자신의 주장에 따라 재배치하여 통섭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서명응은 『본사』에서 농서로서의 체계적인 완결성, 지식과 정보의 온전한 수록 여부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는 새로운 농서인 『본사』를 통해 중국과 조선의 농서를 뛰어넘는 農學의 정립을 지향한 것이라고 평가된다. 세 번째로 서명응은 자연과학적인 탐구 태도를 보여주면서도 전래되어 온 농사 경험에 의거한 지식이 주술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배격하지 않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명응은 農學의 정립이라는 학술적인 연구 자세에서 한 단계 현실 속으로 진일보하여 농업현실의 해결에 기여하려는 입장에서 『본사』를 편찬하였다. 그러한 현실적 해결책의 제시라는 성격은 『본사』에 들어 있는 각종 農法에 담겨 있는 것이었다.

      • 북한의 옛농서(農書)와 농업사(史)용어

        김영진 ( Young Jin Kim ),이길섭 ( Kil Seob Lee ) 한국농업사학회 2011 농업사연구 Vol.10 No.1

        저자들은 북한에 있는 조선시대의 옛농서로 남한에 없는 농서가 어떤 내용으로 얼마나 소장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남한에서 쓰지 않으면서 북한에서 보통으로 쓰이는 농업사 용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은 남북분단 이후 65년이 경과하는 동안 남북 간에 문헌정보 교류가 막혀 남북상호 간의 농업사 연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북한에 21종의 조선시대 농서가 소장되어 있고 그 중 『후생록』 상권은 남한에 없는 농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에서 흔히 쓰는 농업사 용어로 남한에서 생소한 71개의 용어를 검색하여 남한에서 쓰는 용어로 풀이하였다. 남한에서 쓰지 않는 용어를 북한이 쓰는 까닭은 북한의 정치적 이유, 한자(漢字)로 된 용어를 대중이 알기 쉽도록 풀어쓴 이유, 북한의 방언 사용 등에 원인하나 궁극적으로는 남북 간에 문화적 교류가 막혔기 때문이다. The authors looked into the old agricultural books in North Korea which is not available in South Korea and also studied the old agricultural historical terms used only in North Korea. It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North-South Korean agricultural history because there was no mutual exchange of literatur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for 65 years since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s a result, the authors checked there were twenty-one agricultural books of Chosun Dynasty in North Korea and among them the 『후생록』 상권(厚生錄上卷, HooSaengRok Vol. 1) is not available in South Korea. Additionally we easily explained 71 agricultural terms used in those books which are unfamiliar in South Korea. The reason why there were different term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ainly comes from no cultural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with the political issues, policies to the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and local dialects in North Korea.

      • KCI등재

        개항 이후 서양 농학의 수용과 전개

        이영학(Lee Young 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1 No.-

        이 논문은 개항 후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개명 지식인들이 서양의 농학을 어떻게 소개하고, 수용하려고 하였으며 그것을 농서로 편찬하면서 어떠한 내용을 소개하려고 하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1881년부터 1910년까지 약 40권의 농서 및 원예서 등이 출간되었다. 이 시기 서구 농학을 수용하는 데 있어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후 발간 농서의 주도세력은 일본과 청에 사신단 혹은 유학을 갔던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대 농서를 발간하는 주도세력을 살펴보면, 대부분 일본과 청에 유학 및 사신단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새로운 농학을 접하고, 그에 영향을 받아 신 농서를 번역하거나 발췌 정리하는 형태가 많았다. 둘째 개항기 이후 편찬된 농서의 특징은 이전 시기의 농서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었다. 개항 이전 농서의 내용은 당시까지 발달된 농학의 내용을 정리한 경험농학이었지만, 개항 이후 서양 농서는 실험농학을 소개한 것이었다. 셋째 양잠에 관한 저서가 지속적으로 출간되었다. 당시 잠사와 견직물은 세계적 무역품이었고, 청과 일본에서도 중요한 수출품이었기 때문에 조선정부는 물론 지식인 사회에서도 그 중요성이 충분히 인지되어 장려되었던 것이다. 정부에서도 뽕나무 재배를 권장하고 양잠업을 적극 권장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how Korean intellectuals from the post-opening period until 1910 introduced and tried to introduce Western agriculture. From 1881 to 1910, about forty books on farming and gardening were pu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ing Western agriculture in this period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leading forces of the publishing agricultural books went abroad to study advanced studies. When we look at the leading forces that published modern agricultural books, most of them went to Japan and the government to go to studying, and there they saw new agriculture, and influenced them to translate or extract new cultivar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opening period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agricultural books. The content of the previous agricultural books had been summarized the contents of agriculture developed until that time, but the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opening period introduced the experimental farming. Third, the books about the sericultural industry were published continuously. At that time, silk yarns and silk fabrics were world trade goods, and since they were important export items in both China and Japan, their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nd encouraged not only in the Korean government but also in the intellectual society. The government also encouraged the cultivation of mulberry trees and implemented policies that strongly encouraged the use of silkworms.

      • KCI등재후보

        중국 중세 農書 상의 貴族문화: 『제민요술』과 『사시찬요』를 중심으로

        최덕경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2023 비교중국연구 Vol.4 No.1

        Existing studies focused onl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roducers and agriculture while studying ancient agricultural book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roblem of enjoying the results. However, in the process of cultivating cultivated crops, we can discover the ruling class inherent in them, that is, landlords or nobles. They acquired the necessary resources through agriculture, and the profits played a decisive role in maintaining their political and social status. The main keyword in this paper is that farmers participate in production, but the results are taken by users, not direct producers. That is the paper, oil, cosmetics and medicines in agricultural books. Paper, which was an indicator of civilization, was in line with the growth of the literary nobility, and vegetable oil [oil] also acted as a representative new civilization that led the opening of the Middle Ages. Moreover, as various ethnic groups and religions were opened and fused in the Middle Ages, a bold transforma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Aristocrats not only perpetuated the discrimination of class by using them, but also contributed to raising the cultural level of the local community as cultural leader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not manufactured for the enjoyment of producers and small farmers, as their production required considerable labor, additional costs, and considerable technology. Rather, the landlords of farms cultivated them exclusively using a large number of labor force and reaped high profits to dominate the village and grow into a powerful force. 기존연구에서는 고대 농서를 연구하면서 생산자와 농업의 실태에만 주목하고, 그 결과를 향유했던 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하지만 재배된 작물을 收益化하는 과정 속에서 그 속에 내재된 지배층 곧, 지주나 귀족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은 농업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획득했으며, 그 수익은 정치 사회적 신분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작용을 했다. 본고에서 주된 키워드로 삼은 것은 농민이 생산에 참여하면서도 그 결과는 직접 생산자가 아닌 享有層이 가져가는 부분으로, 중세의 농서 속에 등장하는 종이, 기름, 화장품과 치료제 등이다. 문명의 지표가 되었던 종이는 文人 귀족의 성장과 궤를 같이하고, 식물성 기름[油脂] 역시 중세시대의 개방을 견인한 대표적인 신문명으로 작용하였다. 더구나 당시 여러 민족과 종교가 개방되고 문화가 융합되면서 과감한 化粧기법도 도입되었다. 귀족들은 이들을 이용하여 신분의 차별을 영속화함은 물론이고, 또한 문화적 선도자로서 지역 공동체의 문화 수준을 제고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생산에 상당한 노동력과 부대비용과 상당한 기술력이 요구되어 생산자 소농민이 향유하기 용도로 제조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농장의 지주들은 다수 노동력을 활용하여 독점적으로 재배하여 고수익을 거두고, 일부를 나누면서 名望家로 성장하였다.

      • KCI등재

        고려의 중국 農書‧曆書‧擇日書 도입과 「吉凶逐月橫看 木板」의 성격

        염정섭 한국중세사학회 2014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8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al manual, almanac, choosing book an auspicious day from China to Korea and the character of Gilhyungchulkwolhoengan Woodblock, estimated engraved at the early 13th century. We can examined Korea Dynasty’s aspects of the introduction of China’s agricultural manual, almanac, choosing book an auspicious day, analyzing the contents of Gilhyungchulkwolhoengan Woodblock. Chinese Agricultural manuals like Beomseungjiseo(氾勝之書), Samin- wolryung(四民月令), Jeminyosul(齊民要術) had come into Korea during Korea dynasty. And also we beleive almanac and choosing book an auspicious day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from China. Korea dynasty utilized Chinese agricultural manuals as a conference book in order to promote agricultral production.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asichanyo(四時纂要) compiled in the late Tang(唐) dynasty, was utilized in the aspects of promotion of agricultral production. In Korea they introduced the Chinese almanac at first and later invented their own version of almanac through util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almanac. In this regard, in 1052, we can find five species of Korean almanac were developed. Gilhyungchulkwolhoengan Woodblock, which was estimated engraving at 1219, included several names of Chinese almanac. Also we can find the same names in the article dated at 1419 among King Sejong’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article of King Sejong’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find that several species of almanac had the contents of choosing an auspicious day or choosing an auspicious place. This Woodblock was keeping in Simwon-sa, and that temple is located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Seongjugun. The both sides of the 2nd plate were engraved sexagenary cycles of auspicious day relating agricultural production works. In terms of this point, we regard Gilhyungchulkwolhoengan Woodblock as relating to choosing book an auspicious day. In this sense, Gilhyungchulkwolhoengan Woodblock do not have the character of agricultural manual or agricultural almanac. The contents of Gilhyung- chulkwolhoengan Woodblock will be considered possessing the character of Choosing Book an Auspicious Day or Book of Numerology.

      • KCI등재

        『四時纂要』가 조선 전기 농업사에 끼친 영향 : 重刻本 『四時纂要』를 중심으로

        안현철(Ahn, Hyun-Cheol) 부산경남사학회 2024 역사와 경계 Vol.129 No.-

        본고는 선조 24년에 판각된 『四時纂要』(重刻本)를 통해 조선 전기 농업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겠다. 唐末 五代 시기에 저술된 이 책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이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는 고려 말로 추정된다. 한반도에 유입된 이후 조선 세종 시기 권농을 위해 활용되었으나 세종 이후 수령들이 권농에 관심을 가지지 않게 되면서 『사시찬요』가 사람들에게 서서히 잊혀진다. 그러나 15~16세기 조선에서는 국가, 지방관, 지식인들이 여러 農書를 편찬하였다. 이런 환경은 『사시찬요』를 발견한 유희잠과 박선도 그 영향을 받았다. 두 사람은 이 책을 전파하고자 했으나, 자본문제로 힘들었다. 그러나 박선이 경상좌병사가 되면서 重刻本을 판각한다. 박선의 발문에서 판각한 이유를 분명하게 자본이 해결되었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언급하였다. 그러나 박선이 근무한 당시 울산은 왜구로 인한 외부적인 피해, 부정부패 및 자연재해 등의 문제로 인해 힘든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중각본을 판각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This paper will look at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e 『sìshízuǎnyào(四時纂要)』(重刻本) engraved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jo. Written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book affected not only China but also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timated that the book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fter its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used for Kwonnong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but after Sejong, the leaders were not interested in Kwonnong, and 『sìshízuǎnyào』 was slowly forgotten by people. However,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of Joseon, the state, loc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compiled several agricultural books. This environment was influenced by Yoo Hee-jam and Park Sun-do, who discovered 『sìshízuǎnyào』. The two tried to spread this book, but it was difficult due to capital problems. However, as Park Sun becomes a left soldier in Gyeongsang Province, he engraves 重刻本. In Park Sun’s statement, it was clearly mentioned that the reason for the engraving was that capital was clearly resolved. However, at the time Park Sun worked, Ulsan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external damage, corruption, and natural disasters caused by Japanese pirates. It is presumed that the engraving was made while solving thi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