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 밀라노프로젝트 거버넌스 네트워크 분석

        최경희(Kyung Hee Choi) 한국정부학회 2009 한국행정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대구 밀라노프로젝트 1단계 사례를 거버넌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버넌스 네트워크 상호작용의 경우, 어떤 지배적인 이해관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주된 행위자인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의 섬유업계 등의 이해관계는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보인다. 정책도구로 활용된 관민파트너십은 기대와 다르게 나타났고, 대구경북섬유산업육성추진위원회는 다양성과 이질성을 극복하는 데에 제한적인 역량만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에는 제도 포획 경쟁을 벌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버넌스 네트워크 궤적의 경우, 목표지향적 네트워크 궤적을 보여주었고, 초기의 정책공동체는 나중에 이슈네트워크화해 간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버넌스 네트워크효과의 경우, 거버넌스 네트워크가 사회자본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시너지 효과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와 상호작용 그리고 궤적 측면에서의 거버넌스 네트워크 특성들이, 제한적인 거버넌스 네트워크 효과를 야기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Daegu Milano Project I (Textile Industrial Promotion Project) by applying a governance network frame. In relation to governance network structure, the centralized degree of the governance network seems to be low in general. In relation to governance network interaction, there seems to be no dominant interest. There seem to be heterogeneous interest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a local government, and local textile industry. As a policy instrument, the mechanism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did not operate as expected and Daegu-Gyeongbuk Textile Industrial Promotion Committee revealed a limited capacity in handling the dimensions of diversity and heterogeneity. And the research has shown the tendency of competi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local government for institutional capture. In relation to governance network trajectory, there was a goal-oriented network trajectory compared with serendipitous network trajectory, and the policy community in the early phase was transformed into the issue network in the later phase. In relation to governance network effect, the governance network didn`t function as a social capital and didn`t create a synergy effect.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network in terms of structure, interaction and trajectory are inferred to cause a limited governance network effect.

      • KCI등재

        ICT 거버넌스와 조정에 관한 연구

        정용남 ( Yong-nam J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부처 간 조정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자주 거론되는 우리나라 ICT 분야의 거버넌스 이슈를 대상으로, 관련 개념을 정리하고 정부별 거버넌스와 조정의 실제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개념을 구조와 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조정 메커니즘과 관련해서 이해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 거버넌스를 각각 관료제적 거버넌스, 수평적 네트워크 거버넌스, 수직적 네트워크 거버넌스로 구분하였다. 이와 함께 정부별 거버넌스의 특징과 조정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전두환-노태우 정부부터 최근 박근혜 정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두환 정부는 관료제적 거버넌스의 성격이 컸으며, 대통령과 대통령비서실에 의한 수직적 조정이 적절하게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분야는 점차 네트워크 거버넌스적 성격이 두드러졌는데, 정부구조의 특성상 수직적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모습이 크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부가 조직통합과 기획이라는 수직적 조정 메커니즘에 의존하였으며, 국무총리가 주관하는 위원회 등을 통한 수평적 메커니즘의 활용도 빈번하였다. 하지만 조정 메커니즘은 잘 작동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본적으로는 부처 간 협력문화가 부재했고, 각 정부마다 특정 조정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의존하였기 때문이다. 네트워크가 복잡해질수록 다양한 조정 메커니즘의 활용이 필요하며, 특히 대통령을 비롯한 정책 리더십이 강조될 필요가 있으나 대부분의 정부에서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다. 네트워크 상황에서 수직적 조정의 효과성은 자발적 협력을 강조하는 수평적 조정의 활성화가 전제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이를 촉진하기 위해 분권화된 정부 운영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이 분야의 거버넌스를 단순히 위원회 설치나 조직 개편 차원을 넘어서 행위자관계와 구조, 그리고 조정 메커니즘과 연관시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governance restructuring in the ICT sector, which are frequently discussed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inter-ministerial coordination problem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governance includes both structure and relationship, and it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coordination mechanism. Also, this study divides the governance concept into bureaucratic governance, horizontal network governance, and vertical network governance. In addition,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coordination by different governmen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hun Doo-hwan government had a bureaucratic governance nature, and the vertical coordination mechanisms by the president and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were appropriately utilized. Over time, this area became increasingly prominent in the nature of network governa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vertical network governance. Most governments depended on the vertical coordination mechanisms which focused on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planning, and the horizontal mechanism through the committee led by the prime minister was frequently used. However, the coordination mechanism does not seem to work well because there were no cooperative culture between ministries and the government basically relied on several specific coordination mechanisms. As the network becomes more complicated, various coordination mechanisms need to be utilized, and in particular, the policy leadership such as the president needs to be continuously emphasized. This study implies that in a network situation. vertical effectiveness can only be achieved when there is active horizontal coordination which emphasizes voluntary cooperation. In this sense there is a need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decentralize its power for effective gove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ance in this area need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actor relations, structure, and coordination mechanisms, beyond merely setting up committees and government re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복잡계이론을 중심으로

        이명석 ( Myung Suk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1 국정관리연구 Vol.6 No.1

        복잡계이론(complexity theory)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공해 준다. 중앙집권적인 조정에 의하여 통제되지 않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과 정부, 그리고 정부의 다양한 정책도구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고도의 질서를 갖는 사회문제 해결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복잡적응계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복잡적응계라는 규범적인 설명은 한계를 갖는다. 복잡계이론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것은 사실이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복잡적응계가 갖는 창발적인 특성이 언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는 복잡적응계로서의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바람직한 창발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부는 수평적, 다중심적, 하의상달식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행위자들의 행태적 규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을 위하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조건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제2세대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Complexity theory provides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y of network governance. Network governance shar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ith complex adaptive system(hereafter, CAS) in that social problems are solved through interactions among various acto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without centralized control in the system level. However, the explanation that network governance is a CAS is not good enough. Even though complexity theory allows us a new perspective, it cannot always guarantee the success of network governance. Emergent property of CAS is not always desirable. In order for network governance as a CAS to be of desirable property, government should play a new role to make people change their patterns of behavior in horizontal, multicentric and bottom-up ways. We need a ‘second-generation network governance theory’, with which we can explain the conditions of successful network governance and new roles of government in network governance.

      • KCI등재

        지역사회 지원환경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간기현,이수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how th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nkage between the suppor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the actual growth of the local community network and governance, which in turn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the meantime, if the impact o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some factors among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governance has been partially analyzed, this study expanded from the previous study to identify the above factors in one model. ·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8.0 progra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social economy performance and whether the support environment affects social economy performance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eac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theoretical domain was expanded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resource regional networks and solidarity environments wher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can be created, and civil society itself should be awakened and made efforts together. · 연구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연구배경: 정부 지원정책 기조에 따른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실질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성장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그동안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거버넌스 중 일부 요인에 대해 부분적으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확장하여 위 요인을 하나의 모형에서 포괄적으로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이중매개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법(SEM)법으로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 각각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가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대한 지원환경의 영향과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였다.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 제고를 위해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가 조성될 수 있는 지역 관계망, 연대 환경의 자원화가 중요하며 시민사회 스스로 각성과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와 발전국가와 거버넌스: 정보화 시대 한국과 대만의 산업정책을 중심으로

        임혜란(林惠蘭)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발전국가와 그 변화과정을 거버넌스 개념을 통해 재이해해 보는데 있다. 세계화 시대 국가중심적 시각은 더 이상 변화된 현실을 설명할 수 없으며, 따라서 다양한 행위자 간의 조정양식인 ‘거버넌스’ 시각이 중요한 분석틀로 제기되었다. 정치경제 영역에서의 거버넌스 개념은 경제주체들 간의 행위를 조율(coordination)하는 정치경제적 과정 또는 제도로 정의된다. 정보화시대의 디지털경제가 네트워크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듯이 다양한 행위자간의 자발적인 협력과 조정에 의한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정치경제의 조율양식의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과 대만은 정보화 시대에 이르러 지속적인 산업정책을 추진하여 단기간에 빠른 정보화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지만, 그 추진방식은 서로 다른 조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정보화추진과정에서 정통부 중심의 위계적 조정양식을 보여준다. 정보화 정책의 특성상 다양한 정치, 경제행위자의 부상에 따라 갈등 조정을 위한 수평적인 조정양식의 정책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했지만, 한국 정부내 조정양식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IT산업클러스터 육성에 있어서도 다양한 행위자간의 네트워크 형성, 산학연 협력과 기업간 분업과 상생의 네트워크를 발전시키지 못했다. 대만의 산업정책을 보면 정보화추진체계는 NICI 위원회 구성을 통해 부처간 중복투자 및 정책혼선을 막을 수 있었던 조정양식에 의해 진행되었다. IT 클러스터는 다양한 경제주체 행위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건설, 즉 과학공동체, 기업, 연구소, 벤처캐피탈, 대학,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과 정보교환을 위한 정책네트워크 건설에 의해 진행되었다. 따라서 대만의 산업정책 조정양식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특색을 반영하며, 한국은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지향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과거 발전국가적 유산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isi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with a new perspective of governance. The phenomenon of glob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made the state-centric approach inappropriate, due to the rising role of diverse actors such as NGOs, etc.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which is the mode of coordination in political economy, consequently becomes important in understanding changes of developmental state. The network governance includes the intra-state policy network of coordination as well as outside-state network with diverse social/economic actors for economic innovation. Korea and Taiwan have succeeded in promoting IT industry and application. However, they have shown some differences in modes of governance in promoting IT industry and application. Korea has developed the vertically-coordinated mode of governance, which reflects the legacy of developmental state. Also Korea has not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voluntary and cooperative network among actors such as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and industry in IT cluster. However, Taiwan has developed flexible mechanisms to enhance intra-state policy coordination for promoting IT industry and application. Taiwan has established the cooperative network governance in IT cluster such as Hsinchu science park.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통합의 로컬 거버넌스:여수시와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嚴泰錫 한국의정연구회 2010 의정논총 Vol.5 No.2

        로컬 거버넌스는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제반 정책의 형성 및 결정 그리고 집행 과정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주민 및 시민단체, 기업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의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상호 신뢰를 토대로 지역발전을 추진해 가는 역동적인 네트워크 체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 거버넌스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어떻게 서로 간에 자율적인 협력체제를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는가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거버넌스 능력이 문제인데 거버넌스 능력의 결정요인으로서,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내적 역량, 제도적인 중재장치, 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신뢰관계, 리더십, 그리고 유인체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로컬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3여 통합과 청주·청원통합 시도를 분석한 결과 어떠한 지역정책이라도 지역주민간의 의사와 이익뿐만 아니라 이를 주도하는 세력들이 첨예하게 대립되면 성사되기 어려우며, 거버넌스적 기제 또한 작동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컬 거버넌스의 성패는 주요 행위자들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위임된 대표자인 단체장과 지방의원, 시민사회의 의식적 대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시민단체 등이 제대로 의사를 대표하고 상호 신뢰를 토대로 네트워크에 참여할 때 로컬 거버넌스는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Local governance can be defined as a dynamic network system to facilitate local development based on mutual trust between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local NGO and firms when formulating, determining, and implementing a set of policies pertaining to local governments. The success of local governance depends on how to organize and implement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articipants of the network. This is the capability of governance which can be determined by internal competency of network participants, institutional arbitration mechanism, mutual trust between them, leadership and incentives. An analysis of two cases to consolidate local governments in a perspective of local governance shows any local policy is difficult to implement if there are conflicts in interests and opinion between participant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official authorities and the local governance mechanism is also not working. Capabilities of major participants play essential roles in the success of local governance. Local governance can perform its anticipated roles when NGO and the designated representatives such as presidents of local governments and members of local councils represent the opinions of their parties without any bias and participate network based on mutual trust.

      • KCI등재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 분석 : 부산시 하천살리기 사업을 중심으로

        배재현 한국행정연구원 2009 韓國行政硏究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도심하천 환경개선문제를 네트워크 거버넌스로 접근하였으나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부산시의 두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기제를 찾고자 하였다. 온천천과 동천의 사례는 일반적으로 온천천은 성공, 동천은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온천천과 동천문제해결의 시기, 참여자, 접근방법 등에 의해 결과가 달라진 것이 아니라 민·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운영과정에서 민·관간의 영향력의 차이로 인하여 운영과 결과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천천 사례에서도 네트워크가 잘 운영되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고, 동천 사례에서도 네트워크가 잘 운영되는 시기가 존재하였다. 두 사례 모두 네트워크가 수평적이었을 때 성공적인 운영과 성과가 만들어졌고, 수직적이었을 때 네트워크의 파행과 실패로 이어졌다. 그러므로, 각 사례들의 수평적, 수직적 네트워크의 운영기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어떠한 방식에 의해 성공적으로 작동하는지, 또 어떠한 방식에 의해 실패하게 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거버넌스 연구 동향 분석

        김나랑,최형림,이태헌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사회변화에 따라 정부의 정책입안 및 실행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새로운 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버넌스는 포괄적이고 여러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와 연구동향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정책학, 경영정보학 등의 다른 전공을 가진 3명의 연구자가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2016년 이후 발간된 거버넌스 관련 학위논문들을 검색하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된 연구 주제는 협력거버넌스와 로컬거버넌스로 크게 분류 되었다. 거버넌스가 가지는 특징에 맞게 네트워크, 참여, 갈등, 신뢰 등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거버넌스의 대상으로는 도시재생과 환경, 교육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융복합 연구를 위해 로컬거버넌스가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거버넌스 연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거버넌스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계점으로는 거버넌스 전체 논문이 아닌 키워드가 제공된 일부 학위 연구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한 점이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 거버넌스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확대 하고, SNA 분석지표와 함께 통계적으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new governance aimed at efficient policy planning and the implementation thereof by the government has been conducted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 Nonetheless, governance is comprehensive and encompasses different meanings; it takes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its actual application. Therefor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research on governance and analysis on its research trend are required. Accordingly, three researchers who majored in policy sciences, business informatic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pectively, searched for theses related to governance published since 2016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on them. According to their research results,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local governance. Keywords throughout the topics included network, participation, conflict, and trust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Representative subjects of governance included education, urban regeneration, and the environment. Further, measurement of betweenness centrality showed local governance was a main topic for convergent research. This study will lead to a greater understanding of research on governance and help activate such research.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only theses with the keywords but not all theses on governance. Follow-up research should analyze all theses on governance and statistically verify them with SNA indexes.

      • KCI등재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모형구축 : 공익형 NGO의 형성 정도와 정책참여 수준을 중심으로

        전영평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行政論叢 Vol.41 No.1

        거버넌스는 정부의 관리 혁신과 민주적 정책 참여네트워크가 결합된 새로운 의미의 정책관리 체제를 의미한다. 정부의 관리혁신으로 얻어지는 것은 고객만족형 작은 정부미여, 정책 참여 네트워크 형성으로 얻어지는 것은 정부 신뢰와 공익 증진이다. 거버넌스의 한 축인 지방정부는 공익형 NGO와의 정책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정부의 관리 혁신과 정책에 대한 주민의 신뢰와 수용을 높여나가야 하며, 지방의 공익형 NGO는 참여와 더불어 건전한 사회자본을 생산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지방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축, 즉 지방정부와 지방의 공익형 NGO가 여하히 협동하는냐 하는 것은 향후 삶의 질 향상에 시너지적 영향(synergistic effects)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1)공익형 NGO의 형성 정도와 2)참여네트워크형성에 대한 태도를 두 축으로 하여 4개의 거버넌스 모형- 통치형 거버넌스, 대립형 거버넌스, 참여형 거버넌스, 친화형 거버넌스 -을 도출하였다. 또한, 정부와 정책참여 집단과의 상호작용의 형태에 따라 6가지 유형의 거버넌스 모형- 일방형 거버넌스, 특혜형 거버넌스, 집합형 거버넌스, 통합형 거버넌스, 네트워크형 거버넌스, 별거형 거버넌스 - 을 도출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거버넌스 모형 구축의 유용성과 한계, 그리고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Local governance can be defined as a local policy network system that includes a combination of government management innovation ideas and participatory policy idea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the various models of local governance which are useful for explaining differences of performance, responsiveness, co-production, and social capitals among various local government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four models of local governance by using two standard: stag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mulation and government's attitude to participatory network. Secondly, six governance models are developed by identifying the interaction typ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ivic NGOs.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this modeling efforts a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in conclusion.

      • KCI우수등재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의 동태적 변화 비교: 양재천과 홍제천 사례를 대상으로

        이현정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4

        This paper examines effective network governance management pla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nge in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in th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s of Yangjae Stream and Hongje Stream. After identifying the contextual factors by stages, I analyzed how the facilitative leadership affected the changes in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and how these changes in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affected performance.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Yangjae Stream case displayed facilitative leadership to promote cooperation with residents and achieved high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due to lack of leadership, the Hongje Stream case caused conflicts with a local NGO and failed to achieve the intended performance. It is noted that the facilitative lead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the network governance structure dynamic and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project. It is also shown that the performance could vary depending on whether residents and local NGOs participat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guidance for network management to solve complex public questions. 본 연구는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 변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네트워크 거버넌스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시기별로 상황요인을 파악한 후, 촉진적 리더쉽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변화에 미친 영향과 구조변화가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양재천 사례에서는 강남구청장이 촉진적 리더쉽을 발휘해 주민과의 협력을 이끌어내 높은 성과를 이루었다. 반면에 홍제천 사례는 촉진적 리더쉽의 부재로 생태하천복원사업 네트워크 내에 갈등이 증가되고 좋은 성과를 내지 못했다. 촉진적 리더쉽이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를 변하게 하고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초기 주민과 지역 시민단체의 참여 여부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태적인 관점에서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조를 분석한 이 연구는 복잡한 공공문제와 관련된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의 개발과 실제에서 거버넌스의 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