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각본『남훈태평가』의 간행 양상과 의의

        김유경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연구에서는 상업 출판된 유일한 가집인『남훈태평가』의 간행 양상과 의의를 살폈다. 먼저『남훈태평가』의 체제상의 특징을 살폈다. 서두에서 악조명이 악곡명과 섞여 악곡과 같은 차원에서 제되는 현상은 19세기 연희 현장에서 찾을 수 있는 현상이며, 1910년대 활판본 가집의 체제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현상이다. 이 시기 가창 문화에서 농․락․편 이외의 기존 악곡들은 구분이 불필요해졌거나 미약해진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두에 악곡을 제시하는 순서가 일반적인 가곡창의 순차와는 달리 삭대엽의 변주곡을 가장 앞세운 것은 당대에 유행하던 인기순일 것이다. 가사와 잡가 가운데 잡가를 앞세운 것도 같은 이유였을 것이다. 『남훈태평가』는 노랫말을 적은 가집이다. 그러므로 창법에 익숙한 수용자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렵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시조창의 성행은 향유층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기량의 시조창이 존재하게 되었을 것이다. 한글독서층에서 시조를 이해하는 방식의 한 예를 ≪만언사≫의 이본인 연대 소장『규호소적』의 <만언답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배객이 머무는 집의 안주인이 <만언사> 화자에게 들려주는 답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서술자가 등장하여 <만언사> 화자의 노래를 노래 같기도 시조 같기도 하다는 인식을 드러낸다. 시조창은 전문가에 의해 고급한 정도로 연창되기도 하였지만 낮은 수준으로 시행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다양한 층위의 시조창에 접하게 된 대중은 그 노랫말에 흥미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노랫말의 구독’이라는 수요까지 가지게 되어, 방각본『남훈태평가』가 탄생한다. 다음으로, 그간의 논의에서 전혀 규명되지 못하던 1920년 이후의 간행 양상을 밝혔다. 판권지에 따르면 인쇄일은 모두 1920년 8월 25일이되, 발행일은 8월 30일, 9월 9일, 9월 30일로 차이가 난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9월 9일 발행본은 출판법에 따라 조선총독부에 납본된 것이었으며, 발행 ‘즉시’ 검열 받아야 한다는 규정에 맞추기 위해 발행일을 수정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9월 30일 발행본은 납본 후에 시판한 본임을 밝혔다. 그리하여 1920년 9월 초에 한남서림에서『남훈태평가』를 인쇄한 것이 확실함을 밝혔다. 또한 간기 중 ‘석’자가 깎인 본의 1920년 8월 30일 발행이라는 판권지 정보는 믿을 수 없음을 지적하였다. 다른 두 본과 달리 판권지에 도서 광고를 겸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도서 광고에 등장하는 서적들의 신간과 납본일을 추적함으로써, 1920년이 아니라 1922년 2월 이후에 인쇄한 것이 확실함을 밝혔다. 또한 인쇄․발행일 표시에서 대정 연호가 사라진 것을 근거로 그 시기는 다이쇼가 사망하는 1926년 12월 25일 이후일 것으로 추론하였다. 끝으로, 1920년 이후의『남훈태평가』 재간행은 1910년대에 왕성하게 공급된 활판본 가집의 성행에 힘입은 것이었으며,『남훈태평가』는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 에 편승할 수 있었을 것임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1910년대 활판본 가집의 성행은 1863년에『남훈태평가』가 최초로 열어놓은 ‘읽는 노랫말’의 대중적 보급이 토대가 된 것임도 지적하였다. Throughout literary history, Namhuntaepyeongga stands out as meaningful pulished book. Since it is the only one commercially published anthology. In this study, I research the publication aspects and significance of Namhuntaepyeongga all over 19th and 20th century. Firstly, I underdraw Ujo and Gyemyon were used as titles of musical pieace. And the order of listing pieces on the beginning was different from other general piece's that. Since Namhuntaepyeongga is collection of songs, if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ose sort of book would be not much accessible. However, with great prevalency of Shijochang and its growing user groups, Shijochang developed in various level and aspects. In means, Shijochang was produced and practiced in socially high level as well as lower level. So then the needs for subscriping lyrics of them has came. That was the driving motif of the publication of Namhuntaepyeongga. For the second, I studied on the publication aspects after 1920's which was not shown by any other academic approahces. Accroding to copyright inforamtion, all of Namhuntaepyeongga were imprinted at 25th, Aug. of 1920 but the dates of publication were shown different from it as 30th, Aug., 9th Sept., and 30th, Sept.. Among those, I showed that the issue of date 9th Sept. was submitt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ollowing the current Publication Law. Then I also showed the issue of date 30th, Sept. was released on market after the submission. And I exclaimed strong question on the argument that among the colophons, the issue including scratched 'Suk' character was 30th, Aug. Moreover, I focused on the issue holing copyright page were used as advertisement unlike other two issues then I compose the dates of print and publication chronologically according to each style of advertisement of Hannamseolim. Thus,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issue whose publication date was printed as 30th, August was not printed out at 1920 and rather after Feburary of 1922. Moreover, since there is no more era name of Taisho, I suggest that the publication time of it would be after the death of Taisho, 25th, December of 1926. For the last, I arrang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republication of Namhuntaepyeongga. It was attributed to great trend of printed anthology on 1910's and this puularity of printed anthology was caused of the popular distribution of 'readable lyrics' which Namhuntaepyeongga has started throughout general peopl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훈태평가 시조의 소설 수용 양상과 그 의미

        김석회 ( Kim Seok-ho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2 No.-

        This paper is a research of the aspect of Sijo(時調) originated from novel in Namhoontaepyoungga(南薰太平歌) and its meaning. Sijo(時調) originated from novel is first appeared in Chunguyongon (靑丘永言) jinbon(珍本)(1728), and its style is intermediate monologue style. The intermediate monologue style is main stream of Sijo originated form novel. But in Namhoontaepyoungga(南薰太平歌), the intermediate monologue style is almost dropped, and polyphonic epic style. epic transformed style are the main stream. This is the particular aspect of Namhoontaepyoungga(南薰太平歌), and that is proved to be the strategy of popular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신발굴 가집 <노ᄅᆡ젼>의 특성과 계보적 위상

        권순회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9 No.-

        보면 처음에 1~42장까지 필사한 후 시차를 두고 <화츙별곡>이 더해지고, 이후에 다시 44장 이하가 필사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기 문자는 순국문이다. 필사한 인물은 알 수 없고 그 시기는 20세기 초반 무렵으로 판단된다. <노ᄅᆡ젼>의 편제는 두 층위로 구성되었다. 전자는 <남훈태평가> 방각본을 재필사한 대목으로 시조(1~158번), 잡가편(3편), 가사편(4편)이 수록되었다. 후자는 시조 13수와 가사 <화츙별곡>이 수록된 대목이다. 이들은 편자 혹은 주변 인물들이 선호하던 작품들로 판단된다. <남훈태평가> 방각본과 다른 필사본과의 시조 작품 수록 양상에 대한 비교 결과 <노ᄅᆡ젼>은 방각본을 저본으로 활용했고 필사와 관련하여 다른 필사본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다른 필사본들도 모두 각기 다른 맥락에서 방각본을 재편집했고, 필사본들 사이의 계열 관계는 파악되지 않았다. <남훈태평가>는 1863년 초간된 이후 수록 작품의 변화 없이 20세기 초반까지 재판본이 거듭 간행되었다. 이는 가창 용도보다는 오히려 독서물로써의 대중적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남훈태평가>는 20세기 초반의 연창 상황에서 가창용 가집으로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다분했다. 무엇보다 수록 작품 가운데는 이미 가창의 현장에서 멀어진 것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남훈태평가>를 가창 용도로 활용하려면 필연적으로 연창 상황에 맞게 재편집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 여러 유형의 <남훈태평가> 필사본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산출되었다. 이들은 1차로 <남훈태평가> 방각본에서 가창에 적합한 작품을 선별하고, 2차로 여기에 편자나 주변 인물들이 선호하던 시조나, 가사, 잡가 등의 새로운 작품을 더하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가집을 편집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song-book <Noraejeon> to the academic world and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cal status of the document. <Noraejeon> is a re-edited manuscript of <Namhuntaepyeongga(南薰太平歌)>, widely known as a Banggakbon(坊刻本) song-book. It contains 171 sijo poems, 3 Japga poems, and 5 Gasa poems. One manuscript book, totaling 45 pages (excluding the cover and inside pages). Looking at the handwriting, it appears that chapters 1 to 42 were first copied, then <Hwacheobbyeolgok> was added at a time, and later chapters 44 and below were transcribed again. The written text is pure Korean. The person who copied it is unknown, and it is presumed to be arou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organization of <Noraejeon> consisted of two levels. The former is a transcription of <Namhuntaepyeongga> Banggakbon and includes Namhunga (No. 1~158), Japga Part(3 works), and Gasa Part(4 works). The latter includes the 13 poems of Sijo and Gasa <Hwachungbyeolgok>, and these are believed to be works favored by the compiler or people around hi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spects of sijo inclusion between <Nam huntaepyeongga> Banggakbon and other manuscripts, it was confirmed that <Noraejeon> was copied from Banggakbon and was not directly related to other manuscrip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ther manuscripts were all re-edited from Banggakbon in different contexts, and that there was no family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scripts. <Namhuntaepyeongga> was first published in 1863 and was repeatedly reprin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out any change in the work included. This is because there was a lot of popular demand as reading material rather than for singing. For this reason, <Namhuntaepyeongga> had many aspects that made it unsuitable as a song-book for sing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Above all, many of the works included were those that had already moved away from the singing scene. Accordingly, in order to use <Namhuntaepyeongga> for singing purposes, it inevitably had to go through a re-editing process to suit the singing situation. Various types of manuscripts of <Namhuntaepyeongga were produced in this context. They edited their own song-book by first selecting works suitable for singing from the <Namhuntaepyeongga> Banggakbon and secondly adding new works such as Sijo, Gasa, and Japga, which were preferred by the editor and people around them.

      • KCI등재

        방각본 한글 가집 『남훈태평가』의 서지 연구

        이유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한국문화 Vol.43 No.-

        Namhuntaepyeongga(南薰太平歌) is a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Korean anthology of the 19th century, which contains sijo, japga and gasa. Its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Seoul in 1863, and it was later reprinted several times. A different version of Namhuntaepyeongga was publish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Because Namhuntaepyeongga is the only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Korean anthology, it has occupied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has, for more than twenty years, been treated as very important material in many studies referring to the spread of sijo or the popularization of sijo. By comparison, bibliographical studies on Namhuntaepyeongga have only been undertaken quite recently, and there are still several questions to answer. The two most important questions, which we must answer without delay, are these: do we have the first edition of Namhuntaepyeongga? If not, can we infer what it looked like from the reprints or the different version of Namhuntaepyeongg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books we have today as closely as possible. Namhuntaepyeongga(南薰太平歌) is a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Korean anthology of the 19th century, which contains sijo, japga and gasa. Its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Seoul in 1863, and it was later reprinted several times. A different version of Namhuntaepyeongga was publish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Because Namhuntaepyeongga is the only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Korean anthology, it has occupied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has, for more than twenty years, been treated as very important material in many studies referring to the spread of sijo or the popularization of sijo. By comparison, bibliographical studies on Namhuntaepyeongga have only been undertaken quite recently, and there are still several questions to answer. The two most important questions, which we must answer without delay, are these: do we have the first edition of Namhuntaepyeongga? If not, can we infer what it looked like from the reprints or the different version of Namhuntaepyeongg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books we have today as closely as possible.

      • KCI등재

        일본 동양문고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가치

        권순회( Soon Hoi Kw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이 논문에서는 동양문고 소장 국문시가 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자료의 특성과 가치를 고찰하였다. 동양문고 소장 국문시가 자료는 대부분 마에마 교오 사쿠[前間恭作 : 1868-1942]가 기증한 것들이다. 악장 5종, 시조 8종, 가사 4종 등 총 17종이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시조와 가사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시조 문헌 가운데는 .가곡원류., .여창가요록., .남훈태평가., .여창가요록.이 주목된다. .가곡원류. 동양문고본은 본디 2책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첫 1 책만 남아 있다. .가곡원류. 초기 편집본에서 악곡에 따른 사설의 분류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여창가요록.은 박효관이 1853년에 편집한 단독여창가집 .여창가요록.(양승민본)을 1870년에 재편집한 가집이다. .남 훈태평가.는 1863년 방각본으로 간행된 시조창 가집이다. 동양문고본 .남훈태평 가.는 이를 1892년 서울에서 필사한 것이다. 방각본 .남훈태평가.가 얼마나 폭넓 게 유통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이다. .가요.는 .남훈태평가.와 다른계열 특성을 보여주는 시조창 가집이다. 19세기말 20세기 초 시조창의 연행 양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고금가곡.은 마에마 쿄오 사쿠가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郞 : 1869-1943]에게 원본을 빌려 1928년에 전사한 것이다. 현전하는 전사본 4종 가운데 유일하게 完帙을 전사한 판본이다. 가사 문헌 가운데 주목할 자료는 .歌詞六種., .北闕重建歌., .萬言詞.이다. .가 사육종.은 아사미 린타로가 소장했던 가사집이다. 마에마 쿄오사쿠가 1928년 소 장자에게 직접 빌려 전사한 것이다. 표제는 .고금가곡.과 같이 원본의 제목이 결 락되어 있던 것을 전사 과정에서 새로 부여한 것이다. .북궐중건가.는 작자는 알 수 없으며 창작 시기는 경복궁 중건이 완료되는 1870년 전후로 짐작된다. 그동안 일본 駒澤大學 濯足文庫本이 유일본으로 알려졌으나 동양문고에도 이본이 존재한 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만언사.는 조선 정조 때 안조원(安肇源)이 추자도에 유 배를 가서 지은 장편 국문가사이다. 동양문고본은 1899년 1월에 향수동에서 2책 으로 필사된 세책본이다. 동양문고에 소장된 한국 고서 가운데 국내에 가장 먼저 소재된 것은 국문시가 자료이다. 1927년 6월에서 1928년 5월 사이 손진태(孫晉泰, 1900-?)가 이은상(李殷 相, 1903-1982)과 함께 마에마 교오사쿠의 협조를 얻어 집중적으로 전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남창문고 소장 .가곡원류., .남훈태평가., .송강가사 ., .가사육종., .고금가곡., .여창가요록.이 그것이다. 이들은 이병기(李秉岐, 1891-1968), 조윤제(趙潤濟, 1904-1976)에 의해 재차 전사되면서 초창기 고전시가 연구의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되었다. In this paper, I understoo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lassic poetry in Korean in Toyo Bunko and considered feature and value of principal materials. Most of Korean classic poetry in Toyo Bunko has been donated by Mayema Kyosaku, which contains seventeen songs, five kinds of Akjang and eight kinds of Sijo, and four kinds of Gasa, etc. I began a discussion about Sijo and Gasa. Gagokwonryu, Yeochanggayorok, Namhuntaepyeongga, and Yeochanggayorok out of Sijo are worthy of note. Gagokwonryu in Toyo Bunko is presumed to be two books, however, at present, there is only the first book. Its first edition shows how lyrics according to tune was categorized. Yeochanggayorok is reedited anthology of songs, which Park Hyo-gwan reedited Yeochanggayorok in 1870 that was edited in 1753 Yang Seung-min edition. Namhuntaepyeongga is Sijochang anthology written by Banggakbon in 1863. Namhuntaepeongga in Toyo Bunko is its transcription of Seoul in 1892. This is another example of wide distribution of Namhuntaepyeongga. Gayo shows another paradigmatic feather with Namhuntaepyeongga. It can be assessed as material that can tridimensionally show performance aspect of Sijochang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Mayema kyosaku rented the original text to Asami Rintaro and he transcribed Gogeumgagok in 1928. It is only one perfection edition out of four kinds of transcription. Gasayukjong, Bukgwoljunggeonga, and Manoensa are worthy of note. Gasayukjong was owned by Asami Rintaro. Mayema Kyosaku rented it to private lender and transcribed. The lost title was newly entitled during transcribing like Gogeumgagok. Author of Bukgwoljunggeonga is unknown and the timing of the creation is guessed to be around 1870. Komazawa University Dakusoku Bunko edition has been believed that it is only one edi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re is other version in Toyo Bunko was confirmed. Maneonsa, written by Ahn Jo-won in Chuja Island during banishment, is a long work of Gasa in the age of Jeongjo. Maneonsa in Toyo Bunko was transcribed by two books in Hyangsu-dong in January 1899 for lending.The first introduced Korean material in Toyo Bunko was Korean classic poetry. Son Jin-tae and Lee Eun-sang transcribed it intensively with the cooperation of Mayema Kyosaku from June 1927 to May 1928. Gagokwonryu, Namhuntaepyeongga, Songganggasa, Gasayukjong, Gogeumgagok, Yeochanggayorok in Namchangmungo in central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re what they transcribed. The works were transcribed again by Lee Byeong-gi and Jo Yun-je, which has been widely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Korean classic poetry.

      • KCI등재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LOVE SONG 연구

        송민규 ( Min Gue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본고는 한국 최초의 영문 월간잡지 『The Korean Repository』에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 1863-1936)이 소개한 문학작품 중, LOVE SONG이라고 인식한 번역시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한국 문학에 관련된 서양인들의 기록 또는 번역작품이 등 장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인상이나 평을 기록한 오페르트(Ernest J. Oppert)나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가 있었고, 한국 소설을 번역한 알렌(Horace Newton Allen)이나 아노로스(Arnous H. G)가 있었다. 한국시가에 대한 기록은 1895년에 이르러 처음 등장하는데, 바로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헐버트와 게일의 성과들이 그것이다. 이 중 게일은 『The Korean Repository 』에 여러 편의 한국시가를 번역하고 논의한 인물로서, 양적인 측면에서 단연 돋보인다.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게일의 번역시가는 ODE, LOVE SONG, SONG등으로 불린다. 이와 같은 명칭이 영시(英詩) 고유의 분류법임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LOVE SONG으로서의 한국시가는 가장 많은 편수가 번역되었음은 물론, 그 LOVE SONG으로서 처음 소개된 1895년 4월의 기사 ``KOREAN LOVESONG``에는 ``specimens of Korean versification(한국 시형식의 형태)``라고 소개되어 특히 주목된다. 본고는 이외에도 1896년 1월 소개된 ``LOVE SONGS``라고 소개된 작품까지 합하여 총 7편의 LOVE SONG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LOVE SONG으로서 한국시가들의 원문은 모두 『남훈태평가』에 실린 애정류시가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다양한 주제의 ODE나 SONG과는 차별된다. 『The Korean Repository』는 1892년 1월에서 1898년 12월까지(1893년과 1894년의 2년의공백기를 제외하고) 6년에 걸쳐 발간되었는데, 이 시기는 한국의 애정류 시가가성행하던 시대이기도 하다. 더구나 게일이 번역의 대상으로 삼았던 『남훈태평가』에서 애정류 시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가장 높다. 따라서 게일은 19세기말 한국사회에서 애정류 시가가 가장 유행했음을 인식하고 이 LOVE SONG을 번역하는데 관심을 쏟았으리라고 추측된다. 한편 LOVE SONG에 드러난 사랑의 표현방식은 『남훈태평가』의 원작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LOVE SONG의 사랑표현은 매우 열정적이며, 구애의 방식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원작의 사랑표현은 간접적이며, 구애의 방식에 있어서도 적극적이지 못했다. 더구나 LOVE SONG은 시어 ``love``를 적극적으로 쓰는데 반하여, 원작에는 시어 ``?랑``이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게일은 번역의 과정에서 19세기 말 애정류 시가에 표현된 한국의 정서를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사랑으로 변모시켰다. 훗날 게일은 『구운몽』, 『춘향전』 등의 번역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와 같은 번역소설에 드러난 게일의 사랑관은 그 이전에 번역한 LOVE SONG으로서 시가에 드러난 사랑관과 연결시킬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translated poems perceived as ``Love Songs``out of literary works published on "The Korean Repository", the first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by James Scarth Gale (奇一, 1863~1936).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ecords of Korean literature or translated literature works by westerners came to appear. Among them, there were Ernest J. Oppert and William E. Griffis who recorded overall impression and Horace Newton Allen and Arnous H. G who translated Korean literary works. Records on Korean lyrics first appeared in 1895, which was achievements of Herbert and Gale published on "The Korean Repository". Among them, Gale translated many Korean lyrics and discussed them on "The Korean Repository",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quantity. Korean lyrics on "The Korean Repository" translated by Gale are called as ODE, LOVE SONG or SONG. These names followed English poetry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 biggest number of Korean poems were translated under the name of ``LOVE SONG`` and the first article introducing Korean poetry under the title of ``KOREAN LOVE SONG`` in April 1895, they were introduced as ``specimens of Korean versification``. This article studied total 7 LOVE SONGS including the works introduced as ``LOVE SONGS``in January in 1896. The original texts of Korean poems published as LOVE SONGS were all love songs on "Namhuntaepyungga". Such characteristics made Korean love songs differentiated from ODE or SONG with various kinds of themes and subjects. "The Korean Repository" had been published for 6 years from January, 1892 to December, 1898 (excluding two years``break of 1893 and 1894), when love songs were popular in Korea. Additionally, "Namhuntaepyungga" which Gale translated contained high percentage of love songs. Actually, the highest portion of the works was love songs. It can be guessed that Gale perceived that love songs were popular in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ried to translate these love songs.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s of love on LOVE SONG were different from those on the original poems in "Namhuntaepyungga". Love expressions on LOVE SONG were very passionate and the courting method was very active, while those on the original works were indirect and less active in courting. Besides, in LOVE SONG ``love`` has been used actively but in original poems did not use ``?랑``at all. Gale transformed Korean`s emotion expressed in love songs in the 19thcentury to active and passionate love during the course of the translation. Later, Gale translated "Guwunmong" and "Chunhyangjeon", and sense of love shown in his translated novel could be connected to the sense of love shown in LOVE SONG that he had translated before.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의 시조번역 양상과 그 의미 -細井肇(호소이 하지메)의 『통속조선문고』를 중심으로-

        유정란 ( Yu Jeong-ran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4

        이 글은 『통속조선문고』에 수록되어 있는 호소이 하지메의 『남훈태평가』 번역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이는 그간의 선행 연구에서 호소이 하지메의 조선 문학 번역 작업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에 대한 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고에서는 호소이 하지메의 부정적 번역관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하고 오로지 시조 번역 양상만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때, 호소이 하지메의 시조 번역 양상을 살피기 위해 岡倉由三郞(오카쿠라 요시사부로)의 시조 번역을 앞서 검토했다. 그 결과 오카쿠라의 경우 시조의 정형을 살려 번역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후 호소이 하지메가 번역의 대상으로 삼은 『남훈태평가』의 저본을 『남훈태평가』(하)로 규정했다. 구성상의 특징으로는 의식적인 배열을 꼽았고, 이때 작품선택의 기준은 한국인의 정서를 보다 잘 드러내는 노래작품인가에 있었다. 이후 시조의 번역 양상을 한자어와 구어체, 분리, 생략과 변경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호소이는 일본의 언문일치체에 맞춰 시조를 번역하려고 시도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고에서는 호소이는 조선인의 부정적 심성을 드러내기 위해 시조를 번역한 것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번역의 의의와 함께 그 오류와 한계를 아울러 검토하였는데, 대부분의 오류가 원작품에 대한 오독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더불어 이 한계점이 호소이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근거로는 사용될 수 없음을 말했다. This research is for looking into Hosoi-Hajime(細井肇)`s translation aspects of 『Namhun-taepyeongga』 embedded in 『Tongsok-Joseon-Mungo』 This study stemmed from reflection of the negative evaluation of Hosoi-Hajime(細井肇)`s translation work about Joseon literature. This article, therefore, is just for looking into only translation aspects about sijo, excluding prejudice against Hosoi-Hajime(細井肇)`s negative translating viewpoint. To take a look at Hosoi-Hajime`s translation aspects about sijo, examining Okakura-Yoshisaburo(岡倉由三郞)`s translation aspects was needed in advance. The result brought a clear distinction in terms of paying much attention on translating pattern of sijo in Okakura-Yoshisaburo(岡倉由三郞)`s translation. Then, defined Namhun-taepyeongga which Hosoi-Hajime aimed to translate as Namhun-taepyeongga(Ha). Formational features were firstly conscious sequence and the criterion for selecting work was how well the song showed Koreans` emotion. Secondly, we have looked into translation aspects divided by Chinese characters and colloquial style, separation, ellipsis and alteration.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Hosoi-Hajime(細井肇) tried to translate sijo in a japanese`s unity of speech and writing way. Ultimately, we have concluded that Hosoi-Hajime(細井肇) did not translate sijo to show negative thinking of Joseon people. However, we have examined not only significance of translation but also its errors and limitations. Most of the errors were attributed to mistranslation of the original work. Also we have drawn that this limitation cannot be used as an evidence for negative evaluation about Hosoi-Hajime(細井肇).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