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籬 金允安의 삶과 시세계

        권혁명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life of Kim Yun-an in Dong-ri and the world of poetry. Kim Yun-an was not well known to us, but he was a Yeongnam literature writer who leaned toward literary studies rather than academic studies, and had excellent literary talent. In Chapter II, we looked at the life and life and the world of poetry before Kim Yun-an retired. This is a period when Kim Yun-an actively participated in reality to realize his realistic aspirations with excellent literary talent. However, due to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s aspirations had to be postponed for a whil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s political position as Nam-in was weak under the Buk-in. For this reason, Kim Yun-an transferred to local offices such as Chalbang in Sochon or Busa in Daegu. This kind of life made Kim Yun-an recognize the reality of fighting for honor. Chapter III examined the attitude of life that Kim Yun-an maintained after retirement.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self-consciousness that Kim Yun-an reveals in reality as the cause of your transaction, and Kim Yun-an recognized government life as a wandering life, thereby revealing the shabbyness of wandering life, incompetent self, and longing for home. Kim Yun-an's retirement seems to be Do Yeon-myeong's retirement on the surface, but it was actually a life attitude that kept the clear moderation of Gulwon not to join the dishonest Buk-in regime. 본고는 동리 김윤안의 삶과 시세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김윤안은 영남문인으로 문장학에 경도되었던 인물로 뛰어난 文才를 보유하고 있었다. Ⅱ장에서는 출생이후부터 은거하기 이전까지 김윤안의 삶과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김윤안이 뛰어난 文才를 기반으로 현실적 포부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치현실에 참여했던 시기이다. 그러나 임진왜란 등으로 그 포부를 펼칠 수 없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북인정권 하에서 남인으로서 정치적 한계를 실감하였다. 그러한 현실을 김윤안은 총체적으로 명예를 차지하기 위해 서로가 다투는 爭名의 現實로 인식하였다. 爭名의 現實에는 綱常倫理가 실추된 현실, 炎涼世態의 현실, 懷才不遇의 현실이 공존하고 있었다. 특히 광해군 정권에 의해 강상윤리가 무너지는 현실을 목도하자 김윤안은 과감하게 귀거래를 단행하였다. Ⅲ장에서는 은거의 계기로서 김윤안의 내면의식과 은거지에서 견지한 삶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김윤안은 爭名의 現實 속에서 자신의 신세를 떠도는 것으로 인식했으며, 그로인해 떠도는 신세의 서글픔, 고향에 대한 그리움, 귀거래에의 간절함, 무능한 자신에 대한 자조 등의 의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후 은거지에서 견지한 김윤안의 삶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김윤안은 표면적으로는 도연명의 은거의 삶을 살아가고 있었지만, 이면적으로는 屈原의 淸節의 삶을 견지하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1253년 충주성전투 승첩과 방호별감(防護別監) 김윤후(金允侯)의 역할

        강재광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2

        1253년 야고(也古)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몽골 제5차 침입군이 고려를 대대적으로 침공하였다. 제5차 침입군은 대몽전쟁기 중에서 가장 강력한 몽골 군단이었다. 몽골군 본진은 서해도의 양산성, 교주도의 동주산성·춘주성, 양광도의 양근성·천룡산성 등을 함락시키고 고려 중부 내륙 최대 거점인 충주를 포위하였다. 고려는 몽골군의 경상도 방면 진출을 막기 위해 충주에서 그들과 일대 혈전을 벌이게 되었다. 1253년에 낭장 김윤후(金允侯)는 충주산성 방호별감(防護別監)으로 파견되었다. 그의 직함으로 볼 때, 그가 파견된 곳은 충주읍성이 아니라 충주산성이 분명하다. 그런데, 1253년 당시 『고려사』에서 대몽전투의 현장은 주성(州城) 혹은 충주성으로 나온다. 충주성은 충주에서 거리가 가깝고 방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조령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었던 대림산성일 가능성이 높았다. 방호별감 김윤후는 충주성에서 몽골군 본진 제1군에 맞서 70여 일 동안 항전하였다. 몽골군 총사령관 야고가 함께 종군하였던 탑찰아(塔察兒)의 군영을 습격하는 불상사를 일으켜 몽골 황제에 의해 몽골로 소환되자 전열이 흐트러진 그들의 침공을 가까스로 막아낼 수 있었다. 1256년 몽골 제6차 침입 때 몽골군에 의해 충주성이 함락되고 곧바로 충주산성이 공격당한 사례로 보아, 1256년의 충주성은 충주읍성이 분명한데, 1253년에도 김윤후에 의한 충주산성전투와 별개로 충주읍성전투가 전개되었다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고려사』에서 ‘주성’은 용례에 따라 읍성 혹은 산성이 서로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충주성전투에서 김윤후는 청야입보에 의거한 수성전을 기본 전술로 유지하면서도 출성전·매복전·야간기습전 등 변칙 전술을 가미하여 몽골군을 격퇴시켰다. 그는 충주성이 함락될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다음과 같은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1)힘껏 싸울 수 있다면 귀천에 상관없이 관작을 내리겠다고 충주민에게 공언하였다. (2)관노 문서를 소각하여 관노들에게 신분해방에 대한 믿음을 보였다. (3)몽골군에게 빼앗은 소와 말을 군사와 백성들에게 나눠줘 그들의 항전의지를 최대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한 결과, 충주성 입보민은 결사항전하여 몽골군 본진을 물리쳤다. 충주성전투 승리로 인하여 군공을 세운 자는 모두 관작을 받았고 충주는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 Yeku(也古)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fifth invading army of mongol, attacked extensively Goryo dynasty in 1253. The fifth invading army of mongol was the most intensive mongol corps out of the period of the war against mongol. Military headquarters of mongol army captured Yangsanseong(椋山城) in Seohaedo(西海道), Dongjusanseong(東州山城) and Chunjuseong(春 州城) in Gyojudo(交州道), Yanggeunseong(楊根城) and Cheonryongsanseong( 天龍山城) in Yanggwangdo(楊廣道). Eventually they sieged Chungju(忠州) that was the largest strategic foothold of the middle part of Goryo dynasty. Goryo had to see bloody battle against mongol arm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road toward Gyungsangdo(慶尙道) direction of mongol army. Nangjang(郎將), Kim Yoonhu(金允侯) was dispatched to Chungju as Chungjusanseong(忠州山城) Banghobyulgam(防護別監) in 1253. Throughout his official designation, the spot that he was detached, was Chungjusanseong abundantly clearly. By the way, actual place of the battle against mongol in 1253, was written to Juseong(州城) or Chungjuseong(忠州城) in Goryosa(高麗史). Chungjuseong was a possibility to be Daerimsanseong(大林山城) that was closed to Chungju, and was advantageous to defense, and was located to strategic point crossing to Joryung(鳥嶺). Banghobyulgam Kim Yoonhu fighted in Chungjuseong during seventy days almost against main force units of mongol army. During this battle, Yeku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mongol army had a injury because of attacking camp of Tagachar(塔察兒), his mongol rival. Finally, Yeku was summoned to mongol by order of mongol emperor. And then, Kim Yoonhu had managed to stop attacking of mongol army that battle line was in disorder. After Chungjuseong battle in 1253, mongol army captured Chungjuseong and they instantly attacked Chungjusanseong in the period of the sixth invade to Goryo in 1256. Throughout this case, it is assumed to be deployed Chungjueupseong(忠州邑城) battle separately, regardless of Chungjusanseong battle by Kim Yoonhu in 1253. On this account, it is cleared that ‘Juseong’ was used with Eupseong(邑城) or Sanseong(山城) according to examples in Goryosa. At Chungjuseong battle in 1253, Kim Yoonhu maintained the battle for keeping fortress based on Cheongyaipbo(淸野入保) as elementary tactics. In addition to this, he is considered to defeat mongol army, carrying out sudden battle outside fortress as irregular tactics. When Kim Yoonhu was confronted with crisis situation that Chungjuseong was just close to the collapse by enemy’s strong attacking, he showed leadership like this. (1)He declared to give the office and peerage to Chungju people regardless of noble and mean, if they could fight hardly against mongol enemy. (2)He provided the trust to Gwanno(官奴: slaves in government employ) toward status liberation, burning out Gwanno ledger himself. (3)He handed out cows and horses that had taken from mongol enemy, to soldiers and Ipbomin(入保民). Therefore, he raised their fighting will to the fullest extent. The result of these outstanding leadership, Chungjuseong Ipbomin defeated military headquarters of mongol army, fighting back desperately. Owing to the victory of Chungjuseong battle, meritorious persons prized for the office and peerage all together, and Chungju was elevated to Gukwonkyung(國原京).

      • KCI등재

        재일조선인 문학에 나타난 ‘빼앗긴 들’의 장소성 - 오상홍ㆍ김윤 시의 공간성형(空間成形)성을 중심으로 -

        최종환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이동성(mobility)의 틀을 활용하면 디아스포라 시의 민족 문제를 ‘장소성’ 담론을 경유하여 읽을 수 있게 된다. ‘걷는 자’의 시선에서 보면 민족-집단은 민족/국가의 차원에서만 파악되는 것만은 아니며, 유랑자 개개인의 내면에서 다르게 장소화되는 공간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때 장소는 친밀하고도 낯설게 분열하는 주체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이 장소는 대한 민국이나 공화국이 부여한 ‘민족 랑그’를 넘어 개인의 박탈 체험 속에서 경험되는 개별화된 민족의 자리이다. ‘민족 이산’에 기반한 기존의 거대 장소성 담론은 이 1인칭 개별자들의 이동 공간에서 다시 장소화된다. 이 연구는 해방 전 이상화의 ‘빼앗긴 들’ 모티프를 해방 후 김윤, 오상홍 시의 1인칭 내면과 연계하여서 상기 맥락을 조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후자 두 시인의 내면을 랠프의 장소/장소상실 이론에 입각하여 들여다봄으로써 그들이 성형해 낸 민족 공간의 양상을 좀 더 새로운 방향에서 탐조하려는 시도이다. 사후적으로 학습된 공화국의 이데올로기 공간장에 유년 공간을 중층화시킴으로써 민족의 공간 규모를 재조정했던 시인이 오상홍이라면, 그리운 조국과의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민족 공간을 방법론적으로 병리화한 시인이 김윤이다. 해방 후 일본에 정주했었거나 거기로 건너간 그들은 자신의 무의식에 개별화된 민족 공간을 설정하고, 그곳으로 이동함으로써 새로운 민족적 장소애(topophilia)를 경험한다. 공화국 공민의 위치에서 민족 정체성을 향유해 온 오상홍은, 그 공간에 유년 제주 공간으로 이동하는 기억 통로를 중첩시키면서 이전과 달리 조정되는 민족의 장소를 관찰한다. 조정된 이 민족 공간은 빼앗긴 들 위를 “푸른 웃음, 푸른 설움”으로 걸었던 이상화의 자리에 접근한다. 김윤의 「병든 季節」에 나타난 재일조선인의 법적 권리문제도 이상화의 「병적 季節」 에 나타난 밥 상실 모티브의 징후적 계승이다. 김윤 시엔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가 은유하는 “동굴”, “불”, “마돈나”의 절망/부활 심상이 자리하는데, 그 중 부활 심상은 개별화된 생의 코나투스를 부양하는 환상이자 상처를 극복하는 이미지로 나타난다. 김윤에게 조국은 회상 공간에 다름 아니며, 그 때문에 다가갈수록 멀어지고, 멀어질수록 다가오는 ‘대상a’이다. 그 대상과의 거리는 그가 희원해 온 조국을 그때그때 성형-증감케 하는 원리가 된다. 조국은 그 거리가 펼쳐지는 들판이다. 해방 후 오상홍과 김윤은 빼앗겨 무장소(placelessness)화된 조선 공간을 총련과 민단 주체의 정체성에 의거하여 장소화했지만, 그 민족 장소는 여전한 빼앗긴 들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공화국(총련)과 대한민국(민단)이 건네 준 민족의 장소를 재장소화함으 로써 디아스포라의 조국을 발견하려 하였다. 그것은 공화국 언어만으로도 대한민국 언어만으 로도, 그렇다고 재일(在日)의 논리로만도 드러나지 않는 디아스포라적 민족 공간이다. Using the framework of mobility, we are able to read the problem of the ‘ethnicity’ of Diasporan poetry in terms of the discourse of ‘plac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lker,’ the group.of ethnicity is experienced as a space that is formed by nomads’ individual insides. Here, the group.and the place are spaces of intimate and strange split. The place is an event in which one experiences his or her mother land within individual experiences of deprivation beyond the ‘ethnic langue’ assigned by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republic. The enormous discourse of ‘ethnic diaspora’ forms a space for the previous placeness in the space of mobility for first person individuals. This study is an attempt at exploring aspects of an ethnic space that was plasticized by Kim Yun and Oh Sang-hong by looking into the first person inner sides in their poem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with the motif of ‘Lose Fields’ by Lee Sang-hwa before the Liberation based on Ralph’s theory of place/place loss. While Oh Sang-hong is a poet who regulated the scale of the ethnic space by refilling the republic’s spatial field learned afterward with a childhood space, it is the poet Kim Yun who fantasticated/ pathologized the ethnic space by maintaining a methodological distance from his missed mother land. As they had settled in Japan or crossed into there after the Liberation, they experienced a new ethnic topophilia by establishing an individualized ethnic space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migrating there. Oh, who enjoyed his ethnic identity in the position of a citizen of the republic, observes the ethnic spatial field adjusted differently from that in the past while overlapping his memory path to the Jeju space in his childhood to the public space. This adjusted ethnic space approaches Lee Sang-hwa’s position by molding lost fields with "blue laughter, blue sadness." The problem of Korean residents’ legal rights in Japan shown in Kim’s ‘Sick Season’ is a portentous succession of the motif of meal loss in Lee’s ‘Morbid Season.’The imagery of despair/resurrection with "cave," "fire," and "Madonna" metaphoricalized in Lee’s ‘Into My Bedroom’ work in Kim’s poems, and the imagery of resurrection of the two appears as a fantasy feeding the Conatus of individualized life and an image overcoming hurts. For Kim Yun, the mother land is no more than a space of recall, due to which it is ‘Object a’ that gets more distant as he approaches closer and gets closer as he gets more distant.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constitutes a principle for timely plasticizing and increasing/decreasing the mother land that he has desired for. The mother land is a field where the distance is unfolded. Though Oh and Kim formed a place with the placeless Joseon space due to loss, based on the identities of the subjects of Chongryeon and Mindan, the ethnic place was still just a ‘lost field.’ they tried to find out a Diasporan mother land by often reforming a space for the ethnic places given by the republic (Chongryeon) and the Republic of Korea (Mindan) with their existentialist unique orientedness. It is a Diasporan ethnic space that cannot be revealed only in the republic’s language, only in the languag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even only in the logic of Jainichi.

      • KCI등재

        여성농민운동가 김윤(1953-2004)의 생애와 활동

        윤정란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6

        본고는 1980년대 여성농민운동가로 삶을 살았던 김윤의 생애와 활동에 대해 세 부분으로 구분 해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정치사회운동 참여 배경, 둘째는 민청학련사건에 대한 연루와 여성농민운 동의 모색 과정, 셋째는 전북지역에서 여성농민운동가로서의 삶 등이었다.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김윤이 정치사회문제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게 된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족적인 배경에 있었다. 그녀는 시인, 수필가, 번역작가로 유명한 김소운과 1970년대 ‘민주화의 대모’로 불리던 김한림 사 이에서 1남 2녀 중 막내로 마산에서 출생하였다. 김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어머니 김한 림이었다. 그리고 언니 김영과 형부 사와마사히코 등이었다. 김윤은 1970년대 초 서강대 학생운동을 주도하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이 발생하자 관련자로 서 구속되었다. 1975년 석방된 후 다시 「제3호 자유서강」이라는 유인물을 학생들에게 배포했다가 구속되었다. 1977년 출옥한 다음 김윤은 여성주의적 정체성을 확고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여성농민 운동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여성공동체의 준비 모임 참가와 가톨릭농촌여성회와 만나서면 서 이루어졌다. 약 2년간의 준비를 한 끝에 농촌에 정착하려고 했다. 그러나 국제엠네스티 한국지 부에서 활동하다 1980년 5.18 관련자로 현상 수배되어 1년간 도피생활을 해야 했기 때문에 여성공 동체에 함께 하지 못했다. 그 후 무혐의로 처리된 다음 1981년 농민운동가 강기종과 결혼하면서 지역사회의 농민으로 뿌리내리기 위해 전북 순창에서 공동체적인 삶을 살기 시작했다. 약 5년간 이와 같은 삶을 살다 1986년 전북 완주군 구이읍으로 이주하면서 여성농민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전북지역에서 활동 하던 여성활동가들과 모임을 가지면서 전북여성민주회를 결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읍여성농민회, 전북여성농민회준비위원회, 나아가 전국여성농민회 등을 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김윤 은 여성농민의 교육을 위한 교재 『여성농민 위대한 어머니』를 출간하였다. 그녀는 전국적인 여성 농민단체가 결성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투병생활로 더 이상 활동할 수 없었다. 2004년 그녀는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This examines the life of Yoon Kim, who lived as a peasant woman activist in the 1980s, following the three sections. To begin with, it was her involvement in the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Secondly, it was her involvement in the civilian education incident and her search for the peasant women's movement. Thirdly it was her life as a peasant woman activist in the Jeonbuk region, and so forth.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The most crucial factor that led to Kim Yoon's consciousness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s her family background. She was born in Masan as the youngest of one son and two daughters to Kim So-un, a famous poet, essayist, and translator, and Kim Han-rim, who was called the godmother of democratization in the 1970s. It was her mother, Kim Han-rim, that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her. Furthermore, it was her older sis ter, Kim Young, and her brother-in-law Sawa Masahiko. Kim Yoon led the student movement at Sogang University in the early 1970s and was arrested as a related person when the incident of the student organization N at i o n a l D e m o c r at i c Yo u t h - S t u d e nt L e a g u e ( m i n j u c h ' ŏn g ny ŏn h a k s a e n g ch'ongyŏnmaeng) occurred in 1974. After she was released in 1975, she again distributed a handout titled No. 3 Freedom Sogang to her students, and she was arrested. After leaving her prison in 1977, she began contemplating the feminist movement while firmly shaping her feminist identity. It was achieved through participation in preparatory meetings of women's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in rural Catholic women's association. After about two years of preparation, she tried to settle in the countryside. However, she was active in the Korean branch of Amnesty International, and she was unable to join the women's community because she was wanted as an associate on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and had to escape for one year. After she became innocent, she married Kijong Kang, a peasant activist in 1981, and began living a public life in Sunchang, Jeollabuk-do, taking root as a farmer in the community. She lived a life like this for about five years. When she moved to Gui-eup, Wanju-gun, Jeollabuk-do in 1986, s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easant women's movement. She formed the Jeonbuk Women's Democratic Association while meeting with women activists active in the Jeonbuk region. She played a leading role in forming the Jeongeup Women Peasants Association, the Jeonbuk Women Peasants Association Preparation Committee, and the National Women Peasants Association. Yoon Kim published The Great Mother of Women Peasants, a textbook for the education of women peasants. S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national women peasants group, but she was no longer able to work because of her illness. In 2004, she passed over at the age o f 51.

      • KCI등재

        대몽항전을 통해 본 김윤후의 대몽전략과 리더십

        강재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Kim Yoonhu who was a chief of warrior monks, killed Sartai (撒禮塔) who was the general of Mongol army at the Cheoinseong (處仁城) battle in 1232. He leaded to supervise Cheoinbugokmin (處仁部曲民) and warrior monks. Specially, he succeeded in killing the enemy’s chief throughout correct sight gunnery of archers. After 20 years, as Chungjusanseongbanghobyulgam (忠州山城防護別監) Kim Yoonhu carried out Chungjuseong (忠州城) battle. At this battle, he defeated Mongol army under the control of Great King Yago (也古) who was a member of the imperial family of Mongol. At that time, he burned slave ownership paper of Chungju (忠州) and promised the liberation of status of slaves in government employ (官奴). As the result, will to fight of Chungju people was raised largely and finally could hold victory. In 1259, he was sent to Donggye (東界) as Dongbukmyunbyungmasa (東北面兵馬使), and contributed indirectly to victory of Hankyesanseong (寒溪山城) battle and Cheongokchon(泉谷村) battle, by dispatching Sambyulcho (三別抄) units in time. Kim Yoonhu’s leadership in the fighting against Mongol is summarized like this. The first, though outstanding military service, he did not desire military officer of high rank, and showed incorruptible personality. The second, he made the best use of persons that had military talent, without regard to estate. Also he awarded a prize to men of merit. The third, he was a military strategist as well as commander that had established strategy against Mongol systematically. The fourth, he did not flatter to military ruler, and only devoted for revival of Goryo dynasty, cessation of the war against Mongol, and recovery of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백현원 승려 출신이었던 김윤후는 1232년(고종 19) 처인성전투에서 승병장 역할을 자임하면서 처인부곡민과 승도를 통괄 지휘하고 궁수 부대를 통한 정확한 조준사격을 통해 몽골군 원수 살례탑을 사살하였다. 충주성전투에서는 방호별감으로서 관노 문서를 불사르고 신분해방을 약속하는 등 충주민의 전투의지를 고양시켜, 몽골군 총사령관 야고 대왕이 직접 지휘하는 몽골군 본진을 70여 일간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물리쳤다. 1259년(고종 46)에는 동북면병마사로서 한계산성전투⋅천곡촌전투에 강도에서 급파된 별초 3,000 병력을 적시에 나눠보내 한계산성방호별감 안홍민이 몽골군을 격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대몽항전에서 보여준 김윤후의 리더십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위대한 전공을 쌓았음에도 높은 관직을 탐하지 않고 낮은 관직에 상당기간 머무르면서 청렴결백한 성품을 보여주었다. 둘째, 신분제도에 구애받지 않고 귀천을 막론하고 능력 있는 자들을 전투에 적극 활용하였고 전공을 세운 자들을 포상하였다. 셋째, 대몽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몸소 실행에 옮기는 군사전략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넷째, 무인정권에 아부하지 않고 오로지 고려왕조의 부흥과 대몽전쟁의 종식, 민생의 회복을 위해 헌신하였다.

      • KCI등재

        文獻으로 본 環碧堂의 변천

        정옥경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1 No.-

        환벽당(環碧堂)의 명칭은 한자로 직역해보면 푸른빛을 두른 집이라는 뜻으로 벽(碧)은 본디 맑고 푸른 기(氣)가 있는 옥돌을 의미한다. 환벽당은 16세기 중엽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 1501~1572)가 창건하고 후학을 가르쳤던 곳이다. 이 누정은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충효리 387번지에 소재하고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환벽당의 소유권은 16세기까지 김윤제 집안이 가지고 있다가 이후 여러 차례 다른 사람에게 이전되었는데, 현재는 영일정씨(迎日鄭氏) 용지공파(龍池公派)에 있다. 영일정씨 용지공파가 이 터를 보존하고 있는 이유는 송강 정철 때문이다. 정철의 후손들은 이곳이 선조 정철과 제현(諸賢)이 노닐었던 장소라고 하여, 관리하고 보호하는 것이 그들의 본분이라고 여겼다. 이러한 선조 존숭(尊崇) 사상이 오늘날까지 환벽당을 현존하게 하였다. 누정 창건자인 김윤제 후손과 정철 후손이 환벽당을 통하여 맺은 인연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환벽당은 호남의 누정 문화 조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 중 하나로 이와 관련된 인물, 글 등은 문화적・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연구를 통해서 환벽당의 본래 모습을 잘 관리하고 계승하여야 한다. Hwanbyeokdang (環碧堂) is translated literally into a blue-colored jade stone house. This pavilion was founded in the mid-16th century by Sachon Kim Yun-je (沙村 金允悌, 1501~1572), where he taught his students. It is located at 387 Chunghyo-ri, Chunghyo-dong, Buk-gu, Gwangju, and has been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Site Scenic Area No. 107. The ownership of Hwanbyeokdang was held by the Kim Yun-je family until the 16th century, and has since been transferred to others several times. Currently, it is owned by the clan branch of Yeongil Jeong-si Yongjigongpa (迎日鄭氏 龍池公派). The reason the clan owns this site is because of Songgang Jeong Cheol. Descendants of Jeong Cheol believed that this was the place where their ancestor Jeong Cheol and many gentlemen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that it was their duty to manage and preserve it. This ideology of respect for ancestors is the main factor that made Hwanbyeokdang exist to this da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cendants of Kim Yun-je, the founder of the pavilion, and the descendants of Jeong Cheol, through Hwanbyeokdang, continues to this day. Hwanbyeokdang is one of the places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the study of pavilion culture in Honam, and the related figures and writings have cultural,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Therefore, the original appearance of Hwanbyeokdang should be well managed and inherited through research.

      • KCI등재

        高麗 對蒙抗爭期 金允侯將軍의 3次例 勝戰의 意義

        김호준(Kim Hojun)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4

        고려와 몽골간의 6차에 걸친 전쟁 중에 몽골군이 고려에 의해 패퇴하여 철수 한 것은 2차 전쟁이 유일하다. 2차 전쟁에 대한 고려 승전의 결정적인 전투가 金允侯가 참전했던 處仁城戰鬪(1232년 12월)이며, 이 전투에서 몽골군 총사령관 撒禮塔이 사살되었다. 김윤후는 대몽항쟁기에 처인성전투와 5차 전쟁에서 防護別監으로 임명되어 忠州城戰鬪를勝戰(1253년 10월)으로 이끈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김윤후가 1259년 1월에 임명된 東北面兵馬使재임기간 동안 발생한 麟蹄寒溪山城勝戰(1259년 2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 당시 기록이 빈약하여 처인성전투와 충주성전투, 한계산성전투의 자세한 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본고는 사료의 빈곤을 보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현장의 자료인 성곽과 11세기에 발간된 北宋의 兵書인 武經總要 와 몽골이 서하와 금, 송나라의 전쟁과정을 기록한 자료들을 통해 당시의 전투상황을 비교 검토하여, 처인성과 충주성승전의 전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인제 한계산성의 승전에 대한 의의를 도출해냈다. 필자는 김윤후가 군사조직의 리더로서 전투상황 속에서 어떠한 해결방안을 도출해 내고, 어떻게 조직을 이끌어서 성공적인 결과물을 창출해냈는지, 그리고 승전 이후 하부조직에 대한 적절한 공적의 분배 등을 통해 군지도자로서의 리더십(leadership)과 관련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를 기대한다. In the course of six wars between Goryeo Dynasty and Mongolia, the Mongol army was only defeated and withdrew in the 2nd War. The crucial battle for Goryeo to win this war was the Cheoinseong Fortress battle, in which a military officer, Kim Yun-Hoo, took part and the Mongol military commander Salietai was killed.(December 1232) Kim Yun-Hoo, appointed as the mountain fortress guard officer during Goryeo s 5th war against Mongolia(October 1253), is famous for achieving victory in the Battle of Chungjuseong Fortress in this period. However, the fact that he led Inj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in triumph during his service, as a military commander of the Northeast area since 1259, is not well known. The documentation regarding that time is so lacking that it is tough to grasp the detailedsituation of the battles in Cheoinseong Fortress and Chungjuseong Fortres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data and determine the war situation in detail, this article closely investigates the castles themselves; North Song Dynasty s military compendium Wujing Zongyao published in the 11th century; Mongol s record of wars against Seoha, the Jin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The conclusion illuminates the unexplained significance of the successful war of the Hangyesanseong Fortress battle. This paper examines what solutions Kim Yun-Hoo, as a leader of a military organization, found during the battles, how he led the organization to successful outcomes, how he appropriately distributed the credit of the victories to those lower in his organization. I hope it opens up a new horizon in the field of research related to Kim Yun-Hoo s leadership.

      • KCI등재

        對蒙戰爭期 處仁城勝捷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廣州道 방어 및 部曲民‧僧徒의 항전과 연관하여-

        강재광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3

        Cheoinbugok(處仁部曲) was belonged to “B route”(southern inland route) of Gwangjudo(廣州道) in Goryeo dynasty. A important military storage was located in Cheoinseong(處仁城) of Cheoinbugok. Cheoinseong was the strategic point that goes forward Jinwihyun(振威縣) from Suju(水州). Therefore, that castle was recognized to significant military and geographical foothold. Mongol army invaded again Goryeo dynasty in 1232, rebuking the escape to Ganghwa Island(江華島) of Gyekyung Court(開京朝廷). Sartai(撒禮塔)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Mongol army, gave up the direct landing attack toward Ganghwa Island. In exchange, he established to a plan of campaign that should capture a lots of important castles in Gwangjudo. Sartai succeeded in destroying Hanyangsanseong(漢陽山城) on October in 1232. But, he was defeated to Gwangjusanseong battle(廣州山城戰鬪) by Gwangju Juhyunmin(州縣民). After this battle, Sartai moved south toward Suju(水州), leading a few units under his control. He attacked rapidly Cheoinseong which had a military storage on December in 1232. In Cheoinseong battle, Cheoinbugokmin(處仁部曲民) had achieved a triumph that defeated main force units of Sartai. The combat leader of Cheoinseong battle was Kim Yoonhu(金允侯) who was a Buddhist monk of Baekhyunwon(白峴院) temple. As a leader of monk soldiers, Kim Yoonhu repulsed attacks of Mongol main force units, directing Bugokmin and monk soldiers. Owing to the victory of Cheoinseong battle, Mongol army could not head for southward any more. As the result of the victory, Kando Court(江都朝廷) was assured safety of “B route” of Gwangjudo(廣州道). Also, Choi Woo(崔瑀)’s political power could reinforce Haedoipbochaek(海島入保策) even more. One step more advanced, Kando Court did not need to fulfil 6 duties(六事) to Mongol Empire. These aspects could be magnified as historical meaning of the triumph of Cheoinseong battle. Cheoinbugok(處仁部曲) was belonged to “B route”(southern inland route) of Gwangjudo(廣州道) in Goryeo dynasty. A important military storage was located in Cheoinseong(處仁城) of Cheoinbugok. Cheoinseong was the strategic point that goes forward Jinwihyun(振威縣) from Suju(水州). Therefore, that castle was recognized to significant military and geographical foothold. Mongol army invaded again Goryeo dynasty in 1232, rebuking the escape to Ganghwa Island(江華島) of Gyekyung Court(開京朝廷). Sartai(撒禮塔) who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Mongol army, gave up the direct landing attack toward Ganghwa Island. In exchange, he established to a plan of campaign that should capture a lots of important castles in Gwangjudo. Sartai succeeded in destroying Hanyangsanseong(漢陽山城) on October in 1232. But, he was defeated to Gwangjusanseong battle(廣州山城戰鬪) by Gwangju Juhyunmin(州縣民). After this battle, Sartai moved south toward Suju(水州), leading a few units under his control. He attacked rapidly Cheoinseong which had a military storage on December in 1232. In Cheoinseong battle, Cheoinbugokmin(處仁部曲民) had achieved a triumph that defeated main force units of Sartai. The combat leader of Cheoinseong battle was Kim Yoonhu(金允侯) who was a Buddhist monk of Baekhyunwon(白峴院) temple. As a leader of monk soldiers, Kim Yoonhu repulsed attacks of Mongol main force units, directing Bugokmin and monk soldiers. Owing to the victory of Cheoinseong battle, Mongol army could not head for southward any more. As the result of the victory, Kando Court(江都朝廷) was assured safety of “B route” of Gwangjudo(廣州道). Also, Choi Woo(崔瑀)’s political power could reinforce Haedoipbochaek(海島入保策) even more. One step more advanced, Kando Court did not need to fulfil 6 duties(六事) to Mongol Empire. These aspects could be magnified as historical meaning of the triumph of Cheoinseong battle.

      • 19世紀 繪畫式 郡縣地圖와 地方文化

        박은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09 한국고지도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19세기에 유행한 회화식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그 제작배경과 용도, 화가와 화풍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18세기 이후 정부차원의 공적인 전국 군현지도집으로부터 군현에서 공적으로, 사적으로 제작된 독립형식의 군현지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도들이 제작되었다. 그 가운데 독립형식의 군현지도는 지도의 내용과 구성, 형식과 소재, 표현기법과 수준 면에서 전국규모의 군현지도집에 실린 지도와 구별되는 면모를 보여준다. 독립 형식의 군현지도에 담겨진 군현의 모습과 세부내용, 표현의 특징 등은 지도의 제작동기와 용도, 수요자와 제작자, 지방문화 등 많은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나타났다. 19세기에 유행한 독립형식의 회화식 군현지도에는 군현의 전모가 대규모 화면에 감상회화에 준하는 세련된 표현으로 재현되었다. 이것은 곧 지도의 새로운 용도와 기능, 지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지도들은 공적인 면에서는 관료들을 위한 통치의 자료로서 활용되었고, 때로는 동일한 지도라도 사적인 소유물이 되는 등 19세기 이후 군현지도와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지도의 표현에도 새로운 요소와 형식, 표현이 도입되었다. 군현의 경관을 그리면서 지방관의 행차와 순력, 행사 장면을 넣는가 하면 산수화의 기법을 차용하여 아름다운 감상화와 같은 효과를 자아내었다. 이는 지도가 더 이상 행정과 통치를 위한 공적인 수단만이 아니라 장식하고 감상하며, 기념하기 위한 대상으로 변화된 것을 시사한다. 19세기 회화식 군현지도에 나타난 변화는 화원이 지방관이나 화사군관으로 파견되었던 제도적인 요인과도 관련이 있다. 중앙화단에서 활동하던 화원들이 지방에 파견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회화성이 강조된 지도가 등장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규장각 소장의 〈전주지도〉에 나타난 화풍 상의 특징을 통해 18세기 중엽 경 김희성이라는 당대 최고의 화원이 그린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주지도〉는 나라 최고의 기량을 갖춘 화원이 지도제작에 관여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주목된다. 다음으로 동래지도를 중심으로 지역 변박과 이시눌 등 지역출신 화가의 활약을 살펴보았으며, 양식 분석을 통하여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동래지도〉가 이시눌의 작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러 종류의 동래 지도들을 비교하여 이 작품들 사이에 화풍 상의 연관성이 뚜렷하다는 사실을 토대로 동래 지역의 지도에 있어 화풍의 전수가 일어난 것을 지적하였다. 이는 동래 지역 특유의 문화가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진주지도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서 활약하였던 김윤겸화풍의 영향 문제를 지적하였다. 현존하는 진주지도들에 구성과 내용, 소재의 공통점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김윤겸화풍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구명하였다. 진주지도의 구성과 소재, 화풍 등은 동래지도와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지역에 따라 고유한 전통과 화풍이 존중되는 현상이 있었고, 회화식 지도가 지방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구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임을 의미한다. 이 논고를 통해 고지도의 연구에서 있어 미술사적 방법론이 활용될 수 있음을 구명하였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글을 마친다.

      • KCI등재

        신라 金庾信系의 정치적 위상과 추이

        김수미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Kim Yu-shin, along with the line of King Muyeol, played a leading role in unifying the three kingdoms. By the late middle Silla period, however, descendents of Kim Yu-shin did not have as much impact on politics as their ancestors. For example, although Kim Yun-jung in the late middle Silla period, the grandson of Kim Yu-shin, still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with descendents of King Muyeol even during King Seongdeok's reign on his grandfather's coattails, he failed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political field. Kim Yu-shin's stature as a leading contributor to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s still high during King Seongdeok's reign under the protection of the descendants of King Muyeol. However, it appears that those who newly acquired powers tried to contain the growth of political influence of descendants of Kim Yu-shin. Therefore, it was widely believed that the political rank of descendants of Kim Yu-shin was reduced from true bone to head rank sixth of bone rank system when Kim Yun-jung's grandson, Kim Am, was the head of the family. Kim Am is presumed to have raised the status of the family which had became reduced due to one of Kim Yu-shin's descendant, Kim Yung's treason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the last king of the line of Muyeol. After Kim Yung's treacherous acts, Kim Am elicited an apology from King Hyegong through violent demonstration and restored his family's reduced status through political negotiations with the king. This indicates that descendants of Kim Yu-shin still exerted strong political influence in the late middle Silla era. In addition, descendants of Kim Yu-shin establishe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King Wonseong. It appears that descendants of Kim Yu-shin helped Kim Gyeong-sin to win the battle for the throne against Kim Ju-won, the descendant of King Muyeol. In the early years of King Wonseong's reign, Commander of the Paegang Garrison Kim Am and King Wonseong maintained a close political relationship. Likewise, in the early late Silla period, descendants of Kim Yu-shin chose the line of Wonseong over the line of Muyeol as their political partners. In addition, in another battle for the throne between the line of Muyeol and the line of Wonseong which occurred by Kim Heon-chang during King Heondeok's reign, Kim Ung-won, a descendant of Kim Yu-shin, helped the line of Wonseong, not the line of Muyeol. Descendants of King Wonseong needed the support of descendants of Kim Yu-son to restrain the power of descendants of King Muyeol. After the battle, King Heungdeok, the line of Wonseong, granted Kim Yu-shin an unprecedented posthumous title "Great King Heungmu." This was not only a measure to embrace Geumgwan Gaya forces including descendants of Kim Yu-shin and but also a political alliance to solidify power succession after King Heungdeok. Later, in the reigns of Kings Gyeongmun and Heongang, descendants of Kim Yu-shin held low ranks, such as Nama and Daenama. This indicates that the political status of descendants of Kim Yu-shin during the reigns of Kings Gyeongmun and Heongang was far lower than that of their ancestors. It is presumed that this was because descendants of Kim Yu-shin helped the line of In Gyeom in the battle for throne among descendants of King Wonseong which occurred after King Heungdeok's death. After King Sinmu's accession to the throne, no kings came from the line of In Gyeom who lost the battle for the throne to the line of Yeyeong. As a result, descendants of Kim Yu-shin who supported the line of In Gyeom had far less powerful political influence during the reigns of kings who came from the line of Yeyeong after King Sinmu. 金庾信은 武烈系와 함께 삼국을 통일한 주역이었다. 그러나 김유신계도 중대 말에 이르러서는 그 이전과 다른 정치적 상황들에 놓이게 된다. 먼저 중대 말 김유신계의 인물인 金允中은 할아버지인 김유신의 후광으로 성덕왕대에도 여전히 무열계 왕권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김유신계인 김윤중의 활약은 이후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신라 통일 주역으로서의 김유신의 위상은 중대 성덕왕대에도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어 무열계 왕의 비호를 받고 있었으나, 왕을 중심으로 형성된 새로운 세력들은 김유신계를 견제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기존에는 김윤중의 손자인 金巖 대에는 김유신계가 진골에서 6두품으로 하락했다고 보았다. 김암은 무열계의 마지막 왕 혜공왕 때에 있었던 김유신계인 金融의 모반사건으로 위상이 격하된 가문을 일으킨 인물로 추정된다. 김융 모반사건 이후 김유신계는 김암의 무력시위로 혜공왕의 사과를 받아내고, 왕권과 정치적으로 타협하여 실추된 가문의 위상을 회복하였다. 이처럼 김유신계는 중대 말 쇠락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하대 원성왕대에는 왕권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 김유신계는 하대 무열계 金周元과 원성왕 金敬信의 왕위 쟁탈전에서 무열계가 아닌 원성계를 선택했던 것으로 보인다. 원성왕 즉위 초 浿江鎭頭上이었던 김암과 원성왕은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이처럼 신라 하대 초 김유신계는 무열계가 아닌 원성계를 정치적 동반자로 선택했다. 이와 같은 선택은 헌덕왕 때에 또다시 발생한 무열계와 원성계의 왕위 쟁탈전인 金憲昌의 난에서 김유신계인 金雄元이 원성계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러자 원성계의 입장에서 볼 때 김유신계는 오히려 무열계를 견제하는데 필요한 세력이 되었다. 김헌창의 난 이후 원성계 흥덕왕은 김유신계를 무마 내지 회유하기 위해 김유신을 興武大王으로 추증하였다. 이는 원성계가 김유신계를 비롯한 금관가야세력을 모두 아우르기 위한 조치일 뿐만 아니라 흥덕왕의 후계 구도를 위한 일종의 정치적 연합이었다. 이후 경문왕, 헌강왕대에 이르러 김유신계인 新金氏 인물들은 奈麻, 大奈麻 등 낮은 관등을 소지한다. 이는 경문왕, 헌강왕대에는 김유신계의 지위가 이전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로 흥덕왕 사후 일어났던 원성계 내부의 왕위쟁탈전에서 김유신계가 仁謙系를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인겸계는 결국 신무왕의 즉위로 왕위쟁탈전에서 禮英系에 밀려 다시는 왕을 배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겸계를 밀었던 김유신계도 결국 인겸계와 운명을 같이 하여 신무왕 이후 예영계 왕들의 치세에는 세력이 현저히 약해졌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