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安國>의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

        정인혁(Jung, In-hyouk)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1

        본고의 목적은 <김안국>의 서사 속에서 김안국이라는 인물의 변화 동인을 살피고 김안국을 중심으로 김안국과 관계 맺는 인물들을 대상으로 정체성 확립의 문제를 논하는 것이다. 한 인물의 정체성을 논할 때 그 인물의 성격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그를 둘러싼 타자와의 관계이다. 왜냐하면 한 인물의 정체성은 여러 다른 주체와 함께 있을 때 의미 있기 때문이다. 김안국은 아버지 김숙 등과의 관계 속에서 사대부 남성으로서 가져야 할 문장 능력이 결핍된 존재로 인식된다. 이는 문자에 대한 어지럼증으로 나타나는 김안국의 육체적 수동성에 기인한다. 김안국 자신의 타자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김안국의 정체성을 불완전하게 한다. 결핍은 관계의 단절을 가져오고 관계의 단절은 김안국의 존재론적 위기를 초래한다. 이런 점에서 일견 <김안국> 이야기는 일견 ‘사위박대담’ 및 ‘배우자선택담’과 유사하다. 하지만 인물의 주체성, 인물의 갈등 관계 등에서 차별적이다. 부인 이 씨는 김안국의 비범한 능력이 발현시키고 과거에 급제한 김안국은 아버지 등으로부터 인정받게 된다. 이는 자기의 타자성을 인식했던 이 씨 부인이 김안국을 또 다른 주체로 인정하고 배려함으로 그가 자신의 타자성을 결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기 동일성과 타자성의 결합이 바로 자기 정체성 확립의 변증법이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think about what is the power that changed Kim, An-guk. 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 identity by analyzing the <Kim, An-guk>. When discussing the identity of a person, as important as the personality of the person is the other person surrounding hi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ecause the identity of a person is meaningful when it is with many other different people. Kim, An-guk was perceived by his father, uncle, and father-in-law as a person who lacks the literary talents that a man of the scholar-gentry class should possess. This is due to Kim, An-guk s physical passivity. Kim s physical passivity appears as dizziness for the characters. The lack leads to the breakdown of the relationship, and the break of the relationship causes Kim, An-guk s ontological crisis. However, Kim An-guk s extraordinary ability is expressed by Kim s wife. Because of this, Kim, An-guk is recognized by his father and others. So, <Kim, An-guk> is like a story on the choice of a spouse and a story of poor treatment to son-in-law. But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and the conflict relationships are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Mrs. Lee, who recognized her own otherness, acknowledge his otherness and considered him as another subject. This combination of self-identity and Otherness is the dialectic of establishing identity.

      • 이천지역 역사인물 연구의 새 방향을 모색하며 : 모재 김안국의 사례

        백승종(Paik, Sungjong) 경기민속학회 2023 경기민속학 Vol.- No.7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김안국의 실학자적인 태도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는 성리학적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는데, 그 바탕에는 농업 중심의 평화로운 공동체가 존재하였다. 김안국은 각종 언해 사업에 앞장섰고, 특히 향약, 농업, 의약 등 실용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전파하는 데 전념하였다. 그가 그렇게 한 까닭은 농촌을 부강하고 윤리적인 실천의 장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둘째, 김안국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작업이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이었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김안국은 교화(敎化, 윤리적으로 바꿈)하는 인간에서 자신의 참모습을 찾고자 하였다. 벼슬에 있을 때나 초야에 머물 때나 그는 늘 진지한 학자요 교육자였다. 그는 유교적 계몽사상가였다고 해야 옳겠다.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김안국은 이천의 인물이자 여주의 인물이기도 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김안국은 이천의 인물이자 여주의 인물이기도 하였다. 그밖에도 다른 지역과도 깊은 관계를 맺었다. 그에 관한 미래의 연구에서는 여러 지역이 긴밀하게 협력하는 자세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김안국의 저작 『모재집』이 아직 한글로 완역되지 못하였다. 앞으로 우리는 그의 저작도 빠짐없이 수집하고, 연구에 보조적인 자료집도 편찬해야 한다. 아울러,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그의 저작물을 온전히 번역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 인물의 사상은 그가 속한 사회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분석을 토대로 삼는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김안국의 생애와 학문에 관한 연구에 재정도 빈약하였고, 학제적 연구도 불가능하였다. 앞으로는 이런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넷째, 김안국의 지적 유산이 다음 세대로 이어진 실상도 연구해야 한다. 그의 제자 미암(眉庵) 유희춘(柳希春)은, 스승이 개척한 언해사업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그럼 이천과 여주에서 김안국이 기른 제자들은 훗날 어떠한 역할을 하였을까. 그들은 농업이나 의약 같은 실용적 지식의 중요성을 깨달아 독농가(篤農家) 또는 공공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향촌 지식인으로 성장하였을 것이다. 또, 스승 김안국이 강조한 윤리적 규범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효제(孝悌)의 도리를 보급하는 역할을 하였을 가능성도 컸다. 미래의 연구에서는 김안국의 정신적 유산이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도 밝혀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following two issues were examined. First, we looked into the orgin of the Kim An’guks scholarly attitude. He figured out of the utopia of the Neo-Confucianism, that is a peaceful community centered on agriculture. Kim An’guk took the lead in various research projects, and especially devoted himself to practical knowledge such as herbal medicine and various techniques of agriculture. He intended to make rural areas prosperous and had a strong desire to make it a place to practice Confucian virtues. Second, exploring Kim An’guks identity was another purpose of this paper. Based on the authors analysis, he always desired to be a Neo-Confucian scholar who taught the people. When he was in office or when he lost his position and lived in the countryside, Kim was always a devoted scholar and educator. In a word, he was a truly serious Confucian enlightenment scholar.

      • KCI등재

        삼포왜란후(三浦倭亂後)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대일외교(對日外交) 논리와 전략

        이향배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해양문화재 Vol.15 No.-

        The Japanese invasions of Sampo(三浦倭亂) was a rebellion by the Japanese people living in Joseon and Tsushima due to years of accumulated discontent. Joseon suppressed the rebellion with force and broke off all relationships with Tsushima after the invasion. The Joseon government strongly urged for the punishment of the instigators of the invasion, which allowed for the resumption of relationships with Tsushima. During this process, Kim An-kuk(金安國), as the receiving official, greeted the Japanese envoy Boongjoong(弸中) and wrote the diplomatic letters to the Japanese King and the lord of Tsushima to pacify the Joseon-Japan tensions. The biggest contributor toward the reconnection of Joseon and Tsushima was the Japanese envy Boongjoong. When Boongjoong came to Joseon to ask for peace, the officials of the Joseon government were opposed and demanded punishment of the rebels as a precondition. With the mediation of Boongjoong, the lord of Tsushima punished the rebels and Joseon accepted the peace request. Kim An-kuk, as the receiving official, gained great respect by Boonjoong upon his reception, due to his detailed explanation of Joseon’s position regarding the peace treaty. In addition, Kim An-kuk sent a letter to the Japanese King representing Joseon’s position regarding the peace treaty, where he clearly explained the faults of Tsushima and expressed the desire political influence to pressure the lord the invasion while maintaining an amicable strategy was effective in punishing the Kim An-kuk frequently communicated diplomatic letters, in which he used While persuading the lord of Tsushima relationships or the past graces of explaining the consequences of refusing strategies allowed for the smooth processing Tsushima. 삼포왜란은 누대동안 축적된 불만으로 인해 항거왜인(恒居倭人)과 대마도 왜인이 모의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다.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은 무력으로 진압을 했고 대마도와의 모든 교류를 단절하였다. 경제적으로 핍박을 받은 대마도주는 본국을 통해 조선에 화친을 제안하였다. 조선 정부는 삼포왜란을 일으킨 주모자들의 처벌을 강력하게 요구하였고 결국 대마도와의 교류가 재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김안국은 대일외교에 있어서 선위사로서 강화를 요구하기 위해 왜사로 온 붕중(弸中)을 접대하였고 일본 국왕과 대마도주에게 보내는 외교문서를 작성하였다. 본고는 이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김안국의 대일 외교 논리와 전략에 대해 밝혔다. 조선과 대마도가 다시 화친을 하는데 가장 큰 기여자는 왜사 붕중이다. 붕중이 조선에 와서 화친을 요구했을 때 조정의 신하들은 화친을 반대하면서 대마도에 있는 반도들의 처벌을 화친의 조건으로 내세웠다. 붕중의 중재로 인해 대마도주가 반도들을 처벌하였고 조선은 화친을 수락하였다. 당시에 선위사로서 김안국은 붕중을 접대했는데 붕중의 존중을 받았다. 김안국은 붕중에게 화친에 대한 조선의 입장을 잘 설명했다. 또한 김안국은 일본국왕에서 국서를 보내 화친에 대한 조선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일본 국왕에게 대마도주의 잘못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반도들의 처벌에 대한 조선의 의지를 분명하게 표명하였다. 일본과의 우호관계는 돈독하게 지속하면서 대마도주에게 압박을 하여 삼포왜란을 일으킨 반란자들을 처벌하도록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전략은 주효하여 조선은 대마도 반도(叛徒)를 처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대마도주와는 서계를 통해 빈번하게 소통했는데 김안국은 대마도주에게 보내는 서계에 회유와 압박이라는 글쓰기의 전략을 구사하였다. 선대부터 교류해온 우호적인 관계나, 조선이 베풀어준 은덕을 서술하여 대마도주을 회유하는 동시에 조선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조선의 후속조치로 인해 더 큰 불행한 사태를 설명하여 압박을 가하였다. 이러한 김안국의 글쓰기 전략으로 인해 대마도와 관련된 민감한 정치적 사안들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의 학문과 사상

        정재훈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9 No.-

        Kim An-guk (1478–1543), a scholar and bureaucrat who wa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was a disciple of Kim Gong-pil and, along with Jo Gwang-jo, was classified as a Gimyo Sarim. He is evaluated as a person who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preservation and expansion of Neo-Confucianism after Gimyo-sahwa. After Jo Gwang-jo's political reforms failed due to the kimyo-sahwa, Kim An-guk also resigned from his post and lived in seclusion for nearly 20 years.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is, Kim An-guk mainly worked on the social practice of Neo-Confucianism. While serving as an officer in Gyeongsang-do and in Jeolla-do, he focused on publishing various educational books such as 『Jeongsok Eonhae』, 『Iryeonhaengsildo』, and 『Yeossi Hyangyak』. In particular, 『Iryeonhaengsildo』, a book that Kim Ahn-guk personally recommended to compil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horizontal ethics beyond family and relatives were recognized as ethics necessary for rural communities. He also focused on the dissemination of 『Yeossi hyangyak eonhae』, which was led by Kim An-guk in connection with the Gimyo Sarim and the people who sympathized with it. Applying age-based standards to slaves was unprecedented at the time. While Kim Ahn-guk was a member of Sungkyunkwan, he influenced many people such as Jung Ji-woon, Kim In-hoo, and Yoo Hee-chun. However, his ideological achievements were focused on laying the groundwork for practice rather than on the philosophical aspect. It can be said that his role was pioneering in the practice of hyangyak in the villages as historical subjects and leading the order of the villages. 16세기 전반에 활동한 학자이자 관료인 김안국(金安國, 1478~1543)은 김굉필의 문인으로서 조광조와 함께 기묘사림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그는 기묘사화 이후 성리학을 보존하여 이를 확대하는 데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된다. 기묘사화로 인해 조광조의 정치 개혁이 실패로 돌아간 후 김안국 역시 관직에서 물러나 20년 가까이 은거생활을 한다. 이를 전후로 한 시기에 김안국은 주로 성리학의 사회적 실천에 노력하였다. 경상도관찰사와 전라도관찰사를 지내며 『정속언해』, 『이륜행실도』, 『여씨향약』 등 각종 교화서의 간행에 주력하였다. 특히 『이륜행실도』는 김안국이 직접 편찬을 건의한 도서로서, 가족과 친족을 넘어 수평적인 윤리가 향촌에 필요한 윤리로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 『여씨향약언해본』의 보급에 주력하였는데, 이는 기묘사림과 그에 동조한 인물들과의 연계 속에서 김안국이 주도한 것이었다. 노비에게까지 나이에 따른 기준을 적용한 것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것이었다. 김안국은 성균관 사성으로 있으면서 정지운이나 김인후, 유희춘 등 많은 인물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의 사상적 성취는 철학 방면보다는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치중되었다. 사대부들이 역사적 주체로서 향촌에서 향약을 실천하고 향촌의 질서를 주도하는 데에 그의 역할은 선구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금안국(金安國)의 “권소학시(勸小學詩)”에 나타난 교육관(敎育觀) 연구(硏究)

        ( Young Rin Cho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본 논문은 .安國의 문집에 실려 있는 ‘勸小學詩’를 통해서 그의 교육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권소학시’ 著作의 背景및 ‘권소학시’가 지니는 시대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小學』은 유교적 도덕성을 통하여 조선사회를 교화시키는데 활용한 중요한 修身書이다. 조선조 전기에 김안국은 유학교육의 입문서격인 『소학』에 담긴 내용을 실천하기를 권하는 ‘권소학시’를 지어서 鄕校학생들에게 유교사회의 도덕규범을 장려하고 鄕村사람들을 敎化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김안국의 ‘권소학시’의 창작 배경은 燕山朝의 弊政을 극복하고 강력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中宗의 적극적인 『소학』교육 장려책에서 비롯된 것이다. 1517년.安國은 慶.道觀察使로 파견되자 각 鄕校의 유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소학』을 권하였는데, 경상도 관내의 방문하는 각 향교마다 현판에 ‘권소학시’ 한 편씩을 써 붙여서 강당에 걸게 하여 학도들을 勉勵하고 『소학』을 공부하고 몸소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이때부터 『소학』 교육 운동 이 활발하게 실현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農書諺解』·『蠶書諺解』·『二倫行實圖 諺解』·『呂氏鄕約諺解』·『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피溫方』·『瘡疹方』 등의 의학 서적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鄕約을 시행하도록 하는 등 열정적으로 교화사업에 전념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권소학시’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특징을 지닌 교육 관이 드러났다. 첫째는 道德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건국이념이 자 통치철학으로 삼아 백성들을 다스리고 교화하여 강력한 왕조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국이후에 훈구를 비롯한 기득권층이 鮮初의 강력한 의지를 상실 하고 현실에 안주하여 안일한 태도로 일관하여 부패와 도덕적 타락이 만연하게 되자 김안국은 도학정치로 도덕성을 회복시키고 유교적 도덕 윤리를 강조하여 위 정자와 백성을 교육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는 實踐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훈구파는 詞章만을 숭상하여 一身의 榮達과 利祿을 취하는 방편으로 삼았으며 문학적인 誇示를 일삼았다. 이에 중종을 비롯한 뜻있는 신진사림파는 정국의 안 녕과 국가의 질서를 회복해야 함을 통감하기에 이르렀고 유학의 진작을 도모하였다. 이에 김안국은 이러한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고 性理學에 입각한 道德性의 회 복과 日常 彛倫을 실천해야 함을 강조 하였다. 셋째는 日常에서 風俗의 敎化를 강조한 교육관이다. 上下官吏의 貪慾을 抑制하고 純風·美俗을 宣揚하는 方法으로 김안국은 ‘권소학시’를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 윤리가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배어지게 하여 성리학적 풍속의 습관화를 통하여 도덕적인 유교적 인간형이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16세기 조선사회가 훈구세력의 부정부패와 권력남용으로 윤리기강이 무 너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 문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교육적인 내용이 담긴 ‘권소학시’를 창작하였음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서 김안국의 교육관의 제 특징을 파악 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view through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Kim An Kuk and illuminates its the meaning of the times. Sohak is an important book on self-culture that is used to enlighten Chosun society through confucian morality. In the early age of Chosun Dynasty, Kim An Kuk wrot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to advise to practice the theory of Sohak, which was like an introduction of confucian education, encouraged Hyanggyo students to follow the moral standard of confucian society, and made efforts to educate country people. This enlightenment and being custom(化民成俗) are originated from the active incentive of Sohak education by Jungjong. Kim An Kuk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Kyungsang-do and emphasized Sohak intensively. For this, there were vigorous Sohak education campaigns. In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which was written in this situation, there were three remarkable perspectives of education. One of them is the perspective that accentuate morality. At that time, as the graft and moral corruption of the Hungu pervaded, Kim An Kuk emphasized to recover morality with ethical policy, highlight confucian moral ethics and educate people. Secondly, it is the educational view of underlining practicability. The Hungu highlighted poem and lines and made a display of literature. He criticized it and stressed having moral manner and practicing moral ethics. At last, it is the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enlightenment of custom in daily lif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 學詩)? by Kim An Kuk accentuates that it is possible that confucian customs are penetrated to daily life naturally and moral confucian human type is formed in the living. Following this, it enunciated that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 詩)? was created to reform the Chosun society in 16th centuries that ethical discipline was collapsed by the corruption and power abuse of the Hungu and through this, it also sta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An Kuk`s educational view.

      • KCI등재

        金安國의 「慕齋家訓」편찬과 宗法的 가족윤리

        최민규(Choi, Min Kyu)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6 No.-

        본고는 16세기 초반 조선 중종 대 인물인 김안국의 「慕齋家訓」을 통해서 宗法 질서 보급 노력과 그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김안국은 종법을 사회적 교화의 수단으로 이해하고 가훈서 역시 마찬가지의 역할을 할 것이라 보았다. 김안국은 가훈서를 편찬하면서 향촌 사회 내부의 처신 문제에 집중한 만큼, 그의 가훈서는 재지사족의 생활양식을 대변하는 재지사족적인 가훈서였다. 그는 가훈서에서 理의 보편성에 입각하여 인륜과 명분의 절대성을 강조함으로 현실에 있는 지배질서를 옹호하려고 했다. 그는 인륜이 실현되는 장으로 가족을 상정하였다. 이 때 가족을 규율하는 기초로서 부자관계의 특성을 성리학적 효론에서 찾음으로 수기 · 수양의 종법적 가족윤리를 제시하였다. 김안국이 종법적 가족윤리를 내세운 것은 교화의 주체로 격상하고자 하는 재지사족의 의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었다. 김안국은 종법적 가족윤리를 내세우면서 제사를 중심으로 가족을 결속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김안국은 『朱子家禮』의 時祭를 제시함으로 종법이 강조하는 종자 중심의 의례 주재권을 통해 가족 구성원 내부의 위계질서를 세우고자 한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위계질서가 향, 국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곧 그의 가훈서가 향촌 사회 내부에 재지사족 중심의 질서를 달성하고, 나아가 국가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기초적 토대로서 가족을 상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김안국의 「모재가훈」은 16세기 초반 가족 · 종족이라는 혈연적인 유대에 입각한 상하 · 존비의 위계질서를 향촌 사회 및 국가권력에 일관되게 관철시킬 수 있다는 발상에서 비롯된 가훈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understand, through 「Mojaegahun」or 「Mojae Family Precept」of Kim, An-kook, a prominent figure who lived in the period of the reign of Jungjong, the 11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the efforts to pervade the orders of clan rules,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clan rules have. Kim, An-kook took clan rules as the means for social reformation, and considered that family precept book would also serve as such means. Given that he focused on the problem with the situations within village society, while compiling a family precept book, it can be said that his family precept book assumed the characteristic reflecting the lifestyle of local noble family. In the family precept book, he attempted to advocate the established rules and orders, emphasizing the absolution of human relationships and moral obligations, based on universalism of reason. He adopted family as the road to human relationships. Here, he began to have the ins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father-son relationships as the basic foundation for family regulations, relying on the Confucian concept and logic of filial duty, in a bid to provide self-control and discipline-based clan family rules. Kim, An-kook promulgated clan rules-based family ethic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of local noble family to raise it as the subject of reformation. He meant to reinforce family ties, with the main focus on ritual ceremony, advocating clan rules-based family ethics. For such a purpose, Kim, An-kook held Sije (the time of ritual ceremony) of 『Jujagarye』 in an attempt to establish hierarchical orders among family members through the rights of the ritual ceremony which is led by the eldest son of the clan family. He considered that those hierarchical orders can be applied into local and national regions. This shows that his family precept book accomplishes local noble family-centered orders within village society, and furthermore presents family as the basic foundation for national power. In conclusion, 「Mojaegahun」or 「Mojae Family Precept」of Kim, An-kook can be said to be a family precept book which was caused by the idea that hierarchical orders in pursuit of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and discrimina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based on blood connections and ties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could be applied consistently into village society or national power.

      • KCI우수등재

        김안국 편찬 〈呂氏鄕約諺解〉와 〈正俗諺解〉의 언해자에 대한 고찰

        이용규(Lee, Yong-kyu)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7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은 1517년(중종12) 경상도 관찰사로 발령 받아 내려간 이후, 다음해인 1518년부터 무려 7종의 한글 문헌의 언해(諺解)와 개간(開刊)에 관여한 인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안국이 편찬한 문헌들을 검토하여 그 언해의 특징을 바탕으로 언해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선 실록(實錄) 등의 역사 기록과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呂氏鄕約諺解〉, 〈正俗諺解〉는 김안국이 직접 구결을 달고 언해하여 편찬한 것으로 잠정적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그런데, 〈呂氏鄕約諺解〉와 〈正俗諺解〉의 구결문과 언해문에 나타나는 특징을 들여다보니 역사 기록과는 다른 해석의 여지가 있었다. 먼저 〈正俗諺解〉의 구결자 운용법이 〈呂氏鄕約諺解〉의 것보다 더 폭넓었다. 특히 동일한 조사나 어미에 대해 서로 다른 구결자를 사용하고 있는 점은 두 문헌의 구결 현토자가 동일 인물이 아닐 것이라는 추정에 힘을 실어 주었다. 언해문에서도 동질성보다는 이질성이 강조되었다. 두 문헌에서 확인되는 공통점은 중철 표기인데, 중철 표기되어 나타나는 어휘들을 살펴보면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자음 표기나 언해에 사용된 어휘 등이 크게 달라 동일 인물의 언해라고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고에서는 역사 기록과 괴리를 보이는 언어적 사실에 대해, 언어적 사실이 보이는 차이점을 강조하여 〈呂氏鄕約諺解〉와 〈正俗諺解〉의 언해자가 서로 달랐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김안국이 이들 문헌의 언해 및 편찬 작업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음을 부정할 수는 없으나, 직접 언해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Since Kim An-guk was appointed as an observer of Gyeongsang-do in 1517, he has been involved in the translation and compilation of as many as seven kinds of Korean literature since 1518, the following year.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compiled by Kim An-guk was review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First of all,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previous studies, it was tentatively concluded that 〈呂氏鄕約諺解〉 and 〈正俗諺解〉 were directly translated and compiled by Kim An-guk. Previous studies also emphasized this point and confirmed that Kim An-guk described that he had translated with a conclusion in the two documents. However,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gyeol and Eonhae texts of 〈呂氏鄕約諺解〉 and 〈正俗諺解〉, it showed a different possibility from the historical records. First, the use of Gugyeol in 〈正俗諺解〉 was wider than that of 〈呂氏鄕約諺解〉. In particular, the fact that different Gugyeol are used for the same particle or ending gave a boost to the presumption that the Gugyeol writer in the two documents would not be the same person. In Eonhaemun, heterogeneity was emphasized rather than homogeneity. What is in common between the two documents is double spelling, but when looking at the vocabulary words that appear in double spell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 appear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vocabulary used in Chinese characters and translation was greatly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it as the translater of the same person. This Study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linguistic facts showing a gap from historical records,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Kim An-guk played a leading or general role in the translation work of these documents, but did not directly translate.

      • KCI등재

        金安國의 ‘勸小學詩’에 나타난 敎育觀 硏究

        조영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view through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Kim An Kuk and illuminates its the meaning of the times. Sohak is an important book on self-culture that is used to enlighten Chosun society through confucian morality. In the early age of Chosun Dynasty, Kim An Kuk wrot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to advise to practice the theory of Sohak, which was like an introduction of confucian education, encouraged Hyanggyo students to follow the moral standard of confucian society, and made efforts to educate country people. This enlightenment and being custom(化民成俗) are originated from the active incentive of Sohak education by Jungjong. Kim An Kuk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Kyungsang-do and emphasized Sohak intensively. For this, there were vigorous Sohak education campaigns. In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which was written in this situation, there were three remarkable perspectives of education. One of them is the perspective that accentuate morality. At that time, as the graft and moral corruption of the Hungu pervaded, Kim An Kuk emphasized to recover morality with ethical policy, highlight confucian moral ethics and educate people. Secondly, it is the educational view of underlining practicability. The Hungu highlighted poem and lines and made a display of literature. He criticized it and stressed having moral manner and practicing moral ethics. At last, it is the educational view that emphasizes enlightenment of custom in daily life.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by Kim An Kuk accentuates that it is possible that confucian customs are penetrated to daily life naturally and moral confucian human type is formed in the living. Following this, it enunciated that 「A Poem recommending Sohak(勸小學詩)」 was created to reform the Chosun society in 16th centuries that ethical discipline was collapsed by the corruption and power abuse of the Hungu and through this, it also stat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An Kuk’s educational view. 본 논문은 金安國의 문집에 실려 있는 ‘勸小學詩’를 통해서 그의 교육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권소학시’ 著作의 背景 및 ‘권소학시’가 지니는 시대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小學』은 유교적 도덕성을 통하여 조선사회를 교화시키는데 활용한 중요한 修身書이다. 조선조 전기에 김안국은 유학교육의 입문서격인 『소학』에 담긴 내용을 실천하기를 권하는 ‘권소학시’를 지어서 鄕校 학생들에게 유교사회의 도덕규범을 장려하고 鄕村 사람들을 敎化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김안국의 ‘권소학시’의 창작 배경은 燕山朝의 弊政을 극복하고 강력한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中宗의 적극적인 『소학』교육 장려책에서 비롯된 것이다. 1517년 金安國은 慶尙道 觀察使로 파견되자 각 鄕校의 유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소학』을 권하였는데, 경상도 관내의 방문하는 각 향교마다 현판에 ‘권소학시’ 한 편씩을 써 붙여서 강당에 걸게 하여 학도들을 勉勵하고 『소학』을 공부하고 몸소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이때부터 『소학』 교육 운동이 활발하게 실현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農書諺解』․『蠶書諺解』․『二倫行實圖諺解』․『呂氏鄕約諺解』․『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辟溫方』․『瘡疹方』 등의 의학 서적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鄕約을 시행하도록 하는 등 열정적으로 교화사업에 전념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권소학시’에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특징을 지닌 교육관이 드러났다. 첫째는 道德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건국이념이자 통치철학으로 삼아 백성들을 다스리고 교화하여 강력한 왕조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국이후에 훈구를 비롯한 기득권층이 鮮初의 강력한 의지를 상실하고 현실에 안주하여 안일한 태도로 일관하여 부패와 도덕적 타락이 만연하게 되자 김안국은 도학정치로 도덕성을 회복시키고 유교적 도덕 윤리를 강조하여 위정자와 백성을 교육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는 實踐性을 강조한 교육관이다. 훈구파는 詞章만을 숭상하여 一身의 榮達과 利祿을 취하는 방편으로 삼았으며 문학적인 誇示를 일삼았다. 이에 중종을 비롯한 뜻있는 신진사림파는 정국의 안녕과 국가의 질서를 회복해야함을 통감하기에 이르렀고 유학의 진작을 도모하였다. 이에 김안국은 이러한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고 性理學에 입각한 道德性의 회복과 日常 彛倫을 실천해야 함을 강조 하였다. 셋째는 日常에서 風俗의 敎化를 강조한 교육관이다. 上下官吏의 貪慾을 抑制하고 純風․美俗을 宣揚하는 方法으로 김안국은 ‘권소학시’를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 윤리가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배어지게 하여 성리학적 풍속의 습관화를 통하여 도덕적인 유교적 인간형이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16세기 조선사회가 훈구세력의 부정부패와 권력남용으로 윤리기강이 무너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 문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교육적인 내용이 담긴 ‘권소학시’를 창작하였음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서 김안국의 교육관의 제 특징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조선전기(朝鮮前期) 향약(鄕約)의 구현을 통한 "사문화(士文化)"의 확산 : 김안국(金安國)의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윤인숙 ( In Sook Y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1 No.-

        이 글은 향약이 보급되기 시작했던 16세기 초반 향약의 시행과 확산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향약은 16세기 주자학적 질서 운영원리를 지역사회에 부여하는 장치로 작동되었다. 반정과 함께 시작한 16세기는 여러 가지 개혁들을 단행하는 시기였다. 그 개혁들은 중앙에서 지방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띠는 것이었고, 그 과정 속에 향약이 존재한다. 향약은 "士를 중심으로 한" 정치질서 재편과 함께 지역의 자율성 추구에 몰두했던 "士文化"의 저변 확대였다. 향약이 처음 실시된 것은 종종 12년 경상도관찰사 金安國에 의해서이며, 그 보급은 경상도를 기점으로 근 2년 만에 전국적인 범위로 확대되었다. 이런 급진적인 전개는 전근대 사회에서 보기 힘든 사례이다. 이런 점진적 확대와 급진적 전개는 16세기 지식인들의 네트워크 속에서 진행되었다. 향약의 근원자이면서 중심인물인 김안국은 중앙과 지역사회에 산재하는 무수한 네트워크 속에서 진행되었다. 향약의 근원자이면서 중심인물인 김안국은 중앙과 지역사회에 산재하는 무수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네트워크가 향약의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향약은 중앙에서 활동하던 인물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방으로 확산되었고 중앙의 "士文化"가 지역사회의 士와 민에게까지 전파되는 매개체이다. This paper explain the community compact in sixteenth century Korea. The community compact was a device to apply Zhu Xi`s idea in a community. Its sociopolitical agenda offered a convincing way of life by which one could pursue self-cul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life to Choson literati. The 16th century begun the restoration, and then made a radical reform. It spread form the center to the local. There was the community compact. That was a new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r and official. And Its agenda was a social program on the basis of which one might limit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local affairs, and share authority among more autonomous local units, relying on popular education as the basis of the polity, the fusi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Who were to be part of nation-wide networks and to have influence over social and political agenda of the Dynasty. The community compact was begun by Kim An`guk, who was third minister of Kyonsang province. It spread nation-wide around 2 years. Network of 16th literati was able to speed that. Kim An`guk, the source and the central figure of the community compact, had innumerable networks in the center and the local. After all the community compact spread the local though network of the center and give the literati of the local and the people the literati-cultural of the center.

      • KCI등재

        慕齋 金安國의 敎化詩 一考察

        趙英麟(Cho, Younglin)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慕齋 金安國이 살았던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초엽은 士林派와 勳舊派의 정치적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어 戊午士禍, 甲子士禍, 己卯士禍 등이 발생한 시기로 慕齋는 이 시기에 靜菴 趙光祖와 함께 金宏弼의 수제자로서 中宗時代의 개혁적인 士林派의 중심적 인물로 활동하였다. 훈구계가 정권을 독단하다 시피한 16세기초엽 사회의 제 모순에 대해서 성리학적 윤리질서의 확립을 실현하고자하는 사림파의 현실적 요구는 강한 개혁을 단행하기에 이르고 『소학』이 ‘修己’를 위한 실천적 윤리규범으로 인식되면서 ‘小學之道’의 구현은 강한 현실 개혁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조광조는 급진적 개혁을 통하여 훈구와 정면 대결을 하다가 참화를 당했다. 이에 김안국은 훈구와 대결함에 우회적인 방법을 택하였는데 강학과 교화 등이다. 특히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실시한 교화시는 단순한 성리학의 이념을 백성들에게 가르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학』 또는 성리학의 태도와는 반대로 나가거나 정치권력만을 추구하는 훈구에 대한 비판도 교화시 안에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온건적 태도로 점진적 개혁을 단행하였던 모재는 기묘사화에서 참화를 면할 수 있었고 사화이후의 退去期나 復職期에도 사림세력의 성장을 주도하여 명종ㆍ선조대 사림에게 연결시켜주는 교량역할을 함으로써 훗날 이황과 율곡에 이르러 성리학이 안정적으로 확립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의 교화시는 당대 風俗에 대한 비판적 省察, 官僚로서의 愛民意識 發現, 日用彛倫의 실천 促求, 先賢의 윤리적 삶에 대한 推仰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문학사에서 특이하게도 많은 교화시를 남겼던 김안국은 조선 성리학의 토착화에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이언적 이황 이이 등의 성리학자가 배출되게 하는 과도기적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early 16th century, when Kim An-Kuk had lived, there were conflicts and complications between Sarim party and Hungu party, which were so intensified that the massacres of scholars took placed in Muo(戊午), Gabja(甲子) and Gimyo(己卯) year. At the time he was a central figure in reformist Sarim, who was the excellent pupil of Kim Goeng-Pil with Jo Gwang-Jo in JungJong Age. In early 16th century, the Hungu dogmatized on power in the society. Concerning about this contradiction, the realistic requirement from the Sarim to realize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 ethical order was gone to carry out some strong reforms. People recognizing Sohak(小學) as a practical ethical norm for Sugi(修己), the realization of ‘SoㆍHakㆍJiㆍDo(小學之道)’-it means the way to SoHak-came to have a character to reform the reality strongly. Jo Gwang-Jo was killed, as he was having a head-to-head confrontation with the Hungu through a radical reformation. Seeing this, Kim An-Kuk chose a periphrastic way, where there are a pursuit of study and enlightenment, in the showdown with Hungu party. Especially the poetry that he implemented when he went to Kyungsang-Do as a provincial governor not only taught the people a simple Confucian idea, but also criticized the Hungu that went to the contrary to 『Sohak』 and Confucian attitude or pursued only the political power. Mojae, who carried out the gradual reformation on this moderate stand, could avoid the disaster in Gimyo year. After that, he lead a development of Sarim force during the vacating term or the reinstating term and did a role as a bridge connecting to Sarim in MyungjongㆍSunjo age. It made a foundation to build up Confucianism stably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his enlightening poetry include critical reflection for the contemporary customs, love for the people as a bureaucrat, urge to practice IlㆍYongㆍYiㆍRyun(日用彛倫), veneration about the ethical life of ancient sages and so on. Kim An-Kuk, who left many enlightening poetries unusuall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naturalization of Confucianism in Josun, afterward, he also did a transitional work to produce the great confucian scholars such as Lee Hwang and Lee Y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