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세기 초 金尙憲과 崔鳴吉의 양면적 역사인식

        정성식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5 No.-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초 김상헌과 최명길의 양면적 역사인식을 고찰하여 그들의 사상적 특성이 각각 어떠하였으며, 그 양면성의 융합과 지양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김상헌은 의리사상과 춘추정신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행위와 가치의 기준으로서의 인도를 지켜 나가는 경상의 원리를 강조하며 청나라 군대에 의한 굴욕적인 타협을 거부하고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다면, 최명길은 나라와 민족을 위기에서 구출하고자 이념적 대의에 앞서서 현실의 타개를 우선적으로 중요시하여 잠시 명분을 굽혀서라도 국가와 백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실제적 논리를 전개해 후일을 도모하고자 ‘주화(主和)’를 선택하였다. ‘척화’와 ‘주화’로 상반된 양인의 입장은 상도(常道)와 권도(權道)로 요약될 수 있으며, 두 사람의 현실대응 방법이 달랐던 근본토대는 ‘척화’를 주장한 김상헌의 입장이 명분과 의리를 추구하는 주자학적 사유체계에서 도출된 것이었음에 비해 ‘주화’를 주장한 최명길의 입장은 실천적 주체의 확립과 주체적 판단을 중시하는 양명학적 사상을 기반으로 드러난 것이었다. 김상헌의 ‘척화론’과 최명길의 ‘주화론’의 갈등은 단순히 과거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보며, 이들의 각각의 입장과 그 양면적 역사인식을 조화롭게 지양함이 우리들이 풀어가야 할 남겨진 숙제라 하겠다. 즉 이념성과 현실성, 경상과 권변을 어떻게 발전적으로 소통하고 융합시켜야 나가야 하는지 관심과 노력이 시대적 과제로 요청된다. 다양한 가치관의 갈등을 안고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의리와 실리의 조화라는 철학적 방향을 추구하고자 함에 본 논문의 일정한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bout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of Kim, Sang-Hun(金尙憲) and Choi, Myung-Kil(崔鳴吉) in early 17th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ideological How were each of its two-sided castl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onvergence and is avoided, ‘Advocacy of war(척화)’ and ‘Advocacy of peace(주화)' contrary to the stance of an optional topcoat(常道) and Kwondo(权道) can be summed up, the two methods differed from the reality of the corresponding fundamental foundation ‘Advocacy of war’ justification for the alleged admission of Kim, Sang-Hun and loyalty schemes to seek reasons for Neo-Confucianism was derived from the well compared to the ‘Advocacy of peace' of the alleged admission Choi, Myung-Kil practical importance of the subject to establish and subjective judgments derived from philosophy of Yang-ming(陽明學) system was the reason.

      • KCI등재

        안동 중대사(中臺寺)와 김상헌(⾦尙憲) 집안의 작시(作詩)

        이대형 ( Lee Dae-hyung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4 한국문학연구 Vol.- No.74

        안동 보문산 중대바위 아래 있던 중대사(中臺寺)는 근래 폐사되었고 그 곳에 있던 후불탱이나 3층석탑이 다른 곳에 남아 전한다. 중대사는 안동이 고향인 유성룡(柳成⿓)이나 김상헌(⾦尙憲) 등 조선시대 명사들이 즐겨찾던 사찰이었다. 그들의 기록 속에는 중대사에 주석했던 승려의 법명이나 법호들도 몇몇 전한다. 학조(學祖) 대사의 후손 김상헌은 안동에 은거하던 시절에 중대사를 찾아 외로움을 달래곤 했다. 김상헌 사후 30년 정도 지나서 중대사의 도문(道文) 상인(上人)이 김상헌의 시를 들고 김상헌의 손자와 증손자들을 찾아다니며 차운시를 청했다. 오랜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된 이 행위는 김창업(⾦昌業)의 아들 김신겸(⾦信謙)의 기록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선조의 시에 대한 차운시를 요청받을 때 그에 응하는 것은 후손으로서 당연한 행위이고, 선조의 시와 자신을 매개해 준 승려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됨은 당연하다. 당대 문화의 중심에 있는 집안과 인연을 맺고 유지하는 것이 승려와 사찰의 사회문화적 위상을 높여 주었을 것이다. 도문 상인이 수십 년에 걸쳐 차운시 청탁을 통해 장동 김씨 집안의 인물들과 지속적으로 교유한 이유도 거기에 있으리라 여겨진다. The Joongdaesa Temple (中臺寺) under Joongdae rock of Bomunsan Mountain in Andong has recently been destroyed, and the altar portrait of Buddha and the three-story stone pagoda that were there remain in other places. The Joongdaesa Temple was a favorite temple of Joseon-era celebrities such as Yoo Seong-ryong (柳成⿓) and Kim Sang-heon (⾦尙憲), whose hometown is in Andong. In their records, some names of monks who lived in the Joongdaesa Temple are also handed down. Kim Sang-heon who was a descendant of Monk Hakjo (學祖), used to soothe loneliness by visiting the Joongdaesa temple when he hid in Andong. About 30 years after Kim Sang-heon's death, Monk Domun (道文) from the Joongdaesa temple visited Kim Sang-heon's grandchildren and greatgrandchildren to ask for a poem with Kim Sang-heon's poem. This act, which has been repe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confirmed in detail through the records of Kim Shin-gyeom (⾦信謙), the son of Kim Chang-eop (⾦昌業). It is natural for descendants to respond to a request for a poem about ancestors's poetry, and it is natural for them to develop a liking for the monk who mediated them. The reason why monks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Confucian by asking for writing is probably because it is socially advantageou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leaders of society. It is believed that since Monk Domun continued to make friends with the people of the Jangdong (壯洞) Kim family, making and maintaining ties with the family at the center of the culture of the time would have enhanced the social status of monks and temples.

      • KCI등재

        청음 김상헌의 현실 인식과 척화론

        우경섭 ( Woo¸ Kyung-sup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호란기 숭명반청의 척화론을 주도했던 김상헌은 주자학적 명분론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그는 문장 실력을 바탕으로 과거에 급제한 이래 관료로서 정체성을 지녔던 반면, 도학에 대한 관심은 그리 깊지 않았다. 또한 전통적인 한학(漢學)의 세계관에 입각하여, 현실극복의 전범으로서 흉노와 대치하던 한나라의 치세와 인물을 이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선악필보(善惡必報)를 의심하며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어긋남을 회의했는데, 이는 천도의 보편성과 항상성을 확신했던 주자학파의 신념과 거리가 있었다. 두 차례 호란을 겪으며 김상헌은 시종일관 척화를 주장했다. 그런데 김상헌에게 주화와 척화란 전쟁에 대처하는 방법론적 차이에 불과했다. 명에 대한 의리를 내세우며 척화를 선택했지만, 거기에는 화친과 항복을 염두에 둔 현실적 판단 또한 개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에는 명의 보복을 우려하며, 청의 파병 요구에 응하지 말 것을 주장했다. 병자호란 당시 승패를 초월한 척화론이 대세였지만, 그것은 늘 현실적 이해관계와 병렬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명 멸망 이후 숭명반청의 정당성은 현실적으로 합리화될 수 없었고, 형세적 강약이 아닌 도덕적 당위만의 차원에서 규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 김상헌은 ‘춘추대의의 화신’이라는 새로운 평가를 얻게 되었다. Kim Sang-heon, who led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the mid-17th century in the face of the the Change from Ming to Qing. However, he became an official based on his writing skills, and his philosophical interest in Neo-Confucianism was not that deep. Based on the traditional Scholarship of Han, he idealized the reign and character of Han that was confronted by Xiongnu. Also, his tendency to lamen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aw of heaven and human world was far from the beliefs of Neo-Confucians who were convinced of the universality and constancy of the law of heaven. During the two invasions of Qing, Kim Sang-heon insisted on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But to him, capitulation or anti-capitulation were just a methodological difference in dealing with the war. He chose to fight against Qing, citing the loyalty to Ming, but it was a realistic judgment with capitulation in mind. And after the war ended, he insisted on not cooperating with Qing, fearing retaliation from Ming. At the time of the war, the argue of anti-capitulation that transcended victory or defeat was the prevailing trend. But it always had to be explained in parallel with realistic interests. However, after the fall of Ming, Joseon gradually obeyed the order of East Asia, led by Qing. From this point on, the loyalty to Ming could no longer be realistically rationalized, and its legitimacy began to be explained on a moral level, not on a realistic situation. In this trend, Kim Sang-heon gained a new reputation as a ‘symbol of Confucian Justice'.

      • KCI등재

        17세기 제주도 여정(女丁)의 성격 -군역(軍役) 부담에 대한 고찰-

        한금순 ( Han Geums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3

        제주도에서는 여자들이 성(城을 방어하는데 이를 여정(女丁이라는 제주도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고 한 김상헌의 『남사록』 기록을 근거로 하여 여정을 제주도 여성 군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보는 시각이 있었다. 그러나 여정은 김상헌의 제주 방문 시기인 1601년경에는 성을 방위하는데 동원되었던 제주 여성들의 요역을 일컫는 제주어였다고 본고는 보았다. 본고는 김상헌이 방문하였던 1601년 제주도의 시대적 상황과 조선시대 호적에서 여정 용어의 쓰임을 살펴, 김상헌은 7년의 왜란 직후인 1601년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성정군의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들을 제주도어로 여정이라 하고 있음을 특징적으로 파악하여 기록하였던 것이라 보았다. 여정이라는 용어는 1639년 다른 지역 호적에서 쓰이기 시작하는 모습을 살폈으며, 다른 지역 호적에서도 여정이 남정보다 숫자적으로 더 많이 등재되고 있는 현상도 파악하였다. 무엇보다도 김상헌의 같은 기록 속에서 전체 인구대비남정/여정의 비율을 주목하였더니 남/녀 인구비율과 남정/여정의 비율이 거의 같은 수치로 밝혀지기도 하였고 김상헌도 남/녀와 남정/여정을 별도의 용어로 사용하고 있었음도 살폈다. 그러므로 여정을 조선시대 내내 제주도 여성의 군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한정하기엔 곤란함을 밝혔다. According to Kim Sang-Heon`s report in 1601, “Yeo-Jeong” in Jeju indicated the females who were temporarily deployed for compulsory labor. There was the exceptional measure that the female labor in Jeju was utilized for some sorts of military service like protecting defensive walls. This measure resulted from drastic decline of male population after two wars against Japan since 1592. As Kim Sang-Heon reported, 500 males and 800 females were deployed for this emergency. This numerical figure was equal to the gender ratio in demographics of 1601. In conclusion, “Yeo-jeong” was not compulsory enlistment of females for maintaining the standing army in Jeju. Furthermore, female deployment was not regularly implemented in Jeju during the Joseon Dynasty. After 1696, the term of “Yeo-jeong” signified females who were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whole regions.

      • KCI등재

        조선 세 중신(重臣)의 심양(瀋陽) 구류와 교유 ― 김상헌(金尙憲)·최명길(崔鳴吉)·이경여(李敬輿)의 경험

        오항녕 ( Oh Hang-nyeong ),최옥형 ( Cui Yu-he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청나라 수도 瀋陽에는 병자호란 이후 조선에서 잡혀 온 포로와 인질, 분주히 오가는 사신들이 머물렀다. 침략과 패배를 겪은 조선인에게는 특수하고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었다. 본고에서는 심양에 억류되었던 조선의 세 重臣인 김상헌, 최명길, 이경여를 중심으로 심양살이의 실제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척화(=항전)와 주화’의 당사자들이 심양에서 같은 곳에 구금되어 서로 이해하고, 그 경험이 이어지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심양은 치욕과 분노의 공간이기도 했지만, 현실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시간은 서로의 마음만 쳐다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하였다. 병자호란 전후의 노선을 ‘經權’의 관점에서 풀었던 김상헌과 최명길은 심양 구금 생활을 통해 오해를 풀고 정당성을 얻었다. 여기에 이경여도 간여하면서, 현실 대응이 달랐을 뿐 명분과 지향은 같았다는 인식에 도달하였다. 심양의 경험은 이후 송시열, 남구만, 이민서, 김수항, 김수증 등 세 중신의 후손이자, 조선의 정치-사상계의 주역들에게 전해졌다. 김상헌은 의리의 표상을 굳건히 하였고, 최명길은 한켠의 의심을 씻고 나라를 구한 공을 인정받았으며, 이경여는 온후함으로 이들 사이의 지렛대가 되었고 復讐雪恥의 또 다른 기둥으로 떠올랐다. 심양의 영향은 이들 중신 집안의 혼인과 교유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己巳士禍와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심양의 경험과 기억은 파탄났다. 최명길의 손자 최석정이 김수항의 賜死를 주도했던 오시수 등을 천거하여 등용한 일이었다. 김수항의 아들 김창협, 김창흡은 최석정에게 절교 편지를 보냈다. 이 절교는 20여 년 뒤 최명길의 손자 최석항이 앞장서서 김상헌의 증손자 김창집 등과 이경여의 손자 이건명, 이이명 등을 무고하게 죽이는 신임사화에서 더 악화된 모습으로 재현되었다. Shenyang, the capital of Qing China, was the place of the captives, hostages, and envoys of Choson after the Qing Invasion in 1636. For the people of Choson who defeated Shenyang was also the place of complex sentiments with indignity and dishonor. I studied the life and reconciliation of the three persons of Choson who did a leading role at the dispute during the Namhan-fortress resistance and were interned in Shenyang one by one. Kim Sang-heon, Choi Myeong-gil and Yi Kyeong-yeo were transferred and imprisoned with different reasons and times each other. For them Shenyang was the place of rage and resentment and the chance to reflect the idea of the others because of the time of unable. The conflict between the cause and response could resolve in this time. The experience of Shenyang prison transferred and reminded Song Si-yeol, Nam Gu-man, Yi Min-seo, Kim Su-hang who were their descendants and followers with positive memories strengthening the representative of Kim Sang-heon of the cause in the resistance 1636, recognizing the merit of the negotiation of Choi Myeong-gil, endowing the new face to Yi Kyeong-yeo. The experience appeared in marriages and relationship among them. However the favorable relationship was ruined in the course of the calamity of literati in 1689. After the restoration of 1694 Choi Seok-jeong, a grandson of Choi Myeong-gil, recommended Oh Si-su, Yi Seo-wu etc. who insisted the death penalty on Kim Su-hang, a grandson of Kim Sang-heon, and Yi Sa-myeong, a grandson of Yi Kyeong-yeo in 1689. Kim Chang-hyeop and Kim Chang-heop sent a letter breaking off friendship. The break in 1698 resulted in the disastrous false accusation and oppression of the Soron to the Noron in 1721~1722.

      • KCI등재

        『남사록』에 나타난 청음(淸陰) 금상헌(金尙憲)의 작가의식(作家意識)

        황만기 ( Man Ki Hwa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6

        본 논문은 남사록에 기록된 몇 가지 특징점을 토대로 김상헌의 작가의식을 도출 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김상헌은 1601년 32세의 나이로 제주도 안무어사로 차출되었다. 제주 토착민이었던 길운절이 모반을 꾀하려다가 스스로 자수를 해왔기에 이에 대한 진상조사와 함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제주도민을 위무하고 군왕의 덕음이 이곳까지 미치고 있음을 전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도성을 떠나 복명할 때까지의 6개월간의 여정을 기록한 것이 남사록이다. 본고에서는 남사록에 기록된 제주도의 세 가지 특징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이들 기록에서 나타난 김상헌의 작가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男兒選好의 시대적 통념이론이 적용되지 않는 女兒選好의 기이한 현상을 기록하여 제주도에서 자행되는 공납폐단의 현실을 고발하려는 社會意識이 깔려 있다. 둘째, 백두산을 제외한 우리나라 최고봉인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에 대한 사실적 기록을 통해 誇張이나 浪漫 따위는 전혀 용납되지 않는 김상헌의 實錄意識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셋째, 제주도의 자랑거리인 모흥혈에 대한 神異性을 기록함으로 인해 제주도는 한낱 섬나라가 아니라,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수한 민족임을 자각케 하는 김상헌의 歷史意識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기록들을 통해서 남사록은 단순한 기행록의 성격을 넘어선 김상헌의 철저한 작가의식의 소산물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iscover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based on the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recorded in the Namsarok. Kim Sang-heon was deployed to Jeju Island at his age of 32 in order to serve the temporary official mission. For Gil Un-jeol, who was a native of Jeju Island, surrendered himself to the local authority of commandery amid plot manipulations against the state, he was to undertake the fact-finding mission on the incident, while quieting the inhabitants in Jeju Island, and also to impart the fact that the voice and rule of the King were exercising a great influence on the island and the people as well. He made records of daily proceedings for six months, from his departure of the capital city until the time of making the final report of his mission. This journal was dubbed "Namsarok."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ed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that appeared in those records with a focus on the three distinctive features of Jeju Island described in Namsarok. First, recording such an outlandish phenomenon as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of the society where a universally accepted idea of the time such as, `A notion of preferring a daughter to a son` was not applied, underlie the writer`s social consciousness to accuse the reality of evil practices of taxes and public imposts that perpetrated on Jeju Island at those days. Second, through factual records of the crater lake, Baengnokdam, on top of Mt. Halla, the highest peak in the Korean peninsula, except Mt. Baekdu, the writer, Kim Sang-heon, exhibits his spiritual stance in making records of true historical events, having never admitted any exaggerations or romantic elaborations. Third, by recording the divinity of Moheunghyeol (legendary holes where three divine men emerged from; currently called Samseonghyeol), which is the proud of Jeju Island, Kim Sang-heon reveal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makes the readers aware of the facts that Jeju is not merely an island, but the people living in there are superior having resplendent history from time immemorial. Through these record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 that Namsarok is an outcom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that goes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account of his trip to Jeju Island.

      • KCI등재

        숭양서원의 성쇠와 포은

        지두환(Ji, Doohwan)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20 No.-

        조선전기 주자성리학이 심성논쟁을 거치며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으로 변모해갔다. 이를 반영하듯 서원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명종 9년에 영천에포은 정몽주를 모신 임고서원이 사액을 받으니 선조 6년에 개성에 숭양서원을 세워 선조 8년에 사액을 받는다. 인조반정이 일어나 정묘 병자호란을 거치며 척화를 주장하던 청음 김상헌이 청나라에 끌려갔다가 살아 돌아와 효종대에는 북벌론을 주도하여 다음 세대에게 물려준다. 현종대에 종법논쟁인 예송이 일어나 서인과 남인이 대립하여 1차예송은 서인이 승리하여 정국을 주도해간다. 이에 현종 9년에 숭양서원에 김상헌을 배향하여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계승해간다. 김상헌의 손자인 문곡 김수항, 곡운 김수증, 증손자인 농암 김창협, 현손인 미호 김원행으로 이어지며 숭양서원은 서인이 주도하는 서원으로 자리잡는다. 그러나 2차 예송에서 서인 패하고 숙종 초반 남인이 정국을 주도하다가 숙종 6년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정국을 주도하게 되자 이를 반영하듯 숙종 7년 잠곡 김육, 포저 조익을 숭양서원에 배향하여 숭양서원은 다시 서인이 주도하는 서원으로 굳건히 자리잡는다. 영조대 두문동 72현의 절의를 추모하며 개성에 추모비를 세우자, 두문동 72현을 대표하는 정몽주를 모신 숭양서원에 우현보, 조견, 이고 등 두문동72현을 숭양서원에 배향하자는 논의가 일어나 정조 8년 우현보를 대표로 배향하였다. 이에 도곡 이의현이 주도하여 포은 문집도 내고 제향도 주도하였다. 이를 이어 청음의 현손인 김원행이 위패를 고치고 제향을 주도하였다. 그리고 남유용은 숭양서원에서 삼선생춘추향축문(三先生春秋享祝文)을 지어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렇게 영조 정조대 노론이 주도하던 숭양서원은 순조 23년(1823)에 유수 김교근(金敎根, 1766∼?)과 김이재(金履載, 1767∼1847)가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건하고 사우와 강당을 중수하는 등 순조 이후에는 안동 김씨 등 노론이 주도하는 서원이 되었다. Neo-Confucianism of early Joseon Dynasty transform into JoSeon Neo-Confucianism after a series of Mind-Nature controversy(心性論爭). Reflect this change, the Seowon(書院) began to build. In the 8th year of King Myungjong s reign, Imgo Seowon(臨皐書院) in Yung-cheon(永川), where Jung-MongJu(鄭夢周) enshrined, bestowed the title board. In the 6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Sungyang Seowon(崧陽書 院) was built and bestowed the titel board in the 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King Injo Restoration’ has occurred and After Byungjahoran(the Manchu invasion), Chung-eum Kim-Sangheon(淸陰 金尙憲), who claim reject negotiations with Qing dynasty, was taken prisoner in captivity. Kim-Sangheon(金尙憲) led theory of Northern Expeditions(北伐論) after returning to Joseon, and pass down his theory to the next generation. In King Hyeon-jong’s reign, Ritual Controversy(禮訟論爭) broke out between Seo-in party(西人) and Nam-in party(南人). In the first Controversy, Seo-in party(西人) won and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ccordingly,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Kim-SangHeon(金尙憲) enshrined in Sungyang Seowon(崧陽書院) and Succeed to Jung-MongJu’s loyalty. On that account, Sungyang Seowon(崧陽書院) led by Seo-in party of Moongok Kim-SooHang(文谷 金壽恒) and Gokwoon Kim-Soojeung(谷雲 金壽增) (Kim-SangHeon’s Grand Sons), Nongam Kim-ChagHyeop(農巖 金昌協)(Kim-SangHeon’s great-grandson). Miho Kim-Wonhang(渼湖 金元行) (Kim-SangHeon’s great-great grandchildren). But in the Second Controversy, Seo-in party(西人) lose an argument. So in king SookJong’s early reign, Nam-in party(南人) led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6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Seo-in party(西人)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gain. Then in the 7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Jamgok Kim-Yook(潛谷 金堉) and Pojeo Jo-Yeek(浦渚 趙翼) enshrined in Sungyang Seowon(崧陽書院). In King Yeongjo’s reign, monument for cherish Doomoondong 72 loyalists(杜門洞 72賢) built in Geaseong(開城). Accordingly, discussion of ‘72 loyalist’s enshrined in Sungyang Seowon’ arose. In 8th year of King Jungjo’s reign, Woo-HyeonBo (禹玄寶) elected representative of Doomoondong 72 loyalists(杜門洞 72賢) and enshrined in Sungyang Seowon. Following that Dogok Lee-EuiHyeon(陶谷 李宜顯) compiled Poeoun’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Kim-Wonhang(金元行) mended ancestral tablet(位牌) and led ancestral rites. Nam-YooYong(南有容) wrote written prayer(samseonsang-choonchu- chookmoon, 三先生春秋享祝文). Like the preceding, Sungyang Seowon(崧陽書院) led by No-ron(老論) party in Yeongjo’s reign and Jungjo’s reign. In 23rd year of king SoonJo, Kim-Gyogeun(金敎根) and Kim-YeeJae(金履載) reconstructed Dongjae(東 齋, Studying room in the east), Seojae(西齋, Studying room in the west), Sawoo(祠宇, shrine) and lecture hall(講堂). After King Soonjo’s reign, Sungyang seowon led by No-ron party like the Kims of Andong(安東 金氏).

      • KCI등재

        18세기 서원건립을 둘러싼 향촌사회의 갈등관계-영조 14년(1738) 안동 김상헌서원 건립문제를 중심으로-

        정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2 No.-

        This study reviewed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s between Namin Party and Noron Party over the issue of establishing Kim Sang-Heon Seowon in Andong in the 14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38) under the political conditions including the status of Namin Party in Yeongnam region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actual power of Namin Party, the suppression policy of Noron Party against Namin Party and the control policy of Noron Party through protection of Soron Party for Namin Party. The biggest key part of the measure of Noron Party for Namin Party in Yeongnam region was to transform Namin Party into Noron Party whereby Namin Party is divided and dismantled. Therefore, the local society in Yeongnam region focused on Andong in the early 18th century had to face the issue of the advent of new Noron Party. They could compete and confront with the existing Namin Party under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the local officials including governors and auditors as well as the central officials of Noron Party. Noron Party showed their presence by dominating Hanggyo,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and establishing Seowon that paid tribute to the figures of Noron Party and enshrining them. Such activities were very useful means to dominate the power of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to advance in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The situation was not very different in Andong, which was so-called the key area of Namin Party. The new Noron Party in Andong that was turned from Namin Party to Noron Party established Kim Sang-Heon Seowon with an active cooperation and support by the local officials and the central ruling power of Noron Party. However, Namin Party who couldn’t overlook broke down the building with physical force. Noron Party defined such Namin Party as disturbing people(亂民). Namin Party members in Andong were under disadvantages. They had little methods to deliver their positions. They had to fully rely on one member of Soron Party, Park Moon-soo. This was the situation in Yeongnam region at that time. Noron and Soron Parties were fiercely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the government over the issue of the damage of Kim Sang-Heon Seowon. The key issue was about reconstructing the destroyed Seowon. The Seowon was not permitted to be reestablished in King Yeongjo’s reign but was rebuilt as a shrine named Seogansa in the 10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86). However, Noron Party members in Andong were exercising their political voice by dominating Hyanggyo, which had been the basecamp of Namin Party.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of Namin Party in Andong greatly shrank in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Yeongnam region. Hyanggyo in Andong was kept under the control of Noron Party since then. 이 연구는 영조 14년(1738) 안동에서 김상헌서원 건립을 둘러싼 남인과 노론의 대립․갈등을 18세기 전반 영남의 남인이 처한 사정, 곧 남인의 실세, 노론의 남인 억압책, 소론의 남인 보호를 통한 노론 견제책 등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검토해 본 것이다. 노론의 영남 남인에 대한 대책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남인의 노론화와 이를 통한 남인의 분열과 해체였다. 이로써 18세기 전반기 안동을 중심으로 한 영남의 향촌사회는 신생노론의 등장이라는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수령과 감사 등 지방관, 나아가서는 중앙의 노론 당국자들의 지지와 지원을 통해 기존의 남인세력과 경쟁․대립할 수 있었다. 노론세력은 향교의 장악과 노론계 인물의 서원 건립이나 배향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드러냈다. 이러한 활동은 향권의 장악뿐만 아니라 중앙정계로의 진출에도 아주 유용한 수단이었다. 남인의 핵심지역으로 일컬어지던 안동에서도 사정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남인에서 노론으로 전향한 안동의 신생노론은 지방관과 중앙 노론 집권세력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받아 김상헌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이를 묵과할 수 없었던 남인은 물리력을 동원하여 이를 부셔버렸다. 노론은 이런 남인을 亂民으로 규정했다. 안동의 남인들은 불리했다. 그들의 입장을 전달할 방법이 별로 없었다. 소론인 박문수에게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 당시 영남의 처지였다. 김상헌서원의 훼파문제를 두고 노론과 소론은 조정에서 격렬하게 대립했다. 그 핵심은 파괴된 서원의 재건문제였다. 서원의 재건은 영조 연간에는 허락되지 않았지만, 정조 10년(1786)에 마침내 서간사라는 사당으로 마무리되었다. 이것은 정조의 남인 활용을 위한 정치적 포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김상헌서원 건립 사건은 이후의 향촌지배세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간 남인들의 근거지였던 향교는 이제 노론의 수중에 있었고, 노론은 향교를 통해 정치적 발언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따라서 안동 남인의 위상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이후에도 안동의 향교는 여전히 노론의 근거지로 남아 있었다.

      • KCI등재

        청음 김상헌의 시에 나타난 심양 체험과 그 인식 : 『설교집』을 중심으로

        김기림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청음 김상헌(1570-1625)은 청을 황제국으로 인정하지 않고 반청의식을 강하게 주장했던 조선 중기 문인, 정치인이었다. 그 대가로 압송되어 청의 감옥에서 갇혀 살아야 했다. 이 경험을 그는 시집인 『설교집(雪窖集)』에 기록하였다. 『설교집(雪窖集)』은 『청음집』 권11-13에 해당된다. 각각 『설교집』, 『설교후집』, 『설교별집』 등의 제목이 있다. 이 시집에서 김상헌은 청나라 감옥에 갇힌 자신을 촉백(蜀魄), 적선(謫仙), 골짜기에 떨어진 명홍(冥鴻) 등에 비유한다. 나라를 떠나 귀국하지 못하는 신세, 임금으로부터 버림받아 이역에 떨어진 신세, 포부는 크나 인정받지 못한 신세 등을 상징한다. 또한 선우 땅에서도 한나라에 대한 충정을 지켰던 소무(蘇武)나 초에 대한 마음이 변치 않았던 종의(鍾儀)에 비견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김상헌은 조선과 전혀 다른 심양이란 공간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재인식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조선인임을 더 뚜렷하게 자각했다. 그러면서 심양을 오랑캐의 공간, 호구(虎口)와 같아 기피하는 공간, 새조차 날지 않고 바람만 불어 모래 가득하고 생명이 없는 땅으로 인식했다. ‘氈城’, 조선아이, 중국 계집아이, 오랑캐 아이(羌兒) 등으로 병치시키면서 오랑캐임을 부각하고, ‘모래 언덕 망망하니 새조차 날지 않고 하얀 연기 피는 구탈 바라보니 흐릿하네’, ‘북녘 바람 불어와 오랑캐 사막 어둑하고 저녁 빛은 처량하여 차가운 해 잠겨 있네’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는 청나라가 김상헌에게는 죽음의 땅이며 생명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없는 공간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심양에서 일탈하여 고향의 공간-조선, 신선의 공간, 꿈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의식을 보인다. 심양 공간에 발을 내딛지 않고 오랑캐 땅으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깨끗한 공간에 머물고자 하는 욕구를 표출한다. 심양 공간에서 ‘떠 있는’ 삶을 스스로 선택하는데 이는 의리정신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 청을 황제국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여 ‘땅에 대고 절하지 않음’으로써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즉 그의 ‘조선인’이라는 의식은 힘의 원리를 거부하고 의리를 지키며 오랑캐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중화문명을 계승, 고수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Kim Sang-heon was a literary man, statesman in Chosun Dynasty period. He resisted against the Qing Dynasty so had been arrested and imprisoned for it. seolgyojip is a book of poems which he wrote in Qing jail. This book was a set of three volumes-seolgyojip(설교집), seolgyohujip(설교후집) seolgyobyeoljip(설교별집). There were five hundred theree poems in seolgyojip(雪窖集). Kim Sang-heon likened himself to So-moo(蘇武) who was person in Han Dynasty and lived as a prisoner in land of Suwoo- north barbarians but never changed his royalty to Han Dynasty. Also Kim Sang-heon likened himself to a cuckoo which the bird regarded as the ghost of emperor of Chok(蜀) who couldn’t come back to home. He regarded Shenyang(瀋陽) as a wasteland, the place of north barbarians, the lion's den. This means that the land of Qing was place of death to Kim Sang-heon. He reality had been threatened by the emperor of Qing. Kim Sang-heon imagined that he escape from Shenyang to hometown and dream. This signified he resisted against the Qing Dynasty. This thought was rooted royalty to Chosun Dynasty and Ming Dynasty. So he showed a national pride.

      • KCI등재

        16-17세기 안동김씨 인풍(印風)의 형성과 전개

        성인근(Sung-in geu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9 No.-

        조선의 전각은 임진왜란 이전 주로 장인의 손에 의해 제작되었고, 16세기를 기점으로 명대풍의 수용으로 문인전각이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인장문화가 명대풍의 전래만으로 온전히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배경이다. 이 논문에서는 17세기 서인계와 남인계로 대별되는 김상헌과 허목 전각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보고, 주로 서인계 인풍의 성립배경과 특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전서에서 철저한 소원주의를 표방한 미수와 달리 당시 연구ㆍ출간된 ‘전서 38체’ 관련 서적의 보급이 서인계 전서와 인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하고, 전서 관련 서적들의 출간과 당대인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한 안동김씨 가문에서의 전승양상을 비롯하여, 다른 문중에서의 수용과 확산양상까지 확인하여 동시기 두 방향으로 나누어진 인풍의 서예ㆍ전각사적 의미를 재고해보고자 했다. 우선 김상헌을 중심으로 한 서인계의 전각풍을 살피기에 앞서 당시 유행한 ‘전서 38체’란 무엇이었고, 어떠한 자료로 생산 ㆍ 유통되었으며, 특히 서인계를 중심으로 수용 ㆍ 확산되었는지를 살폈다. 이와 달리 남인계에서는 허목을 필두로 한자의 모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전해 서인계와 차별화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양자 모두 한자의 초기 모습인 전서를 추종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서와 인장에서 나타난 인식을 축약하여 서인 계열은 ‘상고주의(尙古主義)’, 남인 계열은 ‘소원주의(溯源主義)’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기존 논문에서 미수 허목의 인장 자료를 조사하여 미전에 나타난 전서인식과 인풍의 특질을 기술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16-17세기 전각의 다른 한 축인 김상헌을 중심으로 한 서인계열의 인풍과 안동김씨 안에서의 영향관계, 그리고 다른 문중으로의 확산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김상헌 중심의 서인계열 인풍에서는 우선 ‘전서 38체’의 적극적인 수용과 전각에서의 다양한 시도를 눈여겨보았다. 이를 크게 ‘자체(字體)의 특징’과 ‘장법(章法) ㆍ 양식(樣式)의 특징’으로 분류하였고, 세대별, 인물별, 문중별 수용과 계승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据悉,朝鲜的篆刻在壬辰倭乱前主要由匠人制作,以16世纪为起点,因明代风格的收容,由文人篆刻组成。但是,关于朝鲜中期出现的各种印章文化能否仅以明代风格的传入完整地说明的问题,是撰写这篇论文的背景。 本论文考察17世纪西人系和南人界的金尚宪和许穆篆刻的渊源和指向点,主要就西人系印风的成立背景和特质进行论议。与篆书中彻底的遡源主旨的眉篆不同,当时研究、出版的38体篆书籍的普及对西人系篆书和印章产生了决定性影响,希望观察篆书相关书籍的出版和上代人的反应。 确认38体的收容和对西人系的影响,正式确认始于金尚容、尚宪兄弟的西人系列印风的特质。 另外,包括安东金氏家族的传承面貌在内,扩大在其他门中的收容范围,希望重新思考同时期分为两个方向的印风的书艺、篆刻史的意义。 笔者曾在现有的论文中调查许穆的印章资料,记述了眉刻上出现的篆书认识和印风的特质。 本文主要以16-17世纪篆刻的另一个轴心金尚宪为中心,确认西人系列的印风和安东金氏内部的影响关系,以及扩大到其他门中的扩散相。在金尚宪为中心的西人系列印风中,首先关注了 38体篆书 的积极采用和篆刻上的各种尝试。大体上将其归类为 字体特征 和 章法、样式 的特征,以确认各代、人物别、门中的收容和继承形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