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형도 시 「안개」의 인지 의미 고찰

        이승철(Lee Seung-choel)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9 No.-

        이 글의 목적은 기형도의 「안개」를 인지시학 방법론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기형도의 시는 ‘죽음’으로 점철되는 비극적 슬픔의 시세계가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기형도의 시작 활동의 출발인 시 「안개」는 시인의 비극적 세계관이 응축된 시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인지시학의 직시 이동 이론과 개념 은유를 방법론적 토대로 하여, 시 「안개」의 의미가 도출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기형도 시에 대한 연구는 시적 세계관을 ‘죽음’과 관련지으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요절한 시인이라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지만, 그의 시에 함의된 ‘죽음’ 이미지가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소외’ 의식에 대한 논의 또한 ‘죽음’과 관련한 비극적 세계관에 이르는 도정으로 볼 수 있다. 기형도 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온 것은 시에 구현된 사회 현실성에 대한 측면이다. 이 지점에서 기형도 시를 비판하는 측은 시가 1980년대의 사회 현실을 방목하고 구체적 사건이 없는 모호함의 이미지(안개 이미지)로 단순히 시대를 풍경처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반면, 기형도 시의 사회 반영성을 긍정하는 견해도 있다. 당시 사회의 급격한 산업화, 계층 간의 경제적 격차, 신군부의 통제와 탄압 등 80년대에 나타난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개인사적 체험과 정서를 통해 ‘죽음’과 ‘소외’ 의식 등으로 의미를 형상화했다는 평가도 있다. 일견 상충되어 보이는 양측의 평가는 기형도 시가, ‘사회 비판성’과 ‘서정성’이라는 양가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양가적 특성의 접점을 찾아내고 그 접점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여 기형도 시를 읽어볼 것이다. 즉 기형도 시에서 ‘사회 비판성’과 ‘서정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양립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지, 그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인지시학 방법론은 기형도 시 읽기에 이르는 과정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형도의 시세계에 대하여 기존의 논의를 전복하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해내어 보겠다는 차원은 아니다. 기형도 시를 ‘죽음’, ‘소외’, ‘환상성’ 등으로 규정한 기존의 논의들도 읽기 과정의 다양한 변주인 것이지, 기형도의 시세계나 시의 주제 의식을 새롭게 달리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글은 시 「안개」에 대하여 인지시학 방법론을 원용해 분석하되,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삼고 그 연장선상에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그리고 인지주체를 독자로 설정하여 독자측면에서 시대적, 개인적 상황에 따라 시의 읽기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그 다양한 읽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study ‘Fog’ of Hyeong-do Ki based on the cognitive poetics methodology. The poems of Hyeong-do Ki have its central axis on a poetic world of tragedy, which is interspersed with ‘death.’ ‘fog’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which the poetic world of Hyeong-do Ki is aggregated. ‘fog’ is a poem that is excellent to show the attitude of perceiving the era and poetic world of Hyeong-do Ki. This article does not limit understanding Hyeong-do Ki’s poem to inquiring the prior researches. Yet, it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the various perspectives in reading poems. Such factor may allow the cognitive poetic methodology to provide diversity to reading Hyeong-do Ki’s poems. Of course, this article is not meant to deduct a new result by analyzing Hyeong-do Ki’s poem through the cognitive poetic methodology invoked in the article. The approach of prior researches that have sought to describe the poems of Hyeong-do Ki as ‘death,’ ‘isolation,’ or ‘fantasy’ are only different variation within the process; however, all these approaches can be agreed to have a similar result regarding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poem or the poetic world of Hyeong-do Ki.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ngage in a discussion which is on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fog.’ In addition, it i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various reading approaches by examining whether reading poems may differ depending on personal and periodical situations from readers’ perspective. In Chapter 2, the reading of the poem ‘fog’ is examined in readers’ perspective through the deictic shift theory. Deictic shift in this poem is formed through perceptual, temporal, spatial, relational, and textual approaches; thus, this article will trac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fog’ by exploring the inside and outside the texts through deictic shift by readers. Chapter 3 reveals that the expressions of this poem are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and the meaning of ‘fog’ is constructed through such metaphor. In addition, this article explains that ‘fog’ and ‘Gongjang’ have similarity based on attributes, and that this poem expands meaning through such similarity.

      • KCI등재

        산전초음파로 진단된 중추신경계 기형의 임상적 고찰

        김태희 ( Tae Hee Kim ),권소영 ( So Young Kwon ),신중식 ( Joong Sik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3 Perinatology Vol.14 No.2

        목적: 산전초음파상 발견되는 기형 중 중추 신경계 기형의 비와 그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1997년 1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강남 차병원에서 산전초음파상 주기형으로 발견되어 임신종결을 시행한 624예 중 중추신경계 기형을 동반한 43예에서 시행되었다. 이중 10예에서 임신종결 후 부검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중추신경계 기형의 종류와 발생빈도, 임신부의 연령, 산과력, 기형아의 성별, 임신 종결시 기형아의 체중, 기형아 발견 당시의 임신 주수, 다른 동반 기형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결과: 중추 신경계 기형은 총 출산아 20,805예 중 43예로 0.2%이었으며, 임신부의 연령은 30세에서 34까지가 20명, 유산의 경험은 1회 시행한 경우가 18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형태아는 남아 25명, 여아 11명, 성별을 알 수 없는 경우 7명이었다. 중추 신경계 기형을 발견한 임신 주수는 17주에서 20주가 12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임신 종결시 기형아의 체중은 500g미만이 23명이었으며, 기형의 종류는 무뇌아가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동반된 기형의 경우는 Meckel Gruber syndrome으로 보이는 경우가 2예 있었다. 결론:선천성 기형 중 중추신경계 기형은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산전검사로 조기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았으나, 중추신경계 기형이 심하지 않거나 동반된 다른 기형이 없는 경우에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고 진단 후에도 기형에 대한 산전치료가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며 진단하지 못한 경우에는 출산 후 커다란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산전진단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To determine the proportion and the types of CNS anomalies among congenital anomalies detected through prenatal ultrasonography. Materials and Methods:Between November 1997 and December 2000, 624 cases of singleton pregnancies were terminat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A Hospital due to lethal congenital anomalies detected through prenatal ultrasound. Forty-three of 624 termination cases had CNS anomalies. Autopsy and chromosomal study was carried out on ten and six cases respectively. Incidence, maternal age and parity, sex ratio and body weight of the terminated fetuses, gestational age at which anomaly was detected, associated anomalies were evaluated. Results:The incidence of CNS anomalies was 0.21%(43 in 20,805), and maternal age was between 30 and 34 in 20cases. The fetus was male in 25 cases, female in 11 cases and indefinite in 7 cases. Anomalies were detected between 17-20 weeks in 12 cases. Body weights of the terminated fetuses were below 500grams in 23 cases. Anencephaly was the most common with 11 cases(25.6%), hydrocephalus ranked second with 8 cases(18.6%). Two cases had associated anomalies of Meckel-Gruber syndrome features. Conclusion:CNS anomalies are frequent and have a severe prognosis. Contemporary ultrasound is much accurate in evaluating CNS anomalies. Still, minor anomalies and those cases without associated anomalies are difficult to detect. Even after diagnosis, CNS anomalies are mostly void of prenatal corrective treatment. Fortuitous investigation is needed for prenatal neural axis anomaly detection.

      • KCI등재

        태아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진단과 주산기 결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정현용(Hyun Yong Jung),이국(Kook Lee),박이석(Lee Suk Park),서경(Kyung Seo),이병석(Byung Seok Lee),이윤호(Yoon Ho Lee),김재욱(Jae Woo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태아의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 및 주산기 결과, 양수 과다증 및 동반 기형, 염색체 이상의 빈도를 태아 위장관 기형의 위치 및 이차적 합병증 유무에 따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영동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된 단태임신 9116 예 중에서 태아 위장관 기형으로 진단된 32예를 대상으로 위장관 기형의 위치 및 이차적 합병증 동반 여부에 따라 상부 위장관 폐쇄(제1군), 하부 위장관 폐쇄(제2군), 이차적 합병증을 동반한 위장관 폐쇄(제3군)로 분류하였다. 결과: 태아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제1군(70.6%)과 제3군(100%)에서 제2군(0%)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제1군에서 5예의 위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다발성 심장 기형으로 임신을 중단한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아를 분만하였다. 양수 과다증은 제1군(77%)에서, 동반 기형의 빈도는 제2군(70%)에서 타군에 비하여 높게 조사되었다. 염색체 이상은 총 32예의 태아 위장관 기형 중에서 식도 폐쇄에서 삼염색체 18 1예, 십이지장 폐쇄 및 항문 직장 폐쇄에서 각각 삼염색체 21 1예씩이 보고되었다. 제1,2,3군에서의 생존율은 각각 76%,25%,40%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부 위장관 기형은 산전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조기에 진단되며 그 예후 또한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부 위장관 기형은 초음파를 이용한 산전 진단이 어렵고 그 예후도 좋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하부 위장관 기형의 조기 산전 진단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ur aim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renatal sonographic detection of fetal gastrointestinal(GI) anomalies and to present perinatal outcome of fetal GI anomalies, incidence of polyhydramnios, other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etal GI anomalies. Materials and methods: Prenatal sonographic results were compared with GI anomalies found in 32 neonates during recent 8 years. 32 cases of fetal GI anomal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obstruction and complication; group 1: upper GI obstruction(4 esophageal, 5 duodenal and 8 ileojejunal atresia); group 2: lower GI obstruction(1 colonal, 9 anorectal atresia); group 3: GI obstruction with secondary complication(1 ascites, 2 meconium peritonitis, 2 meconium pseudocyst). Results: The accurate prenatal sonographic detection rate of fetal GI anomalies was 70.6% in group 1 and 100% in group 3 and there was no detection in group 2. False positive diagnosis was made in 5 cases(2: esophageal atresia, 3:ileojejunal atresia), but none of them except one case of multiple cardiac anomalies confirmed by autopsy, was followed by termination of pregnancy. Polyhydramnio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oup 1 and associated malformations with group 2. An abnormal karyotype existed in three out of 32(1 case of trisomy 18 in esophageal atresia, 2 cases of trisomy 21, each one in duodenal and anorectal atresia). Survival rate of group 1, 2, 3 were 76%, 25%, and 4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upper GI anomalies were easily detected by prenatal sonographic examination and had a good prognosis. But, the lower GI anomalies were difficult to diagnose prenatally and had a poor prognosis. Therefore, further efforts to diagnose for lower GI anomalies should be performed.

      • 양식산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에 발생하는 척추 기형 분석

        최상준,황인준,김형배,이영돈,백혜자 한국발생생물학회 2011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0 No.-

        양식 종묘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기형 중에는 척추 기형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초기 발생과정 동안에는 육안적 관찰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육환경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기형의 양상도 달라지므로 (Vågsholm and Djupvik, 1998) 정확한 발생원인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기형의 형태적 검사법은 주로 morphometry을 이용하여 외부형태의 수리적 해석을 접목한 분석기법 (Bookstein, 1997; Kawamura and Hosoya, 1997), X-ray 촬영에 의한 골영상 분석기법 또는 bone & cartilage double stain 기법 (Park and Kim, 1984) 그리고 추체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골형태학적 분석 기법 (Witten et al., 2009)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골형태학적 분석기법은 직접적으로 뼈를 관찰하기 때문에 기형 증상 판별에 있어 가장 높은 신뢰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양식대상종인 돌돔 성어 (1년생 이상, n=40)와 미성어 (1년생 이하, n=28)를 대상으로 X-ray에 의한 분석, 정상어와 척추기형어 간의 외부형태 비교분석을 통하여 기형어 판별방법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 골형태학적 분석 기법을 통하여 추체변형 타입을 정확히 판별함과 동시에 돌돔의 기형 판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X-ray 사진촬영에 의한 분석 결과, 돌돔 성어 및 미성어에서 조사된 척추기형 중 전만증 발생비율은 각각 67.5%, 21.4%로 조사되었으며, 단구증 (vertebral compression)의 경우 각각 32.5%, 14.3%로 조사되어 다른 척추기형 증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X-ray 판독에 의해 분류된 정상어와 척추기형어간의 외부형태 비교에서는 성어의 경우, (체장-두장)/두장값과 체고/두장값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지만, 미성어의 경우 두 그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기형어 내에서도 개체간의 척추변이의 정도 (服部, 2004)나 가계 간에도 외부형질이 변화한다는 보고(谷口 등, 1995)에 비추어 볼 때 기형판별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양식산 돌돔의 성어 및 미성어에서 골형태학적 분석 기법으로 조사한 결과, 추체의 경우 압착 및 유합, 비대칭, 탈구 그리고 추체 사이의 비정상적 간격이 조사되었고, 전체적인 척추의 형태는 전만증, 후만증 그리고 복합적인 척추 기형 증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돌돔을 대상으로 추체 기형판별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상업적 양식장 한곳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러나 추체의 변형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직․간접적인 사육환경 요인들이 보고되고 있고 (Kvellestad et al., 2000; Madsen et al., 2001; Hattori et al, 2004; Aunsmo et al., 2008), 추체변형의 종류는 어종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Favaloro and Mazzola, 2000; Boglione et al., 2001; Lewis et al., 2004; Witten et al, 2009), 각 지역에 위치한 양식장을 대상으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태아의 비뇨기계 기형과 동반하는 주요 장기 기형에 대한 보고

        권재현 ( Jae Hyun Kwon ),권자영 ( Ja Young Kwon ),곽동욱 ( Dong Wook Kwak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6

        목적: 태아의 비뇨기계 기형과 이에 동반되는 기형의 종류 및 발생 빈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료원에서 산전 진찰 및 분만을 시행한 산모 중 비뇨기계 기형으로 진단된 태아에서 동반된 기형의 종류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12,431명의 대상군 중 236명 (1.8%)의 태아에서 비뇨기계 기형이 진단되었으며, 그 중 25예에서 동반 기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 기형의 종류로 가장 흔한 것은 심혈관계 기형으로 9예에서 관찰되었고, 그 외에 뇌혈관계와 소화기계를 비롯한 다양한 장기에서 동반된 기형이 있었다. 9명의 콩팥 무발생을 가진 태아 중에서 6예에서 동반 기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비뇨기계 기형 중 타장기 기형을 동반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결론: 태아의 비뇨기계 기형이 발견된 경우, 심혈관계를 포함한 여러 장기의 기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세심한 산전 진찰과 상담 그리고 출산 후의 적절한 태아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Due to advances in diagnosing fetal anomalies by ultrasound, prognosis of babies with anomalies, especially in urinary tract, has improved. However, multiple anomalies with poor prognosis are still noted. We analyze congenital defects which coexist with fetal urinary tract anomalies. Methods: We identified all pregnancies complicated by fetal urinary tract anomalies which were followed and delivered from 1998 August to 2008 July at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etal urinary tract defects were subdivided to hydronephrosis,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polycystic kidney disease, renal agenesis, renal duplication and horse-shoe kidney.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regarding both medical records and ultrasound findings. Results: 236 (1.8%) in total 12,431 cases were identified with urinary tract defects and 25 (12.3%) cases had coexisting other anomalies. Hydronephrosis was found in 156 (68.2%) cases.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 was found in 37 (15.6%) cases, renal duplication in 11 (4.7%), renal agenesis in 9 (3.8%), polycystic disease in 6 (2.5%) and horse-shoe kidney in 2 (1.0%). In 25 cases with coexisting anomalies, the most common type was congenital heart defect which was found in 9 (27.6%) cases. They were composed of 8 (24.5%) atrial septal defect and 1 (3.1%) ventricular septal defect combined with pulmonary atresia. Other coexisting anomalies were cerebral or gastrointestinal tract associated anomalies, Mullerian duct anomalies and polydactyly. Six in 9 (66.7%) fetuses with one kidney had other anomalies. Conclusion: Urinary tract anomalies in fetus seem to b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other malformation, especially cardiac anomalies. Detailed ultrasound or echocardiography should be carefully performed because of frequent coexisting fetal congenital anomalies. Furthermore, comprehensive prenatal counseling and postnatal evaluation and management will be needed.

      • KCI등재

        산전 진단된 수신증에 동반된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

        곽나현 ( Na Hyun Kwak ),한성우 ( Sung Woo Han ),정지미 ( Ji Mi Jung ),전가원 ( Ga Won Jeon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목적: 산전 초음파의 발달로 수신증의 발견 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진단시기는 점점 빨라지고 있으나, 검사지침이나 자연경과, 치료방침과 대한 명확한 지침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신증으로 진단받는 신생아들에 동반된 선천성 기형의 종류와 염색체 이상에 대해 알아 봄으로써 출생 후 환자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산전 초음파에서 수신증이 발견되어 인제대 부산백병원에서 출생 후 3일 이후 1개월 이내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으로 진단된 297명, 381 신단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소견에서 신우의 전후 길이가 5mm 이상인 경우를 수신증으로 정의하였고, The Society for Fetal Urology (SFU)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수신증의 정도에 따라 동반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의 종류 및 빈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염색체이상의 빈도는 297예 중 31예(11%)였으며, trisomy 15예, deletion 8예, duplication 2예, 성염색체 이상 4예 이었으며, 가장 흔한 염색체 이상은 21 Trisomy, Turners syndrome, 상염색체 결실 순이었다. 수신증의 빈도와 달리 염색체 이상은 여아에서 남아보다 빈도가 2배 정도 높았으며, 일측성과 양측성 수신증에서 염색체 이상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동반된 기형은 요로생식기 기형이 46.5%, 심혈관계 기형이 22.8%, 소화기계 기형이 10.2% 중추신경계 기형이 11.1%, 안면기형이 7.1%, 기타 기형이 2.3%를 차지하였다. 수신증으로 진단받은 신생아 중, SFU Grade 3, 4인 중등도 이상의 수신증일수록 선천성 기형이 동반된 빈도가 높았으며, 동반된 기형의 수가 많을수록 염색체 이상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수신증이 있는 신생아에서는 요로생식계 및 위장관계 기형에 대한 면밀한 방사선 검사 및 신체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동반된 기형이 발견된 경우에는 염색체 검사도 시행하는 것이 분만 후 신생아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With the increasing use of antenatal sonography, fetal hydronephrosis has been reported more frequently. But, despite extensive clinical and scientific research much controversy still exists about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hydronephrosi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ssociated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defects in prenatally diagnosed hydronephrosis. Methods: The records of 297 neonates who were diagnosed with hydronephrosis through antenatal ultrasonographic screening,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y were confirmed at 3 days to 1 month after birth with postnatal ultrasonography in Busan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8. We karyotyped 297 neonates after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hydronephrosis and malformations. Results: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detected in 31 (11%) cases of 297 cases and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 The commonest chromosomal abnormality was trisomy 21, followed by Turner syndrome, deletion of autosome, unbalanced translocation. 127 cases in 109 infants had associated malformations such as urogenital and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anomalies. The associated malformations were more common in moderate to severe hydronephrosis than mild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abnormalities increased with the chromosomal defects. Conclusion: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for the cases in congenital hydronephrosis with any associated malformation such as urogenital and cardiac malformation, to investigate chromosomal abnormalities. This will enable clinicians to establish appropriate management and postnatal care.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자기인식과 진정성

        방승호 ( Bang Seu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본고는 기형도가 바라보는 스스로에 대한 인식의 문제에 주목한다. 이것은 김현이 언급한 ‘자기 존재의 모습에 대한 앎’의 양상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기형도의 자아는 반복적으로 자신을 비하하며 우울자의 전형을 드러낸다. 자신을 비천한 존재로 인식하는 우울한 주체는 격앙된 표현을 사용하거나, 통사적 담화 호흡에 어긋난 형식을 통해 비정상적인 흐름을 조장한다. 이러한 자기 인식의 양상은 재현 불가능한 것을 형상화하는 문학의 방식이자 진정한 자기 이해에 다가가려는 주체의 가능성으로, 현실의 부정성에 대한 반응에서 나아가 반성적 자아의 실천태로 발전한다. 기형도의 자기인식이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죽음에 대한 시인의 인식을 감식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기형도가 사유하는 죽음은 존재론적 부재의 형식을 취하지 않는다. 기형도는 죽음을 ‘가면을 벗는 행위’로 인식하며, 타자와의 대면을 마다하지 않는 윤리적 주체의 모습을 보인다. 기형도에게 죽음이란 삶에서 이탈된 형식이 아니라, 삶과 미묘한 차이를 두고 존재하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바디우가 언급한 공제의 원리와 맞닿는다. 때문에 기형도의 자아는 죽음을 두려워 하기보다, 죽음을 전유함으로써 본질적 가치에 다가서려는 진정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기형도 시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함은 부정의 표현이 아닌 참된 자아를 실현하고자하는 열정의 형식으로 풀이 된다. 기형도 시에는 절망과 희망이 공존한다. 절망과 희망의 변증은 파괴의 전범이 아닌 차이의 전범으로 존재한다. 기형도가 지향하는 ‘새벽’의 이미지는 ‘어둠’이 지나가야 오는 것이 아니라, ‘어둠’ 속에 은폐된 빛을 찾을 때 비로소 찾아온다. 기형도가 ‘어둠’을 전유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어둠’을 전유하는 기형도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은 죽음의 형식이 아닌, 희망의 역설적 예기를 위한 진정성의 형식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ssue of self-awareness that Gi Hyung-do observes. This is the process of tracking the aspect of "being aware of the appearance of one's existence" mentioned by Kim Hyun. Gi Hyeong-do's persona repeatedly reprimands himself and reveals the typical traits of a depressed individual. The depressed subject, who perceives himself as an insignificant being, uses infuriated expressions or utilizes formats deviating from a discourse's general rhythm to induce abnormal flow in the poem. This aspect of self-awareness is a literary method emboding what cannot be reproduced as it signifies the possibility of a subject approaching understanding of its true self. This reaches beyond the reaction to the negativity of reality and develops into the reflective practice of his own persona. The essential factor regarding Gi Hyung-do's self-awareness is that it is able to detect the poet's perception of death. Death, contemplated by Gi Hyung-do, does not take the form of an ontological absence. Gi Hyung-do views the concept of death as an "act of taking off one's mask" and reveals the appearance of an ethical subject who does not hesitate to face the other. For Gi Hyung-do, death is not a form separated from life, but something that exists with subtle differences from lif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substractive principle mentioned by Badiu. Therefore, Gi Hyung-do's persona reveals the aspects of authenticity in approaching essential values by appropriating death rather than fearing the concept of death. In this manner, the sense of grotesque appearing in Gi Hyung Do's poem is interpreted as not an expression of negativity but a form of passion to realize the true self. Despair and hope coexist in his poem. The dialectics of despair and hope exist as a model of differences, not destruction. The image of "dawn" that Gi Hyung-do pursues does not arrive only when "darkness" passes, but only when the hidden light in "darkness" is discovered. This is why Gi Hyung-do appropriates the concept of "darkness. His "grotesque realism" approaches us not in the form of death but in authenticity to the paradoxical rise of hope. of hope.

      • KCI등재

        난소 기형종 수술 전 미성숙 기형종을 감별하기 위한 자기공명 영상 소견

        최주혁 ( Joo Hyuk Choi ),동서연 ( Seo Yun Tong ),김민정 ( Min Jeung Kim ),박종섭 ( Jong Sup Park ),임용택 ( Yong Taik Lim ),김진홍 ( Jin Hong Kim ),나성은 ( Sung Eun Rha ),김미란 ( Mee R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난소의 기형종 환자에서 미성숙 기형종을 감별하기 위한 자기공명촬영의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서 기형종으로 수술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수술기록, 병리결과를 검토하였다. 결과: 기형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787명, 성숙기형종은 773명(98.2%), 미성숙 기형종은 14명 (1.8%)였다. 미성숙 기형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진단된 경우는 10예, 수술 후 조직검사로 확인한 예는 4예 (28.6%)였다. 미성숙 기형종 환자의 MRI 영상진단에서는 고형질 부분에 많은 수의 낭성 구조와 지방질로 보이는 고신호 강도의 부분 (punctuate foci)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증례들에서는 출혈이나 괴사, 전이를 보이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비교적 어린 나이에 진단되는 미성숙 기형종의 수술 전 진단은 환자의 가임력을 보존하기 위한 수술 방법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술 전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MRI에서 미성숙 기형종은 비교적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fferentiate immature from mature ovarian teratomas, using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and to evaluate the MR imaging appearance of immature teratomas. Methods: The patients with pathologic diagnosis of ovarian teratomas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5 were restrospectively reviewed for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787 patients studied, 773 (98.2%) patients were mature cystic teratomas and 14 (1.8%) patients were immature teratomas. Ten patients with immature teratoma (71.4%)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and 4 patients (28.6%) were diagnosed postoperatively. Preoperative MRI was performed in 4of 14 patients surgically proved immature teratomas. At MR imaging, the immature teratomas characteristically have a large, irregular solid component containing coarse calcifications and numerous variable-sized cysts. Small punctuate foci of fat help diagnosing these tumors. Conclusion: Preoperative MR imaging are relatively specific in the detection of immature teratomas. This suggests that preoperative MR imaging is helpful in differentiating immature from mature ovarian teratomas.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가축기형체에 대한 기록

        천명선 ( Myung Sun Chun ) 한국농업사학회 2013 농업사연구 Vol.12 No.1

        조선왕조실록은 가축의 질병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자료들은 비록 과학이나 의학적 이론에 근거한 관찰의 기록은 아니지만 질병의 발생과 분포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축질병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물기형에 대한 중세적 해석은 재앙의 상징이나 재이의 예고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색인 ‘수의학’, ‘생물’, ‘축산’등으로 분류된 약 2000 건의 기사중 196건의 가축 기형체 출산 기록을 분석하였다. 기형체는 그 형태와 특징이 잘 묘사되어 있어 대부분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그 기록은 중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집중되어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기형체는 결합쌍생체였으며 주요 동물은 소였다. 이밖에도 다지 기형과 무지증 등도 소, 개, 닭, 산양 등에서 관찰되었다. ‘암탉이 변하여 수탉이 된’ 사례와 마찬가지로 가축 기형체 발생에 대한 정치적인 해석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형발생기록의 절대적인 수나 재위기간 1년당 평균 기록은 명종, 효종, 현종, 숙종 재위기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자연발생률을 고려할 때 그 기록이 과도하게 부풀려졌거나 일어나지 않은 사건을 거짓으로 보고했을 확률은 낮아 보인다. 또한, 실록의 한정된 자료만으로 단언하기는 힘들지만 환경의 영향, 또는 전염병들의 영향으로 특정 시기에 기형체의 발생이 집중되었다고 보기에도 무리가 있다. 또한, 이것이 일반 대중에게 재앙의 상징으로 두려움이나 혼란을 야기했거나 축산 생산성에 위협적인요소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실록에 기형체 발생을 기록함에 있어 정치적 해석을 경계하는 사례가 언급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조선 후기 이후 기형학 또는 발생학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과학적 해석에 대한 지원으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Birth defects of humans and animals were not considered as diseases but as natural disaster in the Middle Ages. In this study, 196 cases of animal birth malformations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were classified with the modern concept of teratology. 90% of animal birth malformations were classified as conjoined twins. Half of all animal cases belonged to cattle. Cranial duplication of cattle and posterior duplication of chickens were the most frequent cases. Polymelia of cattle, horses and chickens was also found. Occurrence patterns, concentrated during the period from 1500 to 1750, were similar to those of repeated severe weather changes, famine, and epidemics during the same period. This similarity in the occurrence patterns might explain the exceptional increase of birth defects because congenital anomalies could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contagious diseases. In the Choso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portentology, natural phenomena such as weather, diseases, and earthquakes were signs for maladministration and justified restraining the king`s power. Therefore, the records of animal birth defects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have been understood from a political context. However, in spite of a strong relationship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e records written and chosen by Confucian historiographers hardly seem to be factious and intentionally exaggerated. Taking the differences in the records` density and the duration of a king`s time on the thrown into account, the incidence rate reported in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was not extraordinarily high. The political argues on birth defects of domestic animals in the Middle Ages in Korea did not motivate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teratology but limited it to pure political actions.

      • 초기계태에서 valproic acid에 의한 신경관 기형 : 입체현미경적 관찰

        김동호,조무연,정유남,최영주,이종선,민경수,이무섭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忠北醫大學術誌 Vol.10 No.1

        연구목적 ' 항경련제인 valproic acid가 초기계태의 신경관 형성에 영향을 주는 기형유발에 대해 입체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연구재 료 및 방법 : 백색의 Leghorn의 신선한 수정란을 30-35시간 동안 배양하여 Hamburger & Hamilton 기 5-10기의 초기 계태를 천공 필터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6-30시간 동안 CO2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고 무작위로 대조군과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실험군은 valproic acid 의 RPMI culture media 의 농도에 따라 100 ㎍/㎖, 200 ㎍/㎖, 500 ㎍/㎖, 1000 ㎍/㎖ 네가지 군으로 분리하였다. 각각의 대조군과 valproic acid를 처치한 실험군에서 입체 현미경하에서 초기계태의 신경관 형성의 형태학적인 특징과 기형형성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valproic acid가 없는 RPMI media에서 배양된 대조군은 24개의 계태는 22(91.7%)개는 정상으로 자랐으며 2(8.3%)개는 비정상으로 자랐다 이에 반하여 valproic acid가 처치된 RPMI media에서 배양된 72개의 계태는 42(58.3%)개가 비정상으로 자랐다. 주로 확인된 이상 형태는 신경주름의 변형. 신경관 폐쇄부전, 체절의 장애 및 발육 정지 등 이었다. 계태의 기형 형성은 valproic acid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valproic acrid 의 농도가 100 ㎍/㎖인 경우 18개 계태 중 2(11.1%)개에서 경미한 신경관 기형이 나타났으며 200 ㎍/㎖인 경우 18개 계태 중 11(61,1%)개는 정상, 7(38.9%)개는 명백한 신경관 기형이 나타났으며 500 ㎍/㎖인 경우 18개의 계태 중 5(27.8%)개는 정상. 13(72.2%)개는 명백한 신경관 기형을 나타냈다. 1000 ㎍/㎖인 경우 18(100%)개 모두 심한 신경관 기형이 나타났다. 결론: valproic acid는 초기계태에서 신경관 기형을 유발 했는데 저농도에서는 일부 경미한 신경관 이상을 보였고 고농도에서는 대부분 심한 신경관 손상을 동반하고 성장 속도가 둔화되어 약 용량의 증가에 따라 기형이 증가되는 dose-dependent manner 로 그 영향이 나타났다. Purpose : The teratogeruc effects of valproic acid widely used as anticonvulsant on the neurulation of the explanted eraly chick embryos were observed by the stereoscope. Materials and Methods: Fresh fertilized white leghorn hen eggs were incubated for 30-35 hours in an e99 incubator. The Hamburger and Hamilton stage 5-10 chick embryos were explanted using the punched-out filter paper explantation technique and cultured in the CO2 cell culture incubator for 6-30 hour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valproic acid concentrations of 100 ㎍/㎖, 200 ㎍/㎖, 500 ㎍/㎖, 1000 ㎍/㎖ with which the RPMI culture media were tre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cidences of teratogenic effects on the neurulation of early chick embryo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using the stereomicroscope. Results : Of the 24 chick embryos cultured in the RPMI media without valproic acrid, 22 embryos(91.7%) developed normally, and 2 embryos (8.3%) developed abnormally, in contrast, among 72 embryos cultured in the valproic acrid-treated media, 42 embryos(58.3%) developed abnormally. The frequent anomalous features were deformities of the neural folds, failure of neural tube closure, derangement of somites, and developmental arrest. Of 18 embryos cultured in the media treated each with 100㎍/㎖ of valproic acid, 2 embryos(11.1%) showed mild abnormality of neural tube defect on stereoscopic examination. Of 18 embryos cultured 7l the media treated each with 200㎍/㎖ of valproic acid, 11 embryos(61.1%) developed normally for 20 hours and 7 embryos (38.9%) showed definite neural tube defect. Of 18 embryos cultured in the media 7reated each with 500㎍/㎖ of vaIprolc acid, 5 embryos(27.8%) developed normally (or 20 hours and 13 embryos (72.2% ) showed definite neural tube defect. Of 18 embryos cultured in the media treated each with 1000㎍/㎖ of valproic acid, 1 embryo developed normally for 4 hours but all embryos (100%) showed severe neural tube defect on whole brain after 8 hours of culture. Conclusion : Valproic acid induced mild neural tube defects in low concentration and in high concentration of valproic acid, most chick embryos developed slowly and showed severe neral tube defects.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abnormal embryos ul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