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의 『기측체의(氣測體義)』에 나타난 기학적 신체수양론

        김부찬 ( Kim Boo-cha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본고는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혜강 최한기의 『기측체의(氣測體義)』에 나타난 신체수양론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혜강은 조선조 사대부의 공식 학문이었던 성리학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새로운 자신의 학문적 방법론을 세우고 이를 기학(氣學)이라 불렀다. 그의 기학은 시기에 따라 점차 완숙해 갔는데, 혜강이 34세에 저술한 『기측체의』에는 기학의 주요한 체계가 잘 정리되어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측체의』에 나타난 기학의 내용과 성격을 규명하고, 이 책을 통하여 혜강이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밝혔다. 아울러 혜강이 신체 수양에 대하여 어떻게 말하고 있고, 또 수양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경지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혜강의 신체수양론의 특징을 기학적 신체수양론이라 보고, 그것이 주는 체육철학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the body cultivation theory is in Hyegang Choi Han-ki's 『Kicheukcheyi(氣測體義)』 from the viewpoint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Hyegang directly criticized Neo-Confucianism, the official study of the Joseon Dynasty's scholar officials and named his theory Kihak(氣學). His Kihak had been gradually completed as time goes on, and is well organized in his work, 『Kicheukcheyi(氣測體義)』, written at the age of 34. The writer inquired int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hak on 『Kicheukcheyi(氣測體義)』 and how Hyegang understood human through the book in this paper. And also the writer investigated what Hyegang referred to body cultivation and the stage that he hoped to achieve through the body cultivation ultimately. From these researches, the writer called the characteristics of Hyegang’s theory of body cultivation Kihak’s theory of body cultivation and figured out what the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philosophy is.

      • KCI등재

        북한의 최한기 저작 번역과 해석

        이행훈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2

        북한 사회과학원에서 1965년 번역한 『기측체의』와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조선철학사 서술에 활용된 원문을 중심으로 고전 번역 원칙의 실제 적용과 남북한 번역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철학사상 해석에 일관된 유물론적 관점을 밝혔다. 북한은 1950년대부터 인민의 사상교화와 민족적 교양을 일깨울 목적으로 한문 고전을 선별하여 번역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역사주의 원칙과 현대성의 원칙이 제시되었다. 1960년 최한기를 처음 포함하여 서술한 『조선철학사(상)』과 『기측체의』 번역에 실린 「해제」는 이후 최한기 연구의 이정표가 되었다. 교양 참고서로 발간된 『조선철학사사료집』도 『신기통』을 비중 있게 다뤘다. 역사주의 원칙에 따라 항목과 전문을 발췌했고, 현대성의 원칙에 따라 순우리말로 풀어 번역했다. 추상 수준이 높은 전통 철학 용어나 최한기 철학의 주요 개념어는 번역 없이 사용했다. 사회과학원에서 번역한 『기측체의』가 원문 그대로 번역한다는 원칙에 충실했다면 조선철학사 서술의 인용문은 관점과 해석에 따른 의역도 적지 않다. 1960년대부터 2010년에 이르는 총 6종의 조선철학사에는 최한기를 ‘중세유물론철학의 완성자’라는 수식과 함께 중요한 철학자로 조명했다. 초기에는 물질적 기의 시원성과 불멸성, 운동과 정지의 변증법 등 자연관과 함께 감성적 단계에서 이성적⋅논리적 단계로 확장하는 인식론 관련 연구에 집중했다. 정성철의 1974년 실학파 연구는 최한기 연구를 사회정치사상으로 영역으로 확장한 대표 사례다. 조선철학사 서술에 인용된 항목을 시기별ㆍ주제별로 분류하고, 자연관, 인식론, 변증법, 무신론, 윤리⋅도덕, 변통론, 개국론, 사회정치개혁론, 대동사상, 교육사상 등으로 세부 주제를 정리했다. 기일원론적 유물론이라는 최한기 철학사상 규정은 유물론과 관념론의 대립과 투쟁으로 철학사를 파악한 결과다. 남한의 연구와 비교해, 주제의 편중과 해석이 편협한 사정이 여기 있다.

      • KCI등재

        최한기를 읽기 위한 제언

        김선희(Kim, Seon 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동아시아에서 서양을 통해 촉발된 근대 지식은 독립적이고 일관된 형태로 이식될 수 없다. 서양의 학술은 고유한 체계와 가치와 이념이 이미 작동하고 있던 지식장에 들어온 외래 사유였고, 따라서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되어 고유의 담론 체계 안에서 다른 생명력과 가치를 얻을 수밖에 없다. 서학(Western Learning) 특히 서양 과학에 대한 최한기의 접근과 수용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최한기 연구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평가들을 하나의 표제어로 삼아 최한기 철학에 접근하는 방식을 재검토하고 서학과 관련된 최한기의 사상적 구상을 재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최한기는 총론차원에서는 동서양을 회통시키며 시대를 앞서 나간 선구적인 사상가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각론 차원에서는 서양 과학의 맥락과 발전상을 이해할 지적(知的) 자원이나 훈련 없이 단발적이고 개별적인 정보 나열에 그친 실패한 사상가로 평가받기도 한다. 총론과 각론의 극단 사이에서 최한기는 ‘근대 우주관을 수용한 과학사상가’나 ‘철두철미한 경험주의자’ 또는 ‘이형접합의 키메라’로 인식된다. 그러나 조선 유학의 토대에서 성장한 최한기는 자신이 수용한 학적 체계가 서양의 ‘근대 과학’이라는 것도, 그 사상적 자원의 내적 발전이 ‘근대성’의 차원에서 평가된다는 것도 알지 못했다. 또한 그가 강조한 ‘경험’이라는 관념 안에는 경험 불가능한 형이상학적 실재에 대한 이념 또한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근대 세계에 대한 의식적 지향이 없었던 최한기에게 ‘근대성’의 표지를 붙여 평가하거나, 서양 과학의 완전한 이해와 수용을 목표로 하지 않았던 최한기에 대해 서양 과학의 이해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은 최한기의 전략과 목표, 구상과 기획을 현대적 관점에서 예단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한기의 철학적 구상을 이해하는 방법 중 하나는 왜 그가 서양과학을 도입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서양 과학을 수용하고자 했던 최한기의 시도는 ‘기학(氣學)’이라는 보편학에 대한 그의 구상과 지향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그는 기학을 통해 하나의 세계관을 만들고자 했고 이 세계관의 하위에 체계적 학문의 분과를 구성하고자 했다. 그는 기학이라는 보편학의 실질적 세부를 만들기 위해 서양 과학 이론을 비롯한 자기 시대의 모든 사상적 자원을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각론에 대한 평가는 그가 목표로 했던 체계와 그 체계의 세부를 구성하는 사상적 자원들 사이의 연동과 논리 안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Modern knowledge in East Asia, triggered through the Western world, could not be transplanted in an independent and coherent form. Western scholarship, separated from its original context, could only gain new values in the new sphere of scholarship of East Asia with its own values and philosophies. The study of Choi Han-Ki’s reception of Western learning, especially of Western science, should be approach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understand and estimate Choi Han-Ki’s philosophy and ideology in relation to Western learning. Within the pre-existing approaches of his philosophy, he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a pioneering philosopher for his time for introducing and connecting Western ideologies to those of the East. However, on a more precise level of evaluation level, he has been regarded as rather an unsuccessful philosopher who merely introduced isolated information without being equipped with proper intellectual resources and sufficient training to understand Western science. He was called either as a ‘scientific philosopher who accepted the modern view of the universe,’ or ‘a through and through empiricist,’ or even ‘a heteromorphic camera.’ Yet, Choi Han-Ki as a person grew up during the Confucian Chosen was not able to understand that the scholarship he accepted was ‘modern science’ and its ideological resources had been evaluated at the level of modernity in the West. Moreover, in the concept of ‘experience’ that he emphasized, the idea of a metaphysical entity that cannot be experienced was also included. Therefore, an evaluation of Choi Han-Ki, who did not have a conscious aspiration for modern science and did not aim to understand and introduce Western modern science itself into the East, may involve labeling him with ‘modernity’ or with an evaluation method that uses the understanding level of Western science as its standard, would only lead to forejudge his strategy and goal from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one proper way to understand his philosophical configuration is to start with the question of why he wanted to introduce Western science. His attempt to import various Western science might be best evaluated in the light of his configuration for a universal science, ‘Ghi-Hak.’ He attempted in Ghi-Hak to build up one complete view on the world with its systematic subdivisions, utilizing all the ideological resources he could during his time, including Western science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his philosophical details should be done within the system he aimed to build up as well as the inner connection logic between ideological resources that form the details of the system.

      • KCI등재

        19세기 지식장의 변동과 문명의식: 홍한주, 이규경, 최한기를 중심으로

        김선희 ( Seon Hee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49

        이 논문은 19세기 중반에 다양한 지적 정보들을 종합하고 재배치하고자 했던 세 지식인 홍한주, 이규경, 최한기의 사상적 작업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외부의 지적 자극과 정보들을 어떻게 내적으로 변용하고 지적 재배치를 시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외래의 지식에 대한 개입과 조정에 따른 후속적 결과가 아니라 개입과 조정의 전제와 지향성이다. 이 논문은 이를 문명의식으로 보고, 이를 통해 세 지식인들의 지적 태도와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치적 지향과 배제의 명분이었던 중화의식과 달리, 문명의식은 학문적 활동의 근본 전제로서, 올바르고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이념이자 가치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서학과 같은 외래의 자원과 전 시대보다 강화된 서양 강대국의 동진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이들의 문명의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이 변화가 이들의 지적 태도와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at how the three literati in the mid-19th century, Hong Han-ju, Lee Gyu-gyeong, and Choi Han-ki, tried to transform external intellectual stimuli and information internally and to realign those, by examining the works of the literati.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premise and orientation of such intervention and adjustment, not the subsequent consequences. This article regards it as civilization consciousness and examines the intellectual attitudes and tendencies of three literati. Civilization consciousness meant the ideology and value of the righteous, idealistic world, which served as fundamental basis of academic activities, different from sinocentrism which was the cause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exclusion.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how the external resources such as Western learning and the advance of Western great powers into the East Asia changed the civilization consciousness and how the change affected their intellectual attitudes and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