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박상미,이창대,김정란,김태희,박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unction (AMF)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reminiscence function and with resili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gnitive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older adults aged 60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The 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for the Elderly were used to measure AMF, resilience, and reminiscence function,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3.14 years (SD = 7.59) (n = 121). The mean score of AMF was 1.99 (SD = 0.72). AMF tended to decrease with age (p = .32). AM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miniscence functions (p < .001).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MF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β = 0.229, p < .05). AMF explained 4.2% of the variance in resilienc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MF is a related factor to the resilience of older adul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measure AMF with various samples, including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and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support the advantage of AMF in older adults’ health.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회상기능,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60세 이상의 인지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회복탄력성, 회상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한국형 자서전적 기억 기능 평가 척도, 한국형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적용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3.14세(Standard Deviation; SD = 7.59)였다 (n = 121).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 평균은 1.99점(SD = 0.72) 이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32).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노인 회상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을 통제하고도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 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β = 0.229, p < .05), 회복 탄력성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의 설명력은 4.2% 였다. 결론: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 확인되었다.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유익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울집단이나 인지저하집단과 같은 보다 다양한 건강수준의 샘플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을 측정하고 건강변수와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 회상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자전적 기억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소정,이훈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2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며 과거 해외여행을 회상하는 현상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 변화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관광 이후 단계에서 행복감을 지속하는 방법으로 회상의 인지적 역할을 논하고 장기적으로 기억되는 관광경험의 차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발 이전 지난 5년간 해외여행 경험을 한 국내 관광객을 대상으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자전적 기억의 기능, 주관적 웰빙의 영향 관계를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4가지 속성의 경로계수는 관광지에 대한 열정, 학습, 신기성, 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자전적 기억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시적 기능, 자기 기능, 사회적 기능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적 기억의 기능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지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자기 기능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경험의 회상단계/에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자전적 기억의 기능을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억의 인지적 역할과 그 가치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고 코로나 시대 관광객들의 추억을 자극하는 전략과 관광환경 및 서비스 조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인혜,안현서,신지원,박상미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기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온라인 조사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우울증이 없는 지역사회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 주관적 건강, 사회인구학적 정보, 주관적 기억력, 사회관계 만족도를 측정했다. 이를 위해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한국판 자서전적 기억 기능 척도(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Scale; TALE-K)와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설문지가 적용되었다. 주관적 건강과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 11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건강의 평균 점수는 3.36(표준편차 0.64)점이었고, TALE-K의 하위 영역별 평균 점수는 자기 기능 1.94점(표준편차 0.70), 사회기능 2.00점(표준편차 0.70), 지도 기능 2.13점(표준편차 0.68)이었다. 주관적 건강은 성별, 나이, 교육연수, 동거형태,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기억력, 만성질환의 개수, 사회관계 만족을 통제하고도 자서전적 기억 기능 중, 사회기능과 부적 상관관계(표준베타 -0.409, p<0.01)를 나타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중, 자기 기능과 지도 기능은 주관적 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비교적 건강한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기능 중 사회기능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노인의 건강 증진과 자서전적 기억 기능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ADHD 아동용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홍선주,이명진,정은주,김초복,손영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이 논문에서는 ADHD 초등학생들을 위한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작업기억을 포함한 실행기능의 향상에 기여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능성자기 공명영상을 활용한 뇌영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ADHD 아동을 위한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이 작업기억의 기능영역적 특성과 개별 훈련자에 따른 적응적 과제 난이도 제공이 어려운 점을 보완 하여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 K-WEP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4~5학년의 ADHD 진단을 받은 연구 참여자들은 주 2~3회씩 8주에 걸친 작업기억 훈련을 실시하였고, 이후 이들의 실행기능 과제 동 안의 뇌 영상을 획득하여 과제 조건별 활성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WEP 훈련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전전두피질의 활성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제에서 요구하는 특정 인지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영역의 활성화가 발견되었다. 이는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실행기능과 같은 인지기능의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called ‘K-WEP’. The K-WEP was developed as online training program for 4th and 5th graders to improve their executive functions including working memory. In this program, the difficulty levels of the tasks are adaptive for individual trainee based on trainees’ responses in order to maximize the training effectiveness. Trainees were guided to use the program twice or three times a week during eight weeks, then we compared their brain activation patterns using fMRI between before and after training. After eight-week training, the Prefrontal Cortex (PFC) regions were activated while trainees preforming executive function-measure-task. The significant activation of the PFC while trainees preforming tasks might be meant that the trainees have payed attention and inhibited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effectively. We carefully suggested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like K-WEP could improve ADHD children’s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working memory, and large-scale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ing memory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 : Rey-Kim 기억검사 Ⅱ 를 중심으로

        김홍근,정재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K-WAIS-IV), Rey-Kim 기억검사 E를 실시하였다. 기억기능 결손은 대응과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기억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기억과정을 등록,유지, 인출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외상성 뇌손상군은 유지,인출에서 결손이 있었고 인출 단계에서 가장 심한 결손을 보였다. 셋째,외상성 뇌손상군의 기억장애 결손은 일반지능과 결정지능 결손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일반지능과 결정지능에 비해 기억기능의 차별적 결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에서 기억기능에 중점을 두고,유지 및 연출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ficits of memory func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TBI) patients. To this end, 50 TBI patients and 50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on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K-WAIS-Ⅳ), Rey-Kim Memory Test Ⅱ. Deficits of memory function was analyzed using paired task.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BI patients showed a lower memory function compared to normal subjects. Second, TBI patients showed a lower retention and retrieval stage than normal subjects. Especially, the retrieval stage was more severe lowered than the other stage. Third, TBI patients showed that deficits in the memory function were more severe than in the gener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that TBI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 differential deficit in the memory function in relation to gener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focus on the memory func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focused on retention and retrieval stage will be applied.

      • KCI등재

        뇌졸중환자의 기억신념과 우울, 인지기능과의 관계

        박경아(Park Gyeong A),오명화(Oh Myung Hwa),김다혜(Kim Da Hy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억신념과 우울,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G광역시와 전라남도 소재의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후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기억효능감 질문지, 기억통제감 척도 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억효능감은 학력, 동거상태, 경제상태, 발병횟수에서, 기억통제감은 경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우울은 발병시기에서, 인지기능은 성별, 연령, 학력, 동거형태, 발병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기억효능감은 기억통제감, 인지기능과는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기억통제감은 우울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p<.05). 그리고 우울은 인지기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인지기능에는 기억효능감과 기억통제감, 우울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 긍정적 기분을 유발하여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며 인지기능의 회복에 대한 기억신념을 촉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emory belie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for stroke patients. A total of 88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K-MoCA,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emory Self Efficacy Qestionnaire(MSEQ), Memory Controllability Inventory(MCI).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memory self 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level of education, living and 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onset of stroke (p<.05), the memory controll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status (p<.05), and the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set duration of stroke (p<.05), and the cognitive functio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education, living condition, and the number of onset of stroke (p<.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mory self efficacy and memory controllability,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p<.05). Memory controllability was correlated with depression (p<.01),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ing (p<.01). Memory self efficacy, memory controllability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functioning (p<.05). Based on this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multifaceted rehabilitation program in order to induce the positive mood, to reduce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to promote the memory belief about recovery of cognitive functioning.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과 정서가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에 미치는 영향

        정진현(Jung, Jinhyun),김정모(Kim, Jungmo)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3

        주관적 기억 감퇴란, 기억력 측정 과제 수행에서 객관적인 기억 문제가 시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호소하는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기억 감퇴를 호소하는 노인들의 신경심리학적인 특징과 정서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서 노년기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심리학적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주시에 거주중인 60세 이상의 노인 중, 무선적 선별을 통해 주관적 기억 감퇴 집단에 해당한 41명(남 25명, 여 16명)과 통제 집단 48명(남 26명, 여 22명) 총 89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검사 및 정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과 인구학적요인 간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과 신경심리검사 중 단어목록기억, 단어목록회상 검사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정서적 특성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통제 집단과 주관적 기억 감퇴 집단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단어목록기억, 단어목록회상, 구성회상, 구성재인, 전두엽 기능평가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기억 감퇴 호소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신경심리검사의 변인 중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으나 제한된 인원수를 감안하였을 때 기억력 관련 검사에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부정적인 정서 상태 중 주관적 기억 감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은 없었으나 제한된 인원수를 감안하였을 때 우울감이 주관적 기억 감퇴와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 기억 감퇴를 호소하는 노인들과 객관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연관이 있으며 부정적 정서상태 중 우울과도 관련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Subjective memory complaints(SMC) are defined as a phenomenon , where people complain their memory loss even they have intact cogni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s and the neuro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memory loss, and the cognitive functions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For the purpose of this, we measured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emotion evaluation for 89 people(control = 48, SMC = 41) over 60 years. in Gyeongju city. The results were follows: SMC showed less cognitive functions of Word List Memory, Word List Recall and Construct recall and recognition as well as the lower emotion of depression.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the affective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MC was significant influenced by Word List Memory and depression in 10%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SMC is related with memory loss and depression. It was discussed about the limitation of our study and a futur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이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손상희 ( Sohn Sang-hee ),박종옥 ( Park Jong Ok ),서원영 ( Seo Wonyeong ),윤정윤 ( Yoon Jungyoo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을 규명하고, 그에 대한 어린 시절의 부모와 관련된 돈에 대한 기억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lontz의 KMS1 와 Furnham의 Moneygrams로 측정도구를 구성하여 성별과 연령 기준으로 할당표집한 전국 20세 이상 (50세 미만 소비자 681명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요인분석 결과 소비자의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은 `돈 숭배`, `돈 지위`, `돈 불신`, `돈 경계`의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즉, 돈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돈 숭배, 돈이 곧 지위를 상징한다는 신념인 돈 지위, 돈이 사람을 타락시킨다는 돈 불신, 그리고 돈에 관해서는 비밀에 부쳐야 한다는 신념인 돈 경계로 파악되었고, 평균값의 순위는 돈 숭배, 돈 불신, 돈 경계, 돈 지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관계적 수단`,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권위의 표현`의 4가지 유형으로 밝혀졌다. 관계적 수단은 부모님이 돈을 관계를 다루는 수단으로 사용한 기억이며, 갈등의 원천은 돈으로 인한 가족 간 불화에 대한 기억이다. 한편 은폐의 대상은 부모님이 돈을 비밀에 부친 기억이고, 권위의 표현은 부모님이 돈에 대한 부모의 가치를 자식들에게 심어준 기억이다.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 관계적 수단의 순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경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집단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 중 관계적 수단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 차이가 나타났고. 권위의 표현,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에 대해서는 소득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돈에 대한 신념에 대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으며 돈 지위 신념에 대해서만 성별, 연령별 차이가 파악되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어린 시절 돈에 대한 기억은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갈등의 원천,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숭배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고, 관계적 수단, 은폐의 대상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지위 신념이 강화되었으며. 갈등의 원천 기억은 돈 불신 신념을 강화시켰다. 또한 갈등의 원천. 권위의 표현으로서의 기억이 강할수록 돈 경계에 대한 신념이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돈에 대한 신념의 형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소비자사회 화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즉, 인생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부모의 돈에 대한 메시지와 가정에서의 경험이 성인의 삶에서 영향력이 지속될 정도로 중요한 사회화 역할을 함을 밝힘으로써, 돈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의 형성과정과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신경인지기능의 손상 - 문제해결 능력과 실행 기능 -

        이충헌,송진관,김지혜,최문종,남궁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다는 것은 이미 이전의 많은 논문들에서 보고 되었으며, 특히 직업 수행능력이나 사회적 대응능력에 중요한 인지기능인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 행기능의 저하가 보고 되었다. 반면, 병적 음주기간이 비교적 짧은 20~30대의 젊은 알코올 의존 환 자에서는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저하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이전의 보고가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주중인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을 중심으로 신경인지기능의 저하 여부를 알아보고, 환자군의 신경인지기능과 음주관련요 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환자군은 금단기간이 경과한 19세에서 39세까지의 입원 중인 남녀 알코올 의존환자 24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환자군과 나이, 성별, 교육수준을 맞추어 짝짓기 표본으로 선정한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음주력, 그리고 Beck’s Depression Inventory,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를 통해 대상 군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대상군의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Wechsler Memory Scale-Revised 중 일부 소검사,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중 Block desig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등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32세의 평균연령을 가진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학습 및 기억능력, 문제해결능력, 추 상적 추론능력 및 실행기능 등의 인지기능의 유의한 저하가 관찰되었다. 환자군의 일부 인지기능 검 사에서 평생음주기간 및 평생음주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이전 보고와는 달리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도 만성 알코올 의존 환자와 마찬가지로 기억력, 문제해결능력 및 실행기능의 저하를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들 도 신경인지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직업적 수행 능력 및 사회적 대응기술능력의 저하, 이로 인한 사회적 고립에 빠질 수 있으며, 알코올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 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젊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질환의 조기 발견, 조기개입과 재활 및 향후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bjectives:The decline in general neurocognitive functions of alcoholic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especially in the area of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which are important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or adaptation to enviroment. On the other hand, young alcoholics under the age of 40 with relatively short duration of problem drinking were reported of no significant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consisting of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around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in abstinent young alcoholics. Methods:24 male and female alcohol dependent patients from the age of 19 to 39 years, who were detoxified in the hospotal were recruited as subjects. Normal control group of 20 males and females who matched for age, sex, educational level were selec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y demographic variables, alcohol history, Beck’s Depression Inventory, Michigan Alcohol Screening Test and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Also, subtests of Wechsler Memory Scale- Revised, Block design from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subjects’ neurocognitive functions. Results:Compared to normal controls, significant decline in neurocognitive functions such as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were observed in young alcohol dependent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32. Parts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uration of lifetime drinking and lifetime alcohol consumption. Conclusion:This study shows that, unlike previous reports, decline in memory, problem-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occur in young alcoholics as in chronic alcoholics. This implies that young alcoholics can experience difficulty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 and may be less responsive to treatment due to neurocognitive da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icate the importance of early identification, intervention, and planning therapeutic strategies in young alcoholics.

      • KCI등재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

        임지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이 기억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행기능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상담개입과정에서의 함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집행기능결함을 측정하기 위한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Short Form(BDEFS-SF), 기억손상을 측정하기 위한 다요인 기억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집행기능결함 및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집행기능결함은 기억손상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 위험집단은 일반사용자집단에 비해 집행기능결함과 기억손상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집행기능결함의 하위요인들이 기억손상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직화/문제해결,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 자제, 금단의 순으로 기억손상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넷째, 집행기능결함은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손상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경향이 있는 성인을 위한 상담개입과정에서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집행기능 재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impairment and to suggest treatment implications for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For this study, 300 adults(146 males and 154 females) were conduc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Short Form(BDEFS-SF), and Multifactorial Memory Questionnaire(MMQ).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and memory impair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martphone addic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of th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impairment. Thir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organization/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to time, self-restraint, and withdrawal were the best predictors of memory impairment. Forth, Executive function deficienc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impairment. These findings were considered to suggest that treatment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group needed to include training for cognitive improvement such as executive function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