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의어 학술기본어휘의 전문의미 탐색과 교육적 고찰

        한윤정,이은희,한재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lysemous characteristics of academic vocabulary, examine its meaning, and derive relevant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232 academic vocabularies were selected based on Hwang Sung-eun(2017), and the vocabulary list including the basic meanings and specialized meanings for each vocabulary was pre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vocabulary with one or more specialized meanings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s accounted for a majority: 88%. Since then, an exper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63 specialized meanings in seven academic fields with high frequency, and the meaning of 134 final academic vocabularies was analyz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having a specialized meaning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 can be managed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before entering the major.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asic meaning and the specialized meaning is close, they can be taught and learned simultaneously as per the academic field, if not,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inferring the specialized meaning from the basic mea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existing discussion related to academic vocabulary to incorporate a broader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필수로 다루어지는 학술기본어휘의 다의적 특성을 포착하여 그 의미 양상을 살피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황성은(2017)의 어휘 목록을 기반으로 232개의 학술기본어휘를 선별하였고, 어학사전과 백과사전 등을 통해 각 어휘의 기본의미와 전문의미를 자료화하였다. 그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하나 이상 갖는 다의어 학술기본어휘가 88%로 많은 수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빈도수가 높은 7개 학문 분야의 어휘 163개의 전문의미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감수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정리된 학술기본어휘 134개의 의미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함께 가지는 경우 전공 진입 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의미와 전문의미의 의미 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 학문 분야에 따라 두 의미를 함께 교수·학습할 수 있으며, 거리가 먼 경우 기본의미로부터 전문의미를 유추하기 어려우므로 학문 분야별로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술기본어휘 관련 논의를 더 넓은 관점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본색채어, 분석

        김선희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한국어와 일본어에 발달해 있는 색채어, 중 기본색채어, 를 밝히고 어, 간 형태적 분화 규칙과, 의미적 변이에 관하여 대조 분석한 것이다. 기본색채어, 는 한국어의 경우 붉다, 푸르다, 노르다, 검다, 희다가 속하며 이는 음양오행사상의 우주를 이루는 5가지 요소와 연관 지어 만물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이 5가지 색으로 구분이 된다고 하는 사고에 의한 것이다. 또 이들 기본어, 는 언어의 문법적, 음운적 체계에 있어서도 규칙성이 관찰된다. 문법적으로는 단어의 복합구조를 형성한 합성어, 그리고 접두어, 접미어의 첨가로 발생한 파생어의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의미의 차이도 발생한다. 어, 가 가지는 본래의 의미에 공간적인 범위확대를 나타내기도 하고, 강도, 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또한 어, 적 의미차를 넘어 정서적 의미 즉 감정, 심리적 의미상태 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음운적인 특징에 있어서는, 자음, 모음과 같은 어구성의 음운차이로 인한 물리적 색채 특성의명도, 채도의 가감효과를 나타내기도 하고, 의미의 강조, 정서적 의미차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한국어와 달리 あか, あお, くろ, しろ 가 기본색채어, 로 간주되며, きいろ는 어구성, 음운적 특징 등과 같은 언어 규칙에 따라 기본어, 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きいろ로 표현되어야 할 사물에 あか, あお 등으로 표현되는 방언의 예가 발견되고 있다. 일본어의 기본색채어, 는 문법적 요소 특히, 다양한 접두어, 접미어 표현에 따른 미묘한 색채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형용사, 부사도 색채어, 를 수식하는데 사용되어 세세한 의미차를 보인다. 문법적 특징으로 볼 때, 한국어는 단어형태로 의미의 전이가 일어난다고 한다면, 일본어는 구구조로 확대되어 그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 양 언어에서 보이는 큰 차이라 할 수 있고, 또 일본어의 경우는 음운구조의 변이에 의한 의미차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本論文は韓國語と日本語において發達している色彩語彙の中で基本色彩語を明らかにし, これら語彙間に現れる形態的分化規則と意味的變異について對照分析したものである。基本色彩語は韓國語の場合, 붉다, 푸르다, 노르다, 검다, 희다が屬するがこれは陰陽五行思想によるものとされる。また, これら基本語彙には文法的, 音韻的體系における規則も觀察される。文法的には複合構造からできる合成語, また接頭辭, 接尾辭がつけられてできる派生語の多樣な形があり, それに意味差も生じ, 語彙が持つ本來の意味に加えて, 色の表す範圍の擴大, 强度, 濃度の差をもたらしている。このような意味の變異は語彙的意味の次元を越え, 情緖的な意味, 心理的意味の狀態を同時に表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また音韻的特徵においては, 語を構成する子音, 母音の違いにより物理的性質の明度, 彩度の違いを現したり, 意味の强調, 情緖的意味差を現すこともある。日本語の場合は, あか, あお, くろ, しろが基本語彙であり, いろいろな言語規則から見てきいろは外れる。文法的要素特に, 多樣な種類の接頭辭, 接尾辭により微妙な意味差を示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が, この他にもいろいろな形容詞, 副詞が色彩語を修飾するのに使われていて, 意味の差を示している。文法から見ると, 韓國語は單語レベルで多樣な意味の轉移を表しているとしたら, 日本語の場合は句構造に擴大されてその機能を袒っている点が相互言語の違いであるということがわかった。また日本語では音韻構造の違いによる意味差は生じない。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본색채어휘 분석

        김선희 한국일어교육학회 2013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한국어와 일본어에 발달해 있는 색채어휘 중 기본색채어휘를 밝히고 어휘 간 형태적 분화 규칙과, 의미적 변이에 관하여 대조 분석한 것이다. 기본색채어휘는 한국어의 경우 붉다, 푸르다, 노르다, 검다, 희다가 속하며 이는 음양오행사상의 우주를 이루는 5가지 요소와 연관 지어 만물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이 5가지 색으로 구분이 된다고 하는 사고에 의한 것이다. 또 이들 기본어휘는 언어의 문법적, 음운적 체계에 있어서도 규칙성이 관찰된다. 문법적으로는 단어의 복합구조를 형성한 합성어, 그리고 접두어, 접미어의 첨가로 발생한 파생어의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의미의 차이도 발생한다. 어휘가 가지는 본래의 의미에 공간적인 범위확대를 나타내기도 하고, 강도, 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또한 어휘적 의미차를 넘어 정서적 의미 즉 감정, 심리적 의미상태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음운적인 특징에 있어서는, 자음, 모음과 같은 어구성의 음운차이로 인한 물리적 색채 특성의 명도, 채도의 가감효과를 나타내기도 하고, 의미의 강조, 정서적 의미차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본어의 경우는 한국어와 달리 あか、あお、くろ、しろ 가 기본색채어휘로 간주되며, きいろ는 어구성, 음운적 특징 등과 같은 언어 규칙에 따라 기본어휘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きいろ로 표현되어야 할 사물에 あか、あお 등으로 표현되는 방언의 예가 발견되고 있다. 일본어의 기본색채어휘는 문법적 요소 특히, 다양한 접두어, 접미어 표현에 따른 미묘한 색채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형용사, 부사도 색채어휘를 수식하는데 사용되어 세세한 의미차를 보인다. 문법적 특징으로 볼 때, 한국어는 단어형태로 의미의 전이가 일어난다고 한다면, 일본어는 구구조로 확대되어 그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이 양 언어에서 보이는 큰 차이라 할 수 있고, 또 일본어의 경우는 음운구조의 변이에 의한 의미차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높다/낮다}와 {高/低}의 다의 구조 비교․대조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민영란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높다/낮다’와 중국어 ‘高/低’의 다의 구조 대조를 통해 이것들의 의 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기본 의미에서 ‘높다/낮다’와 ‘高/低’는 ‘사람의 키’를 제외한 ‘이어진 수직거리’나 ‘벌어진 수직사이’에서는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단어는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 기본의미를 벗어나 여러 가지 의미를 파생시킨다. ‘높 다/낮다’와 ‘高/低’의 전이 현상을 살펴보면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 상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 성품, 소리, 연령, 항렬’일 때, ‘높다’와 ‘高’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그 대상이 ‘가능성, 심리활동, 기세, 신체, 정도, 속도, 포부․취미’일 때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낮다’와 ‘低’에서도 그 대상 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지위․등급, 소리’를 나타낼 때 대응을 이루었으나 ‘연령’을 나타낼 때에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기본 의미 대응의 특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일 대 다의 대응양 상을 살펴보았고, 의미전이 대응의 특징으로 ①공간성에서 추상성으로의 전이, ②문자성에서 관용성으로의 전이, ③공간성에서 청각성으로의 전이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Chines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from the stand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In the basic meanings of the paired words ‘high/low’ (‘높다/낮다’-‘高/低’),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of height except stature. Words, though having customary basic meanings, can exhibit meaning transfer when put in various contexts or situations.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discovered in th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through comparing transferred meanings. For instance, there is correspondence of ‘높다’ (‘high’ in Korean) with ‘高’ (‘high’ in Chinese) when both pertain to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moral character, sound, age, education level, whereas there appears no correspondence when they relate to possibility, mentality, morale, stature, degree, speed, ambition, interest. Correspondence is made for the meaning of Korean ‘낮다’ and Chinese ‘低’ when both designate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status, grade, sound, but no correspondence between ‘다’ and ‘低’ when concerned with ag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chapters, the study investigates one-to-many correspondence of basic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following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①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bstract words ②spatial words transferred to idiomatic words ③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udial words.

      • KCI등재

        合成動詞의 多義 形成過程에 대한 考察 -基本意味와 派生意味 間의 意味關係를 中心으로-

        유승국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cess of polysemization in complex verb. So I observe how the derivative meaning in each cases is related to the basal meaning and I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meanings of a word are based on the present dictionary. The derivative meaning of complex verb seems to be formed in both cases, that is based on the basal meaning of it, and that is based on the meanings of basal word which is before compounded. 이 論文에서는 국어 合成動詞의 多義形成過程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複合動詞와 派生動詞 각각의 경우에서 형성된 派生意味들이, 基本意味와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의미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多義形成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복합 동사나 파생 동사의 파생 의미들은 그 기본 의미와, 또 語基 내지는 基語의 의미와 有緣性을 지니기도 한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하여 複合語나 派生語의 多義化 과정에서 파생 의미가 형성되는 基底가 그 합성 동사의 기본 의미에 있는 경우와, 합성 이전의 基語의 의미에 있는 경우의 두 가지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동사에서는 파생 의미들이 基語의 의미에 기초하여 형성되며, 합성 동사의 기본 의미에 기초하여 파생된 의미들은 사실상 基語의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서는 2차적으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군요’와 ‘–네요’의 의미 분석

        나은영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3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군요’와 ‘–네요’의 의미 분석 나 은 영 연구 목적: 이 연구에서는 ‘-군요’와 ‘-네요’의 공통 기본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군요’와 ‘-네요’가 가지는 특정 개별 의미는 무엇인지 밝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군요’와 ‘-네요’가 나타나는 대화들을 분석하여 ‘-군요’와 ‘-네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군요’와 ‘-네요’의 기본 공통 의미는 ‘새로운 사실을 앎’으로, ‘-네요’와 구별되는 ‘-군요’의 개별 의미는 ‘실증적 추측’과 ‘수긍’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군요’와 ‘-네요’를 쓸 때, 의미 제약의 이해 부족에서 기인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본 의미와 개별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묘한 의미 차이를 알 수 있는 실마리가 제시되어, 한국어 학습자들의 교수와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의미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여 주어 제약이나 선어말 어미 제약과 같은 분석은 다루지 못하였으나, 이는 후고를 기약한다. 핵심어: -군요, -네요, 한국어 학습자, 기본 의미, 개별 의미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gunyo’ and‘-neyo’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Eunyoung Na*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on basic meaning of ‘-gunyo’ and ‘-neyo’ and identifies their specific individual meanings to enhance the acquisi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analysis focused on conversations featuring these forms, revealing that the common basic meaning of both ‘-gunyo’ and ‘-neyo’ is ‘knowing new facts’. However, ‘-gunyo’ uniquely conveys ‘evidence-based conjecture’ and ‘affirmative.’ This study proposes basic individual meanings as solutions to issues stemming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semantic constrains when using ‘-gunyo’ and ‘-neyo’. By providing clues that allow for the discernment of subtle semantic differenc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support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While the study primarily concentrates on semantic analysis, further study into subjective constraints and pre-final ending constraints will be addressed in future work. Key Words: -gunyo, -neyo, Korean Language Learners, Common Basic Meaning, Individual Meanings □ 접수일: 2024년 6월 16일, 수정일: 2024년 6월 28일, 게재확정일: 2024년 6월 28일* 초당대학교 교수(Professor, Chodang Univ., Email: ney@cdu.ac.kr)

      • KCI등재

        한국의 기본소득 연구 동향과 그 함의: 국내 학술지의 주제어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김종우,김왕배,김현민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ourse on basic income in Korea. Second, through this analysis, we discover areas that Korea's basic income research did not pay attention to in the future and suggest follow-up research. To do this, we collected 347 papers related to basic income in journals registered in KCI. These texts are class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ic income-related research in Korea started in 2006 and has been proliferating since 2010.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s basic incom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topic of domestic basic income research is focused on introducing basic income as a social policy. Second, the policy discourse is mainly combined with topics related to the advent of a new market ideology, labor environment, and welfare policy to ensure basic living. However, in this proces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studies from th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were not well dealt with in the domestic basic income research. 이 연구는 학계에서의 기본소득 논의의 확장 과정에 관한 분석을 통해 기본소득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보완적 연구가 필요한 쟁점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는 국내 학계의 기본소득 연구 동향과 유형 분석하기 위하여 KCI에 등재된 학술지의 기본소득 관련 논문 347건을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해 그 내용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국내에서 기본소득 관련 연구는 2006년 처음 시작된 이후, 2010년을 기점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흐름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형성된 한국의 기본소득 연구의 유형과 특징은 국내의 기본소득 연구의 주요 흐름은 기본소득 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를 필두로 새로운 시장 질서, 노동 환경의 도래와 이에 따른 기초생활 보장 방안 마련의 하나로 기본소득을 다루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만 이 과정에서 생태, 환경적 관점의 연구가 국내 기본소득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음에 주목하며, 향후 국내의 기본소득 연구가 생태, 환경적 관점을 토대로 탈성장주의와 생태적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기본소득 논쟁에 대한기독교 윤리적 실천방안 연구 :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을 중심으로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기독교사회윤리 Vol.38 No.-

        기본소득은 노동중심주의를 대체하여 노동과 소득의 연계를 끊고 자유로운 삶과 자유로운 노동을 촉진하려는 새로운 시도이다. 저출산․고령화, 고용 없는성장, 심각한 양극화와 불평등,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위협 등 우리나라가 처한절박한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본소득 개념을 중심으로 새로운기독교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을 이끌 성서해석과 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사회복지에 있어서 노동의의미에 대해서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사회복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기본소득 개념과 이에 대한 성서적인 근서를 바탕으로 접근하면서 해결방안을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첫째, 사회복지정책 역사의 큰 흐름을관통하는 ‘노동’의 의미와 적용에 대해 논했다. 특히 현재 복지국가가 강조하는‘고용중심적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한계를 논했다. 둘째, 새로운 복지의 패러다임을 열어가는 중요한 개념인 기본 소득의 주요 개념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몇 년 전 우리사회를 반성하게 했던 ‘송파 세 모녀 사건’을 현재 우리나라의 복지제도의 한계를 ‘고용중심적 복지정책’의 관점에서 살펴본 뒤 기본소득의 적용가능성을 시도했다. 셋째, 기본소득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살펴본 뒤, 기본소득이 우리의 삶에 자유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성서적 해석과 함께 논했다. 끝으로 기본소득을 위한 기독교사회복지의 역할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했다. Basic income is a new attempt to replace the labor centered capitalism by cutting off the link between labor and income. Under the crisis of the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growth without employment, severe polarization, inequality, and the threa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prepare a practical pla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 theological grounds leading to the paradigm of the new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Basic Income concept.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labor in social welfare, to suggest a solution to this problem based on the concept of Basic Income and the biblical approach to Christian social welfa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it briefly reviewed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past 400 years and discussed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labor.’ In particular, it discuss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mployment-oriented welfare policy’ emphasized by the current social welfare states. Second, it introduced the key concepts of Basic Income as an important concept that opens the paradigm of new welfare. Then, the welfare system of Korea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employment - oriented welfare policy’ and tried to apply the Basic Income concept. Third, After examining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grounds of basic income, with a biblical interpretation. it discussed the possibility that Basic Income could bring freedom to our lives. Last, the roles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or Basic Income and practical alternative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본소득에 대한 신학적 분석 - 인간존중의 가치 실현을 위한 방법론적 의의

        최성훈(CHOI, Seong-H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3

        국가 또는 지방자치정부가 자산조사나 근로의무 등의 조건이 없이 모든 개인에게 제공하는 정기적 현금 급여인 기본소득은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 및 코로나 19 사태 이후 가계 및 경기 부양과 관련하여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본소득에 대한 찬반의견은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에 걸쳐 분포하는데, 이를 반대하는 측은 노동과 관계없는 소득의 비윤리적 측면, 노동자들의 이탈로 인한 사회 전체의 생산성 저하, 기본소득의 재원 확보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다. 기본소득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부의 대부분이 나눔이 필요한 공공재(public goods)라는 사실, 개인의 인권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 확보, 소비진작을 통한 수요 확대 및 불평등 완화, 그리고 자산조사와 관련한 행정비용의 경감과 낙인효과(stigma effect) 방지라는 측면에서 기본소득을 긍정적으로 본다. 기독교는 기본소득 자체가 아니라 기본소득이 지향하는 개인의 가치 존중과 사회통합에 대하여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고, 그리스도 구속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는 인간의 죄성(罪性)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균형있게 추구되어야 하는데, 인간의 죄성이 도덕적 해이(moral hazard)와 무임승차문제(free-rider problem) 등을 통해 기본소득 도입의 취지를 변질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본소득과 관련한 논의 과정 및 기본소득 지급의 절차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한다. 그러한 균형 및 점검과 관련하여 예수께서 제시하신 포도원 품꾼의 비유는 인류를 향한 보편적 은혜 및 분배의 정의를 강조하며, 단순히 실업을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통해 통전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또한, 희년의 정신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특별은총이 이방인들을 포함하는 일반은총의 차원으로 확장하게 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동등하게 존중하는 새로운 지평을 연다. 그러나 기본소득 자체를 맹신하여 절대화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기본소득을 둘러싼 논의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회복하고, 사회 구조적인 불평등과 분배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owadays, discussions on the universal basic income has received new attention because of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need of economic stimulus caused by the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catastrophe. The basic income debate reveals the details of the pros and cons of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basic income. Major critics of basic income indicate the unethical perspective of income without labor, the decrease of productivity due to workers’ departure, and difficulty in obtaining financial resources for basic income. Arguments in favor of basic income suggest that basic income protects individual rights, expands demands by boosting consumption, alleviates inequality, cuts down administrative expenses of examining assets, and prevents stigma effects. Christianity is basically in favor of basic income because of its goal of realizing social integration and respecting individuals created by the image of God and thus, paid by the blood of Jesus. However, we have to be cautious about the sinful nature of human beings that deteriorates the good intention of basic income by resulting in moral hazard and free-rider problems. This calls for monitoring on the process of basic income discussion and implementation. The parable of workers in the vineyard emphasizes the universal grace toward humankind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enables us to deal with unemployment from the whole picture of a socio-structural problem rather than an individual problem. The spirit of Jubilee expands the special grace of God for Israel to the common grace that enhances the dignity of all human beings. We should avoid believing the value of basic income blindly, but rather we have to protect and recover human dignity and rights by solving the problem of socio-structural inequality and the distribution of commonwealth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Bible.

      • KCI등재

        ‘-ㅂ쇼, -ㅂ시고, -(으)십사’에 대하여

        하정수(Ha Jeong Soo)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미 구조체인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 기능이 그 구성 성분의 기본 의미에서 기인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ㅂ쇼, -ㅂ시고, -(으)십사’를 분석 또는 재분석하여 그 구성 요소를 밝힐 것이다. 이를 통해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표현적 기능이 각 어미 구조체에서 분석된 구성 요소의 기본 의미의 합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는 각각 ‘{-읍-}+{-사-}+{-이-}+{-오}’, ‘{-읍-}+{-사-}+{-이-}+{-고-}’, ‘{-(으)시-}+{-읍-}+{-사}’로 분석 또는 재분석할 수 있다. ‘-ㅂ쇼’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읍-}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오}의 화자 겸양’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쇼’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ㅂ시고’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선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 선어말어미 {-이-}의 청자 존대, 어말어미 {-고}의 선행 서술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함’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ㅂ시고’의 기능은 화자가 청자를 존대하면서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을 미완결하고 후행 서술에 연결하는 것이다. ‘-(으)십사’에서 분석된 형태소의 기본 의미는 ‘선어말어미 {-(으)시-}의 경험주 높임, 선어말어미 {-ㅂ-}의 화자 겸양, 어말어미 {-사}의 청자의 행동 요구’이다. 그러므로 어미 구조체 ‘-(으)십사’의 기능은 화자가 경험주(주체)를 높이면서 화자 자신은 겸양하고 청자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ㅂ쇼, -ㅂ시고, -(으)십사’가 가지는 미묘한 표현적 기능은 세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형태소 {사}의 기본 의미인 청자의 행동 요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basic meaning of constituents that analyzed into ‘-psyo’ ‘-psigo’ ‘-(?)sipsa’ in modern Korean. In chapter Ⅱ, we deal with interpretations of ‘-psyo’ ‘-psigo’ ‘-(?)sipsa’ on six Korean dictionaries. And we find expressional functions of this ending complexes in common. This three ending complexes have very peculiar nuance in discourse context. This function result from sum of constituents's basic meanings that analyzed(or re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In chapter Ⅲ, we analyze constituents of ‘-psyo’ ‘-psigo’ ‘-(?)sipsa’. Therefore ‘-psyo’ is analyzed into ‘-p-’ ‘-sa-’ ‘-i-’ ‘-o’, and ‘-psigo’ is analyzed into ‘-p-’ ‘-sa-’ ‘-i-’ ‘-go’. And ‘-(?)sipsa’ is analyzed ‘-(?)si-’ ‘-p-’ ‘-sa’. The basic morpheme that analyzed into ending complexes has basic meanings and functions as follow. Basic morpheme {-?p-}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verence. Basic morpheme {-sa-}(or {-sa}) functions to express speaker's requisition of hearer's action. And basic morpheme {-i-} functions to express hearer's respect. Finally, this paper propose analysis in ending complex ‘-psyo’ ‘-psigo’ ‘-(?)sipsa’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ending complexes can be explained the basic meaning's sum of its constitu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