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조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민병관(Min, Byeong-Kwa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현대시조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영쇄한 편이다. 이 연구는 기독교 문학의 심도있는 이해와 기독교 시조문학사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이다. 현대의 시조시인 중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드러낸 시조를 가장 많이 쓴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의 시조를 텍스트로 삼고자 한다. 먼저, 선정주 시조시인(1935~2012)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인은 목회자로서 생전에 6권의 시조집과 1권의 시조선집을 발간하였다. 그가 발표한 시조의 대부분에는 기독교적 상상력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그의 시조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들을 역설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이 다수 있다.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목회자로서 가지게 되는 종교적 번뇌와 구도자적 열망을 드러낸 시조가 다수 있다. 아울러 역설적인 표현을 통해 부활신앙에 대한 시인의 확고한 믿음을 표출한 시조도 다수 있다. 다음으로, 장순하 시조시인(1928~)의 시조에 드러난 기독교적 상상력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순하 시인은 12권의 시조집과 1권의 전집을 발간하였으며, 현재까지 시조 창작을 하고 있는 현대시조계를 대표할만한 원로 시조시인이다. 그는 1996년 기독교에 입문하여 시조집사랑학 입문에 있는 210편을 포함하여 200편이 훨씬 넘는 기독교 관련 시조를 발표하였다. 그의 기독교 관련 시조에는 성경 구절 등을 인용하거나 성경 속의 예화를 차용한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그는 신앙고백을 하고 있으며 종말사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시조가 다수 있다. 이와 같이 살펴본 결과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목회자로서의 사명감과 갈급한 심정 및 부활신앙을 역설적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장순하 시조시인은 성경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변용하는 방법인 인유적 상상력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종말사상을 형상화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 나타난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선정주 시조시인과 장순하 시조시인은 기독교적 상상력을 표출한 시조를 다수발표했으며, 각자 개성적인 기독교 시조의 한 영역을 구축하였다. 두 시조시인의 기독교 시조에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와 기독교에 대한 절실한 신앙심을 표출한 작품이 다수 있다. 두 시인의 기독교 시조는 나름의 시적 성취를 이루었으며 기독교 시조의 양적, 질적 심화에 기여를 했기에 기독교 시조문학사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할 만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기독교 관련 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시조시인의 작품을 대비하여 고찰함으로써 기독교 시조의 정체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창작을 한 다른 자유시와의 대비 연구를 통해 한국 기독교 문학의 위상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about Christian imagination reflected in modern sij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helpful to deeply understand Christian literature and clarify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and Jang Sun-ha both of whom put out lots of sijo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The two poets are common in that they were bor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arted their career as a poet at an almost same time. First of all, how a sijo writer, Seon Jeong-ju applied Christian imagination to his pieces of sijo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poet and paster, Seon Jeong-ju wrote and published 6 volumes of sijo collection. His pieces of sijo were all written based on Christian imagination. Many of the pieces contain Christianity-related stories that were poetically represented through paradoxical imagination. Among pieces of sijo written by Seon Jeong-ju, some reveal enthusiasm for seeking after truth that he kept in mind as a clergyman and others, the poet’s strong belief in the Resurrection. Next, Christian imagination that another sijo writer Jang Sun-ha reflected in his works can be briefed as follows. The poet published a sijo collection of his own in 2010. As one of the best representatives of the modern sijo circles, he is a veteran poet who is still creating pieces of sijo. Since he became a Christian in 1996, he has released more than 200 pieces of Christianity-based sijo including those contained in his sijo collection, 『Introduction to Love Studies』. Most of the Christian poets quoted words from the Bible or borrowed episodes described in the Book. In those poets, he uses imagination that is allusive to the confession of his faith and, in some cases implies his own views of eschatology. In conclusion, both Seon Jeong-ju and Jang Sun-ha wrote and published lots of sijo works on the basis of Christianity, and each of them built up his own world of Christian sijo. In many of the two poet’s pieces of sijo, critical doctrines of Christianity and their desperate devotion to that religion are found. Both of them made remarkable poetic achievements, so they deserve being recognized as second to n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 sijo literature.

      • KCI등재

        기독교적 교수-학습 모형 탐색: D. I. Smith의 '기독교적 실천으로서의 가르침'

        유은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3

        본 논문은 칼빈대학에서 Kuyers Institute of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의 디렉터이며,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D. I. Smith의 기독교적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 시도를 탐색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와 실천을 확장하고 더 온전하게 하기 위한 자신의 다양한 시도를 하나의 모형으로 명명하고 있지 않기에 하나의 접근이나 모형으로 소개하는 것은 부적절하나,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내용과 쟁점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명하며 기독 교사의 성품과모범을 강조하고 기독교적인 원리와 전제에 적합한 교수원리나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넘어 기독교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논의를 더 확장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스미스의 시도가 중요한 통찰을 제시해주리라 기대하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의 이론은 매킨타이어의 습관과 덕의 형성에 있어서 실천의 중요성, 웽어의 실천공동체의 참여, 정체성, 레파토리, 개체화 등의 개념을 활용한 실천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과 실천과 공동체의 형성적 힘에 대한 다익스트라의 신학적 성찰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의미를 무엇을 가르치는가의 문제만 아니라 학생과 교수자가 함께 살아갈 삶의 패턴과 실천이 있는 페다고지적 집을 만드는 과정으로 확장하고, 그 실천에 참여함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으로 만들어가는 형성되어가는 학생의 전인적 형성에 주의를 기울였다. 기독교적 교수-학습을 설계하기 위해서 그는 새롭게 보고 상상하며, 학습 자료와 서로에게 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실천을 재구성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매킨타이어가 생각한 것과 달리 학생들을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우기 위함이라는 내재적 선을 지닌 복잡하고, 정합성 있는 실천이다. 그 나름의 탁월성의 기준이 있고, 이는 구약의 기독교 공동체의 시작부터 연습해 온 역사적 실천이며, 멘토와 동료들을 포함하는 실천공동체와 함께함으로 더 성숙하고 온전해질 수 있는 사회적인 실천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attempts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by D. I. Smith, director of the Kuyers Institute for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fessor of education at Calvin University. While it is inappropriate to present his various and complex approaches as a single model because he does not label them as such, it is still beneficial to explore his approaches in order to expand and deepen the discussion of faith-informed teaching and learning beyond reframing curriculum from a Christian worldview, illuminating content and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emphasizing the character and modeling of the Christian teacher, and suggesting pedagogical principles and methods appropriate to Christian principles and premises. His theory draws on McIntyre'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e in the formation of habits and virtues, Wenger's pedagogical ref lections on communities of practice using concepts such as identity, repertoire, participation and reification, and Dykstra's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formative power of Christian practices and faith community. Smith suggests to think of pedagogy as building a pedagogical home where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and participate in certain rhythms of life and by doing so, they are formed. To design Christian teaching and learning, he proposed three strategies: seeing anew, choosing engagement, and reshapeing practice. Incorporating the definition of social practice by MacIntyre, teaching Christianly is a complex, coherent practice with an intrinsic good: to help students grow as a whole person and disciples of Christ. It is a historical practice that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Old Testament, and it is a social practice that can be learned and done in a more fitting and mature way by practicing it with mentors and peers within the community of practice.

      • KCI등재

        『사람의 아들』의 성서(聖書) 모티프 수용(受容)과 기독교적(基督敎的) 상상력(想像力)

        차봉준 ( Cha Bong-j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本 硏究는 李文烈의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韓國 現代小說에서 基督敎 文學의 방향성을 모색함에 目的을 두었다. 그동안 基督敎的 世界觀을 표방한 多數의 작품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작가의 思惟體系가 깊지 못한 점, 혹은 지나치게 護敎的 성향으로 흐른 점 등에 의해 긍정적 평가를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람의 아들』의 경우는 基督敎的 想像力에 대한 작가의 省察이 매우 깊이 있게 형상화되었으며, 아울러 기독교가 지닌 문제에 대한 批判과 方向의 提起라는 점에서 기존의 작품들과는 차별되고 있다. 이문열은 聖書의 모티프를 끌어들여서 文字的 解釋에 머물러 있는 죽은 신앙에 대한 懷疑, 현실을 도외시한 거짓 신앙에 대한 反省을 보여준다. 또한 神의 存在에 대한 물음, 바람직한 宗敎像에 대한 작가적 인식의 표출에 이르러서는 靈智主義的 思惟, 實存主義的 認識과 같은 매우 심도 깊은 성찰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Mun-Yeol Lee’s (Man’s Son( to examine Christian literature in modern Korean novels. There have been several works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but they have not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because writers’ thinking systems have not been deep enough or they were too theologically fundamental. However, (Man’s Son( thoroughly reflected the writer’s thoughts based on his Christian imagination and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novels with its criticism of Christianit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Christianity. In other words, (Man’s Son(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Biblical motifs while presenting how modern Korean novels should adopt the concept of Christian literature in a greater depth. Bringing Biblical motifs to his literature, Mun-Yeol Lee did not simply reconceptualized narrations in the Bible. He shows his reflection of dead religion that is trapped in literary interpretation and false religion that neglects the reality. He also shows a very deep reflection of gnosticist thoughts and existentialist awareness in respect to his questions on God’s existence and views on the ideal form of religion in reality.

      • KCI등재

        1970년대 한국희곡의 기독교적 상상력에 대한 일고찰 : 최인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와 이강백 「개뿔」을 중심으로

        정우숙 ( Chung Woo-su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1

        이 글에서는, 최인훈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와 이강백 희곡 「개뿔」을 대상으로, 1970년대 한국희곡이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기독교적 상상력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고찰해본다. 두 작품은 예수의 생애를 소재로 끌어오면서도, 그것을 정면에 내세워 강조하지 않는다. 그 소재를 아기장수 설화 속에 용해시키거나, 가면무언극이라는 극 양식 속에 추상화시키고 있다. 공연의 특성에 있어서도 두 작품 모두 감각적 요소를 극대화시켜, 기독교와의 관계가 두드러지지 않는 현대 실험극으로서의 제의극적 양상을 보인다. 두 희곡 모두 결말에서는 부활 모티프를 활용하여, 기독교적 상상력으로 당대 현실의 한계를 초월하려 시도한다. 하지만, 낙관적인 전망을 담은 것처럼 보이는 두 희곡의 결말부에서, 메시아의 부활로도 기약하기 힘든 암울한 미래와 그에 대한 절망을 동시에 읽어낼 수 있다. 이들 희곡은 기독교적 상상력을 통해 직설적인 사회 비판극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지만, 단순한 종교극으로 귀결되지도 않는다. 기독교 연극의 입장에서 보면 이들은 그 종교성을 감춘 사례에 가깝다. 이들 희곡은, 군중과 영웅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어떻게 현실성과 초월성의 긴장감 사이에서 창작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로서 주목된다. In this paper, through Choi In-Hoon's play ‘Once Upon a Time whoay whoy’ and Lee Kang-Baek's play ‘GaePuel’, we see how Korean theaters in the 1970s make full use of Christian imagination in order to express a sense of problem for the contemporary social reality. Though two works based on the life of Jesus, they do not emphasize it on the front. They dissolved it in the baby-general tale or abstracted in mask mime. As for the nature of performances, they show ritual aspect as a modern experimental theater which maximizes the sensory elements and does not stand out Christian relationship. They both attempt to transcend the limits of contemporary reality with the christian imagin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resurrection motif. But in the ending part that seems containing optimistic view, we are able to see grim future which hard to promis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the Messiah and despair due to it at the same time. These plays get out of the limits of blunt social critical play through the Christian imagination, but also do not result in a simple religious drama. From the standpoint of the Christian drama they are akin to case that hides religious aspect. These plays are noted as examples how social critical mind about crowd and hero can be creative between realistic and transcendental tension.

      • KCI등재

        창세 모티프의 소설적 구현과 박상륭 소설의 기독교적 상상력

        차봉준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7

        This study focuses on reviewing the Christian world view of the writer based on Sang-Ryung Park's novel [YeokJeungGa]. Sang-Ryung Park maintains his interest in the Christian world view since his initial novels published in 1960. However, his Christian thinking system is beyond the traditional Christian recognition, i.e. it is a kind of gnosis thinking. That’s why his works are getting recognition. [YeokJeungGa] is reorganized based on Genesis motif, that is, the process of lost paradise when Adam and Eve ate the fruit of the Tree of Good and Evil and the tragic accident which is the first murder of a mankind by Cain are reinterpreted and recreated through a parody method. The writer asks a fundamental question which is not solved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God. That’s a fundamental doubt for the God’s omnipotence, and recognition of existence of a subjective human being. In addition, the writer is questioning the uniqueness of the Creator and thinks the development progress of mankind in terms of evolution. That’s very unique religious thinking. This proves that the Christian world view of Sang-Ryung Park’s is very complex recognition system in which other religions such as Jainism recognition system as well as gnosis are mixed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will help people understand his religious thinking which has been continued since his initial works, i.e. his Christian thinking flow. 본고는 박상륭의 소설 <역증가>를 중심으로 작가의 기독교적 세계관을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박상륭은 1960년대 발표한 초기 소설에서부터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한 관심을 지속해오고 있다. 그런데 그의 기독교적 세계관은 정통 기독교의 인식을 넘어선, 일종의 영지주의(gnosis)적 사유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텍스트인 <역증가>는 창세 모티프를 중점적으로 재맥락화하고 있다. 즉, 아담과 하와가 금지규범을 어김에서 초래된 실낙원의 과정, 그리고 카인을 통해 자행된 인류 최초의 살육이라는 비극적 사건이 패러디 기법을 통해 재해석, 재창조되고 있다. 작가는 이 사건들을 통하여 신과 인간의 사이에 풀리지 않은 근원적 질문들을 던져준다. 그것은 신의 전지성, 전능성에 대한 근원적 회의이며, 주체적 인간의 실존성에 대한 자각이다. 또한 박상륭은 창조주의 유일성에 대한 의문, 인류의 전개 과정에 대한 진화론적 사유 등 매우 독특한 종교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이것은 박상륭의 기독교적 세계관이 여타 종교들과의 혼융, 즉 영지주의적 사유는 물론이고 자이니즘의 인식 체계까지 혼융한 매우 난해한 인식 체계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작가의 초기 작품세계부터 지속되고 있는 종교적 사유, 특히 기독교적 상상력이 <역증가>에 와서 어떠한 단계에 도달하였는가를 확인하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호승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과 예언자적 주체

        서진영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2 No.-

        기독교적 상상력에서 디아스포라의 의식은 경험적 체험과 무관한인간 실존의 정체성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곧 인간들은 신이 부재하는 타락하고 고통스러운 ‘실낙원’의 현실에 놓여 있으며, 따라서 하늘나라에 궁극적인 소망을 두고 그 본향을 바라보며 떠돌아다닐 수 밖에 없는 나그네, 순례자와 같다는 인식이다. 정호승의 시는 기독교적 상상력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정호승 시의 본질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슬픔’의 정서는 구체적인 정황의 문제가 아니라 시적 주체의 실존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그의 시에서 매우 빈번하게 등장하는 ‘길’과 ‘걸어간다’라는 시어들은 ‘벗어나 있는’(gone astray) 존재의 실존적 상황을 드러내는 것으로, ‘길 위’가 흔들리고 위험하며 가파른 곳으로 형상화되는 것과도 관련된다. 또한 본고에서 주목했던 것은 이때 디아스포라적 주체이면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하자’, ‘-하라’고 말하는 예언자적 주체로서의 시적 주체이다. 이때 드러나는 ‘슬픔’은 월터 브루그만이 예언자의 파토스적 언어로서 ‘슬픔’을 바라보았던 것처럼, 무감각한 사람들을 일깨우는, 공동체를 향한 ‘공적 애통’으로서의 예언자적 슬픔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 예언자적 슬픔은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슬픔을 넘어서서 공동체적 연대로 확장되고 새로운 미래의 미전을 제시해주는 동력으로까지 나아가게 되는 것임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호승 시에 나타나는 예언자적 주체는 시 속에서 두 가지 실존 양태를 드러내 보였다. 하나는 사람들에게 슬픔의 긍정적 힘을 제시하거나 성서에 기반한 공동체에 대한 선행을 일깨움으로써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로 형상화되었고, 다른 하나는 신과 인간의 중간에서 그 간극을 바라보며 애통해하고 고뇌하는 외로운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정호승 시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상상력에 입각한 디아스포라적 인식과 그러한 현실 속에서 사람들 앞에 서서 파수꾼처럼 잠들지 않고 깨어있으면서 가야할 길을 제시하는 예언자적인 시적 주체의 모습은, 정호승 시인의 시에 대한 태도 혹은 시의 책무에 관한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그의 시를 추동하는 본질적인 의식 구조의 형상화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카렐 차페크의 희곡 『로봇(R.U.R.)』에 나타난 SF적 상상력과 기독교적 요소

        이경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0 문학과종교 Vol.25 No.3

        Karel Capek’s R.U.R. is a science fiction literary work about the future society in which robots work for humans. In the work, not onl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but utopian and dystopian views about the future society also appear. The work also reveals the limits of the utopian thought and portrays dystopia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Frankenstein syndrome and the destruction of mankind. Christian elements that are closely integrated with this sci-fi imagination function in various ways in R.U.R. First, it criticizes the deification of human beings. Second, it suggests the destruction of human beings. Third, it accepts robots that love each other as a living being. The christian elements not only give warnings of human pride and greed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are integrated with the discussion of modern scientists who accept robo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Thus, the prediction of the development and major issues of future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in R.U.R. is recognized as a result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science fiction imagination and religious imagination. 카렐 차페크의 『로봇』은 인간을 위해 로봇이 노동하는 미래 사회를 다룬 SF 문학이다. 작품에서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대한 유토피아적, 디스토피아적 시각이 모두 나타난다. 물론 작품은 유토피아적 사고의 한계를 드러내고, 프랑켄슈타인 신드롬의 재현과 인류의 파멸을 통해 디스토피아를 연출한다. 이러한 SF적 상상력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기독교적 요소이다. 작품에서 기독교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첫째, 인간의 신격화를 비판하는 기능, 둘째, 인간의 파멸을 암시하는 기능, 셋째, 서로 사랑하는 로봇을 하나의 생명체로 수용하는 기능이다. 그럼으로써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적 요소들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인간의 교만과 탐욕을 경고하는 메시지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로봇을 생명의 시각에서 수용하는 현대 과학자들의 논의와도 결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로봇』에서 미래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 주요 논의에 대한 예견은 SF적 상상력과 종교적 상상력의 결합에 기반한 결과로 인식된다.

      • KCI등재

        종교적 맥락에서의 이강백 희곡 <파수꾼> 재고

        정우숙 ( Woo Suk Chu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은,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알레고리 중심으로 이해되어왔다. 최근에는, 그러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인정하면서도 그 외의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는 새로운 논의들이 나오고 있다. 본고는, 이 희곡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발견하여 또 다른 입체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가와 기독교의 관계, 극의 분위기 등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은 후, 하늘, 황야, 이리 등 희곡 속의 요소가 성경의 상징과 연관됨을 지적하였다. 등장인물과 제목으로 강조되어 있는 ‘파수꾼’이야말로 기독교적 상상력을 대표하는 요소이다. 특히, 소년 파수꾼이 ‘이리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새벽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그 사건은 정치적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정신적ㆍ종교적 맥락에서 재해석될 수 있는 심층적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이 희곡이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에 갇혀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내외 현실과 인간 조건에 대해 비판과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텍스트로 살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Leekangbaek`s play <Watchman> has been understood mainly as an allegory to criticize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1970s. In recent years, while recognizing that existing understanding, new discussions are coming out to try various interpretations outside of that. This paper, by finding Christian imagination from this pla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nother multidimensional analysis. After finding clues of the discuss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Christianity and the atmosphere of the pla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elements of this play such as sky, wilderness, wolf are associated with symbols in the Bible. The title character ‘watchman’ is an element that represents Christian imagin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dawn. Watchman boy recognizes the fact that wolves do not come. That case has meaning in-depth which can be reinterpreted in the spiritual and religious one as well as the political context.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is play is not constrain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n the 1970s, and consistently alive as text which provides opportunity for criticism and refl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ality and the human condition.

      • KCI등재

        종교적 맥락에서의 이강백 희곡 '파수꾼' 재고

        정우숙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Leekangbaek’s play <Watchman> has been understood mainly as an allegory to criticize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1970s. In recent years, while recognizing that existing understanding, new discussions are coming out to try various interpretations outside of that. This paper, by finding Christian imagination from this pla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nother multidimensional analysis. After finding clues of the discuss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er and Christianity and the atmosphere of the pla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elements of this play such as sky, wilderness, wolf are associated with symbols in the Bible. The title character ‘watchman’ is an element that represents Christian imagin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dawn. Watchman boy recognizes the fact that wolves do not come. That case has meaning in-depth which can be reinterpreted in the spiritual and religious one as well as the political context.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is play is not constrain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n the 1970s, and consistently alive as text which provides opportunity for criticism and refl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ality and the human condition.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은,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알레고리 중심으로 이해되어왔다. 최근에는, 그러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인정하면서도 그 외의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는 새로운 논의들이 나오고 있다. 본고는, 이 희곡에서 기독교적 상상력을 발견하여 또 다른 입체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가와 기독교의 관계, 극의 분위기 등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은 후, 하늘, 황야, 이리 등 희곡 속의 요소가 성경의 상징과 연관됨을 지적하였다. 등장인물과 제목으로 강조되어 있는 ‘파수꾼’이야말로 기독교적 상상력을 대표하는 요소이다. 특히, 소년 파수꾼이 ‘이리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새벽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그 사건은 정치적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정신적ㆍ종교적 맥락에서 재해석될 수 있는 심층적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이 희곡이 197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에 갇혀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국내외 현실과 인간 조건에 대해 비판과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는 텍스트로 살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1)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여성문학연구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of women's poetry in the literary community of the 1950s, examine how those poems tried to overcome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feminine writing attempted in those poems based on the work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In literary works whose main theme is war, female figures often represent victims. Such an image of female figures continued in the poetry in the 1980s under the structure of "absent father vs. oppressed mother and sister" or "father as an authoritative figure vs. woman as a victim." In the gender topography of Korea's literary history, the poem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have significant topographical meanings. Their poems succeeded in depicting female figures as the representation of salvation and tried to heal and overcome the wounds after the Korean War by uncovering positive values such as "the breath of life" and "life." The late modernism poets were overwhelmed by an idea that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war should be regarded as ruins, that everything must be destroyed, and that there should be a new start on a clean slate. Contrary to that tendency, women's poetry in the 1950s led by Kim and Hong demonstrated a will to treat and overcome the wounds of the war with maternal force and a tree's life force. Common to Kim's and Hong's poems, universal imagination also deserves attention. Involving such heavenly bodies as the sun, the earth, the moon, and stars, universal imagination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two poets' works in the 1950s and differed from natural-universal imagination common to traditional lyric poems. In their works, universal imagination makes the current suffering seem like a trivial earthly matter and further helps to cope with the dismal situations after the war dominated by the dark shadow of death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life. Thus universal imagination in the poets' works contains meanings not recognized in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and deserves reevaluation. While Kim employs a tone of confession and praying, which later settled down as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writing, in her poems, Hong often uses a tone of determination and order that's rather exceptional. Their feminine writing in the 1950s provides clues to feminine writing later through their tones. Feminine writing in general is deconstructive writing to rebel against "male-father- language," and its buds are found in Kim's and Hong's poems in the 1950s. The tone of confession in their poems requires more detail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ne writing. In particular, Hong's attitude of ruminating upon the war's meanings through memory deserves definite attention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in that it adopts an ethical point of view to open a door to the treatment and conquest of the wounds of the war, which was waged in the name of father, and that it allows for intellectual reflections of the meanings of war.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를 대상으로 1950년대 문단에서 여성시가 어떤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시가 전쟁의 상흔 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시도된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논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서 여성 형상은 희생양의 표상으로 등장하곤 했다. 이러한 여성 형상의 이미지는 이후 ‘부재하는 아버지와 핍박받는 어머니-누나-여동생’, 또는 ‘권력의 표상 으로서의 아버지와 희생양으로서의 여성’의 구도로 1980년대의 시에까지 계 승된다. 이런 한국문학사의 젠더적 지형 속에서 1950년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가 갖는 지형적 의미는 적지 않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는 구원의 표상으로서의 여성 형상을 그려내는 데 성 공했으며, ‘목숨’과 ‘생명’이라는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전후의 상처 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전후의 한국 사회를 폐허로 인식하고 모든 것 을 파괴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식이 후반기 모더니즘 시인들 에 의해 팽배해 있었다면, 김남조․홍윤숙을 필두로 한 1950년대의 여성시는 모성의 힘과 나무의 생명력을 토대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하 는 지향을 보여준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 또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태양, 지구, 달, 별과 같은 천체가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이 1950년대의 두 시인의 시에서 자주 펼쳐지곤 했는데, 이는 전통 서정시에 일 반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우주적 상상력과는 차이가 있다. 우주적 상상력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 일차적으로는 고난의 현재를 하찮은 지구상의 일 로 보게 하는 기능을 하고, 더 나아가서는 생명이라는 주제의식과 관련을 맺 으면서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전후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나타나는 우주적 상상력의 의미는 1950년대의 시사 속에서 주목되어오지 않은 특징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조의 시에서는 이후 여성적 글쓰기의 특징으로 정착되는 고백과 기구 (祈求)의 어조가 주로 나타나고, 홍윤숙의 시에서는 여성시로서는 다소 예외 적으로 의지와 명령의 어조가 자주 발견된다. 어조를 통해 드러나는, 1950년 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적 글쓰기의 단초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성적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아버지-언어’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해체적 글쓰기이지만, 1950년대의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도 그 단초가 발견된다. 이들의 시가 지니는 고백적 어투에 대해서는 여성적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좀더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 다. 특히 홍윤숙의 시에서 기억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태도 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자행된 전쟁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할 가능성을 열어 주는 윤리적 시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전쟁의 의미에 대한 지적 성찰 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1950년대 시사 전체의 구도 속에서도 눈여겨보아 야 할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