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계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향

        허재영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이 연구는 근대 계몽기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교육사, 국어 교육사, 국어사적 연구 경향을 살피고자 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근대 계몽기(1880~1910)의 교과서는 학제 도입 이전과 학제 도입기, 통감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이 시기 발행된 교과서는 대략 430종에 이르는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국어사의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점에서 이 연구는 근대 계몽기의 교과서 변천 과정을 세 시기로 구분하여, 국어사, 교과 교육사의 관점에서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종합해 볼 때, 근대 계몽기의 교과서는 이 시기의 국어 및 교육과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이 시기 교과서에 대한 기초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과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를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서지 및 기초 연구, 국어사 분야에서의 연구, 교과 교육학 분야에서의 연구 경향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Textbooks are defined as 'the necessary books for the subjects of the school curriculum'. These books are characterized by standard language and knowledge. So the material in textbooks are very useful for the studies of language, education and others areas of study.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trends relating to studies of textbook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n Korea. In 1895, the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in Korea. So many textbooks were compiled by the Hakboo-the department of government-, educational groups and individual writers. It is naturally divisible into three distinct period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is periodization is as follows; (1) Pre-School Systems Period(1880-1895) (2) Introduction of school system(1896-1905) (3) Oppression of the Japan Residency-General(1906-1910) I divided the trends into three parts. First, basic studie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regarding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This trend appeared in 1970's but is not sufficient now. Second, from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s viewpoint, many scholars were interested in the styles of Modern Enlightenment Times. They focused on lexical expression especially. Third, the educational field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the other is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 삽화 연구

        조희정 ( Hee J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본 논문에서는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 속 삽화의 실상을 살펴 교과서 삽화의 기능을 분석하고 삽화를 통해 드러나는 근대 초기 국어교육의 모습을 추출하였다. 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 16종 중 삽화가 수록된 교과서는 10종이다.근대계몽기 국어 교과서의 삽화는 단원 본문의 내용을 구체적 사물과장면 등으로 시각적으로 재현하거나 단원 본문의 내용에서 사라진 채문면 아래에 감춰진 가치를 이미지 텍스트로 육화함으로써 학습자에게 근대적 시각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국어 교과서 삽화는 근대계몽기의 당대 사회를 반영하는 풍속도로 기능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삽화를 통해 드러나는 근대 초기 국어교육의 모습을 읽기 교육과 쓰기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세의 독서 관습과 근대에 새롭게 도입된 독서 환경이 혼합된 상황에서 방에서, 길거리에서, 교실 안에서, 교실 밖에서, 눈으로, 귀로 책을 읽는 다양한 독서 삽화가 제시되었던바, 이러한 독서 관련 삽화를통해 독서 태도 교육이 강조되었던 사정을 읽어낼 수 있다. 쓰기 교육 관련 삽화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지만, 근대식 필기구보다는 전통의 필기구인 붓, 벼루, 연적 등의 사용법이나 초학자의 습자와 고학년의 작문 모습을 형상화한 경우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llustrations in Korean textbook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From the viewpoint of relations between a text and an illustration in Korean textbook, there are functions of illustrations, which visualize contents in the text, which supplement absent information in the text and which get into an ideology of gender role stereotyping. Illustrations show various reading situation that a student reads aloud a book in a room, a boy reads a book with a horse on a road, many students pay attention to reading books in a classroom and a herdboy listens lessons carefully outside of a classroom. They emphasize importance of reading attitude education and learning by reading a book on early Korean education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 KCI등재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김찬기 ( Chan Ki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이 논문은 최초의 근대 국어 교과서인 『국민소학독본』(1895), 그리고 일본인이 교과서 편찬에 관여한『신정심상소학』(1896)과 휘문의숙 편집부에서 편찬한『고등소학독본』(1906)을 중심으로 우리 근대 국어 교과서의 위상을 검토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근대 국어 교과서의 위상을 근대 초기의 공행 문자인 국한문체가 가지는 계몽 언어의 성격, 그리고 서구 근대성(일본의 제국주의)에 대한 대응의 논리로 제출된 구본신참의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한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에서 끊임없이 동양의 고전적 인물이나 유가 이데올 로기를 표창한 인물들의 생애와 삶을 조망하기도 하고, 유가 이데올로기의 종조인 공맹의 삶을 다루는 이유를 탐색하고, 아울러 근대 한문학의 자기 갱신의 논리 속에 내장된 전통의 논리와 유가의 공리들이 근대 초기의 독본 교과서 안으로 수렴되면서 유교를 새롭게 해석한 국면들의 의미를 탐색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 논문에서는 근대 초기의 국어 독본 교과에서 제시한 유학 개혁은 ``허문(虛文)의 유학``에 대한 갱신이었지, 유학의 공리들을 모두 폐기하자는 개혁은 아니었다는 점을 구명할 것이다. 특히 ``구본신참(舊本新參)``의 논리로 서구 근대성(일본 제국주의)을 통어하려 했던 주체들의 유가 이념, 그리고 독본류 교과서 안에서의 일제 식민지 이데올로기가 어떤 방식으로 우리 역사를 찬탈하고 있는가도 더불어 탐색할 것이다. This paper looks into some aspects of the ideology of enlightenment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Korean-Chinese style in writing and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國民小學讀本』(1895),『小學讀本』(1895),『新訂尋常小學』 (1896), 『高等小學讀本』(1906))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rough this article, I will bring light on a subject that Chosun nationalism is emasculated and tried to spread the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centred by emperor of Japan. Also I will clear up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n-Chinese style. Generally speaking, Korean-Chinese style has been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and also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was embodied with i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ill clear up a further studies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ideology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counter discourse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So, if this article investigate it thoroughly, ultimately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birth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 KCI등재

        중국 근대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 —청말민초 소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강설금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The images of women in modern Chinese language textbooks in China show that they have developed from the ‘wise mother, good wife’(賢母良妻) to the Women Students, Nuguomin(女國民). And the pace of evolution is very fast. The three kinds of Chinese textbooks covered in this paper deserve to represent women’s images of early modern education, and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1901 textbook contains the Chinese people’s desire to leap from traditional to modern education. The 1907 textbook is an early female textbook that shows the image of a woman recognized by the time. The 1914 textbook describes the women’s image during the revolutionary era that women’s social roles should be fully expanded after the republic’s inauguration. This paper used the “role analysis” method to more effectively compare the appearance of women appearing in each textbook. A woman’s story is divided into four elements: the main character, space, role and counterpart. Using this method, the authors of textbooks can understand the intended female image more clearly. As modernization progresses, the space, roles, and types of people who appear in textbooks vary. The characteristic of women in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is to develop from incidental to self-reliant. From being limited to a woman who raised her child and helped her husband, it develops into a general who defeats the rebels. The women’s image in modern Chinese textbooks has changed from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中體西用) to Zhongxibingyong in both its content and its formal aspects. 중국 근대 소학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은 현모양처에서 출발하여 여학생, 여국민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그 진화 속도가 대단히 빠르다. 본고에서 다루는 3종의 국어 교과서는 초기 근대 교육의 여성상을 대표할만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01년의 교과서는 전통 교육에서 근대 교육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중국인들의 열망을 담고 있다. 1907년의 교과서는 초기 여성 교과서로, 당시 왕정 체제가 수용한 근대 여성상을 보여준다. 1914년의 교과서는 공화국 출범 이후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전면적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혁명 시기의 여성상을 표현한다. 본고에서는 각 교과서에 나타나는 여성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역할 분석’ 방법을 활용했다. 여성이 등장하는 이야기를 주인공, 공간, 역할, 상대라는 4개의 요소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교과서의 저자들이 의도하는 여성상을 보다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근대화가 무르익어가며 교과서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활동 공간, 역할 그리고 상대하는 사람들의 부류가 다양해진다. 이 시기 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상의 특징은 부수적 존재에서 주체적 존재로 발전하는 것이다. 자녀를 키우고 남편을 돕던 여인으로 한정되던 모습에서 반란군을 물리치는 장군의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한편 중국의 인물로 한정되었던 사례가 중국과 서양 여성 인물의 병행하는 양상도 보였다. 중국 근대 교과서의 여성상은 그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 모두 중체서용적 태도에서 중서병용적 태도로 변화해 갔다.

      • KCI등재

        근대 학교 교육과 국어 독본

        박치범 ( Chibeom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이 글은 광복 이전에 발간된 독본 형태 국어 교과서의 성립 과정과 그 특징을 국어 교과서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는 근대적 학교교육과 국어 교과의 성립을 전제로 한다. 대한제국의 근대적 학교 교육은 1895년 반포된 교육입국조서를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대학교 교육에서는 독서, 작문, 습자 등의 ‘국어’와 함께 한문을 정규교과로 설정하였다. 이 때 국어는 주로 근대 지식을, 한문은 전통적 가치관을 주로 다루는 교과로서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수신의 경우 전통적 가치관의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이 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국어과 한문, 그리고 수신 교과는 모두 국문과 한문이라는 언어를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국어 교과서의 형태는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모아 놓은 독본의 형태가 되었으며, 독본은 최초의 국어 교과서로 인정되는 ?국민소학? 이후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 삽화, 연습문제 등 다양한 교육적 장치를 수용하면서 변화하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birth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at published as a formation of a reader in the period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language textbook is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chool and the system of the subjec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schooling shapes up in 1895, at that time there is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classics in the school.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takes on the modern knowledge, the Chinese classics do the traditional values and a subject of moral culture takes on both above-mentioned. Thus, for the propriety toward that system of the subject, the form of a reader, namely anthology, is appeared. And the form of a reader is changed by addition of the early literacy instruction material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 KCI등재

        시의 개념과 근대적 분화 과정

        정슬아(Chung, Seul-A)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오늘날 통용되는 근대적 의미로서의 문학, 특히 ‘시’의 개념을 형성해나가는 데 있어 근대적 학제 개편 속에서 이루어진 의식 전환에 주목하여 1895년부터 1925년에 발간된 국어(조선어과) 교과서 및 독본을 대상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우리가 어떠한 형태로서의 시를 상상하고 있다면, 이러한 문학의 일반화에 영향을 준 근간이 무엇인지 추적하는 작업이다. 교육은 학습자를 권력의 장 안으로 편입시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지식을 획득하고 사회적 자격을 부여받도록 한다. 따라서 사회속에 진입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교육은 당시 사회가 어떠한 이데올로기를 성장과정 속에 주입시키고 있으며, ‘권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기제가 된다. 이때 교과서는 문화 · 정치 · 사회 · 경제 등의 다양한 층위가 반영된 텍스트로서, 이질적인 내용과 형식을 수렴한 혼종적 양상을 띤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 국어 교과서 및 독본을 통해 전통적 관점에서의 시의 개념이 국문 시에 대한 자각으로 인해 그 의미가 전환되는 양상을 추적하는 일은 문종(文種) 개념의 관습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된다. 이를 위해 당대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가(歌)’에 가까운 형태와 ‘시(詩)’에 가까운 형태로 구분하여 유사성을 보이는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에는 관찬 및 사찬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내용의 차이가 포함된다. 즉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교양을 주입시키면서 정치적 성향을 탈각하고 일제의 식민주의에 복무시키고자 하는 교육과, 제도권 이외의 현장에서 애국심을 고취시키며 자주독립을 강조하는 자생적 노력을 구분하여 교과서 내에서 구성되고 있는 계몽 담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詩)’가 강조되는 과정에서 장르적 교착과 배제를 통해 ‘가(歌)’가 분리되는 양상은 혼종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주체를 배태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nversion of awareness in reforming the modern school system to form the concept of especially ‘poetry’ among literatures having modernism as commonly considered today, reviewing Korean language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Dokbons published from 1895 to 1925. That is, if we currently imagine a kind of poem, this work is to track the basis affecting the generalization of these literatures. Education makes learners enter into the field of power to obtain basic knowledge and gain social qualification as a member of the society. Thus, the education as a step of entering into the society drums the ideology of the society into the process of growth, and it becomes a mechanism showing how the ‘power’ works. Here, the textbooks reflects various levels of such as culture, politics, society, economy in the text, causing confusion of genres to contain heterogeneous contents and forms. In this context, tracing the appearance of changing poetry concept from a traditional view to a meaning in accordance with self-awareness of Korean poetry through moder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Dokbons is to examine how the genre becomes a custom.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poetry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the day into a form of almost ‘song (歌)’ and another form of almost ‘poetry (詩)’ to investigate the poetry having similarities.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contents between private textbooks and public textbooks wer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aspects of enlightenment discourses appear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distinguishing the education in which the ‘empire of Japan’ drummed the modern refinement to the ‘colonial Joseon’ to remove the political orientations of the learners and force them to serve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spontaneous effort inspiring patriotism and emphasizing independence in the remaining education field outside of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assumed that the ‘song (歌)’ was separated by mixing and excluding the genre in the process of emphasizing the ‘poetry (詩)’ and it was appeared at a turning point in which the genre was confused and a modern subject was born.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연구에 편입된 교과서 연구와 번역: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에 대하여

        임상석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3 No.-

        Reading Modern Korean Reader is the fruit of joint research by 20 more scholars study textbooks in modern enlightenment era, from 2011 to 2014. And included 14 articles, all based on philological works, endow productive issues for investigating “the root of modern culture” through revealing the actual formation of new knowledge and textbooks in early modern era. While reviewing diverse textbooks, Reading Modern Korean Reader depicts various issues such as early modern consciousness of state, enlightenment, the oppressing Japanese colonialism, education for women and children, the origin of modern Korean national language in textbooks and the transformations of styles. Especially it primarily, presents concrete aspects of translation in textbooks by comparing texts. 『근대 국어교과서를 읽는다』(경진, 2014)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20명이 넘는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근대 초기의 교과서라는 하나의 일관된 주제에 매달려 산출한 성과이다. 또한, 수록된 논문들은 모두 구체적인 문헌학 작업의 결과들로, 교과서와 계몽기 신지식의 형성의 실체를 보여주면서 “근대 문화의 뿌리”를 규명하는 생산적 논점을 제공한다. 근대의 국가의식, 계몽과 일제(日帝)의 압박, 근대의 여성과 아동교육, 한국어의 교과서적 기원 및 근대 문체의 전변 등을 다양한 교과서 텍스트를 통해 일별하면서도 ‘근대 문화의 뿌리’를 보여주겠다는 전체적 논지를 유지한 모범적인 공동저서라 하겠다. 특히 이 책은 교과서에 나타난 번역의 구체적 과정과 논리를 텍스트 비교분석을 통해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KCI등재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차혜영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5 No.-

        This thesis focus on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lation of ideology, the education, and the school textbook. This thesis applies to the modern literature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and others from the first educational curriculum plan to the fourth. I analized the appearance that several dominant ideologies including anti-communism have been potential through the above school textbook. The way how to access to analsis as follows: 1. compare the literature school textbook with other subject school textbook. 2. the difference in the kinds of genre of literature school textbook. 3. the difference in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described that the images of the nationalism, anti-communism and unusual purity have been produced principally in the field of travel literature, anti-communism drama, pure short novel, romantic essay as the consequence of the speciality of school textbook. And I also detailed that the requirement of korean development, the indispensability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unique democracy in Korea, etc political dominant ideology have been forced to students in proper form of cooperation and share with the other subject school textbook. I described that the subject curriculums have been ranked in grade as pursuading, forcing, threatening, internalization in mind in the way of mobilizing the dominant ideology.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has been alloted to the school textbook in the above ranks and shares. 본고는 지배 이데올로기와 교육 및 교과서가 상보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국어교과서에서 지배이데올로기가 관철되는 양상을 분석했다. 1차부터 4차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현대문 및 현대문학류의 글을 대상으로, 반공주의를 포함한 지배 이데올로기가 다양한 교과 영역에서 관철되는 양상과 국어교과만의 특수성을 변별해서 살펴보고, 국어교과서에 실린 글들을 종류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관철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볼 때, 해방이후 남한 문학을 지배한 이데올로기와 문학의 상이 구축되는데, 국토기행문, 반공드라마, 순수서정수필, 순수단편소설을 통해서 민족주의와 반공주의 그리고 탈이념적이고 비일상적인 순수문학의 상이 지배적이었음을 밝혀내었다. 문학에 있어서의 이러한 경향은, 정치적으로는 조국근대화와 총력안보 그리고 한국적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유신의 이데올로기가 강조된 시기에 더욱 두드러졌다. 이런 정치적 지배이데올로기는 교과서 체계 내에서 공통의 목표와 지반 위에서, 각기의 고유한 위계와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내에서 논리와 정서의 차이, 단순성과 복잡성의 차이를 통해서, 그리고 국어교과서와 기타 다른 교과서 사이에서는 이념의 강제와 그것의 심정적, 정서적 내면화의 방식으로 위계화되고 분유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신기의 국어교과서에서 ‘한국적인 것’, ‘민족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회고적 감상과 수필들은, 국사, 정치경제, 국민윤리 등의 정치적인 교과서의 서구적 민주주의와 제도적 합리성에 대한 비판, 국가주의와 총력안보를 표면화하는 정치적 강제와 같은 체계 내에서의 분담인 것이다. 결국 지배이데올로기의 설득과 강제, 동원과 위협, 집단적 정서적 내면화 등의 층위에서 교과영역들이 위계화되고 분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특집 : 근대 언어와 매체의 다층성 ; 국정(國定) 국어 교과서의 정치학-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학부 편찬, 1907)을 중심으로

        김혜련 ( Hye Ryeun Kim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이 글은 근대적인 관점에서 국어 교과의 개념이 설정되어 온 방식과 그 개념을 추동시킨 역사적 맥락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국어 교과의 정체성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사고해야 한다면 국어 교과가 걸어온 자기규정의 역사를 되돌아보아야 한다는 당위성에 근거를 둔 것이다. 그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라는 국정 국어 교과서의 기원이 되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국어’ 교과가 어떻게 자기를 개념화하고 규정해 왔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국어 교과서의 기원인 『국어독본』은 전범으로 알려져 있는 일본의 국정 교과서인 『심상소학독본』과 다르게 조선의 식민지화를 위한 정치적 욕망을근대지(智)의 형태로 담론화한 텍스트로 출발했다. This writing is interested, from a modern perspective, in the way the subject of native languag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historical aspect that activated the concept.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the justifiability that to make an academic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of native language we should look back on the self-defining history of the native language course. As a part of the perspective, this writing is focused on how the subject of ‘Korean’ has conceptualized and defined itself based on _Botonhakgyogugeodokbon_which was the origin of national native language textbooks. _Botonhakgyogugeodokbon_(1907) which was the origin of native language textbooks began as a textbook that discussed the political desire for colonialization of Korea in the form of modern intelligence unlike the Japanese national textbook _Simsangsohakdokbon_(1904).

      • KCI등재

        근대시기 일본의 국어과(國語科)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박소영(So-Young Park),정재윤(Jae-Yu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이 글은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을 분석하여 당시 한국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국정교과서제도가 시행되었던 제1기(1904년)부터 제5기(1945년)까지의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서 한국관련 내용은 신공황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속, 인삼, 서울과 시골풍경 등의 내용으로 요약 가능하다. 신공황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통하여 한국은 수동적인 약소국의 이미지가 부여되었다. 또한 온돌, 의복, 의례 등 일본과 다른 문화를 지닌 한국을 소개하기도 하였으나, 짐을 실어 나르는 말과 비위생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전근대적인 측면을 부각하고 조선총독부와 일제에 의해 신축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서울을 묘사함으로써 식민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조선의 시골 모습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통하여 내선일체를 유도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Japanese recognition of Korea through analyzing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in order to find how Japanese people perceived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 explored descriptions related to Korea in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curriculum (1904) to the 5th curriculum (1945). In this period,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were serving in allowing Korea to be associated Queen Jin Goo and Toyotomi Hideyoshi, Korean custom and Korean landscape of Seoul and rural area. They designated Korea was a small and weak country through the stories of Queen Jin Goo and Toyotomi Hideyoshi. Although they introduced Korean floor heating system, Korean costume, and Korean ritual, they reinforced Korea was a backward country through representing undeveloped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unsanitary living conditions. They characterized the coloniality of Korea through portraying modern buildings created by Japan on Seoul streets. Furthermore, they induced assimilation of Japan and Korea through the story of Korean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