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글 궁체의 서예사적 의미에 관한 소고

        정헌이 동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아시아 문화와 예술 Vol.6 No.-

        한글 서예의 기원으로서의 최고판본은 1446년 훈민정음 반포와 함께 만들어진 <훈민정음해례>이다. 한글 서예는 훈민정음 반포 당시의 이 판각체에서 비롯하여 550여년이 흐르는 동안 점차 쓰기에 편한 필사체로, 더 나아가 보고 감상하기에도 아름다운 다양한 한글 서예체로 변화 발전하였다. 이 글에서는 한글 서예의 변천 과정에서 한글의 대표적인 서에체로 자리잡은 궁체의 한국 서예사적의미와 그 예술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글 궁체의 美意識 探究

        최영희(Choi, Young-hee) 한국서예학회 2006 서예학연구 Vol.8 No.-

        한글 궁체는 한글 창제의 목적과 그에 따른 창제적 원리의 철학적 사고에서 형성 발전된 한글 서예술의 백미이다. 書寫를 담당한 궁녀에 의하여 정형화된 궁체는 선이 맑고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점이 특징이다. 서사를 담당한 궁녀란 왕족의 시중을 드는 여성으로, 궁녀 중 직책 및 지적 수준이 높은 지밀의 나인이나 상궁, 혹은 제조상궁을 이른다. 궁체는 엄격하게 통제된 禁中에서 이들이 어려서부터 오랜 기간 동안의 숙련과 교양을 겸비하는 가운데 서사의 실용적 목적 아래 형성된 산물이다. 특히, 이들은 준엄한 규율과 엄격한 몸가짐으로 공공 지향적 조화의 정신위에서 자유와 절제의 조화로운 실현을 갈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궁체는 끊임없이 주위환경이나 자연과 융합․조화하며 조선시대의 한글 자체로서 정형화 되었다. 조선시대는 많은 기간 왕후들에 의하여 정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왕후들의 공문서 및 문안편지를 궁녀들이 한글로 대필하면서 궁체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조선시대 궁체는 초기부터 서예술로 형상화 된 것은 아니었으나 외형의 아름다움은 물론 서사자 내면의 性情이 농축된 궁녀들의 일상생활에서 오는 ‘擇善固執’하는 誠과 敬의 마음에서 발현된 것이다. 이는 절대적 我를 배제하고 사회와의 調和를 이룬 克己復禮와 漸老漸熟을 통하여, 자유와 절제를 내면에 응축시킨 人格的 中和美로서 최고의 整齊美․謙讓美․淡泊美로 표출되었다. 그러므로 한글 궁체는 문자를 통해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예술적 형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인격을 수양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서 인격완성에 최고의 가치를 가진다. Hangeul Gungche is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hat expresses own beauty throughout the natural possession of Korean style; it has the purpose of Hangeul creation and creatively developed its subsequent principl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Gungche, used by the court lady who is in charge of making copies, is possessed of clear, straight line and neat, tiny character. The court ladies who are in charge of making copies played a role in serving the royal family and they composed of the lady attendants in the palace or Sanggung(court ladies) or JejoSanggung(senior court ladies) in the high position (with high intelligence) of the royal bedrooms. Gungch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practical purpose of making copies, during the court ladies learned the culture for a long time in the strictly controlled Royal Palace since their childhood. Especially, they thirsted for the harmonious realization of freedom and temperance based on the spirit of public-oriented harmony along with the strict regulations and behavior. In this process, Gungche has been formed as one of the Hangeul patterns in Chosun Dynasty in a way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and nature. In Chosun Dynasty, queens had controlled over the governmental system for a long time. At that time, court ladies wrote many official and greeting letters instead of queens which established the basis of court style writing. Gungche was not used as the calligraphic art from the start, but the beauty that can be shown from outside and copier's temperament inside was composed of court ladies' daily routine that comes from sincerity and respect 擇善固執(keeping the virtue faithfully) heart. It is absolutely comes from excluding "I" that was harmonized with 克己復禮(pursuing the politeness by pressing desire) and 漸老漸熟 (gradual maturity) through freedom and temperance that are located inside. Those two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moral influence and 中和美(beauty of neutralization) that shows off the beauty of regularity, beauty of humbleness, beauty of ingenuousness and calmness. Therefore, throughout Hangeul Gungche, one's mind and emotion can be expressed with artistic figure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one's life with this artistic activity values the most that one can learn from Hangeul Gungche.

      • KCI등재

        한글서예 궁체의 개념정의에 관한 고찰

        신현애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5 No.-

        한글서예 궁체는 어떠한 한 사람이나 한 계층의 집단에 의해 일시에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이후 원추형의 모필 붓으로 실용의 문자로 사용되면서 이미 궁체로의 조짐은 보이기 시작하여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궁체의 정형화된 법도가 생기게 되었다. 이 과정에 왕실 구성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그들이 직접 쓴 글씨에 이미 궁체의 모습이 나타났으며, 서사상궁들을 훈련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철저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정에 정형화된 궁체가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궁체를 ‘女官들이 학습하던 글씨’, 혹은 ‘궁녀들이 배우던 글씨’라고 정의하는 것은 한국의 고유한 문화전통으로서의 지위를 의식하지 못하고 한글서예사를 통시적으로 보지 못한데서 기인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일제의 식민사관적 사유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誤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든 원인은 한글서예에 관한 연구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궁체에 관한 편협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에서 정의 내려진 개념을 불식시키고 올바른 개념의 정의를 내리고자 좀 더 통시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역사적 변천 · 철학적 근거 · 미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궁체의 풍격을 논하고 개념정의를 도출하려고 시도하였다.

      • KCI등재

        일중 김충현 궁체의 서맥 고찰

        정복동(Jeong Bok dong)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일중은 가전된 궁중의 우수한 한글서체를 독학으로 익혀 자신만의 서풍을 완성한 근현대서예가이다. 그는 한글과 한자서예를 병행하되, 한글서예를 중시한다. 일중 궁체의 서맥은 순원왕후의 둘째 공주 복온공주가 일중 가문에 하가 시 가지고 온 고전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고전 임모에 있어서 온고지신의 창작정신으로 용필법은 한자필의를 사용하였고, 결구법은 궁체를 임모하여 자신만의 개성 있는 서풍을 완성한다. 일중이 서예계에 남긴 대표적인 족적은 궁체만으로는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여겨서, 한문서체의 5체처럼 한글도 그와 같이 다양한 서체로 표현하도록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근거로 고체(판본체)를 작품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글서체를 한자서체와 비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고전을 중시하는 교육관은 후학들에게도 스승의 아류가 되지 않도록 가르쳤다. 그 일환으로 교과서와 서예교본 등에 소장하고 있는 왕실의 고전 자료를 아낌없이 소개하여 스스로 서법을 터득할 수 있는 토대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한글서예의 필법에 관한 논문과 교과서 및 저서를 간행하여 일반대중에게 널리 서예를 보급하고자 하였다. 또한 5백이 훨씬 넘는 작품을 궁체정자, 궁체흘림, 고체, 한자의 5체, 한글과 한자의 혼서, 궁체의 변형체 등 다양한 서체로 다양한 규격에 발표를 하였다. 일중은 일생이 학예일치로 온고지신하는 서예가이자 교육자의 삶이었다. 일중의 교육관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청출어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은 물론 후학들이 보다 발전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갈 것을 바랐던 것인데, 현재 그의 훌륭한 제자들이 그의 예술정신의 맥을 이어 서예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서 그 가르침과 배움의 열정이 ‘저 강물처럼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lljoong is a modern calligrapher who taught himself the excellent writing style of the Korean script used at royal court, which was passed down in the family, and perfected his own style of calligraphy. Although he practiced both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he put more emphassis on Korean calligraphy. The legacy of lljoong’s Gungche(a court style of Hangul calligraphy)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materials that princess Boak-on, the second dauhghter of Queen Soon-won, brought when she was married to lljoong’s family. However, when it comes to imitating classical calligraphy, in the spirit to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he used a writing style of Dhinese characters os to a technique to write calligrphic work with a brush and imitated Gungche for structure, thereby completing his unique calligraphic style. lljoong’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otprints is that he worked on the writing style of Jumminjeongeum Haerye on the abasis of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Humminjeongeum, so that Hangeul could be written in many calligraphic styles like the five script styles in Chinese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Gungche alone was not enough to express various human emotions. Therefore, he expanded a writing style of Korean scripts to be comparable to that of Chinese scripts. His view of education emphasizing classics taught hes students not to be simply imitators of their teacher. For instance, he introduced the royal classical works that were possessed in textbooks and calligraphy course books to the students and provided a foundation that they could learn calligraphic styles themselves. Furthermore, he published a number of theses, textbooks and publications regarding writing techniques of Korean calligraphy to spread calligraphy among the general public. Additionally, he released more than 500 works written in various calligraphic styles, such as Gungche in printed form, Gungche cursive writing five script styles of Chinese characters, Korean mixed script, and a variant Gungche. lljoong was a calligrapher and an educator who united study and art with an attitude to ‘review the lod and learn the new.’ lljoong’s view of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heong-Chul-Eo-Lam’ which means students surpass their master. He wished that not only himself but also his students would develop and advance their own art styles. Now, lljoong’s students inherit his spirit and make efforts to develop calligraphy, which shows that his teaching and the students’ passion to learn ‘continuously flow day and night like a streaming river.’

      • KCI등재

        중세 중국문인시의 여성적 글쓰기 경향에 관한 연구

        김상호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文學 Vol.49 No.-

        This paper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ociological meaning of effeminate-writing tendencies in literati poetry including gongti-shi(宮體詩) and guiyuan-shi(閨怨詩) in medieval China. Gongti-shi(宮體詩) of Southern Dynasties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fruit of cultural power by high literary circles. To this point I try to find out what gave birth to noble-formal poetry like gongti-shi(宮體詩) from out of the literary environment in Wei-Jin(魏晉) Dynasties. I also discuss the literatis' creative aspirations, requiring them to strike a careful balance between collectivizied and individual style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opics, I hope that further study on the following problems will be possible. First, it is necessary that we make a discreet approach to the canon[正典]. To this day, many canons are regarded as the bases of establishing a literati's identity, but when they were creating poetry, they did not rely upon canons only, due to newly emerging social factors. I think literati in medieval China payed special attention to many variables that canons could not deal with, and these functioned as new paradigms to literati whose social positions were precarious in the political chaos of the times. Gongti-shi(宮體詩) written by high literary circles in the latter half of the Southern Dynasties[南朝] is a product of seeking sensual pleasures that the canon prohibited, which has been criticized severely as a hotbed of decadence by the existing major theoreticians. But I interpreted this literary prodigalism[文章放蕩論], asserted by Liang's[梁] Emperor Jian-wen[簡文帝]; Xiao Gang[蕭綱], as a new attempt to overcome existing 'canon-centripetalism'[宗經] to allow for a creative environment dissimilar to the canon for poetry. So the literati's desire to be against, as well as off the canon brought on the birth of this effeminate-writing tendency. This brought the literati to a new horizon of free imagination rather than creative restraint. The next problem is a matter of writing style. Gongti-shi(宮體詩) and guiyuan-shi(閨怨詩) of Southern Dynasties[南朝] and Tang Dynasty[唐] have always been criticized because of their luxurious form. As a matter of fact, numerous historians of Chinese literature do not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the poetry and prose of Southern Dynasties[南朝]. On the other hand, they overestimate the Movement of Classical Prose[古文運動] of Tang[唐] without exception. But if the poetry and prose of Southern Dynasties[南朝] are really so useless to literary tradition, we cannot help but ask repeatedly whether the acclaimed writers also have no worth at all, and ask which literary nutrition the masterpieces of posterity have absorbed in themselves. I think that in the middle Tang[唐], the emergence of extraordinary poets, like Li Bai[李白] and Du Fu[杜甫], owed a great deal to the writing styles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at the rhetorical devices elaborate made by gongti-shi(宮體詩) and guiyuan-shi(閨怨詩)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oetic form in the following period.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發記의 서예사적 意義 및 궁체의 典型 모색

        최영희(Choi Young-Hee)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조선시대 국혼 등 왕실행사를 진행하면서 소요된 혹은 소요될 물품과 그 수량 등을 한글로 필사한 發記 719점이 장서각에 소장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640점을 영 인하여 古文書集成 권十二․十三을 통해 소개되었다. 이들의 정확한 제작․필사시기는 알 수 없으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壬午 (1882년) 발기류 가운데 ‘임오-988’ 발기와 그보다 앞선 丙寅(1866년) 발기류 가 운데 ‘병인-1732’ 발기의 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點․畫, 자․모음의 結構에 따른 연결, 접필 등에서 오는 외형적 특징이 같았다. 궁체 흘림체로 필사된 두 발기의 특징은 子母字에서 橫모음의 기필은 모두 逆入 하여 方劃을 구사하였으며, 縱모음은 露鋒으로 起筆하였다. 또한 橫모음 가로획은 長短의 변화가 심하였다. 초성 자음은 상하합자보다는 좌우합자에서 縱母音에 따라 형태변화를 주었으며, 轉折處는 轉이나 折을 자유로이 구사하였다. 音節字는 上下合字에서 子․母音의 結構를 연결하고 있으나 左右合字는 독립하여 결구하고 있다. 또한 한 문자 안에서 가볍게 연결하여 단정한 가운데 첫 기필부분이 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하지만 마지막 收筆 點畫이 그 문자의 上下 左右의 무 게를 안배하여 굵기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 단지 ‘병 인-1732’ 발기가 肥瘦의 차이가 적절하고 완만한 곡선 운행 등으로 공간을 확보하 는 운필의 정교함과 종성과의 거리를 멀리하여 悠長함을 나타내어 궁체의 典型으로 제시하였다. 한글 발기의 한글서예사적 의의는 첫째, 궁체로 필사된 발기는 자모자의 용필 및 결구 등이 일정하다. 따라서 궁중에서는 하나의 모범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행사에 참여한 궁중 여성 특히 나인들의 일상과 직위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궁중 여인들의 생활상을 탐색할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에 궁녀들이 쓰던 한글의 글씨체’라는 궁체의 사전적 의미는 여기 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글 발기에 필사된 궁체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는 운필의 정교함은 물론 이고 특히 흘림체는 悠長한 아름다움으로 경제성 및 가독성과 함께 감상성이 좋은 서체이다. 그러므로 한글 발기는 한글서예의 모범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In Jangseogak library, there are 719 pieces of Balgi that is a record written in Hangeul presenting the supplied or needed to be supplied items and their quantity for royal event in Joseon dynasty such as a royal marriage. Of them, 640 pieces are introduced through volume 12 and 13 of A Collection of Ancient Documents ( 古文書集成 ) by copying the original in photograph to print out. Despite the hardship of figuring out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there has been found the exterior similarity in the way of putting dots and lines, the structure of consonant and vowel, and the attachment of dots and lines or consonant and vowel after analyzing the calligraphy of Im-oh 988 Balgi in the Balgi of year Imoh (Year 1882)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quantity and Byeong-In 1732 Balgi in the Balgi of year Byeongin (Year 1866) which is the former than Im-oh Balgi. As for the features of those two records written in cursive type of Gungche, firstly in phonemic writing, every horizontal letter was written in reverse to fit in the square frame of each character and the vertical was written by erecting the writing brush to lay the trace of the brush.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of length in the horizontal stokes. The initial phoneme of consonant was varied by final vowel combined widthways rather than lengthways, turning and shifting the direction of brush stroke without any restrictions. Secondly in syllabic writing, the letter combined widthways is to compose the consonant and vowel while that combined lengthways is to do respectively. Also, the balance and the stability are presented by adjusting weight or position of the character with its final dot and line balancing widthways and lengthways even though the first writing is sometimes slanted or bigger than others while being neat within a lightly connected character. It is presented as the quintessence of Gungche for Byeongin 1732 Balgi has an exquisiteness of brush stroke making space by gradual movement of curves and proper difference in thickness and tenuity and also makes long but elegant brush stroke by putting its distance with final consonant. The Balgi written in Hangeul ha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in that; firstly, the Balgi written in Gungche has steady strokes and structure of phonemic writing. Hence it is found that there was an exemplar book in the court. Secondly, it shows the lives of women in the court by recording the routines and positions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oyal event, especially those of the court ladies. Thirdly,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Gungche is originated from these records that the font of Hangeul was used by the court ladies in Joseon Dynasty. Fourthly, Gungche used in Hangeul Balgi is the calligraphic font having an exquisiteness of brush stroke, which offers balance and stability, and especially its cursive type is efficient and suitable for appreciation and easy reading with the beauty of being long but elegant. Thus, Hangeul Balgi has its sufficient qualification to be a model for Hangeul calligraphy.

      • KCI등재

        한글 서체의 분류와 民體의 특징 연구

        여태명(Yeo-Tea myong)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7 No.-

        한글 書體의 분류는 기존의 학자들에 의해 이미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체분류의 기준이 모호함에 따라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宮體에 대한 상대개념으로 논해지고 있는 궁체 외의 筆寫本들에 대한 명칭은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그 명칭을 정하기에 앞서 필사본의 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서체는 시대와 사회의 조건에 따라 각 계층의 생활과 사상이 글자에 반영되어 사용 주체, 용도, 서사재료 등에 따라 자형 결구가 변화된 것이다. 따라서 서체들 사이에는 일정하게 유사성과 상이성이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에 다양한 서체의 명칭이 사용되고 있으나 불필요하게 복잡한 용어로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한글서예의 字形을 그 특징에 따라 板本體․宮體․ 民體로 크게 분류하였고, 판본체는 다시 板本古體板本筆寫體로, 궁체는 다시 정자흘림진흘림으로, 민체 또한 정자흘림진흘림으로 분류하였다. 한글은 ‘訓民正音’이 창제․반포된 이후 의사 전달이라는 문자로서의 기능적 차원을 넘어 書寫藝術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한글이 서사예술로 발전하게 된 원인은 한글 서체 중에서도 板本體와 宮體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板本體와 宮體는 定形化된 자형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자유스러운 자형이 결핍되어 있어서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일정한 限界性을 띠고 있다. 반면에 民間에서 日常書寫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발전한 한글 民體에는 藝術的 創作性이 풍부하게 표현되어 있다. 필자가 소장중인 「숙향전」, 「진대방전」, 「김진옥전」, 「무곡전」, 「월선전」, 「유최헌전」 등 6종의 한글 필사본의 자형을 분석하여 민체의 자유스럽고 예술적인 조형성을 충분히 찾아볼 수 있었다. 민체는 서민의 생활상과 직접적인 관계 속에서 형성된 독창적인 서체이다. 민체에는 필사자가 허식과 권위의식이 없이 자신만의 독특한 서풍을 자유분방하게 표현하였기 때문에 필사자의 필력과 생활상이 함께 공유한다. 그래서 우리는 민체에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조형미를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다. 민체는 우리 민족의 진솔한 표정을 담고 있는 귀중한 유산이며, 더 나아가 한국 서단의 내일을 제시하는 서예술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has been a wide variety of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style of handwriting of Hangeul by existing scholars. None the less, there is a lot of confusion since the standard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tyle is ambiguous. Especially, because scholars disagree as to the term of the manuscript which is being discussed as the relative concept of Gwoong-handwriting, the standard of the classification which is able to distinguish the manuscript should be clearly presented before we decide the term. Handwriting is what the shape of characters and apodosis changed into according to users, purposes, material of transcription and so forth, and it reflects the life and thought of each class into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ra and society. Accordingly, although various terms of handwriting is being used because settled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among handwritings occur simultaneously, it is undesirable to distinguish them with unnecessarily complicated terms.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has classified the shaped of character of Hangeul into Panbon-handwriting, Gwoong-handwriting and Min-hnadwriting according to its special feature, and again Panbon-handwriting has been classified into Panbongo-handwriting, Panbonpilsa-handwriting, and again Gwoong-handwriting has been classified into Jeonja-handwriting, Heullim-handwriting and Jinheullim-handwrting, and also Min-handwriting has been classified into Jeonja-handwriting, Heullim-handwriting and Jinheullim-handwriting. Hangeul has entered upon the phase of transcription art beyond the functional dimension as characters for communication since the invention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script(Hunminjeoneum). Certainly, it is true that the cause of Hangeul's advance into transcription art is the important role of Panbon-handwriting and Gwoong-handwriting.However, Panbon-handwriting and Gwoong-handwriting are so emphatic about the standardized shape of characters that they are deficient in the free shape of characters and thus have fixed limitations in terms of art. On the other hand, Hangeul Min-handwriting which is naturally developed through everyday transcription among the people has artistic creativity affluently. The present writer has analyzed the shape of characters in the six Hangeul manuscript owned by himself-Sookhyang-jeon, Jindaebang-jeon, Kimjinok-jeon, Moogok-jeon, Walseon-jeon, Youchoiheon-jeon-and was able to find the free and artistic formative elements. Min-handwriting is an original one which was formed in the direct relations with common people's true lives. In Min-handwriting, the power of a brush stroke of transcriber's and true life hold in common because the transcriber expressed his own handwriting freely without affectation and authoritarianism. Therefore we can find the natural and formative beauty which arouses everyone's sympathy in Min-handwriting. Min-handwriting is a precious heritage containing our nation's sincere expression, and futhermore it has sufficient value as art which suggests the Korean handwriting tomorrow.

      • KCI등재

        ‘頑民不事二君’ 石邨의 한글書藝美 考察

        김명주(Kim Myeong ju)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朝鮮末期 當代의 碩學이자 名筆家로 명성이 높았던, 石邨 尹用求(1853년–1939년)의 한글書藝美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尹用求는 조선시대 勤皇主義 정치인이며, 亂世와 國亡을 당하여 ‘不事二君’ 정신으로 隱逸志士의 삶을 산 인물이며, 閔泳煥·閔泳翊·李會榮과 함께 帝國四家로 평가 받았다. 石邨은 『朝鮮環輿勝覽』의 序文에서 “조국의 영토와 연혁은 현인군자의 도덕과 명절과 동량이며, 우주의 해와 달과 같이 밝게 빛나니”라는 글로 조국을 사랑하는 본마음을 담았다. 나아가 그는 현실적인 名利에 연연하지 않고 時宜에 따를 줄 아는 時中의 태도와, 義를 중히 여기고 利를 중히 여기지 않는 실천적 士大夫적 삶을 살았다. 石邨은 왕가의 귀족으로서, 조정의 관료로서, 조선의 선비로서, 80권의 巨帙 『뎡긔람』과 10권의 『동긔람』을 諺解하여 궁체로 집필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궁체란 일반적으로 ‘궁녀들에 의해서 쓰여진 書體’라고 정의한 점은 再考되어야 할 것이다. 石邨의 한글서예는 기본적으로 궁체의 틀을 유지하지만, 그의 딸 師候堂 尹伯榮의 『뎡사긔람』권지십구에 비하여 좀 더 草率하며, 『옥원듕회연』권지십팔의 엄정·정형화된 字法에서는 조금은 벗어나, 한글의 장점이자 단점인 簡易함을 易理的 氣韻으로 調和롭게 하였다. 이는 궁체흘림의 교본이라 할 수 있는 『옥원듕회연』권지십팔과 비교하여도 손색없을 정도의 남필 궁체 수준이다. 한문의 필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石邨의 한글서예를 보면 어수선한 듯 보이나 어설프지 않다. 이른바 법도에 구애받지 않고 ‘逸筆草草’로써 풀어놓은 草率한 逸氣는 超逸美로서 표현되었다. 儒家的 생활에 젖어 있었던 조선의 한 선비는 朝鮮末期의 특수상황에서 仙家와 老莊思想에 넘나들면서 虛靜之心의 마음과 無邪慾으로 시대적 상황을 극복해 보고자 하였을 것이다. 이는 혼돈의 시대에 대한 悔恨의 인생을 淡淡한 심정으로, 고통을 초탈한 平淡의 경지를 추구하고자 함이다. 요컨대 石邨의 이러한 번뇌들은 고스란히 그의 붓끝에 녹아들어 平淡한 風格으로 표출되었다 하겠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calligraphy with Korean alphabet of Seokchon Yun Yong-gu (石邨尹用求, December 13th, 1853 –1939), a great scholar and a famous, master calligrapher in late Joseon. In the year of 2011, however, he was evaluated as the last scholarly painter of Joseon; a politician with royalism and; a great man who lived a life of a hermit in time of anarchy and the fall of nation. He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four figures of Daehan Empire (帝國四家) which include; Min Young-hwan (閔泳煥, 1861-1965) who committed suicide for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乙巳勒約) and the exiles Min Young-ik (閔泳翊, 1860-1914) and Lee Hoe-young (李會榮, 1867-1932). His such self-reliant fidelity and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well displayed on his paintings and writings. Classification of his works and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His calligraphy with Korean alphabet remains in full-length (80 copies of 80 volumes and 10 copies of 10 volumes) manuscripts of Jeongsagiram (뎡​긔람) and Dongsagiram (동​긔람) and these works are expressed with rough and calm court style of writing by a male calligrapher (男筆宮體) through escaping from standardized calligraphic rule while staying in fundamental frame of the court style. Not intertwined with worldly affairs or empathy through the virtue of inner self, Seokchon tries to purify his spirit with his calm temperament and to be united into one together with things in nature. Through this, he intends to keep away from evil desires, to calm his temperament based on the law of nature and to practice heavenly providence and fidelity. It is said that one s writings are revelation of his heart. Therefore, the hermit s serene life is fully expressed in his works in a calm atmosphere. In addition, study on these works serves as important materials for future studies on court male calligraphers transcription with Korean alphabet. It is because Seokchon Yun Yong-gu translated Chinese classics of Jeongsagiram and Dongsagiram in Korean and wrote them with the court style as a nobleman of the royal family, an official of the court and a male scholar, considering that the court style has been defined as the calligraphic font used by court ladies so far. Thus, the definition of court style should be corrected to the font used for transcription originated from the court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1920-50년대 한글 서예의 한글 인장 사용 연구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1 No.1

        This thesis is written to look into the aspects of Hangeul seal-engraving art by the year of 1920-1950's. It was possible for Hangeul seal-engraving art to become a new form of art in the 20th century, since Hangeul was used as Korean letters instead of Chinese and Hangeul became a part of calligraphy. The founders of Hangeul calligraphy are Hanseo(翰西) Namgung-eok(南宮檍 1863-1939) and Sahudang(師候堂) Yun Back-young(尹伯榮 1888-1986). By them, Hangeul calligraphy works were appeared in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but Chinese seal-engraving has been used. Hangeul seal-engraving was not used by 1930's, and at that time it was the general situation of the times. The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showed in Iljung(㊀中) Kim Chung-hyeon(金忠顯 1921-2006)'s Sijoshipchup(時調十疊) in 1942.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which showed his pioneering consciousness, and after that he used several Hangeul seal-engravings in 1940s and 1950s. His Hangeul seals were engraved by his brother Yeocho(如初) Kim Eung-hyeon(金膺顯 1927-2007). Kim Eung-hyeon, calligrapher and seal engraver,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rtist used Hangeul seal engraved by himself. His first Hangeul seal-engraving was identified in his work, Hoongyejasonga(訓戒子孫歌) in 1946, which he made at the age of 20. Hyodereiyeui(효뎨례의) by Kim Eung-hyeon, he recreated the shape of the coins and letter forms in Joseon dynasty as a modern Hangeul art, and it created a model of beautiful Hangeul seal-engraving patterns. He achieved a remarkable work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Hangul seal-engraving art. Galmul(갈물) Lee Chul-kyung(李喆卿 1914-1989) used the separate writing forms of Hangeul seal-engraving in 1947 and her sister, Gokdul(꽃뜰) Lee Mi-kyung(李美卿 1918-) used similar forms of Hangeul seals. These seals seemed like from their father, Yaja(也自) Lee Man-gyu(李萬珪 1889-1978), a Hangeul scholar who wanted his daughters to learn the court style of Hangeul writing and gave them Hangeul pen names. Ohsechang(오세창), Mumu(뮤뮤) by Wichang(葦滄) Oh Se-chang(吳世昌 1864-1953) is Hangeul seal-engraving made before his death in 1953, and '뮤뮤' is hard to understand its meaning. Considering that Oh Se-chang was a translater, fluent in Chinese and also the meaning of the seal letters, I assume that the Chinese pronunciation of 'mùmù(穆穆)' was engraved as '뮤뮤' in Korean letters. The followings are some representatives in the early Hangeul seal-engraving art: Namgung Eok contributed to the pioneering achievement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o be realized and disseminated. Lee Chul-kyung and Lee Mi-kyung, the daughters of Lee Man-gyu, a Hangeul scholar, put their efforts to expand the base of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Kim Chung-hyeon used Hangeul seal-engraving in his Hangul calligraphy in the early 1940s. Kim Eung-hyeon who was a pioneer in Hangeul seal-engraving art and developed the very first phase of it. Oh Se-chang who left Hangeul seal-engraving as a national pioneer. Oh Se-chang and Kim Eung-hyeon are recognized as seal engravers who engraved Hangeul seal for the first time. Kim Eung-hyeon is recognized significantly as the first person who engraved his own Hangeul seal-engraving and used it on his Hangeul calligraphy works. 한글 인장예술은 한글이 國文으로 사용되고, 서예의 한 분야로 자림 매김 된 이후 새롭게 성립된 분야이다. 한국서예사에서 한글 서예와 한글 인장예술은 매우 중요함에도 아직 연구가 미흡하다. 이러한 인식 아래 1920-1950년대 한글 서예에서 한글 인장이 사용된 상황을 한글 인장예술의 초기 양상으로서 살펴보았다. 한글의 서예 작품화는 1920-1930년대 翰西 南宮檍(1863-1939)과 師候堂 尹伯榮(1888-1986)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들은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였으며, 조선미 술전람회 한글 서예 입상작에서도 한글 인장을 찾아 볼 수 없었다. 1930년대까지는 한글 서예에도 한문 인장으로 낙관하여 한글 인장이 사용되지 않았던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시대적 상황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본고에서 살펴 본 바 한글 인장이 사용된 한글 서예의 현전하는 가장 이른 예는 1942년 작인 一中 金忠顯(1921-2006)의 <時調十疊>이다. 김충현은 1940년대초 선구적으로 한글 서예에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김충현이 사용한 한글 인장은 대부분 동생인 如初 金膺顯(1927-2007)이 새겼다. 김응현은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직접 새겨 사용한 최초의 작가로 주목되며, 확인되는 이른 용례는 20세 때인 1946년 작 <訓戒子孫歌>이다. 김응현은 한글 인장예술을 개척한 선구적 전각가로서 한글이 주조된 조선시대 별전을 응용한 葉錢形印 <효뎨례의>(인31)로서 한글 閑章에 있어서 하나의 전형을 창출하였다. 갈물 李喆卿(1914-1989)은 1947년 작<고시조>에서 한글 풀어쓰기로 된 인장을 사용하였고, 동생 꽃뜰 李美卿(1918-)도 이와 유사한 한글 인장을 사용하였다. 이들이 1940-1950년대에 사용한 한글인장은 딸들에게 한글 호를 지어주고 궁체를 학습하게 한 한글학자인 아버지 也自李萬珪(1889-1978)의 안목에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많은 전각가들 중 한글을 새긴 전각가는 葦滄 吳世昌(1864-1953), 雲如 金廣業(1906-1976), 鐵農 李基雨(1921-1993), 김응현 등에 불과하다. 오세창의 한글 인장 <오세창>, <뮤뮤>는 그가 사망한 1953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뮤뮤’는 뜻을 알기 어렵다. 필자는 ‘穆穆’의 중국어 발음 ‘mùmù’를 한글로 새긴 것으로 추정하였다. 오세창이 중국어에 능통했던 漢語 역관이었던점, 소리 나는 데로 표기하는 한글의 표음문자로서의 특징, ‘위엄 있고 온화함’이라는 뜻을 가지는 印文이 자신의 이름인 ‘오세창’과 함께 새겨진 점 등이 그 이유이다. 그렇다면 <뮤뮤>는 이른 시기의 한글 閑章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한글이 한국인의 문자생활에 전면적으로 부상한 초기에 선구적으로 한글 궁체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작품화에 힘쓰고 한글서예 교본을 남긴 남궁억, 자신의 집안에 보내진 궁중의 편지를 통해 궁체를 서예화하고 후진을 양성한 윤백영, 한글학자 이만규의 딸들로 궁체 저변화에 노력하고 일찍이 한글 인장을 사용한 이철경과 이미경, 궁체 일변도의 한글 서예에서 훈민정음창제 당시의 판본을 연구해 古體를 창안하고 1940-1950년대에 여러 벌의 한글 인장을 사용한 김충현, 한글 인장예술의 선구자로서 초기 국면을 개척한 김응현,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가이자 서예가, 전각가로서 한글 인장을 남긴 오세창 등을 한글 인장예술 초기의 대표적 인물로 꼽을수 있다. 오세창과 김응현은 한글 인장을 처음으로 새긴 전각가로 자기 매김 되며, 김응현은 자신의 한글서예에 한글 인장을 自刻自用한 최초의 작가로서 의미가 크다.

      • KCI등재

        몸의 운동성과 글자꼴의 관계 - 언해본체와 궁체를 중심으로

        김대연,안병학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4 한국예술연구 Vol.- No.45

        이 연구는 한글 글꼴 디자인에서 글자쓰기에 관한 이해가 글꼴 개발의 중요한 형태적 기준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전통적 한글 글씨체인 언해본체와 궁체를 대상으로 한 운동성과 글자꼴의 관계 분석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한글 붓글씨체는 언해본체로부터 궁체로의 변화를 겪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글자를 쓰는 몸의 운동성 변화에서 그 주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글자 획의 단면을 도식화하고 이 도식을 이용해 전통적인 한글 글씨체 가운데 언해본체와 궁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두 글씨체는 글자를 쓰는 ‘필법(筆法)’과 글자를 구성하는 체계 면에서 매우 다른 운동성을 띠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몸의 운동성 변화가 한글 글씨체의 변천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바탕체류의 디지털 서체의 형태에서도 글자쓰기의 운동성으로부터 영향 받은 형태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가 글꼴 변화의 계보 탐구에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참조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writing in Korean font design serves as an important morphological criterion in font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ovement and letter forms in traditional Korean writing styles, Eonhaebonche and Gungche. Traditional Korean brush calligraphy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Eonhaebonche to Gungche. This change can be attributed to alterations in the movement of the body writing the letters. To verify this, cross-sectional diagrams of letter strokes were schematized, and these schematics used them to analyze the Eonhaebonche and Gungch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wo writing styles have very different movements in terms of both the penmanship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harac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al base for exploring the genealogy of font changes influenced the movements of handwriting, as can be found in digital fonts such as Batangche that are widely used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