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북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지역운동사상 의의

        김형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The National Dept Repayment Movement which started from Dagu on February in 1907 rapidly spreaded across the country. Regional agencies for the repayment organized by Do, Gun, Myun(Korean civic units) announced its ‘prospectus’ and opened fundraising. Chungbuk province started the fundraising at the beginning of March. There were 10 repayment agencies in the province including Hojung Dept Repayment Organization(호중국채보상의조회), Okcheon No Smoking Repayment Organization(옥천단연의무회), Jincheon Dept Repayment Organization(진천 국채보상회), Boeun Deptm-No Smoking Repayment Organization(보은 국채보상단연동맹회), Yeongdong Dept Repayment Organization(영동국채보상회). In fact, such groups leaded the donation. Civic centers or main traffic hubs such as Cheongju, Chungju, Okcheon, Jincheon engaged in the donation activity earlier than any other regions. Proportionally to it, the activity got a fruitful income. Generally, people donated a specific sum of money as to their living standard. Some organizations such as family groups based on strong blood ties actively took part in the donation. Participation of confucian scholars was one of catalysts for encouraging voluntary donation of many people in the region. Merchants also actively donated in response of economic aggression by Japan. Even thieves donated and this developed into national movement. But Religious groups don’t engaged in this movement going along with the atmosphere. The movement of National Dept Repayment in Chungbuk province sunk into a swamp of stagnation since August like any other provinces. But people in the province started to find a new social order. They realized their social duties through an deep understanding on reality and self awareness. The movement started for economic independence from Japan developed into social reform. Various economic movements such as the Movement for Local Product Promotion(물산장려운동) in Japanese colonial rule began from this historical context. 1907년 2월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일시에 국내외로 확산되었다. 행정구역인 군을 단위로 조직된 국채보상회는 「취지서」를 발표와 동시에 모금활동을 적극적이었다. 충북지방은 3월 초부터 본격적인 의연금 모금에 들어갔다. 한말 국채보상운동이 지닌 역사적인 의의는 바로 여기에 찾을 수 있다. 도내 조직된 국채보상회는 호중국채보상의조회ㆍ옥천 단연의무회ㆍ진천 국채보상회ㆍ보은 국채보상단연동맹회ㆍ영동 국채보상회 등 최소한 12개소 이상이었다. 이러한 조직은 의연금 모금을 사실상 주도하는 중심단체였다. 청주ㆍ충주ㆍ옥천ㆍ진천 등 행정ㆍ상업도시나 교통 요충지는 비교적 일찍부터 의연활동을 추진했다. 성과도 이와 비례할 만큼 활성화로 나타났다. 모금 방식은 생활 정도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배렴ㆍ갹출하는 등 향촌공동체 운영원리를 활용하였다. 강한 족적 기반에 근거한 문중 조직이나 친위대ㆍ상무사 등 공동조직체는 의연금 모집에 적극 활용되었다. 유생 참여는 주민들로 하여금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요인 중 하나였다. 상인층 적극적인 동참은 경제적인 침략에 대한 자구책 일환이었다. 심지어 죄수ㆍ도둑ㆍ백정ㆍ걸인 등 사회적으로 가장 천시되었던 계층도 참여했다. 이는 국민운동으로 진전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반면 종교계는 동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분위기였다. 국채보상운동은 8월 이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침체기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충북인은 이를 통하여 새로운 사회질서를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현실인식 심화와 자아각성 등은 사회적인 책무를 일깨우는 요인이었다. 자립경제 도모를 위하여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변혁운동으로 승화되어 나갔다. 일제강점기 물산장려운동 등 경제운동은 이러한 역사적인 연원에서 비롯되었다.

      • KCI등재

        국채보상운동과 한국 개신교계

        한규무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6

        국채보상운동과 한국 개신교계 한 규 무 이 글은 1907년 개신교계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1900년대 개신교계는 국채보상운동에 유리한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갖추고 있었다: ⑴ 모금의 주요방법인 ‘단연(斷烟)’이 청도교적 생활윤리를 강조한 한국교회의 특성과 맞았다. ⑵ 국채보상운동에는 여성들도 적극 참여했는데, 기독교 여성들은 일찍부터 활발한 사회운동을 벌였으며 많은 교회에 부인회가 조직되어 있었다. ⑶ 1890년대 이후 한국교회는 각종 계몽운동에 관심을 보였다. ⑷ 교회라는 체계적ㆍ전국적 조직은 운동의 전개를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⑸ 1900년대 계몽운동의 중심인 황성기독교청년회(YMCA)가 설립되어 있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개신교계 국채보상운동은 부진했다고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짐작된다: ⑴ 교회 지도자들이 국채보상운동을 정치적 성격의 것으로 간주하여 참여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⑵ 1907년 평양에서 시작된 대부흥운동의 열기가 국채보상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⑶ 기독교 계몽운동의 중심인 황성기독교청년회(YMCA)도 ‘비정치화’ 노선으로 기울었다. 개신교계가 국채보상운동 참여에 적극적이었느냐 소극적이었느냐는 평자의 관점과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필자는 교세에 비해서는 부진했고 타종교계에 비해서는 활발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서울ㆍ평양을 비롯하여 선교거점인 스테이션들에서 참여가 미약했던 점은 시사하는 바 크다. 교회 안에서 정치적 성격의 집회를 갖거나 교회의 명의로 정치적 성격의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한 찬반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사안이며, 그같은 성격이 분명했다면 선교사들이 이에 반대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황실과 관리들도 참여하고 전국각지의 각계각층이 전개한 국채보상운동이, 과연 선교사들이 걱정할 정도의 정치적 성격의 것이었는가 하는 점이다. 선교사들이 국채보상운동에 비판적이었다는 직접적 자료는 아직 찾지 못했으나, 그들이 앞장서 교인들을 동원하여 행사를 주최하며 ‘충군애국’을 강조했던 1890년대 개신교계의 모습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장로교ㆍ감리교를 양대산맥으로 하는 한국 개신교계의 국채보상운동의 참여는 활발하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국채보상운동은, 1900년대 개신교계의 민족운동을 새롭게 해석ㆍ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가 되리라 생각한다.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nd Korean Protestants Han, Kyu Moo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Korean Protestants'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nd its character in 1907. In the 1900s, Korean Protestants had various conditions favorable to the movement. Total 98 cases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were found in all sorts of newspapers. While its number was bigger than other religious communities, it was small compared to their religious influence. In particular, huge significance is found in the fact that the stations in Seoul and Pyeongyang were not actively involved in the movement, which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onpolitical line declared by the missionaries in the 1900s and the Great Revival Movement that was initiated in Pyeongyang in 1907 and spread across the nation. In conclusion, Korean Protestants whose two major pillars were the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 did not take active part in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hich can be a criterion based on which to newly interpret and assess the national movements of Protestants in the 1900s.

      • KCI등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이 글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산이씨 홍와고택」 고문서 중 국채보상운동과 관련한 자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성산이씨 홍와고택」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자료는 고서 1,739책, 고문서 7,952점, 기타유물 37점 등 모두 9,728점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그 가운데 주목할 자료는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로서 약 50여종이며, 국채보상운동의 전후사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또한 국채보상운동의 쇠퇴 후 모금한 기금을 신학교 건설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간찰 등도 확인되었다.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는 운동이 시작되기 전의 상황과 고령 지역에서의 활동 내역, 이후 의연금의 사용 내역 등이 고스란히 전해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과정과 독립운동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고령지역 국채보상운동은 혁신유림이 주도하는 가운데 ‘대동단결’에 의한 사회질서를 모색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성리학적 지배질서를 통한 향촌공동체의 강화, 즉 한주학파는 시대의 흐름을 보아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향촌 자치에 입각한 유교의 보편주의를 내세우게 되었다. 개항 이후 경북 고령은 유림의 본고장으로 충의관에 입각한 변혁운동을 도모했던 지역이다. 이른바 한주학파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서구사조를 수용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사회진화론이나 만국공법 수용은 ‘교조적인’ 성리학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유연한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나 단발령시행에도 직접적인 저항보다 일제 침략의 불법성을 열강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데 노력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이후 일제 침략과정에 그대로 투영되어 실천적인 문제로 귀결되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처음부터 순수한 애국 충정에서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서, 전국적인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때문에 일제의 방해・탄압 책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끝내 좌절되었던 것이다. 운동이 비록 좌절로 끝나긴 하였으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하나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대중들은 자신들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국가의식을 크게 신장시켰으며, 동시에 민족공동체 의식을 깨우치게 되었다.

      • KCI등재

        경주국채보상운동의 전개 양상 검토- 경주 校洞 崔氏家 소장 古文書 자료를 중심으로 -

        이혁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This paper reviewed the development of the Gyeongju National Debt Compensation Movement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ancient documents owned by the choibuja. The points newly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ews of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spread from Daegu to Gyeongju at least before March 6, 1907, and not only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but also the system and operation policy of the council were delivered to Gyeongju through the correspondence. Based on this, a statement for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was prepared in the Gyeongju area, and an independent council was also formed to systematically collect donations. Second, as donations were sluggish, a more systematic organization, Hyanggyo Yeonseong Company, was established in April as advertisements to encourage fundraising were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ree donation books were written in July. Iljinhoe began full-fledged interference in the transportation of donations to its headquarters in Seoul in August. He came to Seoul in September and donated to the headquarters in Seoul, but the donation activities are suspended due to confusion. In November, 66 households in Gyeongju decided to share transportation costs, effectively raising 708 nyang. In the same month, Lim Cheon-sik, the finance minister of Yeonseong Company, wrote a pledge to pay 17,434 nyang of Gyeongju to Boeun Company, In February 1908, Lim Hwitae, Lim Cheon-sik's son, wrote a letter to Choi Hyun-sik and said he would Raise money Third, in September 1908, a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inspection center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use of donations raised in Gyeongju, and this organization was active until May 1909. At this time, the investigator of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inspection office was Kang Young-joo, and the chairman of the Gyeongju Donation Center was Choi Hyun-sik. In May 1910, an association was held to select the number of people to be dispatched to the Compensation Processing Associa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was proposed and the aftermath of the government bond compensation movement remained in Gyeongju for three years. 본고는 최부자댁이 소장한 고문서 자료를 분석하여 경주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채보상운동의 소식이 대구에서 경주로 전파된 시점은 최소한 1907년 3월 6일 이전으로 볼 수 있으며, 대구통문을 통해서는 국채보상운동의 취지뿐만 아니라 단연회의 체제 및 운영방침까지도 경주로 전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경주지역에 국채보상운동 취지서가 작성되었고, 의연금을 조직적으로 수합하기 위한 단연회사도 결성되었다. 둘째, 의연금 수합이 지지부진하자 4월에 모금을 독려하는 윤고문과 광고문이 배포되었고, 보다 체계적인 조직인 향교연성회사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7월에 경주지역 국채보상의연금의 규모를 알 수 있는 국채보상의연금성책 3권이 작성되었다. 8월부터 의연금을 서울 본사로 수송하는 일에 대한 일진회의 본격적인 방해공작이 전개되었다. 9월에 의연금을 서울 본사에 납부하기 위해 상경했지만, 시국의 어수선함으로 인해 의연금 납부를 보류하게 된다. 11월, 의연금 수송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향회를 열어 경주에 소재한 66개 문중들이 수송경비를 나누어 부담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실제로 708냥이 모금되었다. 같은 달, 연성회사 재무인 임천식은 보은회사에 경주의연금 17,434냥을 기한에 납부하겠다는 다짐문을 작성하였고, 1908년 2월에는 임천식의 아들 임휘태가 의연금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간찰을 최현식에게 보냈다. 셋째, 1908년 9월, 국채보상금검사소가 설치되어 경주에서 수합한 의연금의 사용처를 조사하였는데, 이 단체는 1909년 5월까지 활동하였다. 이 때 국채보상금검사소의 조사장은 강영주였고, 경주의연금수집소의 회장은 최현식이었다. 1910년 5월, 국채보상처리회에 파견할 인원 선발을 위한 향회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국채보상운동이 발의되고 3년 동안이나 국채보상운동의 여파가 경주에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상주 국채보상운동의 발단과 전개

        금중현 ( Kuem Junghyun ),엄창옥 ( Um Changok ) 대구사학회 2016 대구사학 Vol.125 No.-

        상주의 국채보상운동 관련 기록물 3점이 국채보상운동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구의 국채보상운동이 1907년 2월21일에 일어났는데, 이 기록물에 의하면 상주, 그것도 상주의 아주 외지인 유천리(이천리로 추정)에서 1907년 2월 의연금 성책이 작성되었다. 이처럼 조속한 반응이 상주에서 어떻게 일어났으며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상주의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의 국채보상운동의 영향을 직접 받아서 전개되었다. 대구 운동의 발기인인 강신규는 상주사람으로서 선산의 심정섭, 이우열 등과 함께 대구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였으며, 그와 인적 연관이 있는 상주지역의 중인(향리)인 김재익, 박정준으로 하여금 상주국채보상운동을 일으키게 하였다. 김재익이 이천리에 거주하였으므로 `이호서당`을 중심으로 하여 국채보상모금운동이 상주 각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상주는 사대부나 유림 등의 지식인이나 부호층 보다는 일반 서민의 참여가 현저히 높았으며, 이호서원이나 상주향교를 제외하고는 유림이나 사대부의 집합적 참여를 아직 발견할 수 없다. 상주의 국채보상운동 의연금은 전국의 0.6% 수준에 머물지만 민중이 주도가 된 구국운동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상주동학농민운동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식민지기간의 항일무장투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Archive 3-item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NDRM) at Sangju region are housed in the Museum of NDRM. Daegu NDRM occurred on February 21, 1907. According to these archives, We can see the Sangju NDRM broken out on `Leechuen county` where was the outskirts of Sangju city, in February some day, 1907. It is very fast reaction. This paper is to explain why Sangju NDRM was very fast response as like this, how this movement was developed at Sangju region. Sangju NDRM was affected directly by Daegu NDRM. Kang Singyu who was lived in Sangju region, joined Daegu NDRM with his acquaintances :Shim jungshup, Lee Woohull who lived in Sunsan region. And then He helped that Kim Jaeik and Park jungjun are organizing Sangju NDRM, they are local government officials belong to the middle class. They are well known each other. Kim Jaeik who was leader of Sangju NDRM, lived in Leechuen county. Sangju NDRM spreaded to many other county of Sangu region around `Leeho Private primary School` which was located in Leechuen county. As a result, Ordinary people(98.3%) took part in the Sangju NDRM more than noble class. Amount of donation of Sangju NDRM is nothing more than 0.6% of total donation collections, but the movement has great meaning in that it be led by ordinary people.

      • KCI등재

        국채보상운동 초기, 발상지 대구지역의 운동 전개 양상에 대한 재검토

        이문기 ( Lee Moon-key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2 No.-

        본고의 목적은 국채보상운동 초기, 발상지 대구지역의 전개 양상을 재검토하여 선행연구에서의 미비점을 수정·보완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7년 1월 29일 서상돈의 국채보상 발의는 「취지서」로 작성되어 전국적으로 배포되었다. 종래에는 「취지서」가 1종만 작성된 것으로 보았지만, 사실은 1월 말에 작성된 「1차 취지서」와 이를 윤문·교정하여 2월 상순에 다시 작성한 「2차 취지서」의 2종이 있었다. 둘째, 발의와 취지문의 배포에도 불구하고 국채보상운동에 큰 진전이 없자, 대구의 운동 추진세력은 운동 전담 단체를 새로 조직하고, 대규모 군중집회의 개최를 준비하였다. 이에 따라 새로 조직된 단체는 ‘대구금연상채회’와 ‘대구민의소’였는데, 이들은 국채보상운동을 전담하는 단체로서는 전국 최초로 조직된 것이었다. 이 가운데서 ‘대구민의소’는 대구군민대회를 주최·진행하기 위한 만들어진 실행단체였으며, ‘대구금연상채회(얼마 후 ’대구단연상채회‘로 개명됨)’가 대구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갔던 핵심 단체였다. 셋째, ‘대구민의소’는 두 번에 걸쳐 대구군민대회를 개최하였는데, 이 두 번의 군중집회는 이후 대구의 국채보상운동을 활성화하고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넷째, 대구는 여성들이 전국 최초로 국채보상운동에의 참여를 밝혔던 장소인데, 종래에는 활동의 중심에 ‘남일동패물폐지부인회’가 있다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는 정식 단체가 아니며, 실제로 대구에서 여성들의 국채보상운동을 이끌었던 단체는 그 정신과 방법론을 계승한 ‘대구남산국채보상부인회’였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Daegu, the birthplace of the movement in its early days, and revise and supplement insufficiencies in previous studies. The new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 Sang-don's motion for national debt repayment was written as a prospectus in January 29, 1907 and distributed around the nation. The old understanding was that only one prospectus was written. The fact is that there were two prospectuses including the first one written in late January and the second one rewritten based on the first one through embellishment and proofreading during the first ten days of February. Secondly, recognizing that there was no big progress in the movement despite the distribution of the motion and prospectus, the group that pushed the movement forward in Daegu formed new organizations devoted to the movement and prepared for a large mass demonstration. The new organizations devoted to the movement were "Daegu Geumyeon Sangchaehoi" and "Daegu Minuiso," firsts of their kind in the nation. "Daegu Minuiso" was an enforcement agency to hold a demonstration of soldiers and civilians and ensure its progress. "Daegu Geumyeon(Danyeon) Sangchaehoi" was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 to lead the movement in practice in the Daegu area. Thirdly, "Daegu Minuiso" held two demonstrations of civilians, which offered a critical chance to vitalize the movement in Daegu and spread it around the nation. Finally, women declar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in Daegu first in the nation. It was understood in the past that "Namildong Paemul Pyeji Buinhoi" was at the center of their activities in the movement, but it was not an official organization. It was "Daegu Namsan Gukchae Bosang Buinhoi" that actually led women's activities in the movement in Daegu. (honorary profess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mklee@knu.ac.kr)

      • KCI등재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특징

        이문기 대구사학회 2024 대구사학 Vol.155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1907년에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는 모두 4종이었다. ㉮대구광문사가 1907년 1월 31일에 작성한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1차 취지서」), ㉯대동광문회가 2월 중순 경에 수정한 「국채보상취지서」(「2차 취지서」), ㉰‘대구금연상채회’가 2월 21일에 작성한 「국채담보취지서」 및 ㉱이와 동시에 작성한 「통문」이 그것이다. 이 4종의 취지서는 국채보상의 필요성과 방법론 등 대의 면에서는 상통하는 바가 많지만, 교정과 윤문, 필요에 따른 구절의 첨삭 등으로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엄연히 구별되는 별도의 문건이었다. 둘째, 대구광문사가 작성한 「1차 취지서」인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는 대구광문사 사장 김광제와 부사장 서상돈 명의의 공함 형식으로 국내외에 널리 배포된 문건이었다. 발의 직후인 1907년 1월 31일에 발표된 이 「1차 취지서」에는 대표 발기인인 김광제・서상돈 외에도 광문사 사원 장상철 등 14명이 발기인으로 함께 참여하여 그 수는 도합 16명이었다. 이 「1차 취지서」의 개요는 국민들의 충의가 국가의 흥망을 좌우한다는 원론, 우리 민족의 현실에 대한 자책, 국채로 인한 국가적 위기와 국채보상의 필요성, 금연으로 국채를 보상하자는 방법론의 제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그 주지(主旨)는 이후 「2차 취지서」와 「국채담보취지서」 및 「통문」에까지 계승되어 국채보상운동의 불변의 지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문건은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 에 게재되어 대구에서 전국 최초로 국채보상운동이 발의・발기되었음이 전국에 알려져 운동의 확산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기폭제가 되었다. 셋째, 대동광문회가 「1차 취지서」를 수정한 「2차 취지서」는 「국채보상취지서」라는 제목으로 1907년 2월 중순 경에 발표되었다. 발기인은 대표 발기인이었던 김광제와 서상돈을 필두로 하여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과 회원 13명이 참여하여 외형상 도합 17명이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김광제가 중복 포함되어 사실상 16명이었다. 다만 「1차 취지서」의 발기인 중 광문사 사원 권석우・최일홍・김봉준・박병옥 등 4명이 제외되고 그 대신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회원 서병오・정재덕・추교정 등 4명이 새로 참여하는 변화가 있었다. 「2차 취지서」는 글의 형식을 편지글에서 취지서 형식으로 바꾸었고 새로운 제목을 내세웠으며 자구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과 윤문을 가하여 작성한 새로운 문건이었다. 넷째, 1907년 2월 21일 ‘대구금연상채회’는 「국채담보취지서」와 「통문」이라는 제목으로 2종의 취지서를 동시에 작성・발표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이전의 「1・2차 취지서」의 대의를 그대로 계승했지만 가상 독자층을 서로 다르게 상정한 점이 특징이었다. 전자는 보다 읽기 쉬운 현토(懸吐)한 국한문 혼용체의 평이한 문장을 구사하여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삼은 데 비해, 후자는 유교 경전의 구절이나 역사고사 등을 인용한 순한문체의 문장을 사용하여 지역 향교를 거점으로 하는 향촌 지식인들을 그 독자층으로 설정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주로 경북 내 대구 등 41개 향교를 중심으로 배포되어, 이후...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which has not been properly reviewed until now. A summary of what was revealed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①Daegugwangmunsa's 「National debt 13million-won repayment prospectus(國債一千萬圓報償趣旨)」(「the 1st prospectus」) prepared on January 31, 1907, ②「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國債報償趣旨書)」(「the 2nd prospectus) revised by Daedonggwangmunhoe in mid-February, ③「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國債擔報趣旨書)」 prepared by the ‘Daegugumyeonsangchaehoe’ on February 21st, and ④「The Public Document(通文)」 prepar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organization. Although these four types of prospectus have much in common in terms of the purpose, such as the necessity and methodology of national debt repayment, they were clearly separate documents with partial differences in description due to proofreading, revision, and correction of passages as necessary. Second, 「the 1st prospectus」 written by DaeguGwangmunsa was a document widely distributed in the name of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In this 「the 1st prospectus」 announced on January 31, 1907, including Gwangmunsa employee 14people participated as promoters. The outline of this prospectus can be summarized the main note passed down to later prospectus and became an immutable indicator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addition, this document was published in the DaehanMaeil Shinbo on February 21, 1907, making it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that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as first initiated in Daegu, and became a catalyst for the spread and participation of the movement. Third, 「the 2nd prospectus」, which was a revised version of the 「1st prospectus」 by Daedonggwangmunhoe, was announced around mid-February 1907 under the title 「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 The promoters were 16 people in total, led by Gwangmunsa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who were the main promoters, as well as Daedonggwangmunhoe Chairman Park Hae-ryeong, Vice Chairman Kim Gwang-je, and association members. However, this is a change in which four of the 16 promoters of the 「the 1st prospectus」. 「The 2nd prospectus」 was a new document written by changing the format, introducing a new title, and adding partial corrections and revisions to the wording. Fourth, on February 21, the Daegugumyeonsangchaehoe simultaneously prepared and announced two types of statements titled 「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 and 「The public document」. These two types of prospectuses inherited the purpose of the previous 「1st and 2nd prospectus」, but were characterized by assuming different virtual readerships. The former targeted the majority of the public by using simple sentences, while the latter used sentences in a pure Chinese writing style that quoted passages from Confucian scriptures or historical events. Local intellectuals based at local Confucian schools(鄕校) were selected as the readership. These two types of statements were mainly distributed to 40 local schools in the Gyeongbuk,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the Gyeongbuk region.

      • KCI등재

        종교계의 국채보상운동 참여 양상과 성격

        이승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국채보상운동 당시 주요 언론사에서는 의연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과 금액을 일일이 기재하였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 어떤 사람들이 의연금을 냈는지 대부분 파악할 수 있다. 본고는 종교를 단위로 한 의연 사례에 주목하였다. 사찰 혹은 교회 혹은 교인 집단 단위로 의연을 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종교와 관련한 것으로 표기하여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불교·천주교·개신교·천도교를 대상으로 각 교단의 입장과 교인의 참여 양상을 검토하였는데, 각각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종교는 불교였다. 불교는 교계 중앙조직에서 공식적으로 의연 참여를 결의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전국 승려의 1/5 정도가 의연에 참여하였다. 천도교단은 일간지 만세보 를 통해 국채보상운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의연금 내역을 소개함으로 운동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반면 교단 차원에서의 ‘거액 의연’을 거론하며 교인들의 의연 참여는 제한하여 천도교인의 국채보상운동 참여 사례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천주교와 개신교 교단은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외국인 선교사가 주도하는 가운데 통감부의 정교분리 방침을 수용하고 있었던 정황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천주교와 장로교·감리교 등 세력이 큰 교단의 경우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특별한 의견 표명을 하지 않았다. 교단의 소극적인 태도는 교인들의 참여에 영향을 주어 참여율은 높지 않다. 각 교단이 보인 태도와 대응 양상은 각 교단이 처한 현실적 여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아직 근대적 조직화를 이루지 못하고 사회적 위상도 낮았던 불교의 경우 ‘국민으로서의 의무’ 수행에 적극 나선 반면, 외국인 선교사의 영향력 아래 비교적 안정된 교세를 갖추고 있는 천주교·개신교 교단은 비정치화 노선을 추구하며 보수적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차이는 개신교 내 교파간의 차이에서도 확인된다. 한국 사회에 일찍부터 진출하여 안정적인 교세를 이루고 있던 장로교·감리교와 소수 교파인 영국성공회·대한기독교회를 비교할 수 있다. 교세가 큰 장로교·감리교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에서 교단을 운영한 반면, 소수 교파의 경우 한국인의 특색이나 사회적 정서에 맞춰 적극적 포교를 시행하고 있었으므로, 한국인의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크게 호응했다.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patterns of religious figures, including clergy and lay believers, during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of 1907. It delves into the attitudes and positions of various denominations—Buddhism,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Chundogyo— towards the movement. Furthermore, it compiles instances of actual participation by clergy and laypeople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interactions. Each denomination exhibited slightly different attitudes. Buddhism resolved to officially participate through its central organization, with about 20% of monks nationwide actively engaging. Chundogyo, through its daily newspaper “Mansaebo,” actively propagated the movement but limited personal donations from its believers, resulting in fewer participation instances among its followers. Catholic and Protestant denominations showed somewhat lukewarm attitudes. Influenced by foreign missionaries leading the denominations and adhering to the policy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by the Governor-General’s office, these denominations, especially the larger ones like Catholicism, Presbyterianism, and Methodism, did not express special opinions regarding the movement. This passive stance of the denominations impacte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ir followers, which was not high. The study confirms that the attitude of the denomin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level of clergy and believers. It also established that the stance of each denomin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real-world conditions. The Buddhist community, yet to achieve moder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ow in social standing, participated actively. In contrast, the Catholic and Protestant denomin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missionaries and enjoying relatively stable religious power, adopted a conservative approach, aligning with a non-political stance. This difference was also evident within the Protestant sects. While the established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showed a conservative position, minority sects like the Anglican Church of England actively evangelized, aligning with the social sentiments of Koreans, leading to greater responsiveness towards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mong these smaller sects.

      • KCI등재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현대적 계승에 관한 몇 가지 해석과 논점

        정재요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What can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be inherited today? This paper consists of experimental level of exploration of this question. Searching for the spirit of the times through the spirit of histor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community. In this context, the main text examines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t the level of ‘sharing pain: sociology of overcoming crisis’, ‘sharing rights: politics of human rights development’, and ‘sharing goods: economics of profit solidarity.’ In addition, the main text focuses on declaration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examines the presentization of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plan,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as interpreted in the following point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olidarity,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for the socially weak,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public sphere, the introduction of a tax system for vertical equality etc. They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seeking the spirit of today's times as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spirit of sharing,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derived from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such,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can function as a historical spirit useful for seeking sustainability of the democratic republic as an ideological resource of the community that encompasses the whole era.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오늘날 어떠한 내용으로 계승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수준의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정신을 경유하여 오늘의 시대 정신을 모색하는 것은 공동체의 지속요건에 대한 중대한 시사를 제공해줄 것이라는 판단 하에, 본고에서는 국채보상운동 정신을 ‘고통의 나눔: 위기 극복의 사회학’, ‘권리의 나눔: 인권 신장의 정치학’, ‘재화의 나눔: 이익 연대의 경제학’의 수준에서 각각 검토해본다. 아울러 본문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공공기억의 매개로 특히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에 주목하여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현재화를 고찰해본다. 이상과 같은 기획에 따라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오늘날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공동체 연대의 중요성, 사회적 약자의 인권 신장, 민주적 공론장 구축, 수직적 평등을 위한 조세제도의 설계 등의 수준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들은 국채보상운동 정신에 내재한 시대초월적인 가치인 나눔과 책임정신 그리고 연대 정신에 입각한 해석으로서, 오늘의 시대 정신을 모색하는 데 일정한 시사를 제공해준다. 이처럼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통시적이고 항구적인 공동체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민주공화국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역사 정신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구에서 발원한 국채보상운동의 사회문화적 전개양상과 함의

        주형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initiated in Daegu by examining the three aspects: the Korean merchant class's economic interests, women's claims for their rights and the active subjectivation of people. First,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as a movement based on the economic interests of the merchant clas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Second, it was a movement which served as an occasion for women to speak out in the pre-modern patriarchal system. Third, it was a movement in which the people were constituted as an active social subject. Although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last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ended in failur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it clearly revealed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Korean society had undergone in the early 20th century, revealing the people's desire for an equal society away from feudal status system and patriarchal oppression. Considering that the capitalism began to take root in full force in Japanese rule over Korea, the movement can be understood as a case to see how the Korean capitalist merchant class tried to use the state and the people for their survival. The movement also shows that the subordinate subjects actively responded to the national call and tried to establish them as equal sub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구한말 자본가들의 요구, 여성의 목소리 내기, 민중의 능동적 주체화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국채보상운동을 조망함으로써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시도하는 것이다. 첫 번째, 국채보상운동은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상인들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고안된 운동이었다. 두 번째, 국채보상운동은 여성들이 전근대적인 가부장제에서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계기가 된 운동이었다. 세 번째, 국채보상운동은 통치의 대상으로서 수동적 객체 상태에 머물던 일반 민중이 능동적인 사회적 주체로서의 모습을 확인한 운동이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짧은 기간 지속되었고 국권회복이란 관점에서 보면 실패로 끝난 운동이지만 20세기 초 한국 사회가 겪고 있던 사회문화적 변화를 극명하게 드러내면서 봉건적 신분제와 가부장적 억압에서 벗어난 평등한 사회에 대한 민중의 열망이 드러난 사건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의 강압적 지배 속에서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자본가들이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국가와 국민을 어떤 방식으로 규정하고 호명하려 하였는지를 엿볼 수 있는 사건이면서 동시에 국민으로 호명된 하위주체들이 호명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동등한 주체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한 사건이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