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의 길과 ‘일본’ - 제29차 도쿄 국제펜대회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이만영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문단이 세계문학으로의 길을 탐문하는 과정 속에서 ‘일본’을 어떻게 수용하고 이해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목하고자 하는 사건은 제29차 도쿄 국제팬대회(1957)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1968)이다. 먼저, 우리 문단에서는 도쿄 국제펜대회의 개최 소식을 듣고 일본의 문화공세에 대한 공포감과 그들을 따라잡아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조성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한국은 도쿄 국제펜대회를 통해서 두 가지 메시지, 즉 일제의 만행을 폭로함과 동시에 자유주의 선봉국가가 일본이 아닌 한국임을 전세계에 알리고자 했다. 이처럼 그 당시 문인들은 도쿄 국제펜대회를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 나갈 수 있는 문학적 계기로, 더 나아가 한국이 냉전 아시아 내에서 반공자유주의 국가의 첨병으로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정치적 계기로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당시 도쿄 국제펜대회가 국내 문단에 미치는 파급력은 지대했는데, 그 근거는 펜대회 이후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이라는 의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문단에 큰 충격을 가져다주었다. 백철이나 조연현과 같은 문인들은 일본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서구적 보편성을 획득한 증례로 이해하면서, 우리 문학이 세계문학적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지 심도 있는 논의를 수행했다. 그 결과 한국적이고 전통적인 것이 곧 세계적인 것임을 강조했을 뿐 아니라, 전통적인 것의 가치를 복원하고 이를 현대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대두되었다. 그와 함께 도쿄 국제펜대회를 통해 촉발된, 해외 번역에 대한 필요성이 다시 한번 문단의 화두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한국문단이 도쿄 국제펜대회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는 사건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그리고 일본이라는 매개자를 통해서 한국문학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고자 했는지 검토해보았다.

      • KCI등재

        1970년대 한국근현대소설의 영어번역과 세계문학을 향한 열망

        이종호 구보학회 2018 구보학보 Vol.0 No.19

        This paper examine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English translation practice of Korean Literature within and outside the South Korean literary field, by analyzing various documents which could show the peculiarity of translation system in the 1970s. The 1970s saw the rapid increase of Korean Literature’s english translation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various private translators. Their translations, however, were closely akin to unfinished cultural products for domestic use, without realistic foundation such as overseas distribution, promotion and sales of translated publications.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literatur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an abstract dimension since the colonial period, was launched in 1968 when Yasunari Kawabata(川端 康成) was awarded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The realistic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could take concrete shape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the Korean PEN's nomination for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the holding of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in Seou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riters' Translation Bureau in the 1970s. Conflicting between “Korean things” and “the Universal of World literature,” private translators in South Korea had no choice but to return to their “Fixed Rewriting” of Korea Literature, because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under the cold war system behind the global literary market. 본 연구는 1970년대 남한 번역시스템의 특수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남한문학장 내·외부에서 전개된 한국문학의 영어번역 실천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파악코자 한다. 국내에서 전개된 한국문학의 영어번역은 197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민간번역 주체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서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번역출판물의 해외유통과 홍보, 판매와 같은 현실적 기반이 갖추어지지 않는 상황 속에서 이러한 번역실천들은 결국 내수용의 미완의 문화상품을 생산해 내는 것이었다. 식민지 시기 이래로 추상적인 차원에서 전개되었던 한국문학의 세계화 전략은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특히 1970년대 남한사회에서 한국문학의 영어번역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현실적 논의들은 국제 펜·클럽 한국위원회의 노벨문학상 후보 추천과 제 37차 세계작가대회 개최 및 아시아문학번역국 설치 문제를 통해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세계문학시장의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냉전체제하의 거대한 정치역학의 흐름을 읽어낼 수 없었던 까닭에, 남한문단의 ‘외부’를 상상하며 끊임없이 세계문학의 중심을 향해 나아가고자 기획했던 주변부 지식인들의 역번역 실천들은 결국 ‘한국적인 것’과 ‘세계문학의 보편’ 사이에서 끊임없이 방황하며 한국문학의 ‘고립된 다시쓰기’로 회귀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현황과 전망

        곽효환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1

        Korean literature has a history of overseas introduction for as long as 130 years and has been through a policy of overseas introduction project for over 40 years. Such a long-cherished desire for Korean literature,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should go in a new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and strategies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may mean tha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more than 40 years of supporting projects for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chievements in the meantime and find a new level of awareness and search the direction based on them. This is all the more so in that the expression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used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policy, ignited the desire to enter the center of world literatur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examined the experiences accumulated by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literature market which was built after 2010s, along with efforts to enter the world literature center, and achievements that received attention, and established its meaning. This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literature, which has reached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from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can take a step further into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한국문학은 길게는 130여 년의 해외소개 역사를 가지고 있고, 40여 년의정책적인 해외소개 사업을 거쳐 왔다. 이 같은 한국문학의 오랜 숙원인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이라는 새로운 방향으로 가야 하고, 그에 따른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정책적인 한국문학 해외 소개를 위한 지원 사업을 펼쳐온 지 40여 년이넘는 상황을 고려할 때 그간의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차원의 인식과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한국문학을 정책적으로소개하면서 사용해온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표현이 세계문학의 주변에서 중심으로 진입하려는 열망을 발화시킨 것이라 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배경을 토대로 2010년대 이후 이루어진 세계문학 시장에서 한국문학이 쌓은 경험과 세계문학 중심으로 진입하고자 한 노력 및주목받은 성과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자리매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의 해외소개’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 과정에 이른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담론의 발현과 (탈)식민주의적 양상- 국제적 문학상 수상 및 후보작을 중심으로

        오영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2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view on Roland Barthes concept of ‘the death of the author’ and Michel Foucault’s ‘functionalization of the author’. Two scholars have the common and form the difference. Roland Barthes insists criticism is necessary no more but still continues critical activity in literature. Like this, in terms of such an extension, Winning or being nominated for an international literary award draws the attention of the public, critics and research. 10 years after it was published in Korea, The Vegetarian won the Man Booker Prize and is the subject of attention. The multifaceted interpretation of the text itself is impossible in this work unless one understands or accepts the main criticism or discourse. This work is a 'work' in that it is shaped as a specific method of criticism or discourse itself, and at the same time a 'text' that mixes the theories of specific criticism and discourse. In the case of Pachinko, it is read as a Zainichi diaspora narrative in many existing studie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names of the characters in this work and the composition of the events are woven with Protestant values and symbols. Furthermore, the entire narrative follows the framework of the original narrative of the Jews, and the Asian continent where Koreans and Japanese live appears as a barbarous object lacking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racial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has anti-racist visionary thinking, and those who do not are reconstructed as a space and a nation with tolerance to look pitifully and sadly. Even if Ash and Red and Hole by Pyun Hye Young and Night Traveler by Yoon Go Eun won international literature award, the public and criticism and study have maintained indifferent. The Vegetarian and Pachinko has the tendency of modern literature to convey something dogmatically. Here, the author plays a role to build discourse into narrative, which is more firmly established by critique and research activities. 본고는 롤랑 바르트가 말한 ‘저자의 죽음’과 미셀 푸코가 말한 ‘저자의 기능화’ 개념에 대한 검토에서 출발했다. 두 학자는 일견 동의하는 지점이 있는가 하면 차이가 있는 지점을 형성한다. 롤랑 바르트는 ‘비평’이 더 이상 불필요함을 주장하지만 여전히 문학에 있어 비평적 활동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장선서 국제적 문학상을 수상하거나 후보에 오르는 일은 대중, 비평, 연구의 주목을 이끌어낸다. 『채식주의자』의 경우 국내에 출간되고 난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에 맨부커상을 수상하며 주목의 대상이 된다. 이 작품은 서구의 비평 방법 및 담론 그 자체가 서사로 형상화되었기에 이것은 이해하거나 수긍하지 않는다면 텍스트의 다면적 해석 자체가 불가하다. 더불어 이 작품은 서구의 관점에서 그들 자신의 우월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립항으로 한국 사회의 미개하고 열등한 타자적 요소를 배치하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서사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파친코』는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자이니치 디아스포라 서사로 읽힌다. 하지만 이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들의 명명, 사건의 구성을 살피면 기독교적 가치와 상징으로 직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서사 전반이 유대인의 원형 서사의 골격을 따르고 있다. 더불어 조선인과 일본인이 살아가는 아시아 대륙은 인종차별에 관한 문제적 의식이 부족한 미개한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달리 미국은 반인종주의적인 선각적 사고가 존재하며 그렇지 못한 자들은 가엾고 안타깝게 바라보는 포용력을 가진 공간이자 국가로 재구성된다. 편혜영의 『재와 빨강』과 『홀』, 윤고은의 『밤의 여행자들』 또한 국제적 문학상을 수상했음에도 대중, 비평, 연구는 무관심으로 이어진다. 『채식주의자』와 『파친코』는 교조적으로 무언가를 전달하고자 하는 근대문학적 성향을 강하게 나타낸다. 여기에서 저자는 담론을 서사로 구축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것을 비평과 연구 활동이 보다 단단하게 구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페미니즘 문학 번역의 시차- 한강의 『채식주의자』 독역본 번역 비평을 중심으로

        오은교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8 No.-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eine Kritik der deutschen Übersetzung von Han Kangs Roman Die Vegetarierin aus feministischer und postkolonialer Sicht. Zunächst wird den Übersetzungstheorien nachgegangen, die in der Realität des Kolonialismus und der Migration aufgetaucht sind. Die Übersetzung löst zugleich Vor- und Nachzeitigkeit aus. Der Postkolonialismus lehrt uns, dass aus einer traditionellen anthropologischen Perspektive der kulturelle Unterschied zwischen westlichen und nicht-westlichen Ländern häufig als Abstand im Entwichklungprozess der Menschheit bestimmt wird und das darauffolgende Übersetzungsverfahren beeinflusst. Die Zeitdifferenz kommt in Betracht, wenn der Übersetzer unterschiedene Perspektiven von Figuren interpretiert. Weil der Übersetzer den zielsprachlichen Leser berücksichtigen muss, verändert sich das Original. Han Kangs Die Vegetarierin handelt von einer Frau, die eine Pflanze werden möchte. Der Erzähler ist ihr Ehemann, der seine Frau nicht verstehen kann. Aber Die Vegetarierin auf Deutsch vermindert sowohl die körperlichen und tierischen Eigenschaften der weiblichen als auch die passive Aggression der männlichen Figur. Indem der spezifische Sexismus und die patriarchale Struktur in der Koreanfamilie zu allgemeinen persönlichen Eheproblemen werden, können die deutschen Leser diese Geschichte leichter akzeptieren. Die Vegetarierin hat einen internationalen Preis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2016) bekommen. Und in letzter Zeit haben manche koreanische Erzählungen auf dem internationalen Markt Erfolg.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kritisiert auch das besonders große Aufsehen dieser Erzählungen, die nur von verrückten und kümmerlichen Personen in Korea handeln, weil sie eine Sichtweise reflektieren, in der Europäer Asiaten als vormoderne und irrationelle Existenzen darstellen. Durch die Analyse wird aufgezeigt, dass Übersetzungskritik nicht nur technischen Fehler hinweisen soll, sondern darüber hinaus auch einen neuen Aspekt zum Text anbieten kann. 본고는 한강의 『채식주의자』의 독일어 번역본에 대한 페미니즘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의 번역 비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분석에 앞서 우선 식민주의와 글로벌 이주라는 현실 속에서 태동한 번역학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핀다. 번역은 ‘시간성’의 문제를 촉발시킨다. 번역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들은, 서구와 비서구의 문화적 차이를 문명적 격차로 인식하게 만들었던 전통적인 인류학적 접근 방식이 식민화 사업의 주요 근거가 되었음을 알려 준다. 시간성의 문제는 실제 문학 작품의 번역 과정에서 인물 간의 시각 차이를 해석하는 문제를 통해 가시화된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육식을 끊고 식물이 되려 하는 여성 주인공의 욕망을 남편의 시점을 통해 드러내는 작품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원본에서 두드러지는 여성 인물의 동물적, 육체적 특징과 남성 인물의 수동 공격적 성향의 가부장성이 경감되어 번역되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 소설에서 문제시되는 남녀 주인공의 갈등이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 관계의 특수성이나 여성 차별의 구조적 문제가 아닌 합리적인 개인들 간의 싸움으로 표현되었다. 나아가 본고는 한강 작가의 국제상 수상을 두고 유서 깊은 서양 문학계가 한국문학을 인정한 것이라고 보는 식민주의적 인식을 비판하고, 비참하고 미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한국형 서사들에 대한 세계적인 주목이 동양을 비합리적인 타자로 인식하고자 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욕망의 반영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번역 비평은 번역본의 기술적 오류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 문학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독해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제 29차 도쿄 국제펜대회(1957)와 냉전문화사적 의미와 지평 -1950년대 후반 미국 문화원조와 동서문화교류 담론을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support on the Korea PEN by The Asia Foundation. During the Cold War, the Asia Foundation is an American nonprofit organization which has supported major Asian nations in country rebuilding, anticommunist educ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foundation established an office in an aid-receiving country and actively attracted local literary people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programs. In Korea, above all, this culture-aiding system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international base of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after the establishment of PEN Korean Center in 1954 through the aid and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it was able to institutionalize the program for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he activities of the Korea PEN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culture which specialized i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difference of the Eastern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e “Resolution on Translation”, which had been passed in the 29th international PEN in Japan,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EN conference of Japan, the role of Japan had been stressed on the bridge between the Asian literature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in particular, the assignment of Kawabata Yasunari, the president of Japan PEN, stood out at the meet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d the business contents of Korea PEN and the aspect of increase in literary translations and their relating book reviews which had changed after the 29th international PEN in Japan. More importantly, from the international acceptance of Korean writer, Hwan Sunwon, in Encounter published in 1959,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translation forum of the Korean literature of 1950s which had been shaped as the output of the Asia Foun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