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의 한국어교사 이미지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현진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practicu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34 statements on 30 participants using Q methodolog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Ken-Q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irst type sees Korean teachers as having “sufficient linguistic and educational knowledge but scarce compensation”, the second type as “being able to supervise students and with a feeling of belonging to their institution”, and The third and last type sees teachers with “knowledge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a bright futu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image that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ir practicum have of Korean teachers. The results can be used to build a positive Korean language teacher image and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이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가지는 한국어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사와 관련된 34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en-Q Analys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부생이 느끼는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는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어학적, 교육적 지식이 있고 충분한 대우는 부족하다’였고, 유형 2는 ‘학생 생활지도를 해주며 직장에 대한 소속감이 크다’였다. 유형 3은 ‘현대문화를 잘 알고 미래가 밝다’라고 명명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한국어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를 유형화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교사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과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국어 평가 시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and fulfillment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dopted after 'proposal to advanc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for secondary school announc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Findings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more than 50% of Korean language teacher reported nega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they do not expect that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dose not contribute korean language assessment improvement and dose not suggest plans to student' korean language ability progress.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 in high school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than in korean language teacher middle school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1-5 year education career reported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Third, Korean language teacher reported that they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well and describe the standard level of korean language well. But they reported problems about setting standard to evaluat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difficulty of cut-off score decision. Fourth, Korean language teacher’s fulfillment levels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i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and the lowest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ifth,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1-5 year education career reported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they reported difficulty when they develop korean language test items and grading students' korean language performance. 본 연구는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가 발표한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에 따른 성취평가제의 시행과 관련하여 현직 국어 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성취평가제와 관련한 국어 평가 시행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행복 교육의 실현과 학생들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해서는 경쟁 중심의 상대평가 체제에 대한 질적 전환이 요구되었고 이에 성취평가제를 통해 학생들이 본질적으로 도달해야 할 목표 중심의 성취평가로의 전환을 모색하였다. 국어 교과의 경우 2016년 현재 고등학교 3학년까지 성취평가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평가제에 대한 국어 교사들의 인식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첫째, 설문에 참여한 현직 국어 교사 중 67.1%는 성취평가제가 국어 교과의 평가 개선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성취평가제가 학생들의 국어 능력 향상 방안 마련에 기여한다고 응답한 국어 교사는 55%로 나타나 국어 교사들의 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이 중학교 국어 교사들에 비해 성취평가제를 통한 국어 평가 개선 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고 1-5년 근무 경력의 국어 교사들이 성취평가제에 대한 국어 평가 개선 효과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 교사들은 성취평가제에 대한 이해, 국어과 학기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올바른 진술은 잘한다고 인식한 수준이 높은데 반해 국어 성취수준의 설정과 적용을 잘 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성취수준에 대한 설정이나 예상 정답률 추정, 분할 점수 산출 등에 관한 시행 수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성취평가제 시행을 위해 출제 계획, 수행 평가 관련 채점 및 결과 보고 단계, 성취평가제 지원 체제의 활발한 차원에 관한 국어 교사의 시행에 대한 인식 수준은 모두 중학교, 인문계고,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1-5년 근무 경력의 국어교사들은 성취평가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문항 출제나 평가 및 채점 수행과 관련한 시행수준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특성의 비교

        김수미(Kim Sumi),이소현(Lee Sohyeon),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이 연구는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을 탐색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국어교사 30명, 예비 국어교사 30명에게 Python을 기반으로 개발한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 글을 평가하게 한 후, 평가 시간 및 정답 수를 중심으로두 집단의 쓰기 평가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쓰기 평가의 특성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점수 추정 연습 과정에서 예비 국어교사가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를 더 빨리 수행하였다. 컴퓨터 환경에 대한 익숙함의 차이가 평가 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등급 추정 연습 과정에서는 현직 국어교사가 예비 국어교사보다 맞힌 정답의 수가 더 많았으며, 두 집단 모두 학생 글 수준에 따른 정답률 분포 차이는 크지 않았다. 횟수 누적에 따른 평가 특성에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평가 경험 등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이후 평가자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 그리고 예비 국어교사 양성 과정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ding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a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developed based on Python was applied to 30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30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ssess student writing, and the difference of writing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assessment time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formed writing assessment faster than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course of score estimation practic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score estimation, In the course of grade estimation practic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at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hit more than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higher,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the student writing level was not large in both groups. Lastly, In the assess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professionalism of the rat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음성 특성 분석

        백유진,박영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음성 문제의 실태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국어교사들의 음성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국어교사 55명과 현직 국어교사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음성 증상을 조사하고, VHI를 분석하여 음성 문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음성을 수집하여 F0, Jitter, Shimmer 등의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 모두 음성 문제를 겪고 있으나 이를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 국어교사들은 음성 문제의 원인을 수업과 관련지어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VHI는 낮은 수준이었으며, 신체 범주의 VHI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himmer의 이상치를 보인 비율은 현직 국어교사가 예비 국어교사보다 높았으며, F0 이상치가 나타난 여교사의 비율은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예비 국어교사는현직 국어교사보다 자신의 음성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 음성 문제를 겪고 있는 비율은 현직 국어교사가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체계적으로 국어교사의 음성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교원 양성 과정, 교사 재교육이나 연수를 통해 음성 문제를 진단⋅관리⋅ 치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주기적⋅지속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부나 교육지원청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find way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ir voice problem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55 pre-service and 47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voice symptoms and voice problems(VHI), and collected voices and conducted acoustic analys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voice problems they are experiencing. Results First, both pre- and in-service teachers are experiencing voice problems, but the rate of recognizing them as “problems” is low. Second, in-service teachers tended to recognize cause of voice problems in relation to classes. Third, VHI of both pre- and in-service teachers are low and the physical category had the highest VHI among three categories. Fourth, in-service teachers showed a higher rate of Shimmer abnormalities than pre-service teachers, and 50% of female teachers showed F0 abnormalities. Fifth, pre-service teachers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their voice problems than in-service teachers, but the rate of who have actual voice problems is higher for in-service teachers. Conclusions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voice problem of Korea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educate teachers on voice problems and ways to manage and treat them through teacher training courses, teacher retraining, or training, and activ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the Office of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비교 연구

        박영민,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 assessment between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based on writing rater factor. 39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were assessed by all 73 teachers who made up of 49 in-service teacher and 24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They assessed 39 argumentative essays equally and did not discuss about the assessment previously. So, they did not be affected by assessor discussion. Then, the result of argumentative essays assessment were analys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or group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Although assessor did not discuss about their assessment,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high correlation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Second, although between two teacher group founded high correlation in assessment result, their assessment difference of formal grammar were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strict writing assessment perspective, they rated the essays lower than in-service teacher of korean generally. Thir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assessment result, it was founded that when assessed, in-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of essay, but pre-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and grammar such as spell, punctuation equally. So pre-service teacher graded lowly for grammar factor in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reflective perspective about in-service teachers' specificity of writing assessment and writing assessment method. And futher studies needed are effect test of assessor discussion in writing assessment and affect analysis of teacher of korean as assessor' belief, correlation of between writing assessment and assessor discussion.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 대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함으로써, 쓰기 평가의 전문성, 쓰기 평가의 결과, 쓰기 평가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평가에 대한 이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국어교사는 49명, 예비 국어교사는 24명에게 중학생 글 39편을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평가자 협의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평가 과정에서 평가자 협의는 진행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글을 평가한 결과는, 평가자 협의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둘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형식 어법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예비 국어교사들이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 점수를 낮게 주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총점을 비교한 결과, 현직 국어교사는 글의 내용에 평가의 중점을 두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예비 국어교사는 내용 및 형식 요소를 균등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는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쓰기 평가에서 현직 국어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드러나지 않은 원인과 현 쓰기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하도록 한다. 더불어 평가자 협의의 효과도 확증할 수 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평가자 협의와 쓰기 평가의 상관 등에 대한 논의가 추후 보완되어야 하며, 또한 평가자인 국어교사의 쓰기 신념 요인 등에 대한 영향 분석도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교사의 음성 증상 및 음성 관리 실태 조사 연구

        백유진(Yujin Baek),박영민(Youngmi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사의 음성 증상과 음성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국어교사의 효과적인 음성 관리 및 음성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검토와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사를 통해 음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국어교사 113명에게 음성 증상, 음성 습관, 음성 관리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고, 일부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결과 첫째, 국어교사들은 대부분 음성 증상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국어교사들은 주로 저경력 교사일 때 성대 결절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국어교사들은 음성 치료나 음성 관리를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어교사들은 주로 ‘물 마시기’를 통해 자신의 목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어교사들의 음성 습관 중 높은 점수를 얻은 항목은 ‘카페인 음료 섭취, 오랜 시간 동안 말하기’ 등이었다. 여섯째, 여교사는 남교사에 비해 음성 질환을 경험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5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들이 15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들보다 ‘큰 소리로 말하기’, ‘오랜 시간 동안 말하기’를 더 자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국어교사들의 음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 관리 및 음성 교육 프로그램은 교원 양성 과정에서부터 퇴직 전까지 지속적으로 투입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어교사들의 체계적인 음성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나 교육청 단위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음성 관리 및 음성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경력과 성별 등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voice management an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ondition of voice symptoms and voice management in Korean languag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113 Korean teachers were distributed with questionnaires on voice symptoms, management, and some Korean teachers were interviewed. Results First, most Korean teachers had voice symptoms, but they did not tend to recognize them as problem. Second, Korean teachers usually suffer from vocal fold nodules when they are low-career. Third, most Korean teachers have never received voice therapy. Fourth, Korean teachers were found to protect their throats mainly by drinking water. Fifth, among Korean teachers voice habits, the highest score was “drinking caffeine beverage, speaking for a long time.” Sixth, female teachers have more experiences of voice disorder than male teachers. Seventh, low-career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speak loudly” and “speak for a long time” than high-career teache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for systematically managing the voices of Korean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voice management and voice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continuously put in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until retirement. Second, systematic voice management of Korean teachers requires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r the Office of Education. Third, voice management and voic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career and gender.

      • KCI등재

        국어교사 전문성과 중등교사임용시험-국어과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구자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9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국어교사 전문성의 요소가 무엇이며, 그것의 교사임용시험 반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또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사 전문성을 갖춘 국어교사 선발을 위한 교사임용시험의 개선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려는 목적의 글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 자신들은 국어교사 전문성을 지닌 것에 대해 크게 긍정하지는 않았다. 교사임용시험에는 ‘수업과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능이 다른 요소에 비해 반영 정도가 약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이에 대해, 예비교사가 대학에서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면, 국가 차원의 제도적 측면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 ‘수업실연’을 강조하는 최근의 교사임용시험은 바람직하다 보면서도 교사 양성 과정에서 더 내실 있는 ‘수업실연’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teachers regarding what constitutes Korean language teacher professionalism, how such elements are accounted for i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and how the examination should be improved to appoint more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is purpose, 81 prospective teach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prospective teachers felt less positive about their professionalism as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urvey revealed that knowledge and functions related to “teaching and evaluation” were not as well reflected i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compared to other factors. If prospective teachers regard themselves as lacking professionalism as Korean language teachers even after completing the university curriculum, institutional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national level. While the recent emphasis on teaching demonstration is desirable, more substantial training on teaching demonstration should be provid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 KCI등재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견인하고 현장 교사들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체제와 내용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수 학습 현상 안에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위상과 기능을 갖는지를 정립하고, 최근 교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부상한 국어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 PCK 측면의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PCK라는 분석 기준을 토대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는 이전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판형과 디자인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배경 지식과 참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대강화’와 ‘상세화’의 딜레마 속에서 선택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수업의 성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 학습 과정의 실제를 구성함에 있어 해당 단원 및 차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수 학습의 과정 및 교수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build up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eacher’s guide book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CK and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teacher’s guide book development by an aspect of PCK. By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book I could have the implications as belows.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s contained pract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teaching as well as advanced format and design in external for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balance of both the process of elaboration and slimming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more concrete guidance of teaching’s direction is necessary in aspects of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mong the PCK components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teaching technique an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 -중학생 설명문 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박영민 ( Young Min Park ),최숙기 ( Sook Ki Choi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서 발견되는 국어교사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 설명문 35편을 68명의 국어교사에게 평가하게 하고, 이 중 6편의 중학생 글을 무선 선정하여 Rasch 부분 점수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은 공개된 FACET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8명의 국어교사가 보인 평가자로서의 엄격성은 -1.96 logit(SE=.26)부터 2.48 logit(SE=.33)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평가에 참여한 국어교사들은 평가자로서의 엄격성이나 일관성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국어 교사의 성(性), 경력에 따라 쓰기 평가의 엄격성과 일관성도 차이가 있었다. 일관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엄격성은 차이가 있었다. 여교사는 남교사에 비해 학생 설명문을 더 엄격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엄격성과 일관성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1~5년의 국어교사가 가장 엄격하게 학생 글을 평가하였다. 셋째, 쓰기 평가의 하위 영역 분석에서, 국어교사들은 학생 설명문을 평가할 때, 단어 선택 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조직 요인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은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based on Many-Facets Rasch model. For that, the 68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35 expository writ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n, 6 expository writing was selected randomly and analyzed using free FACETS program.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verity was from -1.96 logit(SE=.26) to 2.48 logit(SE=.33). It was showed that severity and consis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engaged writing assessment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verity and consist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career. The female teachers(0.11 logit, SE=0.07) were more severer than male teachers(-0.11 logit, SE=0.03). The range of severity as teachers` career was from -0.52 logit(SE=0.26) to 0.16 logit(SE=l.l). The severity of teacher experienced 1~5 years was more higher than another teacher. Third, as analyzed subordinate constructs of expository writing assessm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word choice, convention, content, craft, organization highly in order of difficulty. This result will be a helper to develop program for expertises in students` writing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