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관한 개념화

        고희성 ( Hee Sung Ko ),김혜숙 ( Hey Souk K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밝히는 데 있다.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의 소통이 증대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 교사는 ‘문화 조직자, 문화 매개자, 사회적 맥락의 조정자’로서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다문화 교육 역량은 이를 구성하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국어 교과에 대한 지식, 다양한 언어문화에 대한 지식, 다양한 학습자들에 대한 지식’ 등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교육 내용의 재구성 능력,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능력, 학습자들과의 의사소통 능력’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는 ‘다양한언어문화를 존중하는 태도, 다양한 학습자를 배려하는 태도, 다문화 교수-학습에 대한 책무감과 효능감’ 등의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all be able to make a contribution to increas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earners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ommunication of members with a variety of cultural backgrounds is increased. For the forego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s ‘cultural organizers, cultural mediator, orchestrator of social contexts`, shall be equipped with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le of perform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ectively.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shall be equipped with is able to be confirmed through the element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at comprise the aforementioned competence.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knowledge’ such as ‘knowledge of Korean subject, knowledge of various language cultures, knowledge of a variety of learners’ etc. Secon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skill’ such as ‘ability to reconstitute contents of education, ability to apply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etc. Third,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 cation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hall be equipped with ‘attitude’ such as ‘attitude that respects various language cultures, attitude to consider of various learners, feeling of duty and efficacy with respect to teachinglearning of multiple cultures’ etc.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배려” 연구의 동향과 전망

        서현석 ( Hyun Seok Seo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에서 논의되는 ‘배려’의 개념과 내용을 ‘상생화용’과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생화용의 관점은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온 상대를 ‘배려’하는 언어 사용에 관심을 둔 것으로, 서구 중심의 의사소통 이론을 적용해왔던 국어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다. 학습자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바른 언어사용’을 위한 내용 성취기준으로 ‘배려하는 표현’을 제시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소통하는 교수·학습 운용 방법을 명시한 바 있다. 이는 최근 고시된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도 이어져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기여하는 국어과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관련을 맺는다.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배려’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배려적 국어 표현’에 대한 개념을 모색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논의하면서 진행되어 왔다. ‘말’과 ‘글’을 통한 배려적 삶의 구체화와 실천은 근본적인 국어 교육의 목표라 할 수 있으며, 현행 교육과정의 정신에 비추어 볼 때에 좀 더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연구자들은 ‘배려하는 국어사용’이 교실을 비롯하여 가정과 사회 등 다양한 국어 학습 공동체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국어 교육의 내용을 확장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공교육을 통한 국어 교육의 실천 방안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and ways of ``Caring``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views it with aspects of ‘Sang-saeng language utility`` and ‘Character Education’, considers the trend of Korean education studies for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and searches for the goal of future Korean education. 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have been neg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about Sang-saeng language utility specially attend to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are in verbal communication field, raise question on Korean education that has just reflected Western communication theory and find the alternative pla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revised in 2012 for learner``s cultivation of character suggests ‘right language utility``as standard of accomplishment, refers to ‘caring Korean expression``, emphasizes respect about each other``s opinion in teaching·learning management method. Results of consideration about ‘care`` education notify that studies about ‘care``education constantly have been prog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finding conception of ‘caring Korean expression``,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and etc. The fundamental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refine and practice of Caring in life using ``Verbal language`` and ``language``.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should be realized in every Korean community including Korean classroom, small ecosystem of real Korean language utility.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 to concretize it and have much attention to practical problem through school education.

      • KCI등재

        국어 수업의 교사 자기 평가 원리 탐색-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Korean language class is a dynamic ecological phenomenon to improve learners’ language skill with teachers interacting with learners, teaching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in and out of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I’m going to probe into teachers’ role of considering learners to improve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the quality of lessons depending on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language lesson. For this, I proved that Korean language lesson is an ecological phenomenon and the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reconceptualized and include ecological literacy. Besides, developing the principles of teachers’ self-assessment, I showed to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caring is reflexive acts for educational evolution. And I developed specific evaluation principles through ecological quality. For instance, it includes empathic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connection with communities, restructuring of curriculum, provision of texts, and support of scaffolding. When these self-assessment principles of class are re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n expert will spare no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ers’ language ability in harmony with the various teaching elements. 국어 수업은 국어 교사가 학습자, 교재, 교실 내외 환경들과 상호작용하며 학습자의 국어 능력 향상을 꾀하는 역동적인 생태 현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어 수업의 관점 변화에 따라 국어 교사는 자신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개선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를 배려하는 교사가 되어야 함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 수업이 생태 현상임을 드러내고 국어 교사의 전문성이 재개념화되어 생태학적 문해력을 포함해야 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교사 자기 평가의 원리를 구안하면서 국어 교사에게 배려가 교육적 진화를 위한 성찰적 행위임을 보였다. 그리고 생태학적 특성을 통해 구체적인 평가 원리를 구안하였다. 예를 들어 공감적 소통의 원리, 모둠 협동 학습의 원리, 지역 공동체와 연계의 원리,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원리, 학습자의 언어 발달에 적절한 텍스트 제공의 원리, 학습 지원의 원리가 있다. 이러한 국어 수업 자기평가 원리가 실현되면 전문가로서의 국어 교사는 수업의 여러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며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려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교사의 요구 분석

        최선희 ( Choi Sunhee ),이관희 ( Lee Kwanhee ),최영인 ( Choi Young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고는 디지털 교과서 과목 확대의 필요성을 토대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선제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바, 디지털 교과서 활용 주체인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향후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주요 방향과 기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정책과 방향’, ‘디지털 교과서 프로토타입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등 디지털 교과서 제반 연구를 살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주요 기능이 국어과 하위 영역별로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전반에 대한 공통 질문과 국어과 하위 영역별 특정 질문으로 대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는 총 12명이며, 3명의 교사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여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에 요구되는 기능’, ‘국어과 하위 영역별로 요구되는 방향 및 기능’, ‘대표 단원별 디지털 교과서 구현 방안’ 등에 대해 질문하고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개진된 교사 의견을 ‘개방 코딩→범주 형성 →추상화’ 절차에 따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에 대한 세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국어과 전반에 대한 공통 질문에서는 교사의 의견이 ‘디지털 교과서’, ‘교사’, ‘학습자’의 상위 범주로, ‘기능 영역’에서는 ‘수업 설계’와 ‘수업 운영’으로, ‘문학 영역’에서는 ‘작품 수용’, ‘작품 창작’, ‘문학 태도 형성’으로, ‘문법 영역’에서는 ‘문법 개념 이해’, ‘문법 자원 활용’, ‘문법 태도 형성’으로 관련 요구가 수렴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결론에서는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구현 시 고려해야 할 ‘뷰어 영역’, ‘콘텐츠 영역’의 기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고의 논의는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구체적 실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교육 주체의 요구를 분석하여 향후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방향과 기능을 요목화하여 보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digital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preemptivel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increasing the subjects’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The study multilaterally analyzed the demand of teachers and agents using digital textbooks in the field and examined the major functions that digital Korean textbooks should be equipped with. As a result, Chapter II of this study explored digital textbook research and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esenting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and the main functions that should be incorporated in digital Korean textbooks by the sub-domain of Korean. Chapter III outlined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ducted with teachers working in the field, using common questions about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both general and specific questions on the sub-domain of Korean. A total of 12 teach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 teachers in a group and they discussed about ‘elements of consideration for developing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functions demanded in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direction and functions demanded by sub-domains of Korean’,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digital textbooks by representative unit’. In Chapter Ⅳ, the study categorized the teachers’ opinions from the interview through an inductive procedure like ‘open coding→category formation→abstraction’ and presented detailed contents about each category.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functions of ‘viewer domains’ and ‘content domains’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realizing digital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needs of agents of educati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and essential function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digital Korean textbooks.

      • KCI등재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국어과교육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교사들의 모형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통합적 적용과 변용 능력이다. 요컨대 학교 현장에서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이나 기법 등의 통합적 적용 능력이 크게 요구된다.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요구는 크게 교수자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관련하여 중등학교 국어과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분석에 초점을 두고 2007~2008년에 서울·경기 지역 교사 재교육(1정연수, 자율연수)에 참여한 총 103여 명의 국어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 분석과 관련하여 2007~2008년의 2년 동안 A대학 사범대학의 `국어교육학개론`을 수강한 1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중등학교 국어학습 경험 기술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국어학습 경험 기술에서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매체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 발표와 토의·토론 활용 수업, 학습자의 창의적 담화 산출 활동 등 자신들의 실제 활동 중심의 수업과 교사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대화, 피드백 등 포함)이 이루어진 수업을 가장 인상 깊고 긍정적인 수업으로 평가하였다. 반면에 교사 주도적인 일방적 지식 전달의 수업에는 부정적이었다. 본고의 결과는 서혁 외(2005)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비교대조를 보여 주는데, 초등 단계에서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방법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된 반면에, 중등에서는 직접교수법이나 협동학습법, 토의토론 학습법 등이 더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입시 위주의 수업 부담이 큰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에서 학습자 활동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교사 대상의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중등학교 국어수업 학습 경험 기술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수업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질적 연구 방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수업 사례 적용 분석이 요구된다. 아울러 좋은 수업으로 알려진 일상 수업들을 면밀히 검토 분석해 봄으로써, 일반적인 교수·학습 모형이나 방법, 기법들을 유형화하거나 발굴해 내는 노력도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need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by questionnaire and description report on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education. The number of teachers is 103. All of them were taking part in their retraining class during 2007~2008. The number of students is 150.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experience and impressions in details on Korean education during their middle or high school periods. Through this data or sources, I analyzed the need of both groups and investigate some issue and problems, focusing o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guidebook of Korean subject gives some ideas of class to teachers, but our survey shows that most of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attern of the methods applied in the guidebook, even thoug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guidebook generally. What the most of teachers want is various methods applied in the textbook and showing them how to use the methods. We suggested that the principles of integrating methods and techniques in various ways. I suggested some direction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applied it to analyze the classes used the most common 7 methods such as Direct Instruction, Response Oriented Method, Problem-solving M., Jigsaw, Role-play, Creativity Development M. and Value Education M. We also suggested some ideas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s on teaching methods and to develop them. One of them is to integrate the mode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variables such as teacher, learner, aims and contents, surroundings and conditions.

      • KCI등재

        국어과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설정과, 구어 현실

        홍종선 ( Hong Jongseon ),김서형 ( Kim Seohyu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국어 생활에서 상대 높임 표현은 지금까지 체계상의 변화를 더욱 많이 겪었으나 그 상대 높임 화계는 20세기 전반기에 국어학에서 세운 체계를 별다른 수정이 없이 지금까지 답습하고 있다. 국어의 높임법 체계와 구성은 국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국어 사용자의 인식을 충분히 배려하여야 한다. 더구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높임법 체계는 국어의 일반 사용자에게 설명력을 제대로 갖추고 국어 학습자들도 가급적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일반화되어 있는 4등급의 격식체와 2등급의 비격식체라는 2원적 상대 높임의 기본적인 화계는 오늘날 비현실적이므로 1원적인 체계로 하였다. 발화의 격식성은 주로 어조에 의해 결정되며 다양한 발화 태도 개입 요소들도 종결 어미의 형태 차이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이 별 의의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학이나 국어 교육학에서의 기존 연구 내용을 재조정하고 언어 현실에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가장 높은 등급부터 ``하십시오체, 하세요체, 해요체, 해체, 해라체``라는 5등급과 그에 해당하는 대표형을 상정하였다. 이에 중·고교 국어과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는 그 사용이 매우 적고 극히 일부에 국한되어 있는 ``하오체``와 ``하게체``는 제외하되, 다만 심화 학습으로 이를 다룰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Even though Korean relative honorific expressions have gone through a lot in terms of systemic change in real life,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has followed the system which set up by Korean linguistics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as before without any modification.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and co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the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with consideration of Korean Speaker`s realization and awareness. Moreover the research of Korean relative honorific system for Korean education has to seek the explanatory to Korean normal speakers and provide comprehensible content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of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realized in mono system as a basic relative honorific system. This is from the idea that it is not realistic that there is four kinds of classes of formal style and two kinds of classes of informal style in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The formality of utterance commonly depends on tone and involves the intervention elements of utterance manner. Hence, the dual system of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is not meaningful. This paper tries to set up the relative honorific speech level from ``Hashipsio, Haseyo, Heyyo, Hey, and Heyla style`` according the degree of honorification and presents the retrospectives form of them by each. This is through reformulating the former researches and taking the frequency of use in real life. To educate Korean as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 this paper also suggest that ``Hao-style`` and ``Hagye-style`` are excluded from the basic system but handled in enrichment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국어 영재 교육을 비롯한 특수 영역의 교육은 현실적인 필요성과 수요에도 불구하고 이론적, 학술적 연구와 공론화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국어 영재 교육에 대한 관심과 프로그램 개발은 현재 전주교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에서 초등 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영재 교육은 인지적, 사회적, 정의적 영역의 자아 실현을 위한 조건 창출, 사회 발달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영재의 정의와 함께 국어 영재에 대한 개념 정의는 특정한 국어 분야라는 것을 고려하여 언어 능력에 탁월한 재능을 나타내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확장적 개념 정의를 보완해 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인지적 언어 능력ㆍ기능적 언어 능력과 아울러 정의적 언어 능력, 사회적 언어 능력을 포함한 개념으로 언어 능력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전주교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국어 영재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국어 영재는 교사의 추천, 각종 표준화 검사, 창의력 검사 등 3차에 걸친 선별을 통해 선발되고 있다. 국어 영재 프로그램은 언어 탐구, 문학 탐구, 매체와 표현의 전공교과 대영역과 인성교육과 독서교육 등 기본교과 대영역, 현장견학과 봉사활동, 레크리에이션 등의 기타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어 영재 교수 학습의 기본 흐름으로는 (1) 기본 개념, 지식, 원리의 이해(강의와 토의ㆍ토론) (2) 창의적 적용과 표현이해 활동(토의ㆍ토론 또는 탐구활동) (3) 창의적 표현 활동(결과 정리 및 생산 활동) (4) 평가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학기 사이버과제와 3차의 출석 수업, 여름방학 집중 교육, 2학기 사이버 과제와 3차의 출석 수업, 겨울방학 집중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국어영재 기초과정의 사이버 과제 및 출석 수업 내용의 사례를 제시하여 실제적 국어 영재교육을 소개하였다. 사례로 제시한 것은 미디어 교육을 통한 표현 방식의 이해와 표현 활동에 관한 것과 동서양 동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 비교에 관한 것이다. 사이버 과제에서 살펴본 학생 활동 사례를 살펴보았고 수업 후 설문조사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개괄적인 국어 영재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Scientific research and discussion about Korean talented education have been rare in spite of its practical requisite and dem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Korean talented education started from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n sever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alen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point of development of conditions for intellectual, social, and emotional self-perfection. Korean talented is defined as a person showing a gifted language ability. However further enlarged definition should be supplemented. Language abi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ception containing cognitive language competence, functional language competence, affective language competence, and social language competence. This study introduces a program for Korean talented education currently performed i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n talented students are selected through a successive process of recommendation by teachers, various standard tests, and creative test. The program is composed of a major subject including language inquiry learning, literature inquiry learning, media and expression, a basic subject containing humanity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and the other activities such as on-the-spot study, service activity and recreation. The basic flows for teaching method of Korean talented education are (1) understanding basic conception, knowledge, and principles (teaching, discussion and debating) (2) creative application and activity of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discussion, debating, or inquiry learning) (3)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4) evaluation activity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단원 설계의 방향 -장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상구 ( Sang Koo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7 청람어문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과 교과서의 단원을, 장르 중심 통합적 접근법에 따라, 단원의 설정과 배열 및 구성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과 교과서가 목표 중심·영역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근래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국어교과서의 단원 구성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주제 중심 접근법에 의한 통합 단원을 설계하려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렇게 장르중심 통합교육을 바탕으로 교과서 단원 설계에 관해 논의한 데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한 가지는 오늘날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에서의 변화 동향 가운데 장르 중심 교육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며, 또한 가지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장르 중심 접근법과 관련된 색채를 짙게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점검하면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점검하였으며, 이에 터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을 어떻게 설계하고 또 개별 단원의 구성 체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화된 텍스트 요인을 중심으로 한, 장르 중심 통합적 접근법에 따른 단원 설정 및 배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국어 교과서의 단원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텍스트(장르)의 유형으로 짜서 배열하는 장르 중심 통합접근법을 근간으로, 대단원을 설정, 배열하되, 소단원은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주제 중심 접근법에 따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revised 2007 Korean language subject curriculum announced February 2007, is about ``How to arrange`` and ``How to organization`` middle school textbook units. It investigated critic discussion of 7th Korean language revised curriculum through units creation, unit contents, learning quantity, learning activity, unit structure, leveled education. revised curriculum is not only organizes achievement standard by the context, focuse, rank emphasized on text, but also arranges content elements to improve learning effect efficiently by considering sequence and repetition of content elements. Therefore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 can set up and arrange units through genre-based integrated approach emphasized on text(genre) factor. In other words, main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can be set up and arranged by type of text(genre). And below units can be arranged by t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