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 실행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해석 - 놀이시간을 중심으로 -

        노다솜,김언경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3 No.1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 실행을 들여다보며 유아교육의 특성에서 비롯된 교사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해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놀이를 중심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3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21년 6월부터 9월까지 참여자별로 3~4회, 총 11회의 참여관찰 자료와 참여자별로 4~5회, 총 14회에 걸쳐 진행한 면담자료, 그 외 교사의 사고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기타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연구기간 중 연구자가 작성한 저널을 수집하였다. 참여관찰은 유치원의 놀이시간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사진촬영과 녹음을 하였고, 참여관찰이 끝난 후 바로 전사하여 연구참여자가 당일 자신의 교육실행과 그 이유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 연구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중심가치를 구현하는 수렴점’으로 해석하고 교육실행을 하였다. 또한, ‘유아의 경험을 투영해보는 프리즘’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국가수준 교육과정 그 자체를 조망할 대상으로 두거나,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마주하는 교사 자신을 조망하기도 하였다. 종합해볼 때, 유치원 교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해 평면적인 해석을 넘어 입체적으로 해석하며, 교사 스스로 교육 실행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멈추지 않는 고민을 하며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해 저마다의 해석과 담론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비교 연구

        이주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각 나라의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살펴보는 일은 각국이 무엇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정을 설계, 실시, 운영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및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을 선정,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비교하였다. 강력한 국가 주도의 교유고가정이 실시되는 우리나라 및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준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이 기술되어 있으며, 제시 형태도 유사하였다. 미국, 호주의 경우 각 주별로 교육과정이 독립적으로 개발, 운영되기 때문에 총론 및 각론의 문서 체제는 관련성이 적으며, 국가 단위의 교육과정이 존재하나 지역 교육청과 학교에 자율권이 많이 부여되는 영국의 경우 단계별로 성취수준에 따라 미술과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새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하여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대한 연구는 각 교과별 교육과정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curriculum framework(or the structure) of the 7th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set out 5 categories,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as a subject, subject objectives, art contents(attainment targets and level description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and assessment. This curriculum framework has been applied to the curriculums in every subjects since the 1st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promulgated. Now it is time to think about a new N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Art Curriculum. However a general framework for the new one is not yet discussed, whether it is necessary or unnecessary for each subject including art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ent National Art Curriculum of 5 different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ustralia, and Japan, and 2) to consider whether we should maintain the curriculum framework which applied to every subjects so fa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Art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were same, and 2) those of the two curriculum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Australia were not same. In the latter three countries, curriculum frameworks were not easy to be found. It is expected that it is time to consider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art subject itself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KCI등재

        初等學校漢文敎材의 內容水準問題

        韓殷洙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初等學校 學生들에 대한 漢字漢文 敎育은 학교 교육 내에서 실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조류이다. 교육 당국의 語文政策은 논외로 하더라도, 21C 無限 知識 경쟁 시대에서 亞太時代의 國際文字인 漢文을 모르고는 낙오자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한글전용정책은 재고되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은 제 6차 교육과정의 ‘學校 裁量 時間’ 편성과 제 7차 교육과정의 ‘裁量活動’ 편성으로 인하여 回生하게 되었다. 그 결과 그 이전에 무계획적으로 수행되었던 초등학교에서의 한자교육은 地域 敎育廳 水準에서 ‘初等學校 漢文 敎育課程’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과 관련하여 각 市?道에서 認定 敎科書가 나오게 되었다. 제 6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6개 시도에서 19종의 교과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고는 이점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한문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난 10 여 년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과 수준을 검토하여서 현시점에서 반성과 아울러 미래에 민족의 생존전략인 한문교육 정상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初等學校에서 사용하고 있는 認定 敎科書는 현재 19종인데 그 중 13종(68.4%)이 7차 敎育課程 시행 이후에 발행된 것으로 초등 한문 교육의 活性化란 측면에서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19종의 교과서 발행 지역을 정리해 보면 14종(73.3%)이 서울?부산 지역이어서 한문 교육의 全國的인 擴散이란 측면에서 보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19종 교과서의 學習 對象을 검토한 결과 11종(59.9%)의 교과서가 3학년-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이것은 초등학교에서의 한문교육이 교육과정 편제상 ‘裁量 活動’ 시간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제도상의 문제에서 起因한다. 또한 필자가 구입한 15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500자 이상 600자 미만의 漢字를 수록한 교과서가 8종(53.3%)으로 나타났다. 15종 교과서의 內容 水準을 檢討한 결과 漢字의 學習은 대부분 漢字의 음과 뜻, 漢字의 쓰임, 漢字의 活用, 漢字의 짜임 등이 알맞게 제시되어 있다. 漢字語 學習은 漢字語의 음과 뜻, 漢字語의 活用이 알맞게 제시되었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漢字와 漢字語의 槪念이 混在된 상태로 기술하고 있어서 집필자 및 교과서 심의진의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漢字成語의 學習은 대부분 평이한 漢字成語를 제시하여 풀이하는데 그치고 簡易한 文章을 제시하여 풀이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데 중등학교 한문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간이한 문장의 제시와 풀이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본문 내지 바탕글 체제를 도입한 교과서의 경우 일부 교과서에서 國漢 混用, 國漢 倂記, 한글 倂記, 漢字 위에 한글 添字 등 다양한 표기법이 나타나고 있는바 동일 교과서 내에서는 표기 방법의 일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일부 교과서에서는 아동들의 한자 학습에 대한 흥미를 돋기 위하여 놀이 학습, 活動 中心 學習으로 교과서를 구성하였는바 이는 7차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인 ‘自己主導的 學習 能力의 伸張’이란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敎科書의 內容 水準 檢討를 통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國家 水準의 敎育課程이 制定되어야 한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초등한문교육 정상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사안이다. 본말이 전도된 부조리를 타개하고 초등학교 한자한문교육이 올바른 궤도에 오르도록 교육 당국은 하루빨리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정하여 공포하여야 한다. 두 번째, 敎科書의 名稱 문제를 들 수 있다. 현재 발행된 19종의 교과서에서 일관되게 표기한 초등학교 ‘漢字’라는 교과서 명칭은 초등학교 한문 교육의 內容과 範圍를 생각해 볼 때 漢字語?漢字成語 등을 包括할 수 있는 명칭이 아니므로 초등학교 ‘漢文’으로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敎科書의 開發과 敎授 資料의 普及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초등학교 한문교과서 편찬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교과서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를 CD-ROM화 하여 보급하거나 WEB상으로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아울러 정형화된 교과서 구성 체제를 탈피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는데 힘써야 한다. 이상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개선될 때 초등학교 한문 교육은 질적 수준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민족의 생존 전략인 한문 교육을 통한 知的 上向同質化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for pupils of primary school is inevitable trend of the times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 or not. Apart from the policy of language educa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the policy of exclusive use of Hangul(한글전용정책)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it is obvious that people without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the international character in the Asia Pacific Age, will be inevitably social failure in this limitless competitive age of knowledge in the 21st century.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rimary school was resuscitated thanks to the organization of 'discretionary class of the school'(학교재량시간) by the 6th Curriculum course and 'discretionary activity'(재량활동) by the 7th Curriculum.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performed unsystematically in the past could be systematized by the 'curriculum for Chinese literature in the primary school' at the level of regional education office. Triggered by this movement, authorized textbooks were published in each city and province. Currently, primary school is using 19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인정교과서), out of which 13 types (68.4%) were publish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Curriculum. In the light of dissemination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this is very desirable and promising fact. However, examining the regions where 19 types of textbooks are being published, we find that 14 types (73.7%) are concentrated in the regions of Seoul and Busan. This outcome does not meet our expect in terms of national proliferation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The investigation into subject for 19 types of textbooks shows that 11 types (59.9%)of them are produced for pupils in 3rd ~ 6th grade. This is due to the institutional problem that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s inevitably done in the discretionary activity because of educational course. In addition, analyzing the purchased 15 types of textbooks, it turned out that 8 types (53.3%) include Chinese characters in the range of 500 ~ 600 characters. Examining the contents level of 15 types of textbooks,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are properly composed of pronunciation, meaning, use, application and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most cases. Though the pronunciation, meaning and application of Chinese words are suitably presented in the study of Chinese words, some textbooks show the mixture of concep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is fact suggests that writers and deliberate council of the textbook need to be more elaborate in their works. While the study of Chinese idioms is mostly composed of presenting and solving plain Chinese idioms, the case of presenting and solving easy sentences is seldom seen. Considering the rel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I think presenting and solving easy sentences must be further increased. Furthermore, in the case of some textbooks in which the system of text or basic letters, some textbooks show various transcription such as mixture of Korean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parallel indication of Korean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adding Korean characters on the Chinese characters, etc. The indication method must be unified in the same textbook. Reviewing the contents level of above textbook, I can find some problems regarding the textbook of Chinese characters for primary school. First, the Curriculum must be enac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s the most urgent matter to normalize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The educational authorities must immediately enact and promulgate educational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to eliminate the egregious and illogical absurdity and to put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on the right orbit. Second, the title of textbooks constitutes another problem. The title of textbooks, Chinese characters of primary school, which is consistently indicated on the urrent 19 types of textbooks must be altered to Chinese literature of primary school, because the present title cannot include Chinese words and Chinese idioms in terms of contents and scope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in primary school. Third, th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propagation of teaching materials also constitute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the guideline to compile textbook of Chinese literature for primary school must be prepared in the first place. Moreover, propagating teaching materials in the textbook by CD-ROM or providing them on the WEB will be also effective program.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of standardized system of composing textbook, the persons in charge must strive to compose textbooks so that pupils can study with interest. If the above problems are solved,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may improve in the qualitative level. Furthermor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the strategy for national survival will contribute for the upward intellectual homogeneity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자유주제 : 교육과정(敎育課程) 편제(編制) 변화(變化) 및 운영(運營) 실태(實態)와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의 위상(位相) 변화(變化)

        宋秉烈 ( Pyeo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본 논문은 국가 수준의 제5차 교육과정 이후 편제가 변화됨에 따라 한문과의 위상이 변화된 것에 관한 연구이다. 제5차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의 편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단위 시수를 증가시켰다.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편중은 ‘과목수 축소’를 통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비정상적인 운영을 부추겨왔음이 밝혀졌다. 과목 편제에서 증가된 단위 시수를 입시 준비를 위한 문제 풀이 또는 선행학습으로 낭비하여 왔음도 밝혀졌다. 일부 특정 과목에 대한 집중 편제는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의 소외 또는 배제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한 국어, 영어, 수학 외의 과목은 단위 시수의 감소를 감수해야 했다. 중학교 한문은 제5차 교육과정 필수 과목으로 단위 시수 3~5에서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단위 시수 평균 1.0으로 그 위상이 약화되었다. 고등학교 한문1과 한문2는 5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1 공통 필수과목 4단위,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별 필수로 4단위였다. 그러나 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1 ‘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 교양 4개 교과(군)에 속하는 선택과목으로,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은 제시되었으나 편제 시수는 학교 자율에 맡겨져 있다. 대체로 학교 교육과정은 입시 과목을 위주로 편성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고등학교 한문2는 학교에서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요구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분권화한 것은 자치 교육의 실천의 중요한요소이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을 입시 위주의 선행학습 또는 참고서 및 문제 풀이로 진행하는 것은 분명히 교육과정의 낭비이다. 국어, 영어, 수학과목에 편제 단위 편중은 한문을 비롯한 다른 교과목의 주요한 교육 목표의 실현을 양보한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의 낭비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을 중지시켜야 할 것이며, 현행의 교육과정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change in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after the fifth Country-level curriculum. After the fifth curriculum,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 increased the standard course hours of Korean, English, math. The concentration to the subjects-Korean, English, math- is aimed at easing the learner`s burde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However, the realit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school showed that it had incited the abnormal management of those subjects. It also proved that the standard course hours that were increased in the subject organization had been wasted on solving problem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concentrated form for some specific subjects relatively meant the alienation or the exclusion on the other subjects, and the others had to submit to reduce the standard course hours. The position of Chinese character in middle school deteriorated from having 3 to 5 standard course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fifth curriculum to having only 1 hour in average as a optional subjects in 2009 curriculum. In highschool, Chinese character one had 4 standard course hours as a common mandatory subject and Chinese character two had 4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owever, Chinese character one was changed to an optional course that was included in the group of subjects-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cond foreign language/Chinese character/liberal art, and Chinese character two is being run its standard course hours with each school`s autonomy, though its curriculum was suggested. Considering that school curriculums are generally formed for the sake of the subjects which are included in the entrance exam, Chinese character two would not be chosen at school. Country-level curriculum can be changed by the requirement of the age. Nevertheless, it is the important element of practicing autonomous education that the Country-level curriculum was decentralized to operate it independently at school. However, it is definitely wasting the curriculum to ru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curriculum in the way of solving problems, reference book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unequal distribution of the organized hours to Korean, English and math is that the realization of major educational purpose in other subjects including Chinese character was conceded. The present limping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at is being dissipated from the Country-level curriculum has to be stopped, and it needs to review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beginning.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교육과정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연구 동향을 연구 연도, 분석 대상, 분석 영역,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하여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25편이다.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연도별 동향을 보면, 2006년 이전에는 미미하게 이루어졌으나 2007년과 2013-2014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2016년부터 하향세를 보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 교육과정 연 구 대 국외 교육과정을 포함한 연구는 3:1 정도로, 주로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과정, 국내 유치원 교육과정+국외 유아교육과정, 국외 유아교육과정 순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영역은 네 개 이하의 분석 영역을 선정한 연구가 많았는데 교육내용은 대다수의 연구에서 분석되었고, 교육목적 및 목표, 교수ㆍ학습방법, 내용체계, 영역의 교육목표는 1/3 내외로 분석되었다. 연구 주제에서는 비교 분석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이어서 연계성 분석 연구, 변천 분석 연구, 단독 분석 연구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시기별로 단독 분석, 비교 분석과 변천 분석 연구는 2007-2011년에, 연계성 분석 연구는 2012-2017년에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각 연구 주제별로 논의를 전개하고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분석 연구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analysis study of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udy year, analysis subject, analysis area, and research theme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as selected from 125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List from 2000 to 2017. The trends in the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were small, before 2006, and the most in 2007, 2013-2014 and downward since 2016.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the domestic curriculum versus the study which included the foreign curriculum became 3:1. It is mainly composed of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 elementary curriculum, domestic kindergarten curriculum + overseas infant curriculum. The analysis area were four or less analytical area.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analyzed in most of the studies,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ent system,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domain were analyzed to be around 30%. In the research themes, comparative analysis was the most performed, followed by the continuity analysis study, the transition analysis study, and the single analysis study. The single analys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and transition analysis studie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2007-2011, and the continuity analysis studi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2012-2017. Each research theme have been discussed, and suggested the activation plan on the study of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교육·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내실화 방안

        조부경,김경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7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 현장에 적용된 지 6년차에 접어든 누리과정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누리과정의 성과는 유아교육의 질 제고, 생애초기 출발점 평등 보장, 인성강화, 국가 수준교육과정으로서의 체제 구축, 교육과정의 연계성 지향 등의 5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내실화 방향을 상시연구체제구축, 교육과정 대강화, 유초중등 공동 연구, 특수계층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학부모인식제고, 교사연수 등의 6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누리과정이 명실상부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리과정의 목적이 생애초기 출발선상의 평등과 기회 보장을 위한 교육의 질 관리라는 점을 간과하지 않고 누리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지향점을 분명히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가 어느 정도로 있었는지 누리과정 운영 실태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현재보다 한층 더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Nuri-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ield for six years, and proposes the improvement directions. The outcomes of the curriculum were examined in 5 aspects: raising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uaranteeing of equal starting point in early life, strengthening of humanistic education, establishing a system for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pursuing of curriculum connectivity. Then, emerging issu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following 6 aspects: building regular research system,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joint research on early childhood/elementary/junior high school education, developing curriculum suitable to exceptional class, raising parents’ awareness, and teacher training. In order for Nuri-curriculum to become a truly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goal of Nuri-curriculum should be clearly set without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Nuri-curriculum is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guarantee equal starting point and opportunity in early life. Additionally, the empirical analysis of Nuri-curriculum should be performed from diverse perspectives to see how its outcomes have served its purpose.

      • KCI등재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 서술 내용 분석: 제4차~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하라(Ryu Ha Ra),이효정(Lee Hyo 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에 반영된 통합 혹은 포용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포용은 국내외적으로 강조되는 중요한 교육적 가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지원이 통합교육의 확대와 함께 양적·질적으로 성장해왔지만,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과정 수정 등과 같은 교육과정적 통합은 여전히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는 서술 내용의 변천을 분석하고자 학습자의 다양성, 교수·학습의 다양성, 평가의 다양성 차원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학습자의 다양성과 관련된 진술이 최초 등장한 제4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의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여러 번의 개정을 거치며 지원 범위의 확대, 용어 정비, 수준별 수업의 도입 등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성을 지원하려는 노력이 부분적으로 확대되어왔다. 그러나 학생의 요구보다 기능주의에 입각한 지원, 수준별 수업의 변질, 평가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논의 부족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습자를 포함하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mbedded value of inclusion by analyzing the general guidelin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Currently,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for diverse learners have become important values in education internationally. Although support for learners’ diversity has been improv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 lack of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ill remains in terms of instructional inclusion. In this study,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have been analyzed focusing on descriptive changes in order to support and include all students based on their diversity. The dimensions of the national review framework for reviewing national policies by UNESCO (2016) were applied for the study to examine the domains of national curriculums including learners’ diversity, instructional flexibility, and assessment system for all learners. As a result, the included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documents of the study showed some efforts for supporting learners’ diversity such as expansion of supporting population, reconsideration of terminology, and differentiated classes. Nevertheless, findings showed a lack of flexibility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for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ing diverse learners across all three dimensions for inclusion and equity in education.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

        이현숙,이기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이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반영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국 359개 유치원에 대해 설문 조사하고 44개 유치원의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의 교육과정은 주로 교육부 고시 교육과정 및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를 토대로 하며 '유아의 요구나 흥미' 등을 고려하여 편성하고 있었다.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 운영 지침의 반영 정도도 대체로 높았다.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생활 주제와 교육 활동은 실제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많이 편성·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기타의 주제도 많이 편성되고 있었다. 또 활동 운형에 따라 편성되지 않거나 드물게 편성되는 활동이 많았으며 특별 활동을 정규 일과 속에서 운영하는 경우도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assesses how much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actual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based curricula. Questionnaires from 359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cross the nation and 44 kindergarten curricular documents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kindergarten-based curricular documents were assessed according to content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First, kindergarten-based curricula are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ctivity Guidebook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hildren's interest and needs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re generally followed. Third, 'Activity Guide books' are used as guides in deciding annual theme plans. Most kindergartens also apply other themes appropriate to children's ages and some used their own themes. Fourth, indoor free play and almost all the forms of group activities suggested in the 'Activities Guidebooks' are included in written lesson plans. However, there is no balance between activities. In addition, in most kindergartens, special activities, not encourage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방향 설계: 중등 선택교과의 진입을 전제로

        윤정옥 ( Yoon Jeong-ok ),김지안 ( Kim Ji-an ),홍애령 ( Hong Ae-ryung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것으로 무용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델파이 조사, 전문가 회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다섯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는 각각 ‘움직임 원리’, ‘사고와 표현’, ‘문화와 역사’, ‘건강한 삶’, ‘다양성과 융합’으로 명명화되었다. 각 영역의 핵심개념은 ①움직임 원리(기초, 응용, 안무), ②사고와 표현(읽기, 비평, 글쓰기), ③문화와 역사(역사, 문화), ④건강한 삶(신체균형, 건강관리), ⑤다양성과 융합(다양성, 융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째, 전체적인 학교급을 포괄하는 무용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계는 수요 요청에 대한 노력으로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제도’를 활용하여 전국의 많은 고등학교에서 무용교과를 선택하는 수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무용교육의 다양한 가치를 현장에 알리고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첫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는 주제별 교육과 주요활동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이는 각각 ‘움직임 원리(움직임 표현 역량)’, ‘사고와 표현(창의적 소통 역량)’, ‘문화와 역사(사회 문화적 공감 역량)’, ‘건강한 삶(자기관리 실천 역량)’, ‘다양성과 융합(창의융합 실천 역량)’으로 명명화되었다. 둘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구성된 다섯 가지 영역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무용 교육과정 영역에서 숙지해야 하는 보편적인 지식과 필수 학습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구성된 내용 체계에 근거하여 총 19가지의 성취 기준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 즉, 무용교육표준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Pupose: This study explores the basic design direction for a national dance curriculum and to 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framework, and achievement criteria. Methods: This study used a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s, and expert meetings. Result: First, the dance curriculum should cover all levels of the school. Second, the dance education community should actively promote the various values of dance education locally and gain sympathy to create demand for dance courses in many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utilizing the “Open Choice Curriculum System.” Conclusion: This study first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movement principles,” “thought and expression,” “culture and history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healthy lifestyle” (self-management practice), and “creative convergence.” Second, the content system of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should present universal knowledge and essential learning that students should be familiar with based on the five areas. Third, the authors derived 19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national dance curriculum based on the structured content framework.

      • KCI등재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 방향에 대한 성찰

        조부경,서현정,김명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1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as first established in 1969 and had been revised several times, and a recently revised the Nuri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from March, 2020. Whenever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there has been debate about what it means and how it should be interpret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ideas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should consider and make efforts to develop the Nuri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for the Nuri curriculum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must reflect the national educational vision, guarantee equity and autonomy, and be the product of processes and outcomes in which various perspectives are integrated. Specificall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sharing the nature and value of education as well as clarific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addition or decrease of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hat a re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 balanced view of the 'center' are needed.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은 1969년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 수차례 제·개정되어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해석 및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관한 다양한 문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우리나라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담겨있는 의미를 다각도에서 논의하고 누리과정의 발전을 위해 유아교육계가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할 사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누리과정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서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 비전을 반영하고 형평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관점의 통합과정과 결과의 산물이 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향으로서 교육의 본질 및 가치에 대한 공유와 교육과정 내용의 양적 가감이 아닌 명료화가 중요하며, ‘중심’에 대한 재고와 균형적 관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