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무속신화의 구술성을 통해 본 신화의 감성 미학

        강지연 ( Kang Ji-youn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제주도의 무속신화인 본풀이를 대상으로 구술성이 구현하는 감성 미학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학의 주된 관심사가 예술에서 미적 가치를 탐구하려는 것이라면 본고에서는 무속신화의 표현 방식인 구술성이 미적 가치를 실현한다는 전제로부터 본풀이의 미학을 해명하는데 주력하였다. 본풀이는 글로 읽어서 대상신에 대해 아는 것이 아니라 의례에서 구송하는 심방의 발화 행위를 통해 신을 감각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믿음으로써 담화의 의미를 구축한다. 결국 본풀이의 감성 미학은 특별한 발화 전략으로 실현되는 것이며, 본고는 이를 본풀이의 언어인 구술성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는 본풀이의 발화가 감성을 전하는 특별한 의미화의 전략이 있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하여 발화의 수사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본풀이의 소통을 보여주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확인하는 작업과 통한다. 2장에서는 본풀이의 소통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적 층위, 의례적 층위, 인식론적 층위에서 지배적인 발화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먼저 텍스트적 층위에서는 병행적 발화에 기반을 둔 반복과 대구의 방식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유사성의 원리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구술 발화의 수사 전략은 신화적 사건과 장면을 극대화하여 독자가 서사의 내용을 알기 쉽고 직관적으로 수용하는데 미적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의례의 층위에서는 인접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발신자인 본풀이의 구송자는 수신자인 청중으로부터 신화의 사건에 감정을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감정의 동기화’라는 미적 효과로 읽을 수 있다. 감정 표출의 관습적인 발화는 인물의 감정이 어떠한지를 알려주는 정보 제시뿐만 아니라 굿 의례를 지배하는 감정의 울림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식의 층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과 신의 소통에는 관념의 구체화 및 상투적인 발화에 주목하였다. 상투적인 발화를 통해 신화의 허구성은 현실에서 신뢰할 만한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이는 신화의 사건과 현실은 원인과 결과로 맺어지는 관계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인과성의 원리에 해당한다. 분석의 결과 본풀이의 구술성은 모두 “의미의 과잉”이라는 점으로 수렴된다. 즉 본풀이의 구술성은 서사를 지연시키고 인물이나 사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발화를 생략하더라도 신화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잉여적인 의미는 담화의 감성 영역에서 긴장의 이완이라는 기능을 담당하며 그 자체로 없어서는 안 될 본풀이의 미학을 구성한다. 이러한 감정의 이완으로부터 본풀이의 구술성은 씻김의 미학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motional aesthetics embodied by orality in Bonpuri, a shamanic myth of Jeju Island. If the main interest in aesthetics is to explore aesthetic values in art, this paper focused on clarifying Bonfuli’s aesthetics from the premise that orality, the expression method of myth, realizes aesthetic values. Bonpuri does not know about the target god by reading it in writing. receive God sensuous from simbang’s utterance from rituals. By believing this, the meaning of discourse is created. Eventually, the emotional aesthetics of Bonpuri are realized as a special utterance strategy. This study discussed this in orality, the language of Bonpuri.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Bonpuri’s utterance has a special strategy of semanticization that conveys emotions.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utterance were examined. This is to confirm the communication strategy that shows the communication of Bonpuri. In order to confirm the communication mode of this interpretation, the dominant of textual, ritual and epistemological layers are identified in Chapter 2. First of all, the method of repetition and rhyming based on Parallelism utterance is confirmed in the text hierarchy. This is the principle of similarity. This orality utterance strategy is of maximizes mythical events and scenes and has an aesthetic effect on readers’ understanding and intuitive acceptance of the narrative. At the next level of the ritual, the principle of proximity induces the sender to immerse emotions in the mythical event from the audience, the recipient. This can be read as an aesthetic effect of ‘emotional synchronization’. The customary utterance of emotion expres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informs the character’s emotions and dominates the emotions of ritu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of the orality properties of this bonpuri converge to the point that it is “excessive in meaning”. In other words, the oral nature of bonpuri delays the narrative and does not affect the character or event. Even if such utterance is omitted, there is no problem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yth. However, the surplus meaning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relaxation of tension in the emotional domain of the discourse and constitutes the aesthetics of Bonpuri, which is indispensable in itself. From this relaxation of emotions, the orality nature of bonpuri can be defined as the aesthetics of Ssisgim.

      • KCI등재

        표현의 갈망과 청취의 윤리: 여성 구술의 사회적 역능(力能)

        김영희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words of Gayatri Spibak “Can the subaltern speak?” tell us that the subaltern subjects cannot represent themselves in their own voices and words. The words reveal that memory and experience of women cannot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social discourse. The memory of women is outside of verbal expression in the society which the hierarchy of gender has been justified and naturalized. From the moment that it is spoken out and presented by men instead of women themselves, this surplus memory is recontextualized in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When the words of women are spoken at the same time they are translated in the words of men, so they disappear and in the end remain unspoken words. The author does not agree that written language belongs to men and spoken language belongs to women. It is an exaggerated romantic idea. However, women prefer to present themselves through spoken language, and there is larger area for women’s representation in oral expression. Women can have more opportunities for self expression and social speech in spoken language. In this paper the various aspects of oral narratives and verbal arts of ‘women’ are going to be examined, therefore social effects of spoken words of women, and the desires of expression of women are going to be found. Unspoken words become to be the loss that cannot be mourned, thus they come to be melancholy. If the words of women are regarded as a hysteria, the situation exposes the social melancholy which does not intend to listen to women. Women’s voices that emerged form the crack of silence sometimes wear the coat of men’s language, or monopolizes the form of men’s speech. However, the desire to speak out for women is becoming stronger and more wide spread, thus these days the area for women’s voice is expanding. The reason why the women’s voice is desired is because it proves the existence for women themselves. If listening enables to speak, the practice of the ethics of listening is a precondition to the expansion of women’s voice. The oral narrative can be the place to practice women’s desire for expression. It can also be the core condition for women’s voice to be represented.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라는 질문은 표현 수단과 권력을 갖지 못한 하위주체가 재현의 대상으로 머물 뿐 발화와 재현을 통해 스스로를 가시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지적하지만 다른 한편 언어 자체와 언어의 장(field)이 ‘여성’의 경험과 기억을 포착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여성’의 기억은 ‘남성’ 중심의 젠더 위계가 일반화되고 정당화된 사회에서 언어적 표현의 외부에 있다. 이 잉여적 기억은 ‘남성’ 주체의 목소리로 대리 발화되거나 그들의 언어로 매개되는 순간 전혀 다른 의미로 재맥락화된다. 결국 ‘여성’의 말은 발화되는 순간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이 ‘말’은 결국 영원히 말해지지 않은 어떤 것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말과 글 자체가 ‘남성’의 언어로 고착되거나 규범화, 공식화된 사회에서 ‘여성’의 말은 분명 발화되어 드러난 것이되 한 번도 발화되거나 드러난 적이 없다는 모순을 지닌다. 문자 언어를 ‘남성’의 언어로 이해하고 구술 언어를 ‘여성’의 언어로 이해하는 것은 지나치게 낭만적인 이분법이지만 구술 층위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자기 표현과 사회적 소통을 향한 틈새 영역을 구축한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여성’ 구술의 여러 양상을 살펴보고 구술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여성’ 주체의 표현 갈망과 그와 같은 표현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효과의 자장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삼킨 말들이 사라지지 않고 질병이 되는 것처럼 발화되지 않은 언어는 애도할 수 없는 상실로 남아 ‘우울’이 된다. ‘여성’의 언어가 일종의 히스테리로 인식된다면 그것은 사실상 ‘여성’의 말을 청취하지 않으려는 사회의 ‘우울’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 침묵의 틈새를 비집고 나오는 ‘여성’의 목소리는 때때로 ‘남성’의 언어를 외피로 삼거나 ‘남성’ 발화의 형식을 전유한다. ‘여성’이 ‘남성’의 목소리를 가장하지 않은 채로는 스스로를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 주체의 발화 욕망은 생각보다 더욱 강렬한 것이어서 오늘날 ‘여성’ 구술의 영역은 점차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여성’의 발화는 ‘내가 여기 있음’을 증명하는 일이기에 그만큼 간절하다. 청취가 발화를 가능하게 한다면 청취의 윤리가 실현되는 것이야말로 ‘여성’ 발화가 확장되는 미래의 전제 조건이 될 것이다. ‘여성’ 주체에게 표현의 갈망이 존재한다면, 그리고 ‘구술’이 이와 같은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 기능할 수 있다면 청취하는 이들의 현존이야말로 ‘여성’의 목소리를 가시화하는 핵심적인 조건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부산 지역어 구술 발화 책략 연구

        이근열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부산 지역어 구술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구술발화의 구술책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 다. 구술책략은 화자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구술책략 을 유형화하기는 어렵지만 구술에 따른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실제 구 술발화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고려한다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일반적 으로 구술 책략은 구술의 내용과 구조, 구술의 편이성, 대담자 등의 세 가 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 따른 전략으로는 내용에 관련된 스토리 전략, 스토리에 따른 정보의 구조화 전략, 구술자의 기억을 잘 이어가고 구술의 편이를 위한 구연 전략, 대담자에게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전달 전략 등 네 가지 전략이 사용된다. 스토리 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인 데, 이에는 ‘서사 패턴과 기억 패턴’, 기억의 재현인 ‘단순구성’과 사실과 체험에다 평가와 교훈을 덧붙이는 ‘복합구성’ 등이 있다. 정보 구조화 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은 전달방식, 문장구성방식, 문장연결방식 등을 선택 하는 전략으로 여기에는 ‘서술과 보고’, ‘1인칭과 3인칭’, ‘기능어 사용’, ‘어 순의 배열’, ‘구술전개의 단위 선택’, ‘첨가 방식과 수식방식’, ‘담화 연결표 지 사용’, ‘반복 표현’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구술자의 구연 전략 은 ‘문장의 첨가적 배열’, ‘구술표지 사용’, ‘되물음’, ‘반복 표현’ 등의 언어 적 요인과 ‘물 마심’, ‘둘러보기’ 등의 비언어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 다. 대담자 고려 방법으로는 ‘되물음 방식’, ‘의성어 의태어 사용’, ‘감정이 입’ ‘단어 변화’ 등이 있다.

      • KCI등재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김정대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 KCI등재

        구술발화의 전사와 분석

        이기갑 배달말학회 2010 배달말 Vol.47 No.-

        이 글은 2004년부터 국립국어원이 수행하고 있는 지역어 조사 사업 가운데 구술발화의 조사 및 전사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전사 작업에서 구술발화를 형태 전사가 아닌 음운 전사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구술발화를 통해 할 수 있는 언어학적 작업이 주로 문법이나 담화 연구로 제한된다면, 음운 전사보다는 오히려 형태 전사가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더구나 구술발화의 자료가 말뭉치 자료로 이용될 경우, 전산 작업을 위해서도 형태 전사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사의 단위를 억양단위가 아닌 문장으로 삼았다는 점도 아쉬운 점의 하나였다. 실제 입말 담화는 완전한 문장 형태를 보이지 않는 수가 대부분이었고, 또한 억양단위가 하나의 새로운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라는 생각을 고려하면, 문장보다는 억양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전사를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는 것이다. 구술발화의 분석을 통해 가능한 담화론적 작업은 입말 고유의 문법을 발견해 내는 일, 담화의 진행을 돕기 위한 다양한 담화적 장치들을 찾아내는 일, 그리고 구술발화가 보여 주는 특정 표현의 사용 빈도를 통하여 언어 변화의 방향과 정도를 알아내는 일 등이다. Traditionally, dialect survey has been carried out for lexical items and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of specific dialects. However, recentl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trying to include spontaneous spoken narratives for the questionnaire of dialect survey. Transcribing narratives, which is necessary for linguists to analyze spoken discourses,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ranscription system for the narratives and suggest that we adopt Chafe's concept of intonation unit and various prosodic and nonlinguistic features for better transcript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we try to show that we can discover not only the discourse strategy and the spoken discourse grammar in synchronic point of view, but also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discourse grammar with the analysis of spoken narrative data in the Korean dialects.

      • KCI등재

        구술 발화를 통한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 연구— 종성 오류를 중심으로

        배영환,김성란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80 No.-

        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구술 발화’를 통해 한국어의 발음 오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고, 나아가 그러한 발음 오류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이차적인 목적이 있다. 한국어를 배운 지 약 5년이 된 고급 학습자(한국어 숙달도 6급)를 면담 조사를 하고, 그 발음의 오류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교육에서 발음의 오류를 연구할 때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체로 읽기나 낭독과 같은 상태에서 발음의 오류를 조사하고 논의하였다. 그러나 외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연구는 되도록 실제 발음과 같은 모습을 보이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발음의 오류를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언어학에서 쓰이고 있는 구술 발화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그 가운데 종성의 오류를 조사하여 이를분석한 것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종성 발음의 오류는 ‘누락’, ‘대치’, ‘첨가’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누락’은 ‘ㄱ’의 누락과 ‘ㄹ’의 누락이 두드러진다. 특히 ‘ㄱ’의 누락은 ‘한자어’에서 두드러지는데 이는 모국어인 중국 한자음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누락’의 경우 학습자의 초급 단계에서 습득된것이 굳어져 숙달도가 높아진 고급 수준에 도달해서도 그대로 실현돼 화석화된 양상을 보인다. ‘대치’의 오류는 비음 사이의 오류가 가장 눈에 띈다. 그 가운데 ‘ㅇ-ㄴ’의 오류와 ‘ㅇ-ㅁ’ 등의 오류가 확인된다. 특히 대치의 대상은 ‘ㅇ’ 이며 후행하는 음에 따라 달라진다. 즉, 이들 ‘대치’는 후행하는 자음의 성격에따라 동일한 조음 위치로 발음하려는 경향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첨가의 오류역시 ‘ㄴ’과 ‘ㅁ’일 때 두드러진다. 이들은 [+비음성]으로 묶일 수 있을 것인데, 모국어인 중국어에 종성으로 올 수 있는 자음이 ‘ㄴ’과 ‘ㅁ’이라는 점과 관련이있다. 특히 모음 사이에 위치한 ‘ㄴ’과 ‘ㅁ’을 복사하여 중복 발음하는 모습, 즉동일 자음을 첨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결국, 한국어의 종성 ㄱ,ㄷ,ㅂ,ㄹ에 대해서는 누락이, ㄴ,ㅁ,ㅇ에 대해서는 대치나 첨가가 일반적이라는 사실은 모국어인 중국어의 운모 체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The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atterns of pronunciation error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narratives"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highlevel learner (level 6 Korean proficiency), who has bee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for about five years. In terms of studying pronunciation errors in education us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medium of instruction, it has been found that existing discussions generally investigated and discussed pronunciation errors in reading situations. However, we deem it necessary to look at the errors in pronunciation in natural situations wherein the actual pronunciation is examined such as in the study of pronunciation errors by foreign learn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nunciation errors of Chinese learners and the errors of absoluteness among them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oral speech used in social linguistics. The errors in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of the last syllable are in the form of "deletion," "confrontation," and "attachment," wherein "deletion" is marked by the omission of "ㄱ" and "ㄹ." In particular, the omission of “ㄱ” stands out in “hanja,” which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ir native language. Moreover, in the case of "deletion," what was learned in the beginning stage of learners has become fossilized since it was rendered obsolete by reaching advanced levels of proficiency. The error of "substitution" is the most noticeable error between the notes. Among them, errors such as “ㅇ-ㄴ” and “ㅇ-ㅁ”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target of substitution is “ᄋ,” which depends on the following sound. In other words, these "substitutions" are caused by the tendency to pronounce them in the same consonant posi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onants being followed. The error in the addition is also apparent in the case of “ㄴ” and “ᄆ,” which can be grouped into “[+nasal],” which is related in that the consonants that can come to the end of the native Chinese language are “ᄂ” and “ᄆ.” Specifically, it duplicates the words “ㄴ” and “ㅁ” located between vowels. In other words, the same consonant is added. After all, the fact that the deletion of Korean finality “ㄱ,ㄷ,ㅂ,ㄹ” is common, and that the substitution or addition is common for “ㄴ,ㅁ,ㅇ,” is the influence of Chinese, the native langu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성·음운론적 변이 -함북 육진 방언의 음절말 유음의 변이를 중심으로

        소신애 ( So Shin-ae ) 한국방언학회 2021 방언학 Vol.- No.34

        이 글은 함북 육진 방언의 구술 발화에서 관찰되는 음절말 유음의 음성·음운론적 변이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주요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 검토한 육진 방언 노년층 화자의 발화에서는 음절말 탄설음의 실현이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둘째, 이 화자의 발화에서는 음절말 설측음의 실현 또한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셋째, 이 화자의 발화에서 음절말 유음의 두 변이음 [ɾ]과 [l]은 동일한 조건 환경에서 중복하여 출현하는 자유 변이의 관계에 있다. 이 같은 음절말 유음의 공시적 변이는 이 방언에서 음절말 유음 [ɾ]이 미파화되어 온 통시적 변화의 과정을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나아가 이러한 점진적인 음 변화의 과정은 이전 시기의 국어가 겪어 온 음 변화의 과정과도 유사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유음이 음절말에서 탄설음으로 조음될 때 유음의 약화·탈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다섯째, 유음의 약화·탈락은 주로 중자음 앞에서 일어나되, 간혹 변자음 앞이나 휴지 앞에서 약화·탈락이 일어나기도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variation of the syllable final liquid observed in a narrative in the Hambuk Yukjin dialect. The main poin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ization of the syllable final flap is widely observed in the utterance of the elderly speaker in the Yukjin dialect examined in this paper. Second, in the speaker's utterance, the realization of the syllable final lateral is also widely observed. Third, in the speaker's utterance, the two variants of the syllable final liquid, [r] and [l] are in a relationship of free variation that overlap in the same conditions. Such a synchronic variation in the syllable final liquid is interpreted as showing the process of the diachronic change in which syllable final liquid [ɾ] has been unreleased in this dialect. Furthermore, this process of the gradual sound change seems to have been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sound change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experienced in the previous period. Fourt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liquid will be weakened and deleted when it is articulated as a flap in the syllable final position. Fifth, the weakening and deletion of a liquid mainly occurs in front of the central consonant, but sometimes the weakening and deletion occurs in front of the peripheral consonant or pause.

      • KCI등재

        온라인 문자발화환경에서 언어의 융합적 특성

        박현구 한국소통학회 2006 한국소통학보 Vol.6 No.-

        인터넷 채팅이나 게시판의 언어를 살펴보면 구술언어와 문자언어의 특성이 융합된 새로운 표현 관행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온라인 환경이 말을 하듯 문자의 메시지를 주고받는 문자발화환경이라는 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온라인의 발화행위는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글을 쓰는 인간의 신체운동과 언어 사이의 전통적인 관계를 따르지 않는다. 둘째, 온라인 환경은 컴퓨터가 매개하는 환경이므로 메시지를 시스템에 전송하는 부가적인 행위가 필요하며, 이는 말이나 글이 상대에게 전달되는 양식과 다르다. 셋째, 문자발화환경에서 시각기호와 생산자 관계의 격차는 문자를 생산하는 기존의 미디어기술에 비해 크며, 이는 인류가 시각기호를 생산하는 방식이 필사에서 타자기, 그리고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발전함에 따라 심화되었다. 이러한 시각에 따라 젊은 온라인 참여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어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nalyze and find implications of online written expressions which are influenced by verbal language. The verbally-oriented writings which are only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conventions 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are produced by online participants who are motivated to mak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gard other variables which are originated from interfaces of computer-mediate communications to explain converged characteristics of online linguistic expressions. First,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body movement which are continu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hanges in online environments. Second, online participants have to press some other keys on keyboard or operate functional devices to produce language, which leads to different language production convention from traditional written language production. Third, signs and sign producers become estranged when using keyboard, and such tendencies have been deepen when human invented graphic signs and literal characters.Converged linguistic expressions reveal paralinguistic cues with which online participants communicate each other, and those are used to simulate non-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 KCI등재

        지역어 조사 방법 및 결과 분석 - 국립국어원 조사를 중심으로 -

        위진 한국방언학회 2015 방언학 Vol.0 No.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describe the ‘regional language research,’ including its phases, method, and findings, which was proceeded from 2004 to 2013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o analyze the findings. The regional language research was started after the agreem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n the research and documentation of regional language, but since 2007, only South Korea continued the research. After the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in 2004 and the field research from 2005 to 2011, the spoken language transcription was implemented from 2012 to 2013. The research is widely divided into two parts according to region: the domestic ‘regional language research by district’ and the overseas ‘regional language research on Korean mass immigrants.’ The domestic study was undertaken at 61 spots, considering the sub-categorized regional dialect zones; the overseas research was conducted at 10 spots considering the history of Korean mass immigration. The questionnaire i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sections of the research: spoken language, vocabulary, phoneme, and grammar. The number of selected items in each section is 189, 1728, 450 (among the total of 1599 collected items), and 298 respectively. In terms of transcription in the survey, the principle that was followed is the phonetic transcription, where the sound is transcribed exactly the way it sounds, and Hangeul transcription. For spoken language section, the recordings that include the relevant entries are transcribed by sentence unit, while for vocabulary, phoneme, and grammar section they are transcribed by phrase unit.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recording and the transcription files (each approximately 3,108 hours and 2,491 hours long) and the research report in 92 volumes. 이 논문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국어원이 추진한 ‘지역어 조사’의 추진 과정, 조사 방법, 조사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지역어 조사’는 2003년 11월 남북국제학술회의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지역어조사 및 정리를 합의하면서 시작되었지만 2007년 이후에는 남측만의 조사로 규모가 축소된다. ‘지역어 조사’는 2004년 기초 조사를 거쳐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현지 조사를 하였으며, 2012년과 2013년에는 구술 발화를 전사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조사 지역은 국내외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는 ‘권역별 지역어 조사’, 국외는‘집단 이주 한민족 지역어 조사’로 진행되었다. 국내 조사는 도 단위 9개 권역의 방언권 하위 구획을 고려하여 61개 지점을 조사하였고, 국외 조사는 한민족집단 이주 역사를 고려하여 10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구술 발화, 어휘, 음운, 문법으로 조사 분야를 나누고, 질문 항목으로 구술 발화 189개․어휘 1,728개․음운 450개(실제 조사 결과는 1,599개)․문법 298개를 선정하였다. 전사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음성 전사와 한글 전사를 원칙으로 삼았고, 구술 발화는 문장 단위로 전사하였으며, 어휘․음운․문법은 어절 단위로 조사 항목이 있는 부분만 전사하였다. 조사 결과물로는 음성․전사 파일(약 3,108시간․약 2,491시간 분량)과 92권의 보고서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