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의 구곡경관 개선을 위한 식생관리방안 연구

        한봉호 ( Bong Ho Han ),곽정인 ( Jeong In Kwak ),장재훈 ( Jea Hoon Jang ),배정희 ( Jeong Hee Ba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화양계곡의 훼손된 문화경관 및 자연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을 대상으로 화양구곡의 주요 경관특성 및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문헌 분석을 통해 화양계곡과 계곡 내 구곡의 경관원형을 분석하였다. 화양계곡의 경관원형은 여울이 있는 높은 산과 암반, 천연의 소나무군락 경관이었으며 구곡의 경관은 암반, 맑은 소,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식생발달에 의한 암반경관 차폐, 모래퇴적에 의한 소멸, 인공림에 의한 자연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식생경관에서는 계곡 주변으로 은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인공식생이 분포하여 자연경관 및 원래 화양계곡 경관과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였다. 화양계곡 및 구곡의 경관 관리는 조선시대 은일적 문화경관과 뛰어난 계곡 자연식생경관 보전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구곡경관 관리방안으로 식생 및 이용자 관리를 통한 구곡 경관대상 부각 및 조망점 관리를 제안하였고 구곡의 배경이 되는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관리는 소나무군락 유지, 천이유도를 위한 인공림의 인공수종 제거 및 밀도관리를 제시하였다. The study is to suggest a manage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of Hwayang valley which is degraded in Songnisan National Park. It was carried out to study original shape of landscape of it and analyse nine major properties of Hoayang Gugok, based on old literatures. The landscape of Gugok was composed of rocks and small ponds,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most of them were degraded by the situation of covered rocks by growth of vegetation, destructed small ponds by sedimented sands and degradation of natural landscape by artificial forest. Vegetation landscape of artificial forest composed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Robinia pseudo-acacia, Pinus koraiensis in periphery of the valley was not matched with natural landscape. The goal of landscape management was established to conserv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in Joseon Dynasty. For this, It was needed to protect landscape values of gugok through the management of vegetation and visitors.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opportunity to easily access to the landscape of Gugok. As a management method of vegetation, it was suggested to mainta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to restore artificial forest to natural forest through the density management.

      • KCI등재

        Les enjeux contemporains de la notion de gugok

        Jean-Charles JAMBON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5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14 No.-

        우리는 이 논문에서 조선시대 ‘구곡(九曲)’에 대한 접근을 통해서 오늘날 어떤 방식으로 과거의 ‘구곡’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처음 구곡이라는 용어를 알게 된 것은 오웅성의 박사 논문인데, 그는 구곡을 “아홉 굽이로 향하는 과정적 정원”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구곡이라는 용어가 정원뿐만 아니라, 경관이라는 관념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지금까지 지적하였다. 이 글에서 1장은 우리가 논의 하고자 하는 것이 구곡의 기원이나 개념이 아니라, 구곡을 특징화 시키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가 고찰한 구곡의 특징은 일곡에서 구곡에 이르기까지의 움직임과 여정인데, 각각의 곡은 하나의 중심점이 되어 시서화를 생산하고, 실제의 삶의 공간에서 발견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구곡은 환경, 미학, 윤리와 연관해서 논의할 지점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장소의 관념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하이데거와 레비나스 그리고, 베르크의 장소, 공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근대 과학이 만들어 놓은 추상적인 공간을 극복하고 존재를 위한 장소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속에서 구곡이라는 관념을 어떻게 사고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였다. 과거의 문인들로부터 나온 구곡을 가타리의 에코소피라는 관점으로 현재화 시켜보고자 하였다. 특히, 구곡이라는 관념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만들어낸 근대적인 사고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장소, 공간을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백승준 ( Seung Jun Back ),강현경 ( Hyun Kyung Kang ),김선화 ( Sun Hwa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월 악산국립공원 용하계곡을 대상으로 용하구곡시문에 내재되어 있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 국립공원 내 구곡경관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시문을 통하여 자연경관요소를 도출한 결과, 너럭바위, 자연첩석, 맑은 물, 밝은 돌, 시냇물, 골짜기, 폭포, 소나무, 당 단풍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식생경관 요소로서 소나무와 당 단풍으로 도출되었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자연식 생은 67.5%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졸 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인공식생(18.7%)은 졸 참나무-일본잎갈나무군집, 신갈나무-밤 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밤나무군집, 관목림,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군집이 분류되었으며, 초지지 역(2.0%)은 참 억새군집, 갈대군집, 기타지역(11.9%)은 조경수식재지, 밭, 과수원,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용하구곡의 대표식생은 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 참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이었으며 Shannon의 종 다양도 는 전체적으로 0.6274∼0.9908이었다. 용하구곡은 도통 계승과 자 연애의 표상이며, 조선말과 일제강점기의 위정척사 사 상이 담겨있는 청정지역으로 자연성이 높은 계곡경관의 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역사·문화적 구곡의 식생경 관 관리방안을 위하여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일본잎갈나무군집은 자연천이 유도를 위한 밀도관리가 필요하며, 자연 재해 및 인위적 훼손 시, 계곡 부 식생복원을 위하여 역사·문화적 식생경관인 소나무 중심의 식생복원계획이 적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Gugok landscap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y deducing the vegetation landscape factors inherent in Yongha Gugok and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e of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Yongha valley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re were broad and flat rocks, natural layered stones, clear water, light stones, stream, valleys, waterfalls,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s a result of deducing natural factors on poetry. There were P. densiflora and A. pseudosieboldianum appeared as one of main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The actual vegetat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natural vegetation occupied 67.5% and it was classified as P.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The artificial vegetation (18.7%) was classified as Q. serrata community-Larix kaempferi community, Q. mongolica- Castanea cren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L. kaempferi-C. crenata community, fruticeta, L. kaempferi-Q. mongolica community. The grassland area (2.0%) was classified a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other areas were classified as landscape tree planting area, farm, orchard, residential area.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were 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in Yongha Gugok.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was 0.6274 0.9908 on the whole. Yongha Gugok, as a symbol of succession on confucianism and reverence for nature, should be preserved natural valley landscape being clean and wijungchuksa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historical and cultural Gugok,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landscape maintenance with P. densiflora community, density control with L. kaempferi community. And it is considered when natural disasters and artificial damages happened, P. densiflora-oriented vegetation restoration plan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restore.

      • KCI등재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정조하,노재현,강정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Taking the three Wuyi-Gugok Drawings, 『A Picture Showing the Boundary Between Mountains and Rivers: A』, 『Landscape of the Jiuqu River in the Wuyi Mountain: B』 and 『Eighteen Sceneries of Wuyi Mountain: C』, which were produced in the mid-Qing Dynasty as the research objects and after investigating the names recorded in the painting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scenic spots, scene types and images in the literature survey. Also, based on the number of Scenic type and the number of Scenic name in each Gok, landscape richness(LR) and landscape similarity(LS) of the Gugok scenic spot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in the 18th century were carefully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statistics of scenic spot types in Wuyi Mountain Chronicle, there were 41 descriptions of scenery names in the three paintings, among which rock, peak and stone accounted for the majority. According to the data, the number of rocks, peaks and stones in Wuyi-Gugok landscape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landscape such as Danxia landform in Wuyi-Gugok landscape. Secondly,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九曲溪) was diverse and full of images. The 1st Gok Daewangbong(大王峰) and Manjeongbong(幔亭峰), the 2nd Gok Oknyeobong(玉女峰), the 3rd Gok Sojangbong(小藏峰), the 4th Gok Daejangbong(大藏峰), the 5th Gok Daeeunbyeong(大隐屏) and Muijeongsa(武夷精舍), the 6th Gok Seonjangbong(仙掌峰) and Cheonyubong(天游峰) all had outstanding landscape in each Gok. However, the landscape features of the 7th~9th Gok were relatively low. Thirdly, according to the landscape image survey of each Gok, the image formation of Gugok cultural landscape originates from the specificity of the myths and legends related to Wuyi Mountain, and the landscape is highly well-known. Due to the specificity, the landscape recognition was very high. In particular, the 1st Gok and the 5th Gok closely related to the Taoist culture based on Muigun, the Stone Carving culture and the Boat Tour culture related to neo-confucianism culture of Zhu Xi.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similarity of 41 landscape types shown in the figure, the similarity of A and C was very high.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the relationship of distant and near performance was very similar. Therefore, it could be judged that this was obviously influenced by one painting. As a whole, the names of the scenes depicted in the three paintings were formed at least in the first half of 18th century through a long history of inheritance, accumulated myths and legends, and the names of the scenes. The order of the scenery names in three Drawings had some differences. But among the scenery names appearing in all three Drawings, there were 21 stones, 20 rocks and 17 peaks. Stones, rocks and peaks guided the landscape of Gugok Streams in Wuyi Mountain. Fifthly, Seonjodae(仙钓臺) in A and C was described in the 4th Gok , but what deserved attention was that it was known as the scenery name of the 3rd Gok in Korean. In addition, Seungjindong(升真洞) in the 1st Gok and Seokdangsa(石堂寺) in the 7th Gok were not described in Drawings A, B and C. This is a special point t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 · 봉(峰) · 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 · 봉 · 석의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 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 · 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钓臺/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真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 · B · 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전통 명승(名勝)의 현재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 화천 곡운구곡(谷雲九曲)을 중심으로

        유영석,전종한,류제헌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1

        After Gokungugok was discovered and coined by Su-jeung Kim during the Chosun Dynasty, it was widely known as one of typical Nine Valleys. This study aims to make a present reinterpretation oftraditiona values of scenic spot in Gokungugok from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physical landscapes, described in the old poems and landscape paintings, were filled with pine trees, rocks, water and pavilion in the Nine Valley. Second, from the view point of the symbolic landscape and each element of the landscape, we can infer the world view ofNeo-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Third, Gokungugok as a place, with the multi-layered meanings, has not only the meaning of Confucianism but also the meaning of privacy. It is also a place where social relationships were piled up with various meanings. Likewise, this study develops the procedures to uncover the original meaning of a scenic spot by reinterpreting the present meaning of a scenic spot in Gokungugok. 곡운구곡은 김수증에 의해 구곡으로서 설정되고 경영된 이후 조선의 대표적 구곡으로 널리 알려졌다. 본 연구는 곡운구곡을 사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입장에서 명승의 가치를 해체하여 현재 입장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한 것이다. 첫째, 고시문과 실경산수화를 통해 곡운구곡을 형태론적 입장에서 해체한 결과 구곡은 소나무와 바위, 계곡과 물, 그리고 정자가 주요 물리적 경관 요소를 이루고 있다. 둘째, 상징 경관으로 바라보면 곡운구곡의 개별 경관 요소와 곡운구곡 자체는 유가적 세계관과 성리학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셋째, 구곡을 일종의 장소로 간주하고 장소가 기억하고 있는 의미의 다층성을 탐색해 보면 곡운구곡은 성리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사적인 의미 및 사회적 관계의 장으로서의 의미 등 다양한 의미의 층위가 쌓여 있는 곳임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전통 명승을 현재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명승의 본래적 의미를 이해하는 한편 현재의 입장에서 명승을 가치 있게 향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 KCI등재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박은희 ( Eun Hee Park ),장운기 ( Woun Gi Jang ),윤민규 ( Min Giu Youn ),조병상,이재근 ( Jae Keun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도산구곡(陶山九曲)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도산구곡 중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원형경관을 분석하였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을 추정하기 위하여『농암집(聾巖集)』, 시·문(詩文) 등 고문헌을 조사한 뒤 경관요소를 추출하고 현지조사에서 확인 가능한 경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분천마을의 배치를 추정하였다. 시문분석에서는 29개의 경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현지조사 결과 이중 점암(霑巖:자리바위), 농암(聾巖:귀먹바위), 사자석(獅子石: 사자바위), 상암(象巖: 코끼리바위), 대(臺), 분강 등 6개소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화 작품에서는 분강과 인접한 바위 위의 애일당과 그 뒤쪽 마을 안에 분천서원, 분강변의 귀먹바위, 점암 등 바위가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량은 분천마을의 농암종택 옛 터를 중심으로 농암 이현보의 17대 종손(이성원 박사)과 인터뷰 및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도면화 하고 이 일대의 추정도를 작성하여 원형경관을 재현코자 하였다. Dosangugok is located at Dosan-myeon, Andong City, Gyeongbuk and its original landscape was analyzed based on Valley4 Buncheon among Dosangugok. In order to estimate original landscape of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fter investigating ancient literatures including ’Nongamjib’ and poetry/prose relevant to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that could be confirmed at local site survey were suggested and arrangement of Buncheon village was estimated based on painting works. In analysis of poetry/prose, 29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local site survey, 6 places including Jeomam (Jari-bawi), Nongam (Gwimeok-bawi), Sajaseok (Saja-bawi), Sangam (Elephant rock), Dae and Bungang were confirmed to be existed at present and in painting works, Rocks such as Aeildang on the rock adjacent to Bungang, Buncheon Seowon at its backyard village, Bungang Byeoneui Gwimeokbawi, Jeomam were confirmed to be expressed even though not expressed in detail.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ancient site of Nongam head house in parallel with interview with 17th eldest grandson(Ph.D. Lee, sung won)of Nongam Lee, Hyeon Bo and local site survey and original landscape was reproduced by making its result as a drawing and preparing an estimated map around this area.

      • KCI등재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강기래 ( Kang Kee-rae ),이해주 ( Lee Hae-ju ),배준규 ( Bae Jun-gyu ),김희채 ( Kim Hee-chae ),김창준 ( Kim Chang-jun ),이현채 ( Lee Hyun-chae ),김동필 ( Kim Dong-phil ),김차권 ( Kim Cha-k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동천’이라는 언어가 포함된 암각문 또는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은 경상도 지역에 11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는 확인된 ‘동천’ 암각문이 79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주시가 20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군이 16개소, 안동시가 11개소, 영양군과 울진군이 7개소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중 나무현판 형태로 된 것이 2개소이며, 마을회에서 마을의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 6개소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14개소는 멸실, 또는 미상의 상태이다. 또한 봉화군에서는 16개소 중 9개소가 초서체로 암각 되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에는 26개소의 동천 암각문이 분포하고 있었다. 함양군과 산청군, 하동군에서 각 3개소의 암각문이 있었고, 마을의 표지석 형태로 제작된 곳이 7개소가 있었으며, 『지봉유설』과 『택지리』에서 등장한 ‘화개동천’과 ‘금산동천’은 둘 다 최치원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까지 암각문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전통 경관관련 연구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지역의 문화 답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r an ideal world apart from the reality embodied as the labeling some places ‘Dongcheon,’ and the term was used to refer to a scenery where the ideal fairyland is reproduced. Besides, ‘Dongcheon’ was a term often used by Confucian scholars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he attachment to the nearby landscapes, expressing homogeneity and superiority through placeness and the beautification of settlement space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field study on ‘Dongcheon’ in the Gyeongsang-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18, and we carried out firsthand location surveys on Dongcheons, of which some were lost, others were fairly preserved, and still others could not be located as only their existences were passed down orally.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re were total 111 inscriptions or engravings on the plates in Gyeongsang-Do that include the term ‘Dongcheon.’ There were 79 ‘Dongcheon’ inscriptions confirmed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wenty in Yeongju-City, sixteen in Bonghwa-Gun, eleven in Andong-City and seven in Yeongyang-Gun and Ulgin-Gun. Among them, two were in the form of a wooden sign, and six were erected as rock signposts. Fourteen stop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re lost or unidentified. Also, among the sixteen signs in Bonghwa-Gun, nine were cursive engravings. Meanwhile, there were 26 Dongcheon inscription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Hamyang-Gun and Sancheong-Gun anf Hadong-Gun each housed three inscriptions, and seven places were in the form of rock signposts. ‘Hwagaedongcheon’ and ‘Geumsandongcheon’ could not be identified in inscriptions although they appear in Jibong Yuseol and Taengniji with stories of Choi Chiw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s in traditional scenery, epigraphs, or as primary data that helps cultural explora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포항 덕계구곡의 지형 특성 및 관광 활성화 방안

        이재호,한승희 한국사진지리학회 202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2 No.4

        Gugok is a representative place that humanistically expresses the natural landscape of Korea, and after the 17th century, there were cases in which individuals managed their own gugoks in personal residences. In Deokdong village, the two coexsiting gugok-cultures are distributed along the Gigye-cheon(stream). It is suitable place for the recent trend of tourism. In this study, the tourism revitalization plan of Deokdong villag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landform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poetry. Various landforms are observed along the channel such shallow abrasion pits in bedrock river channel, steep river cliff, small waterfalls and pools in contact with the mountain, and sand-gravel bars due to reduced flow. Humanistic landscapes such as old houses and pavilions represent Confucian culture. Traditions, culture, and natural landscape that indicate the locality of a village are valuable resources that can attract tourists. By Adding experiential activities, creation of a dullegil(walkway)and storytelling,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t up specific plans to show the uniqueness of Deokgye-gugok valley.

      • KCI등재

        성재 유중교의 가평 옥계구곡 위치추정 연구

        강기래,이해주,이현채,김희채,김동필,하성근,Kang, Kee-Rae,Lee, Hae-Ju,Lee, Hyun-Chae,Kim, Hee-Chae,Kim, Dong-Phil,Ha, Seung Kun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3

        조선건국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성리학의 도입과 그 모태가 되었던 유학은 우리의 생활과 학문, 사상의 근원이 되었다. 또한 이들 학문의 주창자인 공자(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주자(朱子) 등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최고의 선이라 여기었다. 그들 중 자기 수행의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이는 주자이며, 이(理)와 기(氣)의 발현과 그 관찰을 통한 심성(心性)의 체득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진리의 체득을 위한 수신의 장소와 도구로서 산과 물이 있는 자연을 택하였고, 이러한 존주자(尊朱子), 학주자(學朱子)의 신념이 조선유학자들의 기본적 사상과 실천 철학이 되었고, 위정척사파의 유중교도 옥계구곡을 명명하고 경영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으로 조선후기 유학자인 유중교가 설정한 옥계구곡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옥계구곡의 위치 비정을 위한 기본적인 텍스트인 성재 유중교의 "가릉군옥계산수기(嘉陵郡玉溪山水記)"를 기본으로 하여 그 장소 추정을 위한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옥계구곡 현장을 10회 답사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옥계구곡에서 태어나고 자란 원주민 3인에게각각 그 위치를 탐문 하여 추정하였다. 연구로 비정된 각 곡의 위치는 공간정보자료로서 좌표와 사진을 취득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옥계구곡의 스토리텔링이나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경우 기초적이고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옥계구곡의 곡(曲)을 지정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Joseon, and its root Confucianism have become the origin of the life, scholarship and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Additionally, it was considered the best to follow the teachings of the discipline's advocates including Confucius (孔子), Mencius (孟子), Zisi (子思), ZhuXi (朱子). Among these teachers, ZhuXi was the one who overtly presented the way of self-discipline, of which goal lies in attaining the character by the manifestation of vitality (氣 ki) and rationality (理 i) and contemplating on them. As he regarded natural places with mountains and waters as stages and tools for practicing toward the enlightenment,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lso followed his example in the spirit of honoring and studying ZhuXi (尊朱子, 學朱子), which became the basic thoughts and practical philosophy among them. Ryu, Junggyo, the neo-Confucian dogmatist, was no exception to applaud the nature, as he designated and ruled Okgye Gugok.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geographic places of Okgye Gugok, which was set by Ryu, Junggyo, a Confucian scholar in late-Joseon perio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basic data, starting from Gareung-gun Okgye Sansugi(嘉陵郡玉溪山水記) which is the primary text authored by Seongjae Ryu, Junggyo. The literature study is followed by ten field trips to the estimated locations of Okgye Gugok, and verification of the estimations by three local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Okgye Gugok. Coordinates and photographs were obtained as spatial data for each location of nine Gok(曲) estimated through this study. They will serve as a primary and critical data for story-telling and tourism resource in Okgye Gug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primary data for designating the locations of Gok(曲) in Okgyeo Gug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