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모경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수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중앙다문화교육센터에서 2008년 8월에 1주일 30시간 실시한 것으로, 대상은 수도권 초등학교 교사 11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Guyton & Welshe(2005)가 개발한 교사 다문화효능감 척도와 Ponterotto 등(1995)이 개발한 인종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문항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가능한 68명의 자료에 대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수 후 세 명의 교사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참여 교사들이 인종적 다양성에 대하여 보다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음이 나타났다. 면담 일지를 분석한 결과,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의 개선에 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업 기능 향상 측면에서도 개선의 기대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s diversity.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1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30 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comprised of questions regarding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for 68 teachers' data,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for three teachers were analyzed to complement the surve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both for enhanc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ir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racial diversity. Second, the program was found more effective for enhancing the teachers' competence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s rather than their racial attitudes.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more attention on enha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racial diversity.

      • KCI등재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 관점의 변화에 따른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실행 및 평가

        유태명,이수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mplement, evaluate in-service program on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program. This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forcement of high quality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to the readiness for the 2007 newly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into by followings steps: 1.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program design, an in-service program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2. Program implementation: The four days/30 hours in-service program was delivered in January, 2008 with 24 participants. Mentor teachers were arranged playing interface role during the program. 3. Program evaluation: Group interview was held and written evaluation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s, mentor teacher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exper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ory relatively easier than delivered in the in-service program, to extend to a 60 hours program includes more activity and workshop, and to develop in-service programs for the beginner and the advanced groups separately.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은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관점이 수용되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수업에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지원 체계가 요청된다. 본 연구자는 가정과 교사의 혁신역량 강화와 교실수업 능력 향상을 위해 새로운 차원의 연수가 요청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안한 바 있다(이수희ㆍ유태명, 2008). 본 연구는 그 후속연구로 직전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그리고 평가해 봄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비하고 동시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질 높은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총 30시간으로 구성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강의를 위한 원고를 집필하고 실습 및 활동을 포함하는 교재를 개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실행단계에서 2008년 1월 21에서 29일 기간 중 4일의 오프라인(30시간)과 별도로 1월 23일에서 27일까지 5일의 온라인 활동으로 구성된 연수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는 24명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단원을 고려하여 6팀으로 구성하고 멘토교사를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단계에서 연수 참여자로부터의 서면평가와 집단면담, 전문가로부터의 서면평가를 통해서 연수 프로그램의 평가를 받았다. 연수 참여자는 연수내용, 강사 및 운영방식에 만족하였으나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여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기를 원하였다. 개인적인 수업설계의 기회를 원하는 연수 참여자도 많았다. 전문가의 경우 연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본 연구의 설계가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용어의 통일, 내용구성의 순서, 실습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의 제안과 평가 내용은 연수교재의 수정 보완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실제적 도움이 되었다.

      • 학교교육 정보화를 위한 교사연수프로그램 : PBL사례

        강인애,김호영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8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4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정보화에 대한 주제를 다루는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정보화에 대한 정의가 제시되었으며, 그 내용의 교사연수프로그램의 방법으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PBL)'을 적용하였다. 이 연수프로그램은 모 여자고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 총 4주간동안 이루어졌으며, PBL에 의한 설계, 적용, 평가과정을 보여준다. 이 연구 결과는 우선 컴퓨터 조작에 대한 수준조사와 교육적 측면에 대한 반응조사에 있어서 연수실시 전.후를 비교했을 때, 고무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연수과정에 대한 학습자들의 자율적 참여와 높은 흥미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협동학습의 유익함에 대한 높은 인식을 지적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개선점이나 고려할 사항이 제시되어있다. 결국 본 연구는 교육정보화라는 내용의 연수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을 우선적으로 규명한 뒤, 기존의 연수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 PBL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about a teacher training program on school informatization designed by Problem-Based Learning(PBL) as an alternative training method.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provide two things: 1) the definition of school informatization as content of this training program; and 2) the possibilities of PBL as an alternative training method, which is learner-directed and -centered. The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six teachers in a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for four weeks during a semester. The study shows 1) effectiveness of knowledge acquisition related to school informatiza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test between pre and post-questionnaires and 2) highly motivated and actively participating learners who also apprecia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rest of this study includes several thing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은경 ( Eun Gyeong J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국악연수가무엇인지 그들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학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사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2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총 6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으로, 그 내용은 국악교육 및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이전에 국악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실제 수업지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교사들에게 국악연수가 실제로 수업을 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밖에도 ``2007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해서는 단소 지도, 장단 지도, 한국 춤 등의 영역을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바람직한 국악연수의 내용 구성은 국악교육론에 대한 것을 가장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이 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인 국악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운영된다면, 앞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은 보다 질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is the basic research to develop a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ccording to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and aims at examining teachers``opinion on what kind of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ey ne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This research is targeted at 2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its test tool is the survey consisting of six areas in total, whose contents are abou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ir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high, and in particular, the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many kinds of positive influences on actually teaching classes. A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rding to ``the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2007`` was proved to be necessary in the survey,whose areas would be teaching Korean traditional dance, Korean rhythms and how to play the danso etc.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desirable contents of the training on Korean traditional music demanded by teachers most was the education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 far, the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has focused on expanding the quantity of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textbook, not on raising the teachers who are able to teach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 the textbook. The question on this problem has been being raised by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constantly, and they are complaining of the difficulty in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even they haven``t learned themselves. In this situatio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displays a lot more changes compared to ``the Seventh Curriculum``, among which, in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2007``,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re very concrete and specific,and their details are clarified for the learners by their grade. Likewise, in the changed curriculum, the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is required desperate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is background, and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to develop a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more practically applied to the education in schools by investigating problems of the existing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이미정(Lee, Mi-J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교사연수 프로그램은 인하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2010년 7월에 1주일 동안 30시간 진행되었다. 참여 인원은 인천지역 중등교사 38명으로, 연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수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시기는 30시간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34명(89,5%) 로 가장 많았다. 연수 일과 운영에 대해서도 36명(94.7%)이 만족하였다. 둘째, 연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결과는 35명(92%)이 만족하였다. 셋째, 연수 방법 중 '연수 방법의 전체적인 만족도', '연수자의 참여도', '교수자의 시청각 기자재 활용 정도'는 모두 35명(92%)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교수자의 과제물 제시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28명(74%) 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강의 수준에 대해 32(84%)명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의 연수 환경은 다른 항목에 비해 만족도가 상당히 낮았다. 교사연수를 담당하는 기관에서는 연수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연수를 진행하는 내ㆍ외적 환경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은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향후 진행될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satisfaction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s of 38 middle & high school teachers in In-cheon Province. The 30 hour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Inha University's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Second, The period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would be right about 30hours. Third, the level of lecture was suitable generall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more attention on enhanc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d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d to develop the program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which are expected to promote specialist who can deal with problems caused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체육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 비교분석 -시, 도교육청 수준을 중심으로-

        성기훈 ( Kee Hoon Sung ),이승배 ( Seung Bae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초등체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Bereday의 ‘비교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17개 시ㆍ도교육청 수준에서 운영된 체육과의 연수 현황, 13개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초등학교 체육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기획 및 실무 담당자와의 면담 자료 등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해석-병치- 비교분석 되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시ㆍ도교육청은 초등교사의 체육교과 교육에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최소 연 1회 60시간 이상’의 시ㆍ도교육청 수준의 직무연수를 운영ㆍ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체육 직무연수는 시ㆍ도교육청 주도의 형태보다는 교육연수원, 대학, 교과교육연구회와 같은 전문적인 연수 기관 및 단체에 ‘위탁 운영’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은 교과내용학의 운동기능 습득보다는 지도법을 포함한 ‘교과교육학의 실습 및 시연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넷째, 직무연수 프로그램 중 교양 및 행정 관련 내용은 ‘10% 수준에서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교양 강좌는 체육교과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실질적이며 효과적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직무연수의 질 제고 차원에서 ‘직무연수 프로그램 표준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PE) on the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s study used Bereday`s comparison method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current state of PE teacher`s training programs on the 17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elementary PE on the 13 level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program planners`` or practical administrators`` interview data etc.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four-stage analysis, that is descriptive, interpretive, juxtaposed, and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reach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operate and reinforce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s ``at least more than 60 hours once a year`` to enha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in PE. Second, it`s more effective and reasonable to operate the ``entrusting system`` in special training center, such as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etc. than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ird, it`s necessary for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to be made up more ``practice and demonstration based program on subject matter pedagogy`` than motor skills on content centered education. Fourth, the liberal arts and administration part should minimize ``at the level of 10%``, the content of liberal arts should be composed PE directly related content on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contents practically and effectively, it is required that the in-service teacher`s job training program should be standardized.

      • KCI등재

        중등학교 관리자를 위한 창의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신(Han, Shin),김형범(Kim, Hyoung B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관리자의 창의교육 핵심역량을 계발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교육 전문가 10명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85명을 대상으로 연수에 대한 만족도 및 창의교육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관리자 연수 프로그램은 총 12시간, 10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고, 선행연구 및 델파이 연구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둘째, 창의교육 연수에 대한 학교 관리자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그들은 창의교육 연수가 필요하며 교사 연수 및 세미나와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개발과 보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연수 과정 만족도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관리자들이 일선 학교의 창의교육 현황과 교육 적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창의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적극적인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창의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될 것이며, 교사들이 창의교육을 학생들에게 잘 적용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raining program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creativ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administrators. For this purpose, 10 creative education experts conducted a Delphi survey to develop the program, and 85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nalyzed the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and the recognition of creativ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school administrator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hours and 10 programs, which were finally developed after the previous research and Delphi researc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ir’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creative education training, they recognized that creative education training is necessary and that teacher training, seminars and creativ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firs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raining course was high in all fields. Third, this study examined how they perceived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As a result, they recognized that creative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but active support was not provided. Through creative education, students will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y recognize that teachers do not apply creative education to their students.

      • KCI등재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윤진아 ( Yoon Jina ),이동영 ( Lee Dongyoung ),조운석 ( Cho Woon-seok ),남윤경 ( Nam Younkye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의 환경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스마트환경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환경 측정 디바이스와 앱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환경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이다. 유초중등 교사 48명이 연수(15시간)에 참여하였으며 참여 교사들의 학교 현장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환경소양 측정 및 데이터 기반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연수 만족도 검사가 주요 데이터로 수집되었다. 설문조사는 SPSS26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질적 응답자료는 자료전사 와 질적분석 및 Netminer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학교 환경 교육의 문제점으로 감수성 위주의 환경교육과 실천부족, 입시위주의 교육현실, 교사 역량 부족 등을 들었으며 환경교육의 의무화, 실천과 범교과 소양으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환경 소양 측정결과 연수전에 비해 환경탐구 및 환경 실천 요소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연수 전 대부분의 교사들이 데이터기반 환경교육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후 구체적인 데이터 기반 환경 탐구의 교과/비교과 연계 방안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연수 만족도는 5점 Likert 척도 문항 분석결과 평균 M=4.7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교육 연수에서 데이터 기반 환경 탐구를 주제로 환경교육 교사 연수의 사례를 제시하고 환경교육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환경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교육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와 그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valuat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D) program on data-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mart environmental education PD program’ focused on data-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arduino-based smart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s and its application. Forty-eight K-1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D program (15 hours). The per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al literacy test, and the perception of data-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used as main data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 teachers perceived that sensitivity-oriented education and lack of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the educational system center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s, and lack of teacher competency as main problem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ategories of environmental inquiry and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results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data-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that most teachers understoo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education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nd school activity such as student club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etc.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4.71 out of 5, was very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good examples of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PD on data-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effectiveness with concrete and various evidence.

      • KCI등재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

        홍영지,최유현,이건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training program contents based on the invention teacher education standard and also to suggest the future task of currently operating Invention Education Center for Teacher(IECT) through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means the job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each IECT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training program of each center operated for three years since the foundation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was analyz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aining program of IECT established in 2013 in the capital area, central part, southeast part, and southwest part, the conclusion was verified like below. First, most of the training course of IECT in each zone included development of creativity, invention project, and intellectual property & patent application among invention content studies, and also basics of invention education, developmen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nvention teaching/learning, invention activity instruction among invention pedagogy. As element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actual invention, these areas are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of invention education, which is to improve the application to the actual work-site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 Second, IECT in each zone showed differences in areas for emphasis. Such differences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nter and also local infrastructure where centers are located. However, the training program was planned based on the standard of invention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의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발명교사교육표준에 기초한 연수 프로그램 내용을 파악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명교사교육센터의 향후 과제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 프로그램은 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의 각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운영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을말하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교사교육센터 설립 후 3개년 간 운영된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 각 센터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설립·운영된 수도권,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연수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확인하였다. 첫째, 권역별 발명교사교육센터는 발명교사교육 표준에서 발명내용학 중 창의성계발, 발명 프로젝트, 지식재산과 특허 출원 영역을, 발명교육학 중 발명교육의 기초,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발명 교수 학습, 발명 활동 지도 영역을 대부분의 연수과정에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영역은 실제 발명에서 중시되는요소이며 또한 발명교육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역들로, 현장에서 발명교육을실천하는 교사의 연수 후 현업적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권역별 발명교사교육센터는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위치한 지역 인프라와 권역별 발명사교육센터의 특색에따른 것으로, 비중있게 다루는 영역의 차이는 있으나 발명교사교육 표준에 기초하여연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