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을 활용한 시·도교육청 직업교육 발전 방안 분석 연구

        이병욱,정현옥,이찬주,김대들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development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devised b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MPEO) in terms of human/material resources, budget, policies, and local conditions. Some of MPEO had suggested the ways how to establish vocational education but they were not that systematic and didn't have much positive effect in action as they were exp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cribe the better ideas to make more developed and concrete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already existing ones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latest development plans for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three MPEO are chosen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lso, the analysis model applying CIPP evaluation model and analysis survey tool have designed based on the education scholars' thorough inspection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below: The data shows all the three MPEO didn't diagnose the human resources fully enough in Context stage. Especially, Education Office of B and C insufficiently investigated material resources, also Education Office of A lacked examination about the current and needed budget. In Input stage, the development plans do not include the information about how to secure human/material resources and budget which are needed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lans. Accordingly, there is concern that the plans could be degenerated into the formal plans. In Process stage, the development plans present not the specific or concrete but very general how-to. Moreover, all the three MPEO focused only one aspect of analysis, whereas the rest of aspects were not reflected well on the plans. Lastly, since the development plans mor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rather than the expected results of the plans, the concrete output from the plans was not come out in Output stage.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development plans lack efficacy of the plans, prediction of the output, and feedback.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들은 현재의 직업교육이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선진화된 직업교육의 선진화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하여 구체적인 세부 정책 및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시·도교육청별로 수립된 직업교육 발전 방안이 정확한 진단과 분석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게 수립되어 있는가와 그 실현 가능성 및 실행에 필요한 자원 등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연구는 새로운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는 다른 시·도교육청에 많은 의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4년(2007년~2010년) 이내에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수립한 3개 시·도교육청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고안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쳐 분석 모형 및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3개 시·도교육청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 단계에서는 공통적으로 인적 자원에 대한 진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 C 교육청의 경우는 물적 자원에 대한 분석이, 그리고 A교육청의 경우에는 예산 현황 및 필요 예산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 단계에서는 발전 방안을 시행하는 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적 자원, 물적 자원, 예산 등에 대한 확보 및 활용 가능성이 발전 방안에 반영되지 않아 형식적인 발전 방안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었다. 과정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방안 제시보다는 일반적인 제시 수준에 그쳤으며, 공통적으로 분석 영역별 발전 방안 반영 비율이 어느 한 영역에만 치중된 나머지 그 이외의 영역은 직업교육 발전 방안에 소홀히 반영되고 있었다. 산출 단계에서는 직업교육 발전 방안의 특성상 시행 여부에 대한 결과 보다는 시행 가능성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므로 발전 방안의 구체적인 산출 결과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 결과 발전 방안에 대한 효과성 및 산출에 대한 예측, 피드백 등의 반영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지원방안 연구

        김진모,이명훈,김기용,조영아,오진주,류지은,김선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upport plans on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change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size, and figure out prior pla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tent analysis on 14 studies were conducted to deduct support plans, then experts’ review and need analysis of support pla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 domains of support plans were deducted. Second, 35 particular support plans were deducted. Third, support plans about statute revision,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security of finance were selected as prior domain of support plans. Fourth, support plans about improvement of labor market, reinforcement of protection for students in field study, reduction of students per class were selected as prior particular support plans. Fifth, the top priority of support plans included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statute revision about voca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for successful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system reform were proposed.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founding to suggest support plans which are necessary to maintain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size as current level in multilateral ways, and to propose priority of support plans with comprehensive reflection of stakeholder’s sugges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 방향에 따라 중등직업교육 체제 개편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우선적인 지원방안들을 확인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14편의 선행연구를 통해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지원방안(안)을 도출하고, 도출된 안에 대해 전문가 검토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지원방안 영역 도출 결과 9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지원방안 영역별 세부 지원방안 도출 결과 총 35개의 세부 지원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지원방안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한 결과 법령 개정, 사회적 인식 개선, 재정 확보 관련 방안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세부지원방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한 결과 노동시장 개선, 현장실습생 근로보호 강화,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세부 지원방안에 대한 우선순위 영역 선정 결과, 우선순위가 높은 지원방안에는 주로 중등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과 직업교육 관련 법령 개정을 위한 방안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직업교육 비중 확대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체제 개편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중등직업교육 비중의 현행수준 유지를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을 체제 전반에 걸쳐 다각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실제 중등직업교육 주체인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포괄적으로 반영하여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평가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0 상업교육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2010년 5월에 발표한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을 몇 가지 평가 준거에 의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3가지 평가 준거별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준거1 :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추진 방향은 적합한가? 전문계 고등학교의 수를 축소하겠다는 정부의 정책 방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적합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단기간에 축소하겠다는 계획은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부는 전문계 고등학교 수를 감축하되, 장기간에 걸쳐 그리고 지역과 학교의 실정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감축해야 한다. 평가준거2 :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은 고등학교 직업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가?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에 포함된 6가지 세부 방안 중에서 ‘종합고 등 전문계고의 일반계고 전환’ 방안은 고학력 인플레 현상의 심화, 종합고가 위치한 지역에 사는 학생들의 진로 선택 기회 제한, 직업교육의 위축, 기능인력 양성 기반 약화 등의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가준거3 :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실현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소규모 학교 통폐합과 연계해, 사립 전문계고 교원을 공립교원으로 채용하겠다는 사항과 유관분야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이수하게 하여 잉여 전문교과 교원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는 시도는 교육의 질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학생수 감소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으로 인해 과원교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도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내부 역량 제고가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의 본질이 되어야 한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역량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원이다. 따라서 교원들의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교원 역량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licy for Advancemen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published by government in May 2010. ‘The Policy for Advancemen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was evaluated by 3 evaluation criteria established by this study. The results that evaluated by 3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Evaluation criteria 1 : Is the direction of ‘The Policy for Advancemen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appropriate? It is appropriate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at the government is going to reduce the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 However, the plan to shrink too many vocational high schools in a short period is likely to cause side effec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reduce the number of vocational high school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regions and schools gradually over a long period. Evaluation criteria 2 : Is ‘The Policy for Advancemen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vocational education? The conversion of comprehensive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to general high school is likely to cause the deepening of the high academic career phenomenon, the reducing of students' career choices, the withering of vocational education. Evaluation criteria 3 : Is ‘The Policy for Advancemen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feasible? The excess teachers are expected to increase because of the decreasing of students number in future and the application of 2009 revision curriculum. So it is not feasible that the government recruits the teacher of the private vocational high school into public school in integrating in small-size schools. And because of same reason, it is not fea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xcess teacher through the majoring in other subject.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ㆍ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양정실(Yang, Jeong-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을 구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적용상의 쟁점(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실태와 국어 교사의 인식 조사 및 심층 분석을 통해 네 가지의 쟁점을 정선하였다. 그리고 수업 시수 20% 증감, 수준별 수업, 쓰기 태도 및 쓰기 윤리 교육, 어휘 교육 및 어문 규범 지도라는 네 가지 쟁점에 대한 적용 방안으로 적용상의 원칙에 해당하는 ‘방향’과 방향의 구체적인 예시에 해당하는 ‘실제’를 구안하였다. 수업 시수 20% 증감에 대해서는 성취기준 통합 및 교과서 단원 차시의 통합 운영을 통해 시수 감축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준별 수업에 대해서는 학생 선택 활동을 부여하는 방안, 학생 수준에 따른 지원 방식의 차별화 방안, 학생 특수 조건에 따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쓰기 태도 및 쓰기 윤리 교육 방안으로는 이를 글쓰기 과정에서 지도하는 방안과 반성적 성찰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교육과 어문 규범 지도를 위해서는 국어과의 일상적인 활동으로 어휘와 어문 규범을 지도하는 방안과 영역 통합적 연계 지도로 어휘를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implementation concerning the following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adjusting the number of class hours for korean within a range of 80~120% of its time allotment , the differentiate and individualized korean teaching system , the teaching of writing attitude and ethics , the teaching of vocabulary and korean language grammar . For providing for the case of reducting class hours for korean, this study suggests the reduction of class hour by integrating of content standards or integrative teaching of textbook unit. For practicing differentiate and individualized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way to manage the differentiate students in the class. For teaching writing attitude and ethics,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them during writing process and giving chance of reflective self-examination. For vocabulary and grammar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teaching in regular korean instruction and area-intergative instruction.

      • KCI등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이재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 연계 교육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중요성 인식과 실제 수행정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등교사들이 실천할 수 있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초 연계 방안 중 초등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방안과 실제 수행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로서 설문조사 응답 결과에 대한 현장교육 맥락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8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 분석 결과, 선행연구 중 초등교사가 실천할 수 있는 사항은 공통적으로 17개의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연구문제 분석 결과, 교사들은 17개 방안 중 3가지 방안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수행 면에서도 모든방안에 대해 보통 이하의 수행만 하고 있었다. IPA 분석방법을 통해 현재와 동일한 수행을 할 필요가 있는 연계방안 5개, 중요도가평균 이상이지만 수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에 수행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 연계방안 3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은 연계방안7개, 중요도는 낮으나 과잉된 수행을 하고 있는 연계방안 2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 결과, 교사들의 인식과 수행에는업무 과다, 학부모와의 관계, 돌봄교실의 애로사항 등 여러 가지 현장 맥락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청에 다양한 지원과 제도를 요구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을 현장 교사의 의견을 통해 수정⋅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저학년 배정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들에 대한전문연수를 제공하여 현장의 준비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 셋째, 대학 및 대학원 수업에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유⋅초연계 교육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 넷째, 교육청에서 유⋅초 연계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arly childhood-elementary connected education plan a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 Methods To solv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derive connected educational plans. To solv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91 teachers. A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teacher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17 common plans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ll but three of the 17 plans as low, and in terms of performance, they performed only below average for all the plans. Through the IPA analysis method, five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ent were derived. In addition, three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need to be activated because their importance is above average but are not performed well were derived. Seven connected education plans with bo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erived. We derived two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are of low importance but are being over-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contexts, such as excessive work,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difficulties in childcare class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nected education plan through the opinions of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preparation by inducing fixed teacher assignments by strengthening Incentives and providing specialized training for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field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classes. Fourth, it was suggested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strengthen various supports related to connected education.

      • KCI등재

        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사(戰史) 아카이브 활용 교육방안 연구

        문형진 한국보훈학회 2020 한국보훈논총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education plan by utilizing archives of warfare history for Joseonjok (Korean-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goal is to foster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and brotherhood, and to form a sense of love for Korea to those who were born in China and received Chinese history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lan to realize this, I present three educational plans (educational plan for video archives, educational plan using Joseonjok’s handwriting archives, and teaching by rote). In the education plan for video archives, three recently released films were used. In the education plan for Joseonjok’s handwriting archives, the letters recorded the migration process by the parents' generation were used. In the teaching by rote plan, the research results on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were introduced. I hope that the archive materials related to the history of warfares can be used as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hrough the study, an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need for Joseonjok marriage immigrant women to receive Korean history education. 본고는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전사(戰史)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 역사교육을 받은 이들에게 한민족 의식과 동포애를 함양시키고 한국을 사랑하는 의식을 형성하자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실현할 교육 방안으로 3가지 교육방안 (영상 아카이브 활용 교육방안, 조선족 육필 아카이브 활용 교육방안, 주입식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상 아카이브 활용 교육 방안에서는 최근 개봉한 3편의 영화를 활용하였고, 조선족 육필 아카이브 활용 교육 방안에서는 부모세대가 이주과정을 기록한 편지를 활용하였으며, 주입식 교육 방안에서는 병자호란 발발 원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 본고를 통해 전사관련 아카이브 자료가 다양한 교육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고, 조선족 결혼이주여성들에게 한국 역사 교육을 받을 필요성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길 희망해 본다.

      • KCI등재

        교육 자치 시대의 국어 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민주주의 회복 및 교육 자치의 강화’ 등에 근거하여 추진된 지방교육자치 방안의 실현 방안으로 지역별 고유성과 학교 현장적합성을 높여 본질적인 교육 자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국어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개정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설계-시연-성찰 역량을 바탕으로 1-4학년별 강의 목표를 위계화하고 사범대의 국어과 전공 교과목별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전공 과목인 국어 교육론, 국어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00 교육론의 전공 과목 운영의 방안과 기존 교과목인 국어 교육론과 국어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그 성격에 맞게 Ⅰ, Ⅱ로 재구조화하는 방안과 국어과수업 역량Ⅰ~Ⅳ를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2021년 교육부의「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의 실습학기제 추진 정책과 연동하여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plan promoted based on 'recovery of educational democracy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al autonomy'. to seek ways to revise th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sign-demonstration-reflection competency of the class, the lecture goals for each grade 1-4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and the management plan for each major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was proposed. In detail, the required major subjects for acquiring a teacher’s license,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guidance, and 00 education theory, are divided into Ⅰ and Ⅱ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 plan for restructuring and the establishment of new teaching competency I to IV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were proposed, and a plan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ractical semester system promo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Earl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System Development Plan」in 2021 was also suggested.

      • KCI등재

        교육공무원 인사제도 혁신방안 연구 - 경기도교육청 승진제도를 중심으로 -

        김성천 ( Kim Sung-chun ),홍섭근 ( Hong Sub-keun ),김영인 ( Kim Young-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미래 학교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경기도교육청 승진제도를 중심으로 인사제도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과 교육전문가로 구성된 그룹의 FGD, FGI를 진행하였으며, 인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원리를 추출하고, 인사제도 혁신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공무원 14,586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경력이 많고 승진준비를 했거나 하고 있는 교원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개선방안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제시된 개선안을 단기 방안과 중장기 방안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방안으로 교감 자격 면접시험의 강화와 면접 대상자 확대, 특정 지역 교감 우선 발령제, 교감 근무평정 시 온라인을 통한 동료평가 반영, 교육전문직원 직무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보직형 장학사 확대, 중간평가 도입, 장학사 근속 연수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장기방안으로 교감자격증 소지자 대상 교감공모제 도입, 교사자격증 소지자 대상 교사공모제, 교사 대상 공모를 통한 교감자격연수 대상자 선발, 내부형(교사 대상) 교장공모제 제한비율 삭제 및 교육감 위임, 교장임기 4+4제(공모제 교감임기 포함, 승진 발령은 1회로 제한, 공모제 확대), 교장교감 리더십 아카데미 도입, 교원인사권한을 교육청 및 단위학교 이양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교원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학부모, 학생 등 교육주체들의 다양한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nnovation of personnel system, which can ensure compliance with the paradigm for changes in future schooling, by focusing on the promotion system of `K`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of literature related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carried out, and the survey asked 14,586 educational public service employees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personnel system.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researchers held a number of in-depth conferences as well as FGI and FGD on related education experts, and came up with the innovation of personnel system. First, short term measures ar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ral 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candidate for the qualification of vice principal, to give an announcement of appointment according to the order of priority in certain locations, to reflect the online peer evaluation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for vice principals, to rotate professional staffs of education to enhance job professionalism, to introduce a midterm outcome evaluation, to extend the continuance in office of professional staff of education, and etc.. Second, mid-/long term measures are to introduce vice principal certificate holders and teacher certificate holders to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vice principals, to select trainees for vice principal qualification with an open recruiting, to let down the principalship term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barriers of publicly recruited principals, to empower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o exercise the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to adopt a leadership academy for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and etc.. Considering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related subjects: teachers, students, parents, which can give shape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s concrete and practical proposals.

      • KCI등재

        효율적인 시 창작교육 방안에 대한 한 고찰

        윤의섭(Yoo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시 창작 관련 저서나 연구 논문을 통한 방안, 그리고 개별 교수자의 창작 경험에 의한 창작교육 방안은 좀 더 전체적이면서 창작 과정까지 구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안되어야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몇 가지 전제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교수자는 시 창작이 어렵다는 인식을 바꿔주고 시 창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창작자에게 동기부여를 해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창작자나 교수자 모두 시는 언어예술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즉, 교수자는 창작 이전에 아무리 풍부한 생각을 떠올리게 했더라도 그것을 언어로 변환시키고 시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고 창작자 역시 시상을 언어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창작교육 방안이 될 것이다. 또한 퇴고 단계에서가 아니라 창작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를 끝까지 완결하도록 유도하는 지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창작 결과물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수용 태도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 방향 제시가 겸해져야 한다. 효율적인 창작교육 방안은 창작 과정에 대해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개입하면서 한 편의 시를 끝까지 완결 지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개 방식과 추진 체계를 제시하는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다. 시 창작 교육 방안에 대한 개선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 학기 동안의 시 창작교육 과정에 있어서 한 가지 방안만으로 지도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 다음으로 수업 시간 내에 창작자들이 시 한 편을 창작해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 창작교육 방안은 언제나 더 나은 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것이 불필요할 수도 있음을 인정하는 열린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어야 한다. Creative writing education based on books and literature and creating experience of the teachers in poetry writing could be more effective through more overall, comprehensive and specific education program. For doing so there are several preconditions. Teachers should encourage writers to have positive mind set in poetry writing instead of being intimidated and give them motivations for poetry writing. Both writer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at poetry is art of language. That mean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uide writers to put creative ideas in words effectively and to continue exercise in expressing ideas through poetry. It is also important that teachers should guide writers throughout the process of writing, not at the end of the process, to complete the work. Writers should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work and teachers should guide them in the right direction in supplementing any insufficiencies. Effective education in creative writing can be possible by process and system in which teachers intervene in creating process to help until completion of the work. The followings ar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eduction on poetry writing: guiding writers in one single direction in poetry writing throughout the semester is not desirable. Writers are encouraged to write one poem in each class session. Education programs can be established in more diverse directions and it may even not be necessary: there is always possibility for modifications and changes.

      • KCI등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사업화 운영방안

        김영준(Kim Youngjun),강경숙(Kang Kyung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조망하는 차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구축해야 할 사업화 운영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의한 연구 내용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과 같이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먼저, ‘조직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가 대학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사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할 거버넌스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의 각 내부 관계자가 주축이 된 중앙위원회의 신설과 각종 업무 기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와 대학이 협업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있어 사전적이고 종합적 차원에서 생성해야 할 연계적 거버넌스 역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대학을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으로 조망하고 대학이 유관기관(예: 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전공과 등)에 비해 원스톱 체제 대상기관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반을 주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국가 단위 및 대학 개별 단위의 교과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인력체계 기반의 사업화 운영방안’에서는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감독 및 지원 하에 대학이 현행의 장애인 평생교육 담당 종사인력을 연수하고, 이의 활성화를 기반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예: 장애인 평생교육사(가칭))을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 measure to systemize the operation plan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commercialization in a region in various types to revitalize a university- based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meet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operation plan of specialist-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and data was collected and specialists’ meeting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hree types. First, as for ‘operation plan of organizational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proposed that a university and a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center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enter an agreement, and functional elements and accompanying conditions were also suggested to carry out this agreement. Second, in the ‘operation plan of curriculum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it was argued that a university must create a textbook for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connected education or actually run the lifelong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various forms, along with accompanying procedures. Moreover, in the ‘operation plan of specialist training system based commercialization’, the study proposed a plan to provide professional capability training in several types for specialists working in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disabled, with accompanying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