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명은(Myung-Eun Kim),김희경(Hee-K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erformance confidence and executive ability after conducting field adaptation education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o start their first field practice. Thirty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evaluated with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 before and after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 hours. Also field practic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field practice.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executive ability, and direct practical ability before and after education.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field practice satisfaction. As a results, performance confidence, indirect and direct practical skills of after field adaptation program were increased than before that(p<0.05).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adaptation education and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that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field adaptation education sub-regions correlated with “education content” and “support of field practice” among the field practice satisfaction sub-regions(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management various adapt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as it increases the adaptability of the first field practice and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 KCI등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학술지 「교육학연구」의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현석(Shin, Hyun-Seok),윤지희(Yoon, Ji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그동안 교육학 연구에서 현장성 확보에 대한 공감은 있어왔지만, 관련된 논의들이 문헌고찰을 통한 추론적 연구 내지는 규범적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교육학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현장성을 확보해왔지만, 연구 분야별로 현장성을 충족하는 수준은 달랐다.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를 살펴보면, 투입 단계의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의 현장성’은 강했지만, 과정 단계의 ‘연구방법 및 절차의 현장성’과 산출 및 환류 단계의 ‘연구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약했다. 교육학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제고를 위한 노력방향을 ①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논의, ② 교육학 연구 분야별로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 구상, ③ 현장 자료 및 경험적 접근방법 등을 동원한 문제 접근 및 실천연구 수행 ④ 교육학 연구자들의 연구단계별 현장성 확보를 위한 관심 환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studies have secur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but the level of satisfying the practicality of each research field was different. In terms of research stage, the ‘practicality of research subject and problem consciousness’ at the input stage was strong, but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practicality at the process stage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at the output and feedback stage were weak. Each research field’s degree of practicality was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research as the followings: ① to discuss practicality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continually ② to conceive of implementation plans for field improvement by field of education research, ③ to approach problems using field data and empirical approach, to conduct action research, ④ to call atten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to secure practicality at each stage of research

      • KCI등재

        헤어 업스타일 교육 인식과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 관련 연구

        정솔(Jung sol),리순화(Li Shun 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헤어 업스타일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이 현장 활용성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미용교육 연구에 맞게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업스타일 교육을 받은 20-40대 미용전공자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헤어 업스타일 교육 인식의 하위요인을 교육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웨딩, 혼례식이 업스타일 연상 이미지와 활용이 가능한 현장으로 중요한 현장임을 확인하였다. 수업은 실기위주로 진행되고 있었고 현장실습은 ‘안함’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육강사 인식, 현장 활용성과 교육 만족도는 현장경력이 비교적 적은 20대에서 높게 나타났고 40대 이상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격증 취득이 목적인 수강생은 교육강사, 현장 활용성과 교육만족도를 높게, 대학진학이 목적인 수강생은 낮게 평가하였다. 헤어 업스타일 교육 인식 중 교육강사, 교육환경, 교육과정은 모두 현장 활용성 하위요인인 업스타일 기초교육, 기법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업스타일 교육 인식 중 교육강사, 교육과정 인식이 높을수록 교육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현장 활용성의 업스타일 기초교육과 유형교육을 확대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면접 업스타일 등 교육을 추가해야 한다. 또한 헤어 업스타일 이론 수업의 중요성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현장실습의 추가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현장 경력이 많은 미용인을 위하여 교육강사 전문성 강화, 수업 난이도 상향이 필요하며, 자격증 과정 외 현장에서 필요한 심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er-level factors on field utiliz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is study surveying 306 people in their 20s and 40s who had experience in up-style education. The lower factors of hairstyle education awareness are education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Results Weddings are an important place to use as an image of fashion. The classes were centered on practical skills,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said there was no practice on the field. The lecturer s recognition, field usabi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in those in their 20s with relatively little field experience and low in those in their 40s and older. Also,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obtaining a certificate rated educational instructors, field usabili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igh, and those with the purpose of entering university rated low. Among the hair-up style education awareness, education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all had a positive impact on up style basic education and technique education, and among the up style education awarenes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education instructor and curriculum,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Conclusions Education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by expanding up-style basic education and type education for field usability, and education such as interview up-style should not be neglected.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air-up-style theory classes and to explore ways to add and activate field practice. For hairstylists with a lot of field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strengthening education instructors expertise and increas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lasses will be needed, and in-depth education will be needed in the field other than the certification course.

      • KCI등재

        선교지 학교 교육실습 프로그램 구상에 관한 연구

        이은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verseas education field practicum program to be conducted at mission schools in developing countries. We review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eld practicum, and explore possible approaches to develop the most appropriate program one. Overseas education field practicum is foun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improve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of student teachers, but also raise their global awareness and attitude. The Current overseas practicum, however, have faces difficulties such as unclear learning outcomes, a lack of the preparation training for the practicum, and loose connections between the university training and the field teaching. Due to these difficulties, student teachers have not actually experienced what they expected in the during practicum. Also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universities to know exactly how teaching practicum is actually conducted in at the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hallenging issues, we propose to take into account seven dimensions of the field education: learning of purpose, field, curriculum, integration, learning evaluation, cooperation, and support. Each dimension is discussed to analyze see how it applies to education field practicum in overseas mission schools. We emphasize, in particular, close communication and linkage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field school about on what to expect and experience in the practicum. We also suggest an integrative approach of the practicum so that education field practicum includes education service learning, learning coaching, and classroom observation, as well as overseas field practicum.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 있는 선교지 학교에서 실행할 교육현장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구상을 목적으로 하여 먼저 해외교육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육현장실습의 이슈와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해외 교육실습프로그램 개발과 운영방안을 논의하였다. 해외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인 실습생들에게 글로벌 의식과 태도를 키울 뿐 아니라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환경 속에서 교수학습능력이나 기술을 향상시킨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교육활동이다. 그러나 교육실습내용의 체계성 부족, 해외 교육실습에 대한 사전교육 부실, 대학과 교육현장과의 연계가 부족한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실습생들은 그들이 기대하는 실습과 실제 경험하는 것과의 괴리를 크게 느끼고 있으며, 실제 해외 교육현장에서 어떤 실습지도가 이뤄지는지 알 수 없는 ‘방임형 교육실습’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교지 교육현장실습을 구상할 때에 현장실습의 목적, 현장, 교육과정, 통합, 학습평가, 협력, 지원이라는 현장연계학습 7차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본문에서는 현장연계학습의 각 차원을 선교지 교육현장실습 상황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접근방안을 탐색하고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교육현장실습의 목적인 교수역량과 교원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현장경험을 종합하는 교육실습, 해외 실습학교 선정을 위한 기독교대학들의 협력, 원활한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실습학교간의 밀접한 소통과 연계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에서 선교지 학교를 현장으로 하는 해외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의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장신철(Jang Sinchul),조한진(Jo Ha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일학습병행을 담당하는 기업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양성교육 내용에 대한 현장 활용 정도와 도움 정도,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양성교육의 내용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기업현장교사에 대한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설문지 초안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 확인 후 최종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후 기업현장교사를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231부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집단 간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에서 현장 활용도는 집체교육이 온라인 교육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활용 시 도움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시간의 경우 온라인 교육시간은 축소할 필요가 있는 반면, 집체교육시간은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의 큰 방향은 분야별 심화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집체교육은 분야(직무)를 구분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 내용은 향후 ‘강사와 평가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지금보다 더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고, 재학생 단계는 재직자 단계보다 상담자, 학습 촉진자, 교수 설계자, 연구 개발자 역할에 관한 교육 내용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업현장교사 양성교육은 향후 일학습병행의 참여 유형과 분야(직무)를 고려해야 하고,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through the perception survey on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help of the education at work sites in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Methods Based on the corporate in-company trainer education program, a draft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made after confirming the content validity.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253 in-company trainers, of which 231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 tests between groups. Results First, as far as the degree of field utilization and help of the education is concerned, collective education is higher than online education. Second, when it comes to hours of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results show that online education hours needs to reduced, while collective education hours need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Third,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basic education, it seems crucial to reinforce in-depth education of each field, and collective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based on fields (jobs). Fourth, more role of instructors and evaluators needs to be assigned, and compared with ‘incumbent worker program’,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roles of counselor, learning facilitator, instructional designer, and research developer for ‘students program’ need to be more expand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for In-company trainer education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types of apprenticehip, fields (jobs) and the degree of utiliztion and help in work sites in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 KCI등재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 품질개선 향상을 위한 효과적 운영 방안 연구

        양애경(AeKyeong Yang),홍성용(SeongYong Hong),강순미(SoonMee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실태를 진단하고 분석하여 품질개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연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에 참여한 전 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 154명중 설문에 참여한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창의 인성교육 자율진단표를 참조하여 제작한 설문지로 4개 영역 총 21문항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에 대한 교원의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높게 인지하고 있으며, 창의 인성교육의 적용은 분기별 2-3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교육 현장포럼의 운영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습문화 조성은 보통수준을 보이며 창조적 역량과 마인트컨트롤 등의 힐링, 전문가 강의 도움정도, 구체적 결과물만족도, 학생지도 도움정도는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학교 현장 실천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주제로융합형교과지도 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품질 개선 향상을 위해서는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의 홍보를 강화하고 담당교사의 핵심역량 강화를 증진하는 것과 융합형 교과지도 활동을 주제로 하는 현장포럼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의 교사들에게 창의 인성교육 현장포럼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차별화된 홍보전략과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ive operation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improved diagnose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natio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tual condi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field forum. The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12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survey 154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Inspection tools are examined in four regions a total of 21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elf-diagnostics li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respondents to the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about creativity and character are recognized higher education forum, app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re 2-3 times was the highest quarterly. Second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analyzes the operating status results learning culture is usually level creative capabilities seem to the mind control of such healing, expert lectures help much, specifically results satisfaction, student guidance assistance about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it showed. Thirdly, analysis of school practice field is also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forum, teacher training subject to converged curriculum guidance activ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the highest. Fourthly, in order to quality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forum, that will strengthen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al forum topic map a converged curriculum to promote activities that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of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on-site for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posed urgen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ield forum externally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inform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s substantial advantage in the field to teachers nationwide.

      • KCI등재후보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김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detailed curriculum and teaching model of the writing class in the area of university education, focusing on writing based on field work. The field work is interpreted to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field research academically. The term is adopted to a broader concept, meaning to all type of work on the ground in this articl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e intended purpose is to argue and persuade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agent of university education has to design a teaching-learning program of writing based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is writing program doesn't mean simple performing of a field work itself. The writing subject might reflect on his identity and social position by meeting another one in social community, has differences from him, through a interview or a participant observation. So he is able to have a new angle on the social problems and to make a writing academically and logically concerning the social problem. The writing is very creative and successful, because of depending on his own view and logic. The program intend to actualize both a writing to learn and a writing to live through writing activity. The program makes writing subjects to seek their own viewpoints of social problems and to criticize the problems on the views. The writing subject can take a writing activity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riting-system immersed in formalization and this program i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writing-education. The most of all, this writing program enables the writing subject to perform 'care of the self'(by Michel Foucault) socially, not privately. 본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 현장 활동을 도입하여 학습 주체로 하여금 실사구시적 태도로 글쓰기에 임하게 하는 동시에 자기 논리를 좀더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조사 활동, 곧 리서치(research)는 문헌 자료 수집과 현장 활동으로 나뉘는데 현장 활동은 현지조사 활동(field work)으로 불리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 현장 활동은 현장에 기초한 답사와 설문 등 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활용된다. 이 글에서 도입하는 현장 활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질적 현장 연구(qualitative field research)의 핵심적인 두 영역을 구성하는 인터뷰(interview)와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이다. 논리적인 글쓰기 과정을 ‘문제 발견과 주제 구성→개념/가설/전제의 구성과 점검→조사 활동의 설계와 실행→자료 분석과 해석→글쓰기’의 과정으로 가설할 때 현장 활동은 주제 및 논거 구성을 위한 조사 활동과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 주체는 자신의 시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자기 논리로 전개해나가는 경험을 갖게 된다. 현장 활동은 조사 주체로서 필자의 역량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현지에서의 만남과 관찰, 경험을 통해 조사자인 필자 스스로가 성장해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효과가 높다. 현장 활동을 도입한 글쓰기 활동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대학 교육 과정이 요구하는 쓰기 능력 향상에 두는 한편 인문 교양의 증진과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 확대에 두고자 할 때, 글쓰기 강의를 ‘학술적 글쓰기’와 ‘기타 글쓰기’로 양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 글쓰기 교육의 실용적 목표를 단순히 쓰기 능력 신장에 한정하지 않으면서 해석적 관점의 성숙과 논리적 전개력,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 및 사회적 비판력 제고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조사의 ‘현장’이 필자가 속한 사회적 장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은 필자의 존재 기반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색이자 사회적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일 수밖에 없다. 또한 조사자로서 현장에 참여하는 가운데 일정한 비평적 거리를 유지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글쓰기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대학 글쓰기 교육이 편협한 실용을 넘어 명실상부한 인문학적 교양 교육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옥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현장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27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32개 교육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요구되는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32개의 교육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실습생의 역할 및 태도,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하루일과 운영의 실제, 교육계획안 작성법, 유아-교사의 올바른 상호작용, 부모와의 관계 맺기 및 상담,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 사전유치원 현장 관찰하기의 9개 교육내용이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교육내용을 명료화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보육학과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 운영실태: 경기도를 중심으로

        현정희 ( Jeong Hee Hyun ),김연수 ( Yeon Soo K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보육학과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 운영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0개 전문대학의 보육학과를 대상으로 각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육과 관련하여 보육실습, 교육봉사, 사회봉사, 전공실무 등의 교과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이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교과목인 보육실습으로 현장교육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 이외의 교과목은 강의 시수 배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교육 교과목 운영시 기관 선정은 학생들이 주로 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이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영을 위한 기관과의 산학 협력 체결을 의무화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전문대학 보육학과는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에 대해 매우 필요하고 교육적 효과도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기관의 교육 수준 관리와 행정 업무 과다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확대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교육 교과목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관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보육교사가 졸업 후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현장교육이 필요하지만 예비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는 전문대학 보육학과에서는 보육실습 이외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개설과 운영은 미비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 보육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현장교육의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status of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iculum of twenty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located in Gyeonggi-do was analyzed and survey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such as child educare practice, education service, social service, major practice are being operated with reference to the field practicum while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colleges replaced the field practicum with child educare practice which is the required subject for a professional certificate· Other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were not assigned properly as regular lectures and in operating the field practicum subjects, students chose the practice institutes by themselves·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contracts to operate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were seen dissatisfactory· Even though the investigated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recognize that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are very necessary and their educational effect is high, the departments have difficulty in enlarging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cause of the trouble with arranging the institutes· They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with the institutes to operate the field practicum subjects proper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field practicum is needed for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o meet the capability which child educare centers require after they graduat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le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incompletely in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which are mostly in charge of training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field practicum needs to be expanded in training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 KCI등재

        한자한문교육(漢字漢文敎育) 현장연구(現場硏究)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 Kwang Ho Baek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본고는 漢字漢文敎育과 관련된 現場硏究의 現況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課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한문교사모임(이하 ‘전한모’로 약칭함) 홈페이지의 현장연구 자료와 모임에서 발간하는 회지인 『漢文敎育』, 그 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 선정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 글에서 논하고자 하는 ‘한자한문교육 현장 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 교사 또는 중등학교 한문 교사가 자신의 교실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필자가 2006년에 발표한 「실행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한문교육』 내용 분석-교수·학습 분야를 중심으로」의 후속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旣 發表한 글 에서는 『한문교육』의 창간호인 1호부터 68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목록을 만 든 후, 그 가운데 ‘교수·학습’에 관련된 연구 자료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 글에서는 2006년 이후 간행된 『한문교육』 69호부터 최근호인 87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한문 교사들이 전한모 홈페이지에 자발적으로 공개한 현장연구 성과를 분석한다. 다만, 선행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분야만을 살펴보았다면, 본고에서 는 한자한문교육이라는 포괄적인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에서 수상한 교육자료 현 황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ⅰ) 현장 수업에 곧바로 활용하 고 응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한편, 개발된 최신의 교수·학습 방법을 현장의 한문교사들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겠다. 관련 기관이나 학회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ⅱ) 한문 교사들 에게 현장연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참여를 독려하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ⅲ) 이 글에 소개된 현장연구 현황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된 수업사례가 발표되고, 이 를 다시 피드백하여 이론화한 교수·학습 방법이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ⅳ) 『한문교육의 실제』를 잇는 『한문교육의 실제』 증보개정판 제작이 필요 하다. ⅴ) 한문 교사들이 수업하면서 궁금하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참고 하여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는 한문교육학 개론서나 학교 한문문법과 같은 지침 서의 발간이 매우 시급한 과제인데, 이를 위한 기초 이론 연구가 속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heck study on practical situations in where Chinese character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given and to propose tasks according to that. To do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ino-Korean Teachers` Association(hereinafter briefly referred to as ‘STA’) and its publication ‘Sino-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materials on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of the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and materials selected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First of all, as to ‘Sino-Korean education’,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contents from the first edition No. 1 to the recent edition No. 87. Next,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TA,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reports of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hich won prize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cataloging was made examining materials at the reference room of relevant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e lists first summarized, studies whose analyses are worthwhile were se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aterials, analysis was mad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asks drawn are as follows. ⅰ)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revised and enlarged which connects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ⅱ) Development of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reflection of their educational processes. ⅲ) It is necessary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s to b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ⅳ) It is desirable for basic studies for publishing guideline books such as ‘Introductory of the Sino-Korean education’, ‘School grammar of the Chinese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