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교육적 관계"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김민성(Minseo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교수자-학습자의 관계가 ``교육적``인지의 여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교육``, ``교수``, ``학습`` 등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교사-학생 상호작용, 교사-학생관계, 교수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기반하여 ``교육적 관계``의 의미와 그 하위요소(학생에 대한 존중과 관심, 대화적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신뢰, 학생에 대한 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 학생의 몰입/성장)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문항검토와 1, 2차에 걸친 예비검사 제작과 실시를 통해 하위요소별로 4개의 문항,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서울과 광주지역 4개 종합대학 총 27개 강좌, 1,282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상정하는 ``교육적 관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교차타당도 분석 결과 ``교육적 관계`` 척도는 적절한 구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3-.89로 양호하였으며, 대학교수자 역할진단도구와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통해 교육적 관계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교육적 관계``의 하위 요소별 학생성별, 교수성별, 강좌분야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교육적 관계``가 교수자나 학습자, 강좌분야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교육적 관계`` 정도와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와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는 ``교육적 관계``가 이론적으로 상정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교육적 관계``는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관계`` 측정도구의 개발은 대학교육의 질제고를 위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whet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educational reflects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defined and its components (respect, concern, dialogical interaction, trust, expectation, enthusiasm, engagement/growth)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interaction and teaching. With the cont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the final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with total 28 items (4 items for each subscale)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for 1,282 college students in 4 universiti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ross-validation using a Bollen-Stein bootstrapping technique showed the valid quality of the scale. Cronbach α of 7 subscales ranged from .83 to .89, an indication of proper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Concurrent validity were confirmed by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Professor`s Educational Role`` scale. According to students` and college instructors` gender and academic fiel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motivation/attitude were found, an evidence of the ro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because educa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college teaching.

      • KCI등재

        ‘타인-나’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 연구 ―레비나스와 리쾨르 철학을 중심으로

        전종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1

        The research methodology adopted in this article is to replace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ith ethical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is stems from the view that ethical relationships are more fundamental than educational relationships. First, my relationship with others is based on a personal and collective ethical perspective. From this ethics, moral and ethical subjects can establish their own views on others and the world. Second, this eth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ship is useful in educational practice, especially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wofold. It is the aspect of comparative analysis of Lévinas and Ricoeur’s philosophy of ‘others-me’ and the aspect of attempting philosophical reconciliation between ethical and educational rel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nd propose a new educational relationship through an in-depth examination of ethic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others based on Lévinas’ philosophy and the education of mutual recognition based on Ricoeur’s philosophy were proposed. First, in the pedagogy of others, three themes were emphasized. 1° Double asymmetr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2°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subjugation. 3° Pedagogy of the other as possibility education. Through these three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Lévinas’ pedagogy were discussed. Second, the pedagogy of mutual recognition also dealt with three topics. 1° Self-affirmation and the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 2° Caring and teacher-student educational relationships. 3° Mutual Recognition and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se three themes are elements that represent Ricoeur’s pedagogy. 이 글에서 채택한 연구방법론은 교사-학생 사이의 교육적 관계를 타인-나 사이의윤리적 관계로 대체하는 데 있다.이는 윤리적 관계가 교육적 관계보다 더 근본적이라는 견해에서 비롯된다.한편,타인-나의 관계는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윤리적 관점에기반을 둔다.이러한 윤리로부터 도덕적·윤리적인 주체는 타인과 세계에 대한 자신의관점을 확립할 수 있다.다른 한편,이러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관계는 교육적 실천, 특히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에 유용하게 적용된다.그러므로 이 연구가 이바지한바는 이중적이다.레비나스와 리쾨르의 ‘타인-나’의 철학을 비교 분석했다는 측면과윤리적 관계와 교육적 관계 사이의 철학적 화해를 시도했다는 측면이 그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윤리적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를 통해 새로운 교육적 관계를 도출하고 제안하는 것이었다.그 결과물로 레비나스 철학에 기초한 타자의 교육학과 리쾨르의 철학에 기댄 상호인정의 교육학을 제안하였다.한편,타자의 교육학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강조했다.1° 교사-학생 관계의 이중 비대칭성,2°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3° 가능성 교육으로서의 타자의 교육학.이런 세 요소를 통해 레비나스의 교육학의 특징을 논했다.다른 한편,상호인정의 교육학에서 역시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1° 자기 긍정과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2° 배려와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 3° 상호인정과 교육적 관계.이 세 가지 테마는 리쾨르 교육학을 대표하는 요소라 하겠다.

      • KCI등재

        O.F. Bollnow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

        강기수(Gang, Gi Su),최은주(Choi, Eun 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와 교육자의 관계본질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와 교육적 관계본질을 탐색하고,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자 관계의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본질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llnow는 모든 교육 현상을 유아와 교육자의 존재와 관계에 근거하여 유아와 교육자를 존재 그 자체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둘째, Bollnow의 교육적 관계론은 유아와 교육자에게 교육현장에서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극복하고 신뢰에 근거한 안정감과 희망을 갖게 한다. 셋째, Bollnow는 유아가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고 싶어하는 교육적 의지를 지닌 존재임을 주장함으로써 새로운 유아관을 제시한다. 결국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 유아-교육자의 관계론은 현재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관계부재, 교육 당사자 간 불신 등으로 야기되고 있는 교육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educators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O. F.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and its na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nature of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is as following. First, Bollnow understands all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the existence and relationship of infants and educators, and understands infants and educators as beings themselves, and attempts a concrete and essential approach to educational phenomena based on such understanding. Second, Bollnow’s educational relations theory allows children and educators to overcome the negative atmosph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gives them a sense of stability and hope based on trust. Third, Bollnow proposes a new preschool by asserting that the child has an educational willingness to voluntarily receive education. After all, the early childhood and educators relationship theory in Bollnow’s educational anthropolog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s a clue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relation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distrust among the educational parties.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인권과 교권에 관한 연구

        김철(Kim, Cheol)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오늘날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학생의 인권과 교권의 관계가 서로 대립의 관계가 아닌 교사-학생간의 상호 인격적 보완관계라는 것을 독일의 교육학자인 H. Nohl의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이론”(Theorie des pädagogischen Bezugs)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Nohl에 의하면 교권은 학생에 대한 헌신(Hingabe)과 권위(Autorität)로 나타난다. 교사의 권위는 폭력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닌, 단지 학생들을 인도, 안내하고 그들을 안정시키는 요소로써 모든 고차원적인 삶의 양심(도덕의식)과 정신이 수반되어야만 하는 모든 최상의 모범을 의미한다. 학생의 인권은 교사의 헌신에 대한 신뢰(Vertrauen)와 권위에 대한 복종(Gehorsam)으로 나타난다. 헌신에 대한 신뢰는 학생으로 하여금 더욱 더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교사의 권위에 관계하는 것은 학생의 복종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의 양면성(이중성)은 교육적 현실에서 당연히 긴장관계로 나타나는데, 이는 교사의 교육적 지혜(pädagogischer Takt)와 교육적 태도(pädagogische Haltung)에 의해 해결된다.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교권과 학생인권의 긴장관계 현상은 교육적 현상으로서의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의 본질에 대하여 숙고해보지 않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오늘날 교권과 학생인권과의 대립 현상을 다른 학문의 영역이 아닌 교육학의 영역 안에서 해결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das Verhältnis zwischen Recht des Schüles und Autotität des Lehrers in der Theorie des pädagogischen Bezuges bei H. Nohl zu überblicken. Nach Nohl ist der pädagogischer Bezug wegen seines duplizitären Charakters von Spannungen geprägt, die es durch konkrete Entscheidung im pädagogischen Handeln zu lösen gilt. In der pädagogischen Handlungsebene verlangt der Schüler nach Hilfe, Schutz und Anerkennung, um zu seiner Lebensform zu kommen. Dieses Verlangen ist Recht auf sein Wohl und muss von dem Lehrer befriedigt werden. Der Erzieher soll sich in den Schüler und sener Anlagen einfühlen können, um ihn innerhalb seiner Möglichkeiten zu unterstützen. Autorität des Erziehers ist ein Moment der Führung und Festigung, und die Repräsentation einer höheren Lebensform des Schülers. Autorität ist nicht Gewalt. Sie ist nichts anders als das Gewissen jenes höheren Lebens und das Vorbild jener höheren Form, dem die Seele zugeführt werden soll. Wie die Autorität nicht Gewalt bedeutet, ist auch mit Gehorsam des Schülers nicht aus Angst tun oder blind folgen gemeint. Wie sich oben zeigt, erzugt der pädagogische Bezug Spannungen in der pädagogischen Praxis. nämlich einerseits bei Erzieher, zwischen realistisches Sehen und idealistisches Wollen, Autorität und Hingabe, andererseits bei Schüler, zwischen Bedürfnis nach Hingabe und Bildungswille, Vertrauen und Gehorsam. Diese Spannung kann bei Nohl durch pädagogischen Takt und pädagogische Haltung von Lehrer gelöst werden. Der pädagogische Takt ist ein Ausdruck dafür, dass der Erzieher im pädagogischen Handeln eine Distanz zu seinem Schüler bewahrt. Die pädagogische Haltung ist eine Dimension der Erziehungspersönlichkeit, die eine Festigung des Gewonnenen und eine freie Lebendigkeit zu bewahren vermag. In diesem Sinne kann man wissen, dass ein Verhältnis zwischen Recht und Autotität nicht im konflikte Beziehugn, sondern im miteinander unterstützende steht, wenn wir das Wesen der Theorie vom pädagogischen Bezug bei Nohl recht versteht.

      • KCI등재

        소설 『동의보감』에 나타난 교육적 관계 분석

        육정미(陸丁渼),최성욱(崔成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2

        소설 동의보감은 한의학을 제재로 등장인물 유의태, 허준, 유도지 간에 전개되는 갈등과 희비를 섬세하고 박진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특히 유의태를 스승으로 모신 허준과 유도지가 경쟁적으로 의술을 익히는 관계를 묘사한다. 이 연구는 소설의 줄거리를 교육의 관점에서 주목하여 등장인물 간에 교육적 관계가 어떤 양태로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참고로 교육적 관계의 형성, 유지, 종결에 필요한 요건을 도출하고, 그에 비추어 소설의 내용을 해석하였다. 교육적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을 주요 분석틀로 삼았으며, 소설 텍스트의 분석을 위해서 해석학적 방법에 의거하였다. 연구 결과, 유의태와 허준은 교육적 관계의 요건에 부합한 반면, 유의태와 유도지의 관계는 그렇지 못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설 동의보감의 대비적 전개구도는 스승-제자 관계를 다루는 문학작품의 모티프를 재현해서 보여준다. 소설 동의보감을 통해 교사-학생 간의 관계가 교육적 관계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학교를 비롯한 생활공간에서 진행되는 교육적 관계에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novel Dong‑ui‑bo‑gam depicts the conflict and joy among characters Yoo Uitae, Heo Jun and Yoo Doji with sanctions on oriental medicine in a delicate and thrilling manner. In particular, the novel describes Heo Jun and Yoo Doji, who are disciples of Yoo Uitae, competitively mastering medicine. This study took note of the plot of the novel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nd looked at how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developed between the characters. Based on the prior studies, the requirements for the formation, maintenance and termination of educational relationships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of the novel were interpreted in light of them. As a research method for identifying educational relationships, Chang Sangho"s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was taken as the main framework of analysis, and the novel text was analyzed based on the hermeneutic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Yoo Uitae and Heo Jun met the requirement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while Yoo Uitae and Yoo doji"s relationship did not. This contrasting plot of the novel, Dong-ui-bo-gam, follows the motif of literary works dealing with Seuseung-Jeja relations. The novel Dong-ui-bo-gam reveals what requirements are needed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to move on to educational relationships, which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that goes on in schools and other places of life.

      • KCI등재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교육적 관계에 대한 비판적 연구

        김철(Kim, Cheol),임성철(Rhim, Sung-Chul)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2

        교사-학생, 교수자-학습자, 부모-자식 등의 인간적 관계 현상은 모든 교육적 활동의 기반이다. 이는 교육학이 하나의 독립된 과학으로서의 위상을 위한 필수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필연적인 교육적 관계현상은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교육적 형태의 등장으로 그 의미 및 가치에 대하여 숙고해 볼 것을 요청받고 있다. 그 중 21세기의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라는구호 아래 교육현장에 널리 퍼져있는 자기주도 학습의 교육 형태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자기주도 학습에서 교사-학생의 관계는 학습결과의 효율성, 효용성을 중시한 나머지 그 속에서 내포되어 있을 법한 상호 인격적, 대화적 관계에 대한 담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 교육의 형태에서 학습자는 교수자와 독립된 자기주도적인 능력을 지닌 존재로, 교사는 이들의 학습을 촉진하는 촉진자, 또는 안내자로서 역할만을 감당할 뿐이다. 특히 교사의 위치는 주변부로 떠 밀려 있는 듯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적 관계현상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라톤의『향연』에서 나타나고 있는 에로스의 관점에서 자기주도 학습에서의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향연』에서 플라톤은 그의 스승인 소크라테스의 힘을 빌어 에로스에 대한 견해를 억견(Doxa)에서 진리(Aletheia)에로의 전환으로 그려내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는 에로스는 교사와 학생이 공동으로 가치를 추구하고 실현해 나가도록 만드는 매개체이자 원동력이다.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를 매개하는 에로스에 대한 탐구는 더 나아가 오늘날 교사-학생의 갈등과 불신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교육적 현실을 극복하는데 이론적, 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r Begriffserklaerung der Erziehung taucht ein gemeinsames Grundphaenomen, d. h. das der menschlichen Beziehungen zwischen Kindern und Erwachsenen, Erziehern und Zoeglingen, Lehrern und Schuelern usw. auf. Dieses Phaenomen der zwischenmenschlichen Beziehung kann als “das erzieherische Verhaeltnis” bezeichnet werden, das sich in jedem Erziehungsvorgang befindet und dessen Theorie als das Lehrer-Schueler Verhaeltnis” in der personalen und dialogischen Begegnung auf der anthropologischen Bestimmtheit des Menschen in der Erziehung gruendet. Diese zwischenmenschlichen Beziehungsaspekte in Erziehung haben in der Geschichte der abendlaendischen Paedagogik eine lange Tradition. Vor allem kann man an den Systematikern der Paedagogik denken, die im ausgehenden 19. Jahrhundert die Paedagogik als Wissenschaft zu konzipieren versuchten, naemilch W. Dilthey und dessen Schueler H. Nohl. Fuer Dilthey gilt, in erster Lienie das Erziehungsverhaeltnis als Phaenomen der Erziehungswirklichkeit grundsaetzlich zu beschreiben und zu analysieren. Im Anschluss an paedagogischen Theoriebildung Diltheys argumentierte Nohl auch, die Gundlage der Erziehung ist also das leidenschaftliche Verhaeltnis eines reifen Menschen zu einem werdendnen Menschen und zwar um seiner selbst willen, das er zu seinem Leben und zu seiner Form komme. Daher wird ersichtlich, dass zwischenmenschschliche Beziehungsaspekte im Erziehunsgvorgang unerlaesslich sind. Aber wenn man am sog. Selbstgesteuerten Lernen in der heutigen Schule denkt, dann waere nicht so leicht, das Phaenomen der zwischenmenschlichen Beziehungsaspekte zu erhellen, das sich personhaft und dialogisch untermauert, da in diesem naturoptimistischen Lernen Schueler als ein Samen, und Lehrer nur als ein Gaertner betrachtet werden sollte. In diesem Sinne zielt die vorliegende Arbeit darauf, das Lehrer-Schueler Verhaeltnis im Vorgang des Selbstgesteuerten Lernens kritisch zu betrachten, vor allem im Himblick auf Eros, das sich im Platons Symposion nicht zum Doxa, sondern zur Aletheia fuehrt. Nach Sokrates sollte Eros ein Hilfsmittel sein, mit dem sich Lehrer und Schueler miteinander verbinden und die beiden zusammen zur schoensten Position fuehren laesst. wo man die wahre Werte des Lebens wahrnehmen kann. Schliesslich sollte diese Arbeit dazu beitragen, die Werte Lehrer-Schueler Verhaeltnisses im heutigen Erziehungsvorgang zu reflektieren und neu zu konzipieren.

      • KCI등재

        컨설팅의 관계를 보는 또 하나의 관점: 교류교육적 협력관계

        신기현 한국교육원리학회 2023 교육원리연구 Vol.28 No.1

        This study present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exchange education in consulting based on the theory of educative frame. The relationship of consulting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consulting. In this study, the risks that consulting relationships can have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sychology, culture, change, and difference, and in this regard, Caplan, Schein, and Bellman's theories on consulting relationships are reviewed. In the second half of the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ducative frame,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exchange education proposed there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exchange education in consulting was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exchange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how to positively utilize the difference between consultee and consultant in consulting. And at the center of the cooperation is the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nd agreement through the exchange educational negotiations between them. I think tha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of exchange education in consulting can b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consulting from a new angl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이 연구는 교육본위론을 토대로 컨설팅의 교류교육적 협력관계의 구조와 특성을 제시하였다. 컨설팅의 관계는 컨설팅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컨설팅 관계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을 심리, 문화, 변화, 차이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와 관련해서 Caplan, Schein, Bellman의 컨설팅 관계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교육본위론에서 제시된 교육적 관계, 교류교육 등의 개념에 근거해 컨설팅의 교류교육적 협력관계를 제안하였다. 교류교육적 협력관계의 관점에서 볼 때 컨설팅에서는 컨설티와 컨설턴트의 차이를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그 협력의 중심에는 컨설티와 컨설턴트의 교류교육적 교섭을 통한 이해와 합의의 성취가 있다. 교류교육적 협력관계는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각도에서 컨설팅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에 관한 고찰

        정기섭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roblems experienced in the untact educational situation due to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sharing space in educational relationship. Method: For this purpose,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of Locke and Rousseau, 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mentioned by the geisteswissenschaftliche Paedagogen. At last, it was tried to explain the problems experienced in untact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meaning of sharing space in educational relationship. Results: Spac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provides clues for explaining problem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education. Conclusion: The experience in untact educational situation confirmed why the sharing of the space formed in the face-to-face human educational relationship is important. If the learning process to enable a balanced sensory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space is omitted and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only learning from the technical and engineering perspective will remain. 연구목적: COVID-19로 인해 언텍트 교육상황에서 경험한 문제들을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라는 관점에서 해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그를 위하여 1) 로크(J. Locke)와 루소(J.J. Rousseau)에게서의 교육적 관계를 살펴보고, 2)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에게서 읽어낼 수 있는 교육적 관계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3) 교육의 구성요소로서의 공간,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그를 토대로 언텍트 교육에서 경험한 문제들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관계는 특정한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의 교육자-피교육자의 관계이다. 이러한 이해에서 공간은 교육활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비대면 교육에서 경험한 문제해명을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논의 및 결론: 언텍트 교육경험은 대면의 교육적 관계에서 공간의 공유가 왜 교육적으로 중요한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균형적인 감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대면의 교육적 공간에서 교육의 과정이 생략된 채, 감각 경험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비대면 공간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만을 강조하게 된다면 교육자와 피교육자의 관계에 기초한 교육은 사라지고 기술공학적 관점에 의한 학습만이 남게 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 KCI등재

        교육사상에서의‘교육적 관계’비교

        김철(Kim, Cheol)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 연구는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교육학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사상에서 나타난 인간관을 바탕으로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estalozzi의 세 가지 인간존재 방식에 의지하여 교육의 형태를 자연주의적, 사회학적, 인격주의 관점의 교육사상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Rousseau로 대표되는 자연주의적 교육사상에서 인간의 인식과 행동은 우연적이며, 자연적인 힘을 통하여 조정되고, Durkheim의 사회적 관점에서는 교육을 통해 사회화된 인간은 사회의 역할자로 대변된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 현상은 인간이 자연과 사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작품으로 탄생되기 위한 일방적인 관계 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와는 반대로 인격적 관점에서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결정하는, 자기 스스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존재로 나타난다. 즉, 이 관점은 인간이 자유의지에 의해 행동하며 목적과 가치를 지향하는 존재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교육은 교육의 주체자자로서 인간이 자기결정을 통해 스스로를 실현시켜 나가는 일과 관계한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 교육적 관계는 대화를 매개로 하는 ‘나-너’의 인격적인 관계로 파악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비인간적, 인간소외로 나타나고 있는 교사-학생의 교육적 관계현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다.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darin, das Phänomen des erzieherischen Verhältnisses im Hinblick auf der pädagogischen Theorien der natürlchen, sozlialen und pseronalen Perspektive hermeneutisch zu analysiern und zu vergleichen. In natürlchen Erziehung werden menschliches Erkennen und Handeln durch die Naturkräfte gelenkt, nämlich nicht in mir, sondern in Natur, da Erziehung in diesem Modell als Handlung zur Förderung der angeborenen menschlichen Natur zu verstehen vermag. In soziologischer Sicht wird Erziehung als ein Prozess der Sozialisation des Menschen mit Normen, Ordnung und Verhalten, die von der Gesellschaft in Anspruch genommen werden, verstanden. Somit tritt das Menschenbild in sozialen Perspektive der Erziehung als gesellschaftlicher Rollenspieler auf. In diesen beiden pädagogischen Gedanken der Erziehung erscheint Phänomen das Lehrer-Schüler Verhältnis als Gärtner-Pflanz oder Arzt-Patient, nämlich in medizinischen, therapeutischen Ebene, weil ich als Mensch in jenen beiden Fällen von der Natur getrieben, von der gesellschaftlichen Verhältnissen mitgerissen wurde. Im Gegensatz zu diesen beiden Fällen handelt es sich um Mensch als Person in personer Erziehung. Dort gestaltet und verwirklicht Mensch als Person selbst, hier bin ich ein Werk meiner Freiheit, miner Wahlen und Entscheidunge. In diesem Sinne wird das Lehrer-Schüler Verhältnis als eine Ich-Du personale Beziehung realisiert, die im dialogischen Prinzip ausgedrückt wird.

      • KCI등재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계론

        이현주(Lee HyunJoo),유혜령(Yeu HaeR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교육론이 지배적인 현대에 교육적 상황의 정서적 측면이나 분위기 요소의 현상학적 중요성을 주장한 독일의 실존교육론자 Otto 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형태의 어린이와 교사간 관계가 강조 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는 어린이의 입장에서 볼 때 교육적인 분위기는 안정과 즐거움이 깃든 것이어야 하고, 어린이의 자발적인 감사와 순종의 본성을 북돋아줄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교사의 입장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신뢰, 사랑과 인내의 덕목이 교육적 분위기의 핵심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맺어지는 어린이-교사 관계는 ’근원적 마음씀’의 관계, 지평융합적 나-너의 관계 만남의 관계, 기다림과 희망의 관계로 해석된다. 교육 현장의 분위기의 현상적 특성과 관계맺음의 성격은 교육이 근원적으로 인간관계에 기초하며 그 관계기 엮어내는 각각의 구체적인 맥락과 분리될 수 없는 것임을 알려 준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question what might b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in the Otto F.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This is to reconceptualize the genuine natur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going beyond the scientific notion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hat is hierarchical, uni-directional, and power-laden. The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is the foremost example of his phenomenological analyses on educational reality, and thereby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hrop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his analyses on pedagogical atmosphere, Bollnow emphasizes, from child's perspective, the voluntary gratitude and obedience as the child's intrinsic natures, and suggests that pedagogical atmosphere for child should be filled with the feeling of security and joy. From teacher's perspective, he stresses the trust in child's being and capability and the virtues of love and patience as the crucial components of being a teacher. In such atmosphere child and teacher get into the process of mutual "Bildung," i.e. the relationship of the fundamental care(Sorge) of and waiting for each other's being, the I-Thou relationship leading to a true "encounter" and to the fusion of different horizons of each other. This relationship would be truely pedagogical as it relates a child to a teacher and vice versa, within which they come to belong to mutual hope for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