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교육 성과평가 관련 선행연구 실태분석

        정철영,이유우,김태환,최로미,이승엽,박신희,박선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진로교육의 성과를 평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교육 성과평가 연구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종합계획이 발표된 지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로교육 활동의 성과를 평가한 국내⋅외 선행연구 98편을 선별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제목으로 국내 연구는 ‘효과’ 및 ‘영향’이란 용어를 중심으로 진로교육 성과를 표현하였지만, 국외 연구는 ‘효과(effect)’와 ‘영향(impact)’ 이외에 ‘개발(development)’, ‘향상(improve)’, ‘결과(outcome)’ 등의 다양한 용어를 활용하여 진로교육 성과를 표현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으로 국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국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연구 모두 실험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조사연구의 비율도 44.6%로 실험연구의 비율과 비슷하였다. 넷째, 국내․외 연구가 활용한 진로교육 활동 변인을 분석한 결과, 진로수업, 진로체험, 진로상담, 진로심리검사, 진로정보제공, 취업지원의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국내⋅외 연구가 활용한 진로교육 성과 변인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연구는 진로성숙도의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국외 연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진로교육 성과 변인의 빈도를 성과 수준 및 평가 시점에 따라 구분한 결과, 국내 연구는 개인 수준의 성과 변인만을 활용한 반면, 국외 연구는 지역 및 국가 수준의 변인을 6회 활용하였다는 차이점이 있었으며, 국내⋅외 연구 모두 즉각적 평가 시점의 변인을 주로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일곱째, 진로교육 성과 변인을 분석결과에 따라 구분한 결과, 국내․외 연구 대부분 성과 변인의 수준이 향상되었으나 몇몇의 선행연구에서는 성과 변인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연구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도구로서 티칭 포트폴리오 적용방안 탐색

        이은화(Lee Eun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평가도구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기 위한 교과목 티칭 포트폴리오의 세부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2014년 6월부터 2015년 2월까지 3차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은 환경 분석, 교육목표,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교육성과, 교육개선노력 등 5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영역의 세부 구성요소에 있어서, 환경 분석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자 진단 도구, 학습자 진단 결과 분석, 교과목의 교육과정상 위치 등 3가지였다. 교육목표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성과간 체계성, 교과목 학습성과 수행준거, 교과목 학습성과별 반영 비율, 교과목 학습성과 달성목표 등 4가지였다.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영역의 구성요소는 교과목 내용체계도, 수업계획서, 교수자용 수업자료 등 3가지였다. 교육성과 영역의 구성요소는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 계획, 학습성과별 평가도구, 평가도구별 평가기준, 학습성과 달성도 분석 등 4가지였다. 교육개선 영역의 구성요소는 과거 교육개선 계획의 반영, 미성취학생 지도 계획, 교육개선노력 실적, 미래 교육개선 계획 등 4가지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과기반 교육과정운영 평가를 위한 교과목 티칭 포트폴리오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use of the teaching portfolio as a tool to evaluate Outcome-Based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and to present the detailed components. To do this, we analyzed the precedent research and conducted Delphi survey on the experts by thre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ea of environmental analysis includes the tool to diagnose learners, analysis of diagnostic result, and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Outcome-Based Education curriculu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a is composed of the systematicity of learning outcomes, performance criteria for curriculum learning achievement, reflection ratio of the subjects in curriculum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goal of curriculum learning achievement. The contents of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 area contains the systematic map of curriculum contents,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for instructor. Educational performance areas includes the evaluation plan for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tools for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criteria using assessment tools, and achievement analysis of educational performance. The area of education improvement is composed of the reflection of the improvement plan, the plan for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he materials of the education improvement effort,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ubject.

      •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韓南大學校 敎育硏究所 2011 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n their learning outcome.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including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Among variables of the adult learners' personal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gender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didn't mak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outcome, their age made meaningful differences. The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learning outcome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as the study analyzed how differences of human capital according to participating time, period, purpose and areas affected learning outcome of social and human capital, the result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e more the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directly benefited learners' real life and work the higher their learning outcome became. In terms of subcategories, the participation affected private trust, recognition of norms and total social capital. So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had huge influence on forming social and human capital, showing especially high correlation with forming social capital.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원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생교육 참여 관련 요인을 추출하여 변수들을 참색하고, 대전지역 5개 대학 평생교육원에 등록한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학습자 개인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 학력은 학습성과 인식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연령은 학습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 변인들과 학습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학평생교육원 학습성과를 참여 시간, 기간, 목적, 참여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이들 요인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유익성과 평생교육원 지원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학습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원의 학습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학습성과로는 사적신뢰, 규범인식 등의 사회적 자본과 학습력, 삶의 질 등 인적자본의 학습성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평생교육원의 행정지원 여부는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자본 형성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기관의 행정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학습성과체계도를 이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개발 사례연구

        박장희(Park, Ja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대부분 의과대학은 사명과 인재상 중심으로 성과바탕교육을 하향식으로 편성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과정이 형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성과체계 도를 이용해 성과바탕교육을 보다 체계적이면서도 교육현실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구 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학습성과체계도를 문헌조사와 전문가워크숍을 통해 2016 년에 구성하였고, 교수와 학생대상 설문으로 내용 타당성을 2017년과 2018년에 조사하 였다. 졸업성과에 대해 2018년에 재학생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공인타당도, 구인타 당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공인타당도는 대학에서 개발한 졸업성과와 의과대학장․ 의학전문대학원장협의회의 졸업성과를 상관분석을, 구인타당도는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을, 그리고 신뢰도는 내적일관성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학년을 기초로 한 위원회에서는 2019년에 워크숍을 통해 그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고 목표 성취수준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성과체계도는 3개의 교육목표, 7개의 성과영역, 19개의 성 과항목으로 구분되고, 각 성과항목은 3단계의 성취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구인타당도 검증은 좋은 적합도를, 개발한 졸업성과와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의 기본의학학습성과와 상관분석으로 높은 공인타당도를, 그리고 높은 내적일관성신 뢰도를 보였다. 대부분의 졸업성과는 고학년이 될수록 성취수준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인재상을 기준으로 학습성과체계도를 먼저 구성하고, 각 학년별 도달수준을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은 대학의 교육과정을 체계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구성하는 대안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Most medical schools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outcome-based education which is commonly developed in a top-down manner reflected by mission and vision and determine whether medical students have achieved the graduate outcomes by the time of grad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by developing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and evalu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expert workshop, and the feasibility of the content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professors and students. The top level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graduate level,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for concurrent analysis, and Cronbach ɑ for reliability. After the valid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the content experts described the contents more specifically in the workshop.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consisted of 3 learning objectives, 7 categories, and 19 subcategories. The top level of 19 subcategories is graduate outcomes. The construct validity was analyzed wi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Equation Structural Modeling. The index of the structural model was a good fit. The committee consisted of the medical school professor described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specifically in the workshops. As a result of the survey, senior students were higher level than junior students in the most graduate outcomes, but the research and foreign languag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curriculum by setting the learning outcomes framework is an alternative method of organizing the college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realistically.

      • KCI등재

        평생교육학습자의 학습능력이 교육성과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남기영,윤준상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습자의 학습능력이 교육성과와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에 있어 교육성과의 매개변수로써의 수행 여부를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고 평생교육 학습자 90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교육자의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직무수행능력과 교육성과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문제해결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개발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는 채택되었고 대인관계능력과 직무 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도 채택되었다. 이는 문제해결능력이 직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매개효과로서 교육성과와의 연관성이 낮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반면 자기개발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따른 직무수행능력을 개선 또는 향상 시키는데 교육성과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개발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의 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효과가 채택되었고 대인관계능력과 직무 수행능력의 상호관계에서 교육성과의 매개효과가 채택되어 상호관계의 유용성을 지지해 준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learners' learning ability on educational outcomes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ducational outcom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900 lifelong education learner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evelopment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job performance competency and educational outcomes. Meanwhile, their educational outcomes were not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But their educational outcomes wer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evelopment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This suggests that whil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has a low relationship with their educational outcomes 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ir job performance competency, their educational outcomes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improving their job performance competency in their self-development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y these finding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were not adop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bu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educational outcomes were adop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as well 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evelopment ability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supporting the usefulness of relationship.

      • KCI등재

        무용교육프로그램 성과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황인주 ( Hwang Injoo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5 No.-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가 무용교육의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가치의 달성이라는 교육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효과적으로 평가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기본원칙과 분석틀에 기반을 둔 성과분석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평가질문에 답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성과분석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분석모형인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성과분석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무용교육프로그램 성과평가모형은 무용교육평가의 전통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벗어나 투입- 산출-성과-영향이라는 성과과정단계로 구성된 성과분석모형을 개발하고 단계별 세부 성과지표를 개발ㆍ제시함으로써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성과과정 상의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성과결과를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학생-교사-교육내용-교육공간이라는 무용교육평가영역에서 이루어진 미시적 무용교육평가를 무용교육프로그램의 성과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장기적 성과 및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시된 성과평가모형은 무용교육프로그램 효과성 및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 도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o evaluate properly the performance of the dance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based on logical and efficient principles. In other word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which can provide answers for key question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dance education program.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evaluation model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the dance educational program operated by Korea Arts & Service Education Service. To build up a systematic model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the basic framework of the logic model is used, for the logic model has been widely considered to help evaluators design evalu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for various programs. The evaluation model derived in this study logically explain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ey elements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provides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make it possible to measure performance outcomes and impacts quantitatively. Using the suggested model, it is expe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dance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Korea Arts & Service Education Servic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성과관리 이론에 기초한 기업교육 성과지표 탐색

        황성준,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rporate education based on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Because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is primarily focusing on achieving strategic goals of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rporate education associated strategic goals should be developed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measure performance. Therefore, organization for corporate education needs strategic corporate education process, and take advantage of metrics approach to use objective and comparable measures. Typical advanced performance indicators by metrics approach are ASTD metrics, human resource metrics, metrics for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n BSC, and metrics in survey on korea HRD. If corporate education organization uses those metrics, trial and error to develop indicator can be minimized. To set up performance indicators available to corporate educati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classified as two types, which are effectiveness indicators related to achieving strategic goals and efficiency indicators related to output compared to input. Effectiveness indicators are presented by analysis of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in 5 areas such as improving employee competencies, leadership and development of talent, sharing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and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Meanwhile efficiency indicators are presented by analysis of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5 areas such as educational investment, educational staff, curriculum, form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evaluation fo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성과관리 이론에 기초하여 기업교육의 선진 성과지표에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효과성과 효율성의 성과지표 유형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기업에서 성과관리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일차적인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업교육에서도 전략과 연계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기업교육 활동의 실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교육에서는 전략적 기업교육 프로세스를 갖추어야 하며, 비교가 가능한 객관적 측정지표인 매트릭스 접근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매트릭스 접근방법에 의한 대표적인 기업교육의 선진 성과지표는 ASTD의 성과지표, 인적자원 측정지표의 기업교육 관련 성과지표, BSC의 학습과 성장 관점 성과지표, 인재개발 실태조사와 인적자본 기업패널 조사의 성과지표 등이 있다. 기업교육 성과지표 개발시 이러한 선진 성과지표를 활용하게 되면 지표개발 및 적용에 따르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기업교육의 성과지표를 전략적 파트너로서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교육 전략의 달성과 관련된 효과성(effectiveness) 지표와 예산, 교육시설, 장비, 교육인원, 프로그램 등의 운영에 있어서 투입 대비 산출과 관련된 효율성(efficiency) 지표로 나누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성과지표를 구분하였다. 기업교육의 효과성 지표에서는 직원 역량 향상, 리더십/핵심인재 개발, 조직문화 공유, 조직학습 및 지식공유, 경영성과 향상 등 5가지 영역에 따라 각각의 성과지표를 제시하였으며, 효율성 지표에서는 교육투자비, 교육담당자, 교육과정, 교육형태/방법, 교육평가 등 5가지 영역에 따라 각각의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리자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리더십역량교육을 중심으로 -

        박성규,양석균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2 No.-

        오늘날을 흔히 지식사회라고 한다. 지식사회에서 인적자원은 조직경쟁력의 중요한 경영자원의 하나이다. 핵심인재를 확보하고, 적재적소에 배치, 육성 및 관리하는 것은 인적자원 관리 및 개발업무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많은 학자들이 핵심인재들의 역량에 대하여 연구해 왔다. 이들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우 바람직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이를 활용하여 현재 임직원들의 역량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킬 경우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핵심역량개발과 그 활용성과에 관련된 분야의 이론이 발전됨에 따라서 조직의 여러 가지 다른 요인들에 의하여 교육성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관리자의 바람직한 리더십역량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관리자의 교육에 활용하였을 떄에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의지, 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진취적인 기업문화 및 역량모델의 신뢰성 등의 4가지 요인이 교육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위의 4가지 요인이 관리자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줄때에 피교육자의 성(Sex), 학력, 직위 및 기업규모가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조직 상황적 특성변수인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의지, 진취적인 기업문화 및 역량모델의 신뢰성은 관리자에 대한 리더십 역량교육의 교육성과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리자의 직무만족도는 유의적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의지, 관리자의 직무만족도, 진취적인 기업문화 및 역량모델의 신뢰성 등이 관리자의 교육성과에 영향을 줄때에 피교육자의 성(Sex), 학력, 직위 및 기업규모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성(Sex)은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 의지와 관리자의 직무만족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관리자의 직무만족도에, 직위는 최고경영자의 인재육성 의지에, 그리고 기업규모는 관리자의 직무만족과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n these knowledge based society, human resource is one of the critical management resources. Collecting key talented people with excellent competencies, right posting, training, and managing these talented people are very important HRD & HRM activities. Many scholars have studied about the competencies of the talented key people. Most of these researches indicate that, in most cases, identifying the competencies of the people in the organization and training people based on these competencies entail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training results. But, as the theories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ies and their utilizing having been developed, many studies indicate that even the competency based training results could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4 factors in the organization - CEO's will of fostering the talent, progressive corporate culture, reliability of leadership competency model, and manager's job satisfaction - influence the competency based leadership manager training results. And we also made a close examination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x, level of education,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trainees, and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on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training. The summary of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es is as follows. First, the three factors - CEO's will of fostering the talent, progressive corporate culture, reliability of leadership competency model -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training results. But the manager's job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ining results. Second, when the three factors influence the competency based manager leadership training results, we found that the sex, level of education,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trainees, and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have the moderating effects. The sex h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CEO's will of fostering the talent and the manager's job satisfaction. The level of scholary attainments h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manager's job satisfaction. The position of the trainees in the organization has moderating effect on CEO's will of fostering the talent. And the scale of the organization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manager's job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교육성과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김정아,남궁지영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코호트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 학교 2학년 학생을 교육성과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변화 추이(초등 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와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성과(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수준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계층은 전체의 23.3%를 차지하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 행복, 인성 모두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우수집단), 두 번째 계층은 전체의 과 반수(55.0%)를 차지하며, 교육성과가 모두 중간 수준이었으며(양호집단), 마지막 세 번째 계층은 전체 의 21.7%를 차지하며, 모든 영역에 있어 교육성과 수준이 낮았다(부진집단). 우수집단과 양호집단 간 에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비교적 적다는 점을 제외하면, 세 집단간 교육성과의 차이는 뚜렷하게 상, 중, 하로 구분되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인성 수준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학교생활 행복 및 진로성숙도 수준은 점점 낮아졌다. 한편, 잠재계층별 교육성과의 격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대되었는데, 우수한 성과를 내는 학생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더 높은 성과를 내었고, 성과가 부진한 학생들은 점점 더 낮은 성과를 내어, 이들 간의 교육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었다.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학생들 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은 학생의 성별, 교육포 부수준,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학업무기력, 휴대전화 중독 등의 학생 개인 특 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측면이 상당했다. 다시 말해, 남학생일수록,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이 낮고, 신체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이 낮으며, 학업무기력과 휴대전화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부진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생의 개인특성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의 부진함 역시 학생 들이 교육성과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였는데, 교사들의 수업의 대한 열의가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일수록, 협력적 학습태도 수준이 낮고, 학생회/학급 자치활동 및 동아리활동에 참 여하지 않는 학생일수록 교육성과 수준이 낮은 부진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우수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은 부진집단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 것과 정확히 정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2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and to test determinants of the class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happiness in school life and level of character.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classified into higher outcomes (advanced group), intermediate outcomes (average group) and lower outcomes (weak group) in all areas.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outcome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came from lower-class families showed higher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weak group. More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lower ambition for education, lower self-concept regarding their physical aspect, families and society, higher learning helplessness and cell phone addictio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weak group. Poo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lso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tudents belonging in the weak group. Moreover, those who learned from teachers with low passion for instruction, or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low capac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or low participation in student council or club activities were also more likely to be part of the weak group, with low educational outcomes. On the other hand,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advanced group proved to be the exact opposite of the weak group.

      • KCI등재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대생의 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최보은(Choi, Boeu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들의 대학교육성과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선험적이거나 개인 적인 경험에 바탕을 둔 엇갈린 견해들만이 있을 뿐 실증적인 자료를 근거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여대 학생과 남녀공학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 차이 및 영향요인을 알아 보고자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자료를 중심으로 여대생 총 87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성과를 학업성과와 취업성과로 구분 하고 학업성과는 학점, 휴학, 자퇴, 대학시설만족도, 대학교육만족도, 학과에 대한 자부심, 학 교에 대한 자부심으로, 취업성과는 취업여부, 근무형태, 전공일치도, 업무만족도로 구분하였 다. 연구결과,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들 간의 대학교육성과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학교의 여학생 구성 비율에 따라 조금 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학생의 대학교육성과에 가정배경과 학교특성이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엇보다도 학업성과에 있어서는 수업태도가, 취업여부에 있어 서는 구직활동경험이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점은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대학교육성과 전반을 여자대학과 남녀공학 여학생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으나, 여러 가지 제한 점도 가지고 있다. 즉, 자료의 한계로 여자대학 소속 학생들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였고, 근 무형태, 취업직종, 임금 등 취업성과가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못했다. 아울러, 대학교육여건 차 이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으며, 학교의 문화, 외부에서의 지명도 등에 관련된 부분이 설명되 지 못했다. 향후에는 이런 점을 개선․보완한 후속연구가 수행되어 보다 심층적인 여자대학 의 효과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coeducation and women'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its effectiveness have had little empirical studies while there are contradictory view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factors on female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the two types of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4th to 6th year (2007-2009) data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with other resources. In total, 873 female students were under examined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coeducations and women's universities. Second, there were rel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Third,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learning attitude was an important factor on academic outcomes and job seeking activity was an important factor for 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ractic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encourage their students to be more engaged in classrooms, and to support students’ job seek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