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학습기회 및 사회적 지지가 교육 신념에 미치는 영향

        전병운,정은혜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교사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 요인들로 나누어 어떠한 요인들이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어떠한 요인들이 상대적 영향력이 큰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가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 요인은 교육신념의 34.9%를 설명하며, 영향력의 크기는 학습기회가 사회적 지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가 교육신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 요인은 교육관의 23.2%, 학습자관의 23.1%, 교수.학습관의 31.9%, 교과관의 17.1%를 설명하며,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관, 교수.학습관, 교과관에서는 학습기회가 사회적 지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관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학습기회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기회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이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비공식적 학습기회와 학부모 지지만이 교육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적 학습기회와 학부모 지지 요인은 교육신념의 40.4%를 설명하며, 영향력의 크기는 비공식적 학습기회가 학부모 지지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belief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mpare relative effects among them, after dividing the factors into ones for teachers’ learning opportunity and for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effects of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on educational belief showed that both jointly accounted for 34.9 % of educational belief, with learning opportunity having greater effects compared to those of social support. Second, the analysis of effects of the two constructs on sub-factors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23.2%, 23.1%, 31.9% and 17.1% of views for education, learner, teaching-learning and subject matter, respectively, and that the effect sizes was greater from learning opportunity compared to them from social support in views for education teaching-learning and subject matter while greater from social support in view of view for learner. Third, the analysis of effects of sub-factors of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on learning belief showed that only informal learning opportunity and support from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belief, accounting for 40.4% in joint. The effect size of former was grater than that of latter. The means for enhancing educational belief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중등 특수교사의 학습기회와 사회적지지 및 교육신념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전병운,정은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배치환경(특수학교, 특수학급)에 따른 학습기회, 사회적지지, 교육신념, 수업전문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특수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학습기회와 사회적지지, 교육신념으로 나누어 특수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어떤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큰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치환경(특수학교, 특수학급)에 따른 학습기회, 사회적지지, 교육신념, 수업전문성의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수학교 교사가 특수학급 교사보다 학습기회의 '비공식적 학습기회', 사회적지지의 '동료지지', 교육신념의 '교수·학습관', 수업전문성의 '수업 후 활동' 측면에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기회와 사회적지지 및 교육신념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기회와 교육신념 요인은 수업전문성의 80.6%를 설명하며,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신념이 학습기회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기회와 사회적지지 및 교육신념의 하위 요인들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신념의 교수·학습관, 교과관, 학습자관과 학습기회의 비공식적 학습기회와 공식적 학습기회 만이 수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은 수업전문성의 82.7%를 설명하며, 영향력의 크기는 교육신념의 교수·학습관, 교과관, 학습자관이 비공식적 학습기회보다 크고, 비공식적 학습기회는 공식적 학습기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의 기회균등’의 헌법적 의미와 개선방안

        장영수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89

        After liberation, South Korea’s education shift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of education contribute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erving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democracy. Nonetheless, there have been criticism that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has deteriorated, making rags to riches story no longer feasible today. As can be confirmed from Korea’s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as well as the nation’s future. When regarding the fact that better education contributes to a better future,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definite future investment. Therefore,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eans discrimination in future development possibilities. One typical problem that critics point out is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resulting in un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natural for the parents to use their wealth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differ depending on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a factor that is irrelevant to one’s ability or effort and is threaten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not to mention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 deterioration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is issue is not a problem that is limited only to those serving in the field. Instead, it should be regarded as a problem that the nation and the public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resolve. This article takes such idea as a premise and has searched for the meaning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reason of its deterioration, as well as feasible solutions. First, the article over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Next, the article reviewe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s a premise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Furthermore, to realiz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article searched for a way to reform university entrance exam, as well as exam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issues. The future of Korea is determined by education and the future of education is determined by equal opportunity. Since the future Korea without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ill undergo extreme discrimination and social conflicts, equal education opportunity is an essential value that cannot be abandoned. Therefore, the effort to expand and strengthe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gin right now. If there is no immediate movement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ocial structure will stiffen, social hierarchy will become fixed, and equal opportunity in the future may be delayed or be lost forever.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은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해 왔다. 교육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이 제고되었고, 교육은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으며, 개천에서 용 나오기가 더 힘든 사회가 되었다는 지적들이 많아지고 있다. 교육은 개인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는 우리 현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보다 훌륭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은 곧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투자이다. 이러한 교육에서 차별이 발생한다는 것은 바로 미래의 발전가능성에 차별이 생긴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른 교육의 기회균등 왜곡이다. 부가 편중되고 세습되면서 부를 이용하여 자식에게 더 좋은 교육을 시키려는 경향이 커지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비추어 볼 때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로 인하여 본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아닌,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서 교육의 기회가 달라지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을 매우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자칫 민주주의의 기초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균등 악화 및 이와 결부되어 있는 대한민국 교육제도의 문제상황은 교육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 국민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래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이 갖는 의미와 그 악화의 원인 분석,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의 개념과 성격 및 기회균등의 중요성에 대해서 개관하고, 이와 연결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전제로서의 공교육 정상화를 검토하면서 공교육이 교육의 기회균등에서 얼마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질화하기 위한 대학입시의 개혁방향을 모색하였고, 이와 더불어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로서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업교육의 실질화와 평생교육을 통한 교육의 기회균등을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교육이 결정하며, 교육의 미래는 기회균등이 결정한다. 기회균등이 없는 교육에 기초한 미래 대한민국은 훨씬 더 심각한 불평등과 사회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결코 포기될 수 없는 가치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 당장 시작되어야 한다. 오늘 바로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해 움직이지 않으면, 그리고 그로 인해 사회구조가 더욱 경직되고 사회적 계층이 고착화된다면 미래의 기회균등은 10년 더 늦어질 수도 있고, 영영 때를 놓칠 수도 있을 것이다.

      • 대학교육에서 기회균형선발제의 근거와 쟁점

        이제봉(Lee Je Bong)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이 글의 목적은 우리사회 대학교육에서 사회적 약자 배려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기회균형선발제의 근거와 쟁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기회균형선발제가 담고 있는 교육기회의 평등, 적극적 평등의 실현,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이 대학교육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논란을 일으키는가를 알아보려고 한다. 기회균형선발제의 실시 근거는 교육기회의 평등, 보상교육, 대학교육의 다양성 확보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기회균형선발제는 교육평등의 실질적 효과, 논리적 근거의 적합성, 역차별, 제도시행을 위한 준비부족에 대한 논란을 일으켜왔다. 특히 2009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실시되는 기회균형선발전형은 대학정원의 실질적 증원효과, 수도권으로의 학생집중, 기초학습능력 증진, 재교육 등 사후조치를 위한 대학의 역량부족, 재원확보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rms, rationales, and controversies on the affirmative action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ffirmative action in education refers to policies and programs designed to advanc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for individuals form groups that have suffered systematic historical discrimination or economic inequality. The arguments in favor of affirmative action are that it is a necessary legal and moral remedy for past discrimination or the present economic inequality. The supporters also argue that affirmative action is a protection or a prophylactic necessary to deal with the persistent economic barriers to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Whereas, arguments against affirmative action is that it is ultimately unfair and unethical because it violates the basic principles of opportunity. The critics also believe that affirmative action unfairly displaces more qualified applicants with less qualified members of protected group. They argue that it is problematic because the affirmative action will be used by means for enlarging student enrollment by the Universities of Seoul area. Analysis on these controversies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develop a new policies and programs for advancing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창업교육이 기회인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최민정,박재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3

        Entrepreneurship based on valuable opportun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economic growth. This study examines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fered to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from the perspective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and future direc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so, we tried to investigate entrepreneurial behaviors related to opportunity development more effectively by consider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regulatory focus that play a crucial role in opportunity development process as mediating variables. Conducted was an online survey of small business owners nationwide who have complet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345 online survey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include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riented courses,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The promotion focu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pportunity recognition, but not on opportunity evaluation. Also, the preventive focu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The curr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pportunity recognition and eval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needs improvements to promote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가치 있는 기회를 기반으로 한 창업은 국가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서민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에 대한 정부의 교육적 지원의 개선점과 방향성을 제언하기 위해 현재 소상공인들에게 제공되는 창업교육을 기회형 창업의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정부의 소상공인 창업교육을 수료한 전국의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345명의 온라인 설문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상공인들을 위한 창업교육과 지원제도는 창업효능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효능감은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역량은 물론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과 실습교육이 포함된 소상공인 창업교육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들의 향상초점은 기회인식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회평가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상공인들의 예방초점은 기회인식과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 소상공인 창업교육은 소상공인들의 기회인식과 기회평가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소상공인들의 기회형 창업율을 높이기 위해 현 창업교육에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원 편향적 정치적 기회구조의 형성:정당배제형 교육감 직선제를 중심으로

        박대권,최상훈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敎育政治學硏究 Vol.30 No.2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system to an appointment system, a first-line system, and easing the qualifications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is change related to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as attributed to the growing social demand for democratic representation.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is change in political structure provided a political opportunity to exclude political partie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s a result of institutional interaction with the basic framework centered on “professionalism,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olitical opportunities are divided into structural and cognitive opportunities. First, the fundamental exclusion of parties, which are important pillars of the superintendent's election process, has increased the openness of interest groups such as teachers' groups to access power and use the political system. 본 연구는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자주성을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정당을 배제한 것이 ‘교원 중심 교육의 전문성’ 개념과 접합하였고 그 결과 주민통제의 원리에 기초한 주민대표성이라는 민주적 개념을 약화시키고 주민의 참여를 유권자의 역할로 한정하고 교육 의사결정 과정에서는 배제하는 것을 당연시함으로써 교원단체 중심 이익집단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치적 기회구조(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를 형성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교육감 선출제도가 임명제-간선제-직선제로 변화하고 교육감의 교육 관련 자격조건이 완화되는 과정은 민주적 대표성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적 구조의 변화를 ‘교육의 전문성・자주성・정치적 중립성’의 교원 중심적 인식틀과 제도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로 보았다. 교육감 선출 과정에서 정당을 배제하는 정치적 기회를 결사적 이익집단인 교원단체에게 제공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정치적 기회는 구조적 기회 차원과 인지적 기회 차원으로 구분된다. 구조적 기회 차원에서 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중요한 한 축인 정당이 원천적으로 배제됨에 따라 교원단체와 같은 이익집단이 교육 권력에 접근하고 정치체제를 이용할 수 있는 권력에 대한 접근의 개방성이 높아졌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인지적 기회 차원에서는 교육행정 영역에서 지역 주민을 절차적 민주성의 보장을 위한 ‘유권자’로서만 기능하게 하고 실제 교육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의 ‘주체’로서는 배제하였음을 보였다. 교원 이익집단의 정치적 행동 가능성을 증가시켰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정당의 적극적인 개입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교육감 선출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앙트러프러너십 교육과 창업기회인식 역량과의 관계: 숙명여대 앙트러프러너십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이우진,손종서,오혜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3

        Recently, there are many efforts to define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as an area of ​​independent study. According to Shane & Venkataraman,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is moving toward understanding the combination of entrepreneurial individual and valuable opportunity in becoming entrepreneurs. In Korea,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spreading widely on the basis of universities and in 2010 the entrepreneurship major was created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research abou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Nevertheless, there are lack of the study focusing on the opportunity recognition which many scholars have recognized as the independent study field of entrepreneurship dom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major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commitment. Th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for 3 weeks to entrepreneurship major students in Sookmyung Woment’s University. A total of 84 survey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the recogni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Commitment also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firm that the ability to recognize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s developed b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during the study students’ commitment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through entrepreneurship can be anticipated as entrepreneurship activities in the future. 최근 앙트러프러너십을 독자적인 학문의 영역으로 정의하고자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Shane & Venkataraman 등의 학자들은 앙트러프러너십의 연구가 창업자가 되기 위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에서 창업가 기질이 있는 개인과 가치있는 기회의 결합을 이해하는 것 쪽으로 옮겨져 가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은 대학을 기반으로 기업가정신교육 또는 창업교육이라는 이름하에 교육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2010년 국내 최초로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앙트프러너십 전공학과가 생성되기도 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창업학의 학문적 차별성이라 주장하는 ‘Opportunity’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유일의 앙트러프러너십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품질요인이 전공생들의 기회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창업자기효능감 및 교육의 몰입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밝혀진 바는 없다. 본 연구를 통해 앙트러프러너십 전공교육의 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교육의 몰입도에 따라 창업기회인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설문은 2주간 실시되었으며 총 84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 전체를 R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의 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도는 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을 받은 전공생들의 창업기회를 발견하는 것에 지각된 역량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몰입도가 교육의 만족과 창업기회 인식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공자들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몰입을 통한 창업기회 인식은 향후 창업활동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의식

        이성균 ( Sungkyun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 현황을 정리하고, 학교교육 및 가정배경 등 사회·심리적 요인이 기회불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고등학생들의 학교교육 평가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그리고 계층소속감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며, 고등학생의 거주지 교육생활 환경도 부모의 학력 및 직업 등 가정배경에 따라서 상기하게 평가된다. 대부분의 중학교 졸업자들이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한국사회에서 교육기회는 형식적으로 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서 학교와 거주지에서의 교육경험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격차를 반영한다. 현재 고등학생들은 가족배경이 개인적 성공의 주요 요인이라고 평가하며, 교육·인맥형성·노동시장의 기회공평성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정배경 가운데 주관적 계층지위와 아버지의 직업이 기회불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상류층 가정 혹은 화이트칼라 직업의 아버지를 둔 고등학생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학교교육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의 직업 등 가정배경이 동일하다면, 학교의 다양한 교육적 역할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고등학생들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따라서 학교를 포함한 전 사회적 차원의 정책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격차를 해소한다면, 이에 대한 학교 및 지역 등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궁극적으로 기회불평등 의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 school experiences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iffer by the jobs of their parents and self-percep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status. We could als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valuation of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such family backgrounds as the education levels of their parents and the stratification status perceptions. Even though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seems to be formally equal in Korea where most junior high school graduates go on to the high school, the students different evalu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t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reflects the gap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ny students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family background is one of the main factors to decide their own success.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opportunity equality for the education, social networks and the labor market achievements. Among the family backgrounds, father`s job and stratification status significa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ir evaluations of the school experiences and the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lso affect their attitude. If the family backgrounds are same, those with the positive school experiences and the favorable local environment tend to show a less inequality-oriented attitude. The findings therefore imply that the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could reduce the socioeconomic gaps could conseque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in Korea.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기회격차인식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조정은,윤명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5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본 연구는 부산지역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기회 격차인식을 분석 함으로써 평생교육 안에서 나타나고 있는 참여기회 격차 현상을 탐색하고, 그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선 행연구 고찰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부산에 거주하는 성인학습자를 할 당표집하여 총 400부를 배포한 다음, 이 중 유효자료 351부를 분석에 활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해 Cronbachʼs α 계수를 산출 하였고,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기회 격차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지 역, 소득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기회 격차인식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평생교육 참여기회를 갖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 하고 있었고, 20대와 50∼60대가 30∼40대보다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고졸 이하의 저학력 집단이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집단보다 참여기회가 적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부산 지역이 동부 산 지역보다 평생교육시설의 구비여부와 접근성이 떨어져 기회를 갖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소득층이 고소득층과 중산층보 다 평생교육기회가 더 적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가 소외된 성인학 습자에게도 고른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기회 격차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to allocate the fair opportunities by exploring and analyzing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y gaps of adult learners in Busa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studying previous researches and references,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dult learners by quota sampling methods. 351 out of 400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computed by SPSS program. The frequency distribution, Cronbach’s α,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analyzed the opportunity gap of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region, and 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opportunity gap, the opportunity gap was occurred in terms of age, gender, education, region and earning. In other words, male adults consider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them to get opportunities of lifelong education than female adults. Also, people in twenties, fifties and sixties consider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less compared with people in thirties and forties. People with high school diploma or below consider themselves as having less opportunities of the lifelong education than those with college or advanced degrees. Residents in western Busan have hard time in obtaining access to lifelong education than the counterpart in eastern Busan owing to lack of institution or facilities. And lower-income group considers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them to have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than higher-income group.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s to measure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opportunity gap among adult learners and to provide fai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ienated adult learners.

      • KCI등재

        도시공간에서 교육 기회의 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학교 원어민 보조교사를 통한 교육 기회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동민 한국공간환경학회 2012 공간과 사회 Vol.22 No.1

        1990년대 이래 학교 현장에 배치되어 온 원어민 보조교사는 영어교육의 효과및 만족도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교육 기회의 평등이라는 관점에서, 이와 같은 학교 원어민 보조교사에 대한 접근성이 도시 공간에서 얼마나 평등하게 이루어져 있는가의 문제에 대해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하여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별 원어민 보조교사에 대한 접근성을 Natural Break 기법과 군집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도시 내부에서의 원어민 보조교사에 의한영어교육의 기회는 공간적으로 불평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내 자치구별 재정상태 및 원어민 보조교사 채용을 위한 예산 마련과 상당 부분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원어민 보조교사를 통한 높은 수준‧만족도의 영어교육을 받을기회에 공간적 불평등을 야기하여, 영어교육은 물론 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 기회의공간적 불평등을 초래할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자치단체의 노력이나 의지에 따라 이 같은 문제가 심화 또는 완화될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 보조교사에 의한 영어교육 기회의 도시공간적 불평등 문제 해소를 위한 자원 확보‧분배 문제의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quality of education related to school native English instructors in an urban space. Natural break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financial statuses and investments for employing native English instructors of each districts influence the accessibility on them significantly. Also, efforts and attempts of local governments affect the accessibilty in a degree. Such results suggest the inequal accessibility on native English instructors, and education in urban sca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that effective solution for the equal accessibility should be attempted and executed in order to relieve it urban scale: this is expected to be a efficious alternative plan for the equal opportunity for learning English, and ultimately, the equality of education as the right to th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