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원정책 추진과 교직구조의 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김규태,이석열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change under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For thi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olicy, the teachers'perception of whether policies focused on autonomy or accountability,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whether teachers think of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teaching profession as bureaucracy or professionalism. Teachers perceived that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policies such as teacher evaluation, school evaluatio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 other hand,teachers perceived that current teaching profession have been directed to the professionalism in spite of the tightly-coupled and bureaucratic policy trends. This inconsistency may be a main cause for fierce conflict and discussions between policymakers and teachers.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for policymakers to consider the balanced policy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r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morale and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최근 교원정책 추진과 교직구조에 대한 교사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이에 기초하여 향후 교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교원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수준, 교원정책이 자율성과 책무성의 가치 중에서 어느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수준, 최근 교원정책으로 인해서 교직이 관료주의와 전문성주의 중에서 어떤 교직구조를 띠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원정책에서 지향하는 가치와 교직구조의 인식을 비교하여 향후 교원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 지역의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별, 성별, 교직단체 가입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교원정책 중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업성취도평가와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정도가 대체로 높은 반면에, 교장공모제나 수석교사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대체로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교원정책에서 나타난 가치는 자율성과 책무성 중에서 교사들은 책무성 가치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직을 관료주의보다는 전문성주의 조직구조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국 현행 교원정책 집행은 학교와 교원에 대해 책무성 관련 정책을 지향하고 있으나, 교원들은 현행 교직이 전문성주의에 입각한 교직구조를 띠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 결과, 현재 교직과 정책당국은 책무성과 성과관리를 지향하는 관료주의와 높은 재량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전문가주의가 충돌하고 있다고 본다. 교원정책이 그 정책의 내용에 따라 어떤 경로를 통하여 실천되던 간에 그 정책의 실현은 교사들을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교원정책이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교원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교원들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원 인식에 기초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합목적성 고찰

        김갑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to consider the purposefulness of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teachers didn't recognize fully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y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school level, the lower school level is, the less negative perception teachers have. Meanwhile, the resul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teaching career shows that short-career teachers have less negative perception than mid to long-career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aisal system, I suggest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apprais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appraisal questionnaires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합목적성을 교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고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도에 따른 교원들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합목적성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었으나 점차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제도의 합목적성 부합 정도에 대한 교원 인식 결과에서는 학교급이 낮아질수록 부정적 인식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교직경력에 따른 제도의 합목적성 부합 정도에 대한 교원 인식 결과에서는 중경력 교사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학교급, 교직경력에 따라 차별성이 있는 평가문항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ㆍ원감 및 교사의 인식 비교

        오경녀(Oh Kyung-Nyeu),이혜은(Lee Hae-eu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현재 공립학교 체제 속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립유치원 교원평가의 실태 및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앞으로 실시될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립유치원 교원의 교육수행 지원과 교원평가체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원들은 현행 교원평가의 실시에 대해 알고 있으나 교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해서는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알고 있지 않았으며, 그외 교사들은 교원평가를 근무지 이동, 성과급 지급 등과 같은 보상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직위에 따라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ㆍ원감은 교원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공정성, 기여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은 교원평가의 적절성, 만족도, 영향력, 기여도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교원평가에 대해서 원장ㆍ원감은 동료와의 관계나 학부모와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하여 기관단위의 평가, 자기평가, 학년도 말, 격년제 이상의 평가 간격 등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원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행 및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통한 공감대 형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참여의 교원평가과정에 대한 숙의과정이 더욱 필요하며,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교원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ssessment by investigating how to actually conduct the teacher assessment what was teaching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and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t awareness about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mos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ve conducted work performance evaluations, som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d no idea about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and others knew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which was used for relocation, and extra payme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assessment itself, necessarily. Teachers had more negative views tha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ut agreed the assessment was necessary. Teachers knew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in general and had negative opinions about appropriateness, management satisfaction, fairness and contributions of teacher assessments, but these assessment influenced them. Third, for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most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knew about the new assessment but most teachers did not.

      • KCI등재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 군집분석을 적용한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성과 및 목표 인식 분석

        최서린(Seo-Rin Choi),박상옥(Sang-Ok Park),장정숙(Jeong-Suk Ja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성과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 참여경험이 교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성과 인식의 특성에 따른 목표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교육혁신지구 7개 지역의 교원 9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원의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성과 인식의 하위요인으로 학교지역 연계 비전 및 계획, 지속가능성, 교육협력체제의 4개의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혁신교육지구 사업 참여경험에 따른 성과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 참여경험이 없는 교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원의 성과 인식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인식이 매우 높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매우 낮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높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낮은 군집’의 네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교원의 성과 인식 군집에 따라 목표 인식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과 인식이 높은 군집일수록 목표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혁신교육지구의 발전과 사업 운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n teachers' perception, and analyze go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percep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50 teachers in seven areas of the Incheon Education Innovation Distri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chool area-linked vision and planning, sustainability, and educational cooperation system were derived as four sub-factor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e perception of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ithout participation experience. Thi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such as; 'a cluster with very high overall perception', 'a cluster with very low overall perception', 'a cluster with high overall perception'. and 'a cluster with low overall awareness'. Fourth,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formance recognition cluster, the level of goal recogni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higher the performance recognition, the higher the goal recogn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and business operation.

      • KCI등재

        한국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에 대한 교육관련 주체들의 인식 : 현황, 변화 및 결정요인

        유홍준,정태인,김월화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1

        Teacher qu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us a desirable social and economic status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securing high-quality teacher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perception of teacher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how that perception has changed, as well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perception in Korea. The data i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for 1,249 respondents that includes teachers, college students who are anticipating to become teacher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Korean teachers recognize that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is quite low, which does not match their social contributions.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social status is mos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respect awarded them by the general public. Their perception of their economic status is determined mostly by the adequateness of their salaries. 학교 현장에서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성장 ·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는 교원의 질이며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의 하나는 교원에 대한 좋은 사회적 · 경제적 대우이다. 본 연구는 한국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현황 및 그 변화 추이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국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초 · 중 · 고등학교 교원, 예비교원, 고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단계층화표집과 집락표집에 의해 선정 · 응답한 1,2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교원들은 예비교원 및 일반인에 비해 사회적 공헌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에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는 낮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자신들의 사회적 공헌도에 비해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상당히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도적 요인, 경제적 요인, 교직 내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교원의 사회적 지위에는 일반인들의 교원에 대한 존경 여부 즉 교원존경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원의 경제적 지위에는 경제적 요인, 그 중에서도 복지후생제도보다는 보수의 적정성이나 타당성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육 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임승렬(Lim Seung Ryo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관련법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규정된 교권에 대한 인식 수준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헌법,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 교원지위향상특별법 등에 대한 이해와 적용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 법에 규정된 교사의 교권 보장 실태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제고와 교권 확립을 위한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 관한 인식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 적용 정도들 조사한 결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관심을 보이는 때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로소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 대다수 교원들의 응답이다. 교육 현장과 유아교육관련 법의 관계에 대해서 관련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관련법을 알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높이 않았다. 유치원교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법전을 보는 빈도, 교륙관련 법률지식의 이해정도, 범해석이 다를 경우 해결방안 등에서 교원의 학력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관련법 개정에 관하여 교원들은 학력이 높을수록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많은 교원들은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서 규정된 교권의 이해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은 교육권, 신분권, 재산권의 보장은 유치원교원들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권의 정당한 실현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laws of rel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review understanding of teachers's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from actual education sit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lack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the applicability of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insufficient public inform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are not interested in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don't underst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feel that the guarantee on education, social position, and property rights i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understand and take an interest regarding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as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at professional authority is also required.

      • KCI등재

        한국어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인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이진선 ( Jin Seon Lee ),강영숙 ( Young Sook Kang ),박시균 ( See-gyoon Park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표적집단면접(FGI)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어 교원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교원들은 외국인 유학생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다문화인식 및 태도는 양면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한국어 교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따른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태도에 영향이 있는 변인으로 증명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오는 목적이 경제적인 목적이 아니라 순수하게 학업의 성취와 후에 전문인으로 나아가기 위해 오는 곳임을 분명히 알게 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다양한 국적을 가진 학생들의 유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대학의 특성화를 강화시키거나 현지 한국의 다국적기업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이를 육성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만들어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한국어교원들이 외국인유학생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이 향상될 수 있도록 관계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과 교수법을 도입해야 한다. 넷째, 외국인유학생들 간의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어 한국어교원들과의 관계에 긍정적 동기가 되도록 해야 한다. 다만, 본 연구의 양적조사를 위한 표본의 수가 적어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한계점과 후속연구로 질적조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양적조사를 제언한다. In this stud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surveys,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foreign students and multiculturalism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of foreign students, and multicultural perceptions and attitudes had dual attitudes. In addition,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foreign students and multicultural attitudes. As a result, the perception of foreign students was proved to be a variable influencing multicultural attitudes. Accordingly, the researcher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universities should have a system that makes it clear that the purpose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Korea is not an economic purpose, but a place where they come purely to achieve their studies and later become profession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attract students with various nationalities of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pecialization of local universities or to create a curriculum that can identify and foster the needs of local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Third,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focusing on relationships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can improve their positive perception of foreign stud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time for foreign student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a positive motivation for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However, the limitations of difficulty in generalizing due to the small number of samples for the quantitative survey of this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and quantitative surveys using them are suggested as follow-up studies.

      • KCI등재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원의 인식 차이 연구 : 인천교육혁신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최서린 ( Choi Seorin ),박상옥 ( Park Sangok ),장정숙 ( Jang Jeong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고, 다양한 교원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교육혁신지구 7개 지역의 교원 9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전반적인 인식은 지역특화, 학교지역연계, 비전 및 계획, 민관학 협력체제, 지속가능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의 학교 근무 특성에 따른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원이 근무하는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교 교원이 초등학교 교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집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교원 경력이 10년 미만인 경우 인식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교원의 직급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원의 혁신교육지구 사업 참여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는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와 참여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질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혁신교육지구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various teache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42 teachers in seven regions of the Incheon Education Innovation District.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was high in the order of regional specialization, school regional linkage, vision and plann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 and sustainability. Seco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chool work indicate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were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ccording to age, the group in their 20s was lower than other age groups. By career, the level of perception was low when the teacher's experience was less than 10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position. Thir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eacher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was significant when they had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more than one ye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Furthermor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 KCI등재

        학부모 학교참여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원 인식 연구

        김은영(Euny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4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eacher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ent school particip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groups of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are negative. However, the need for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is recognized. Second,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parent school participation and the interests of teachers are insufficient. However, there is agreement that a training program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arent school participation. Therefore,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that can increase teach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s impera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which has increased in importance but has not yet established itself,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이 연구는 학부모 학교참여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교원 인식을 조사하고 건강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에 따라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경험이나 인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경력별 교원 집단(저경력교사, 고경력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편이며, 그 주요 원인은 교육과정의 부재, 부정적인 학부모 경험, 학부모 학교참여 이해 기회 부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교원은 정책적 요구 및 긍정적 학부모 참여 경험을 통해 학부모 학교참여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다. 둘째, 학부모 학교참여 교원연수 프로그램 현황 및 교원의 관심은 미비한 편이다. 그러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의 참여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이 연구는 FGI 분석 결과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그 중요성이 증가하지만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원 인식을 심층분석하고,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