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원정책 추진과 교직구조의 변화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김규태,이석열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change under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For thi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olicy, the teachers'perception of whether policies focused on autonomy or accountability,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whether teachers think of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teaching profession as bureaucracy or professionalism. Teachers perceived that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policies such as teacher evaluation, school evaluatio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teaching profession. On the other hand,teachers perceived that current teaching profession have been directed to the professionalism in spite of the tightly-coupled and bureaucratic policy trends. This inconsistency may be a main cause for fierce conflict and discussions between policymakers and teachers.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for policymakers to consider the balanced policy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r bureaucracy and professionalism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morale and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최근 교원정책 추진과 교직구조에 대한 교사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이에 기초하여 향후 교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교원정책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수준, 교원정책이 자율성과 책무성의 가치 중에서 어느 가치를 지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수준, 최근 교원정책으로 인해서 교직이 관료주의와 전문성주의 중에서 어떤 교직구조를 띠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원정책에서 지향하는 가치와 교직구조의 인식을 비교하여 향후 교원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 지역의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별, 성별, 교직단체 가입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교원정책 중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업성취도평가와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정도가 대체로 높은 반면에, 교장공모제나 수석교사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대체로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교원정책에서 나타난 가치는 자율성과 책무성 중에서 교사들은 책무성 가치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직을 관료주의보다는 전문성주의 조직구조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국 현행 교원정책 집행은 학교와 교원에 대해 책무성 관련 정책을 지향하고 있으나, 교원들은 현행 교직이 전문성주의에 입각한 교직구조를 띠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 결과, 현재 교직과 정책당국은 책무성과 성과관리를 지향하는 관료주의와 높은 재량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전문가주의가 충돌하고 있다고 본다. 교원정책이 그 정책의 내용에 따라 어떤 경로를 통하여 실천되던 간에 그 정책의 실현은 교사들을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교원정책이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교원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교원들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검토할 필요가 있다.
김갑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to consider the purposefulness of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teachers didn't recognize fully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ye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school level, the lower school level is, the less negative perception teachers have. Meanwhile, the result of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fulness of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teaching career shows that short-career teachers have less negative perception than mid to long-career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aisal system, I suggest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appraisal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appraisal questionnaires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 본 연구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합목적성을 교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고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도에 따른 교원들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합목적성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었으나 점차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제도의 합목적성 부합 정도에 대한 교원 인식 결과에서는 학교급이 낮아질수록 부정적 인식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교직경력에 따른 제도의 합목적성 부합 정도에 대한 교원 인식 결과에서는 중경력 교사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학교급, 교직경력에 따라 차별성이 있는 평가문항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ㆍ원감 및 교사의 인식 비교
오경녀(Oh Kyung-Nyeu),이혜은(Lee Hae-eu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현재 공립학교 체제 속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립유치원 교원평가의 실태 및 현행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앞으로 실시될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립유치원 교원의 교육수행 지원과 교원평가체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 교원들은 현행 교원평가의 실시에 대해 알고 있으나 교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해서는 과반수에 가까운 교사들이 알고 있지 않았으며, 그외 교사들은 교원평가를 근무지 이동, 성과급 지급 등과 같은 보상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직위에 따라 교원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는데, 원장ㆍ원감은 교원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공정성, 기여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은 교원평가의 적절성, 만족도, 영향력, 기여도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새로운 교원평가에 대해서 원장ㆍ원감은 동료와의 관계나 학부모와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하여 기관단위의 평가, 자기평가, 학년도 말, 격년제 이상의 평가 간격 등을 선호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원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행 및 새로 도입될 교원평가에 대한 충분한 안내를 통한 공감대 형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참여의 교원평가과정에 대한 숙의과정이 더욱 필요하며,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교원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ssessment by investigating how to actually conduct the teacher assessment what was teaching staff'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and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awareness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t awareness about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between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ractice of current teacher assessment, mos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ve conducted work performance evaluations, some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ing staff had no idea about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and others knew the practical use of the assessment, which was used for relocation, and extra payment.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ncipal, assistant principal and teachers's perception about the assessment itself, necessarily. Teachers had more negative views tha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ut agreed the assessment was necessary. Teachers knew about the current teacher assessment in general and had negative opinions about appropriateness, management satisfaction, fairness and contributions of teacher assessments, but these assessment influenced them. Third, for the newly enforced teacher assessment, most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knew about the new assessment but most teachers did not.
군집분석을 적용한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성과 및 목표 인식 분석
최서린(Seo-Rin Choi),박상옥(Sang-Ok Park),장정숙(Jeong-Suk Ja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성과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 참여경험이 교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성과 인식의 특성에 따른 목표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교육혁신지구 7개 지역의 교원 9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원의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성과 인식의 하위요인으로 학교지역 연계 비전 및 계획, 지속가능성, 교육협력체제의 4개의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혁신교육지구 사업 참여경험에 따른 성과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 참여경험이 없는 교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원의 성과 인식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인식이 매우 높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매우 낮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높은 군집’. ‘전반적인 인식이 낮은 군집’의 네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교원의 성과 인식 군집에 따라 목표 인식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과 인식이 높은 군집일수록 목표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혁신교육지구의 발전과 사업 운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n teachers' perception, and analyze go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percep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50 teachers in seven areas of the Incheon Education Innovation Distri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chool area-linked vision and planning, sustainability, and educational cooperation system were derived as four sub-factor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e perception of teachers with experience of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ithout participation experience. Thi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rformance perception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such as; 'a cluster with very high overall perception', 'a cluster with very low overall perception', 'a cluster with high overall perception'. and 'a cluster with low overall awareness'. Fourth,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formance recognition cluster, the level of goal recogni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higher the performance recognition, the higher the goal recogn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and business operation.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송성민,이채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교대 및 사대에 재학 중인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인권 인식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원 양성과정 인권교육의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는 학교 현장에서 인권교육을 담당하고, 학생 인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대 및 사대 예비교원들의 인권 인식을 조사하여 실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권 인식은 인권 관련 지식, 인권 판단력, 집단별 인권 존중 정도에 대한 인식의 3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1,002명의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온라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원의 인권 관련 지식은 평범한 수준이었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예비교원은 일반적 상황보다 학생 관련 상황에 대해 더 높은 인권 판단력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원은 여러 사회 집단의 인권이 대체로 잘 존중받는다고 보았으나, 정작 교사 인권 보장에는 문제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배경변인별로 인권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본 결과, 주로 성별, 전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다수 확인되었다. 여자가 남자에 비해 인권 관련 지식, 인권 판단력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인문・사회계열의 예비교원이 인권 관련 지식과 인권 판단력에서 다른 전공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인권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교대 및 사대의 인권교육의 현황과 효과를 점검할 필요성, 교원 양성과정에서 인권 관련 논쟁 상황에 대한 토론과 숙의의 장을 마련할 필요성, 전공별 편차 없이 표준화된 인권교육이 실행될 필요성 등 몇 가지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nd draw implications. Teachers are the main implementer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otectors of students’ human rights.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human rights awareness is very important and needs to be properly cultiv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uman rights awarenes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this study: knowledge of human rights, ability to judge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the extent to which human rights are respected in society,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002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f human rights among pre-service teachers was at an average level, but it h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Second, pre-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s ability to judge human rights in situations involving students. Thir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various groups in society to have generally good level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but they believed that teachers’ human rights were not well protected. When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awareness by background factors, we found a number of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major, with femeale pre-service teachers and those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coring higher in both knowledge and judgement asp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academic yea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within teacher training programs.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bate and deliberation on human rights-related issuses and implementing standardized human rights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ithout deviations by major.
한국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에 대한 교육관련 주체들의 인식 : 현황, 변화 및 결정요인
유홍준,정태인,김월화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1
Teacher qual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us a desirable social and economic status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securing high-quality teacher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perception of teacher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how that perception has changed, as well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perception in Korea. The data is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for 1,249 respondents that includes teachers, college students who are anticipating to become teachers,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Korean teachers recognize that their social and economic status is quite low, which does not match their social contributions.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social status is mos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respect awarded them by the general public. Their perception of their economic status is determined mostly by the adequateness of their salaries. 학교 현장에서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성장 ·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는 교원의 질이며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의 하나는 교원에 대한 좋은 사회적 · 경제적 대우이다. 본 연구는 한국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현황 및 그 변화 추이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국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초 · 중 · 고등학교 교원, 예비교원, 고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다단계층화표집과 집락표집에 의해 선정 · 응답한 1,2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교원들은 예비교원 및 일반인에 비해 사회적 공헌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에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는 낮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자신들의 사회적 공헌도에 비해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상당히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사회 · 경제적 지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도적 요인, 경제적 요인, 교직 내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교원의 사회적 지위에는 일반인들의 교원에 대한 존경 여부 즉 교원존경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원의 경제적 지위에는 경제적 요인, 그 중에서도 복지후생제도보다는 보수의 적정성이나 타당성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인숙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4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 및 창업 역량 요구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원 창업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 교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대학의 교수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창업 역량 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교원 창업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대학의 교원 창업 제도에 대한 인식, 대학 차원의 교원 창업 지원에 대한 인식과 동료 교원 창업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 창업 역량의 현재 실행도와 미래 중요도 차이 분석 결과는 모든 역량 항목에서 미래 중요도가 현재 실행정도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 창업 역량 요구 우선순위는 총 11가지 역량 중 비즈니스 문제해결 능력, 특허 보유 및 기술개발, 팀빌딩과 리더십, 네트워킹 역량, 자금조달 역량의 5가지 역량이 최우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교원 창업의 성공적인 사례를 홍보하여,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고 창업 문화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맞춤형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원 창업을 위한 전문성 활용 시스템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의 창업 역량 강화를 통해 교원의 비즈니스 문제 해결 능력, 특허 보유 및 기술 개발, 팀빌딩과 리더십, 네트워킹 등의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원 창업 문화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실천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 창업 문화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 전략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faculty's start-up by deriving effective support measures by analyzing the university's perception of faculty start-up and needs for start-up competenci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professors at University A, and prioritie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verall perception of faculty start-up was high, but the perception of the university's faculty start-up system, the university-level faculty start-up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peer faculty start-ups were low.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ulty start-up competencies showed that the futur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in all competency items,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a total of 11 competencies, five competencies were found to be the top priority areas.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creative start-ups and spread the start-up culture by promoting successful cases of faculty start-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start-up support program and systematize it as a system for utilizing expertise for faculty start-up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aculty's competencies in solving business problems, patent hold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team building and leadership, and networking by strengthening faculty's start-up cap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field-oriented practical measures to spread and revitalize the university faculty start-up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upport strategies for spreading and revitalizing the faculty start-up culture.
유아교육 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임승렬(Lim Seung Ryo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관련법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규정된 교권에 대한 인식 수준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헌법,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 교원지위향상특별법 등에 대한 이해와 적용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 법에 규정된 교사의 교권 보장 실태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제고와 교권 확립을 위한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 관한 인식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 적용 정도들 조사한 결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관심을 보이는 때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로소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 대다수 교원들의 응답이다. 교육 현장과 유아교육관련 법의 관계에 대해서 관련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관련법을 알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높이 않았다. 유치원교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법전을 보는 빈도, 교륙관련 법률지식의 이해정도, 범해석이 다를 경우 해결방안 등에서 교원의 학력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관련법 개정에 관하여 교원들은 학력이 높을수록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많은 교원들은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서 규정된 교권의 이해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은 교육권, 신분권, 재산권의 보장은 유치원교원들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권의 정당한 실현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laws of rel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review understanding of teachers's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from actual education sit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lack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the applicability of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insufficient public inform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are not interested in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don't underst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feel that the guarantee on education, social position, and property rights i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understand and take an interest regarding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as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at professional authority is also required.
학부모 학교참여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원 인식 연구
김은영(Eunyoung Kim)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4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eacher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ent school particip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groups of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are negative. However, the need for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is recognized. Second,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cerning parent school participation and the interests of teachers are insufficient. However, there is agreement that a training program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arent school participation. Therefore,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that can increase teach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s impera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parental school participation, which has increased in importance but has not yet established itself,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이 연구는 학부모 학교참여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교원 인식을 조사하고 건강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에 따라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경험이나 인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경력별 교원 집단(저경력교사, 고경력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편이며, 그 주요 원인은 교육과정의 부재, 부정적인 학부모 경험, 학부모 학교참여 이해 기회 부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교원은 정책적 요구 및 긍정적 학부모 참여 경험을 통해 학부모 학교참여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다. 둘째, 학부모 학교참여 교원연수 프로그램 현황 및 교원의 관심은 미비한 편이다. 그러나, 학부모 학교참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따라서 교원의 참여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이 연구는 FGI 분석 결과이므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그 중요성이 증가하지만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학부모 학교참여에 대한 교원 인식을 심층분석하고,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