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 10개를 대상으로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후, 워드클라우드 분석 방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문헌 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재정립, ② 핵심역량 기반의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설계, ③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서의 학습자 참여, ④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본연의 가치와 특수성 간 균형 설계 등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시대적인 변화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본질적 가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총체적인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이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iculum status of 10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was derived. Results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explo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① re-establishment of curriculum docu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②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y, ③ learner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④ the intrinsic value and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balance desig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be a holistic dire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includ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sent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roblem situation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 KCI등재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고인규(Go, In-Gyu),김유진(Kim, Yu-Jin),최지연(Choi,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에서의 환경교육 교과목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교원양성대학이며 이 연구에서는 초등에서의 13개 대학과 중등 60개 대학, 유아의 98개 대학을 합한 156개 대학(중복 포함)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표본의 지역적 대표성을 위해 경인권, 강원·제주,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지역별로 학교가 골고루 포함되도록 하였고, 학교급별 형평성을 위하여 조사 대학의 수를 비슷하게 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유아교원양성대학 15개, 초등교원양성대학 13개, 중등교원양성대학 13개로 총 41개 대학을 유층표집하였다. 표집된 대학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환경교과목 조사틀에 따라 2019년 5월 27일부터 2019년 6월 25일까지 교과목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학교급별 및 지역별 기술통계, 교육과정 교육내용 분석, 교과목 명칭의 텍스트 마이닝, 교수요목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교과목은 전체 교과목 대비 1.15~2.19% 정도로 미비하였고 특히 유아 교원양성대학에서의 환경관련 전공 교과목이 적었다. 둘째,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교과목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교원양성대학 환경교과목의 교육내용으로는 자연환경, 환경오염, 인공환경, 환경보전과 대책, 환경기술 등을 주로 다루었고, 예비교사의 환경관련 지식 및 소양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은 모든 대학에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교육역량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환경교육 교과목 명칭에 드러나는 주요 키워드와 환경을 중심으로 직접 연결되는 단어로는 인간, 지구, 에너지 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colleges. There ar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colleges such as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Teacher Training. The study consisted of 156 universities, with 13 universities of primary education, 45 universities of secondary education, and 98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samples were included in Gyeongin, Gangwon, Jeju,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nla provinces. Finally, 41 universities/colleges were collected from 15 colleg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 universities for elementary education, and 13 universities for secondary education. The curriculums of the samp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ramework. The technical statistics by school level and region, curriculum content analysis, text mining of the name of the subject, and network analysis of the syllabu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by the level of school were 1.15 ~ 2.19% and there were few environmental-related subjects in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between the regions. Third,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subject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were mainly deal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artifici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Courses aimed at improving pre-teacher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 few courses aimed at developing pre-teachers educational capacity to guid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lass. Fourth, ‘human’, ‘earth’, and ‘energy’ were the word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key-word ‘environment’.

      • KCI등재

        일본의 교원양성기관 평가분석‒교원양성평가기구(IETE)의 교직대학원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보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일본의 교직대학원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평가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일본 교원양성기관 체제 수정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본의 교직대학원은 2008년 처음 만들어져 지금까지 총 25개의 대학에서 이를 설치하고 있다. 21세기의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는 질 좋은 교원 양성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고도 전문화된 교원을 양성한다는 목적 하에 만들어진 교직대학원은 교육평가기구에 의해 5년마다 평가를 받게 된다. 평가는 자기평가와 제3자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며 평가기준은 총 10개 영역에서 28개의 세부기준으로 되어 있다. 교직대학원은 필요전임교원의 4할 이상을 실무경험이 있는 교원으로 하고 45단위 중 10단위 이상을 학교 실습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동경학예대학과 와세다대학의 교직대학원 평가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비교하여 서열화하는 방식이 아니며 평가결과에 대해 학교가 의견을 낼 수도 있는 유연성이 있는 평가이다. 평가는 서면평가와 방문평가로 구분되고 이에 대해 평가결과를 ‘적합’과 ‘부적합’으로 낸다. 지금까지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학교는 없다. 효율적인 교원양성체제를 구축하고 제재보다는 이를 적극 지원하는 방향의 평가 방식을 취하고 보완점을 찾아가고 있는 일본의 경우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크다. This article aimed to overview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through reveal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敎職大學院)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founded first in Japan, 2008 and the number is up to 25 schools so far. In the 21st century, it is important to give an environment to develope the specialization skills to the pre-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敎職大學院) which has the object for training teacher and making teacher received the evaluation every 5 years. This evaluation from the third-part is conducted by 28 indexes from 10 areas. Pre-teachers should get more than 10 of 45(total) practice subject credi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reover, the graduate school have to have more than 40% professors which have the experience at the field. The Institute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IETE) takes the absolute evaluation and the schools can give the opinion to the Institute. The result is only ‘adequate’ or ‘inadequate’ and there is no ‘inadequate’ school. We can look for a suggestion from the Japanese case of the school and evaluation system that we have to search for the method to improve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초·중등 교원양성대학의 통합 방안: 교·사대를 중심으로

        정성수(Jung Sung-soo),송영명(Song Young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le way of integration between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on the assumption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need to be integrated.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examined 2 cases of integration(Jeju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n suggested some implications in aspects of efficiency,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 Firstly, in terms of efficiency of integration, integration based on one campus and consensus among interested parties is presented. In other words, more important than integration is how to integrate. Secondly, in terms of accountabi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ear purpose of integrating teacher education qual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propose the expansion of students choice through diversity of curriculum operation. In other words, after clarifying what the purpose of integration is, a plan should be sought to achieve the purpose. Thirdly, in terms of linkage, it is suggested that the linkage and exchange in various programs, facilities, and curriculums should be activated while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urrent teacher education system. 이 연구는 초등교원양성기관인 교육대학과 중등교원양성기관은 사범대학간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초․중등 교원양성대학의 통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중등 교원양성대학 통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제주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성, 책무성, 연계성이라는 측면에서 향후 통합 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효율성 측면에서, 통합은 1교 1캠퍼스와 기관 구성원들 간의 합의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다시 말해, 통합을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통합하느냐 하는 것이다. 둘째, 책무성 측면에서 교원양성교육의 질 제고 및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육과정 운영의 다양성을 통한 학생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통합이 되어야 한다. 즉 통합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한 후에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연계성 측면에서 교원양성대학간 정체성을 유지해 주면서도 실질적인 연계 및 교류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합이 되어야한다.

      • KCI등재

        교원양성교육의 전문화와 대학의 교양교육

        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1

        국가에 의해 주도되는 교원양성교육은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다양한 실용학문과 학업 내용들을 포괄하고 있다. 그러나 포괄적 의미의 교직 수행능력이 실용적 직업지식이나 직무교육에 의해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대학의 교원양성교육은 직업영역의 요구를 비판적인 동시에 학문 연계적으로 고찰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양성교육에서는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삶의 역사·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하여 보고 판단하는 능력의 형성이 결여되고 있다. 학문 분과 및 양성과정의 기술적 전문화에 치중하느라 교직에 필수적인 지식과 지성능력을 통합하는 양성교육이 간과되는 것이다. 대학에서의 교원양성교육이 다양한 학문분야와 관점을 포괄하여 지성적으로 소통하는 능력 향상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이제는 대학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교원양성교육을 살펴보고 논의해야 한다. 교사란 시대변화를 다각도로 이해하고 판단하며 책임 있게 대처하는 지식인으로 대학 교양교육이 추구하는 전인적 지성의 소유자인 동시에 교직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다. 따라서 교육·사범대학의 교원양성교육은 실용 측면의 직업 지식과 그 활용능력 배양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교양교육처럼 좀 더 보편적이고 통합적 관점에서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고 그에 걸맞은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은 교사들이 다양한 분과학문들을 포괄하는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교육학적 지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Die Lehrerbildung wird nach den Vorstellungen von Politik und Gesellschaft vielen Anforderungen gerecht. Die Folge ist eine Überfrachtung des Studiums mit heterogenen Zielen. Kompetenzorientierung wird gefordert um die Lehrerbildung anwendungsbezogener zu machen. Jedoch geht es bei der Lehrerbildung nicht darum, dass die angehenden Lehrer darauf konkret vorbereiten, den Herausforderungen der Gesellschaft entgegenzuwirken. Die Universität ist keine Berufsakademie und man wächst nicht zur Lehrerpersönlichkeit heran mit dem Studium der machbarkeitsorientierten Wissenschaften. Vielmehr kommt es darauf an, sich mit den Anforderungen des Berufsfeldes kritisch und reflexiv auseinanderzusetzen. Fachliche Spezialisierung soll richtig anerkannt werden, aber was fehlt, ist die Integration im Hinblick auf die padagogischen und damit kommunikativen Herausforderungen im Lehrerberuf. Um der goßen Zahl von Lehramtsstudierenden und der heterogenen Nachfrage des globalisierten Zeitalters gerecht zu werden, braucht die Lehrerbildung an den Universitäten eine integrierende Idee des Studiums, die das gemeinsame Anliegen, das Leitbild der Lehrerbildung zum Ausdruck bringt. Dieses Leitbild soll flexibel und klar genug sein, um die Vielfalt der Facher mit ihren unterschiedlichen Denk- und Arbeitsweisen anzusprechen und um das Kernanliegen der universitären Lehrerbildung auszudrücken. Der Bildungsauftrag der Schule ist größer als die Summe der Lehrpläne einzelner Fächer. Den Lehramtsstudierenden ihn verstandlich zu machen, brauchen wir den gemeinsamen Geist, der heute noch prinzipiell im studium generale von Bedeutung ist

      • KCI등재

        전문대학 교원양성기관평가 개선 방안 탐색 :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허은정,이동엽,김기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3주기 전문대학 교원양성기관평가 중 유아교육과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 여 4주기 평가를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평 가지표는 무엇이며, 소재지, 양성규모, 평가연도와 같은 배경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별로 평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교육여건영역 의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전임교원의 학교현장 이해 프로그램 참여 비율 등과 교육과정영역의 교직이론 강좌당 학생 수, 강의평가 결과 활용, 수업만족도, 그리고 성과영역의 국‧공‧사립학교 교원임용률, 재학생 만족도, 재학생 충원률 등이었다. 다음 으로, 배경 특성에 따른 지표별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여건영역의 전임교원 담당 강의 시수 비율,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에서 비수도권에 있는 유아교육과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 은 반면, 성과영역에서의 중도탈락 학생비율과 국‧공‧사립학교 교원임용률에서는 수도권의 유 아교육과 평균이 높았다. 그리고 교육여건영역의 전임교원 1인당 연구실적, 교육비 환원율에서 만 80명 미만의 유아교육과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교육여건 영역의 전공과목 전임교 원 확보율, 교직과목 전임교원확보율 등과 성과영역의 예비교사 수업수행능력, 졸업생 현직교 사 만족도에서는 2014년에 평가를 받은 유아교육과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교육과정영 역에서의 학교현장교육실습 지도 활동 실적과 성과영역의 국‧공‧사립학교 교원임용률에서는 2013년에 평가를 받은 유아교육과의 평균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영역을 강화한 평가, 전임교원과 지원인력에 대한 확 보의 지속성 및 활동의 충실성에 대한 평가, 성과 영역의 지표에 대한 지역 차이 고려, 전문대 학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지표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valuation resul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ut of the results on the third phase national evaluation for teacher education course in college and to draw an improvement plan for the fourth phase evaluation. For this, an analysis was made on which evaluation indicators had influence on evaluation resul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whether there existed average differences per evaluation indicator pursuant to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location, size of training, and evaluation yea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following indicator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evaluation results; 10 out of 14 indicators (rate of securing faculty for major, per capita research output of faculty, school field of faculty, and etc)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eld; 3 out of 11 indicators (number of students per lecture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utilization of lecture evaluation resul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ass) in curriculum field; and, 5 out of 6 indicators (teacher appointment rate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rate of students filling, and etc) in educational outcome field.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average differences per indicator pursuant to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non-capital region was meaningfully high in the rate of the lectures number of full-time teacher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eld and the rate of scholarship compared to tuition, but the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apital region was meaningfully high in the student wastage rates in educational outcome field and the teacher appointment rate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And, the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ith less than 80 students was meaningfully high in the per capita research output of faculty and the educational restitution rate. Finally, the 2014 evaluation on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ith respect to securing faculty rate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eld and securing faculty rate in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2013 evaluation; and, the 2013 evaluation on school field training guidance activity record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2014 evaluation in the curriculum field, Meantime, the 2014 evaluation on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as meaningfully high as for preliminary teacher's class performance ability in educational outcome field and satisfaction rate of graduates who currently hold teaching posts, but the 2013 evaluation on aver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as higher as for teacher appointment rate at public and private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s above, the study suggested following measures; first, evaluation to strengthen curriculum field; second, evaluation on continuity of securing faculty and support manpower as well as faithfulness of activities; third, reflection of regional difference in outcome field; and fourth,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complying with characteristics of college.

      • KCI등재

        공주지역 교육도시 도약의 시대와 사회적 요인 분석 -미군정기 교원양성과 사범대학 설립 운동을 중심으로-

        전진희(Jeon, Jin-hee)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100

        해방 후 미군정은 미국식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였고 한 국의 문맹률과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미군정기 교원양성기관을 설립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었다. 이 시기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는 초등·중등교원 양성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공주여자사범학교의 교원양성으로 부족한 교원 수를 충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기회로 바꾼 것이 공주지역민의 사범대학 설립 운동이다. 같은 시기에 서울과 대구가 사범학교를 폐지하고 서울사범대학, 대구사범대학을 설립한 것과 달리 공주지역은 공주여자사범학교를 그대로 유지하고 도립 공주사범대학을 설립하게 되었다. 두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의 전신이 되며 공주지역이 교육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다. 본 논문은 공주 지역 교육도시 도약의 시대와 사회적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군정기 공주지역의 교원양성과 사범대학 설립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범대학 설립 운동의 주도 세력인 공주영명학교 인물들과 미군정 관리와의 인맥 관계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으며 그에 못지않게 지역민의 열의, 기존의 사범학교에 속한 인적 자원, 학교 건물의 활용, 지역민의 학교설립을 위한 모금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방식은 일제강점기 공주지역민의 학교 설립 운동과 연속성을 띠고 있다. 미군정은 공주사범대학을 국립이 아닌 도립으로 인가를 해주며 학교 설립 재정을 충청남도가 감당하게 하였다. 미군정이 거의 끝나갈 무렵 1948년 7월 30일 도립공주사범대학 설립이 인가되었다. 미군정기 공주사범대학의 설립은 공주여자사범학교와 함께 초등교원, 중등교원을 모두 양성할 수 있는 교육도시로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ongju as a regular educational cit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liber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aimed to build an American-style democratic state and considered solving the problem of illiteracy and education in Korea as a top priority.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establish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in the education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Gongju Girl"s Normal School provid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fostering teachers at Gongju Girl’s Normal School. It was the movement to establish a Gongju Normal College for the people of Gongju that changed these limitations to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while Seoul and Daegu abolished the Normal school and established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ongju city maintained the Gongju Girl"s Normal School and established Gongju Normal College. The two schools became the predecessor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G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the Gongju city became the foundation for its identity as an educational city.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era and social factors of the leap forward as an educational city in Gongju. In particular, it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movement to teacher training and establish a college of education in Gongju,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s of Gongju Yeongmyeong School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were the leading forces in the campaign to establish the univers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nthusiasm of the local people, human resources in the existing school, the utilization of school buildings, and the fundraising campaign. This method was continuous wit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ngju residents" campaign to establish schools. The U.S. military government authorized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a provincial government, made Chungcheongnam-do pa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e. At the en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ncial Gongju Normal College was accredited on July 30, 1948. The establishment of Gongju Normal College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p forward as an educational city where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uld be trained together with Gongju Girl"s Normal School.

      • KCI등재

        한문교육전공 교원양성 기관과 교과목 편성의 현황과 과제

        許 喆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4 No.-

        본고는 현재의 학교 교육에서 교원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기준에 두고, 현재 한문과 교원양성과정의 역할과 위치를 점검해 보고자하였다. 학교 교육에서 교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교원은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을 직접 운영하는 주체이며, 교원에게서 학생들은 지식과 행동, 인식과 태도를 습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은 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기초적이며 핵심적인 기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문과의 교원양성과정은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부족한 점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문과 교원양성기관의 현재의 모습을 그 목적과 구성 교과목 구성 등을 통해 검토해보고,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한문과 교원양성기관들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 KCI등재

        독일 대학부설학교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역사적 연구

        김철(Kim, Cheol),하봉운(Ha, Bong-Woon)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2

        우리나라는 서울대학교 부속초등학교가 개교한 이래 약 100년 동안 국립대학 부설학교들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들 부설학교들의 취지는 공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외에 양질의 교원양성과정에서 필요한 교육현장실습 및 연구학교, 실험학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원양성기관의 대중화에 따른 교육실습의 역할이 각 급 학교들로 법제화된 시점에서 과연 국립대학 부설학교들이 계속적으로 교육실습 및 현장연구의 기능, 실험학교, 연구학교로서의 책무와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법령을 통하여 대학부설학교들을 시·도교육청 관할의 공립학교로 전환하고자 하였으나 그동안 차별화된 법적지위를 누리고 있었던 기존의 세력들로 인하여 반대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오늘날의 국립대학 부설학교들의 책무와 기능에 대한 교육적 담론을 독일 부설학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역사적 전개를 통하여 우리에게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독일에서는 역시 우리와 마찬가지로 교원양성과정에서의 교육실습을 위해 대학부설학교가 교사세미나(Lehrerseminar), 시범학교(Versuchsschule), 실습학교(Übungsschule)등의 형태로 운영되어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독일에서 대학부설 학교의 기능은 이제 교육개혁의 차원에서 교육과 수업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실험학교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빌레펠트대학 부설 라보어학교(Laborschule)이다. 배움과 가르침의 새로운 형식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라보어학교의 기능과 역할은 오늘날 우리나 라에서 교육적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대학부설학교의 기능과 역할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가져다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foundations and roles of the schools attached to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Germany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will have in regard to change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ttached to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To do so, the study analyzes the origins, characteristics, roles and structures of the schools attached to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Germany.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have been developed through Lehrseminar, Versuchschule, and Uebungsschule. But they gradually advanced to university level institutes like Laborschule to engage knowledges(theories) and practices(methods). The roles and tasks of the schools attached to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were develop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to enha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Therefor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attached to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Germany is the products of national strategies to nurture better professional teachers and develop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일본의 교원양성기관 평가분석 -교원양성평가기구(IETE)의 교직대학원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보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8

        본 논문은 일본의 교직대학원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평가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일본 교원양성기관 체제 수정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본의 교직대학원은 2008년 처음 만들어져 지금까지 총 25개의 대학에서 이를 설치하고 있다. 21세기의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는 질 좋은 교원 양성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고도 전문화된 교원을 양성한다는 목적 하에 만들어진 교직대학원은 교육평가기구에 의해 5년마다 평가를 받게 된다. 평가는 자기평가와 제3자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며 평가기준은 총 10개 영역에서 28개의 세부기준으로 되어 있다. 교직대학원은 필요전임교원의 4할 이상을 실무경험이 있는 교원으로 하고 45단위 중 10단위 이상을 학교 실습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동경학예대학과와세다대학의 교직대학원 평가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비교하여 서열화하는 방식이 아니며 평가결과에 대해 학교가 의견을 낼 수도 있는 유연성이 있는 평가이다. 평가는 서면평가와 방문평가로 구분되고 이에 대해 평가결과를 ‘적합’과‘부적합’으로 낸다. 지금까지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학교는 없다. 효율적인 교원양성체제를 구축하고 제재보다는 이를 적극지원하는 방향의 평가 방식을 취하고 보완점을 찾아가고 있는 일본의 경우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크다. This article aimed to overview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through reveal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敎職大學院)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founded first in Japan, 2008 and the number is up to 25 schools so far. In the 21st century, it is important to give an environment to develope the specialization skills to the pre-teacher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敎職大學院) which has the object for training teacher and making teacher received the evaluation every 5 years. This evaluation from the third-part is conducted by 28 indexes from 10 areas. Pre-teachers should get more than 10 of 45(total) practice subject credi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reover, the graduate school have to have more than 40% professors which have the experience at the field. The Institute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IETE) takes the absolute evaluation and the schools can give the opinion to the Institute. The result is only ‘adequate’ or ‘inadequate’ and there is no ‘inadequate’ school. We can look for a suggestion from the Japanese case of the school and evaluation system that we have to search for the method to improve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