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최효선 ( Hyoseon Choi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교수자의 정서는 학습자의 정서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감염병으로 인한 세계 건강 위기가 교육의 위기로 확장되면서 비대면 원격수업을 진행하게 된 교수자는 여러모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교수자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과 정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11명의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는 대면 수업에 비해 비대면 원격수업의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학습내용이 어려우며, 학습량이 많은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의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교수자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을 대면수업과 동일하게 인식할수록 긍정정서는 높고, 부정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대면수업과 상이한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피드백 체제와 교수자별 맞춤형 교육을 통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Instructor’s emotion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learner’s emotion and their learning effects. As the global health crisis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has shifted to the crisis of education, teachers who have conducted emergency remote instructions are under stress in many way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nstructors’ perception of remote instructions affects the emotions, and to seek ways to support instructors in remote learning course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or facultie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and emotions about remote instructions, and 411 instructors voluntarily participated. As a result,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remote instructions was complicated, the learning contents were difficult, and the amount of learning was excess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instructors according to how they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ote learning and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urs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emo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s, the more the instructor perceived the remote instructions as the traditional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role of instructors into remote learning courses, which are different from face-to-face courses, an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for remote learning.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support instructors’ remote learning classes through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instructor.

      • 대학에서의 플립드러닝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탐색

        김선영,민혜리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6 교육컨설팅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최근 혁신적 교육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플립드 러닝’ 방식을 교수자들이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플립드 러닝에 관한 대학 교수자의 인식을 묻고 이들의 인식이 학문분야 와 플립드 러닝 적용 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플립드 러닝에 관심이 있거나 적용의사가 있는 교수자는 플립드 러닝을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기존 교수학습방법의 변형으로 인식하였고, 이 때문에 플립드 러닝 방식을 수업에 적용하는데 반감이나 어려 움을 적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의 활용 효과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셋째, 플 립드 러닝의 상호작용 증진 효과에 대해서는 학문분야별로 다르게 인식하였는데, 인문사회계열 교수자 가 통계적으로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넷째, 플립드 러닝 적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 사항으로 교육적 지 원 요소보다 기자재, 시스템, 네트워크 같은 제도적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 후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플립드 러닝을 확산하고 교수자를 위한 지원을 확대할 경우에 특히 고 려해야 할 부분이다.

      • KCI등재

        전문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인식차이를 통한 방향성 탐색

        곽민지,정해수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대학의 학습자, 교수자의 관점에서 기초학습능력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체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습 역량의 중요도의 경우 교수자가 학습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별 인식 차이 결 과, 기초학습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전공기초, 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외국어지원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보다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지원 생활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어깨동무튜터링, 생생멘토링, 전공으뜸이 프로그램 모두에서 교수자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모든 프로그 램에서 교수자의 인식이 학습자의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전문대학 학습자 의 기초학습역량 강화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기초학 습역량 인식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기초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기초학습향상을 지원하는 인력풀 확보 및 인센티브 제공 등 유인책이 제공되 어야 한다. 둘째, 대학 특성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은 전공별, 학습자 특성에 맞는 과정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supporting on basic learning a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of junior colleges, and to seek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extra 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by instructors than by learner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was revealed that the instructors perceived that the basic learning support program was more important than the learners in the basic basics, the learning clinic program, and the foreig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the case of university-sponsored living programs, the instructor also found it more important. Lastly, in the case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structors perceived 'shoulder tutoring, live mentoring, and majoring majors programs' as more important than leaners did. In all programs, the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 learner's perception. Therefore, first, Measures targeting learner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awareness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versity system to improve basic learning competencies. In detail, first,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such as securing a pool of workers and providing incentives to support basic learning. Second, extracurricular programs suitable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into processes that suit each major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Fourth, it should undergo improvement as learner-orien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virtuous cycl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권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다양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사이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토론효과인식,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과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에 비해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에 대해서는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토론효과 인식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refore, social presence, perception of discussion effect, and overall perceived learning were surveyed among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struct of social presence was divided into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separately.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arners' year (grade) in school. That is, higher grade students perceived social presence highly.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social presence with other outcome variabl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learner social presence. Third,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effect of discussion, but the effect of teacher social presence was only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earner social presence. Fourth, teacher social presen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erceived learning overall but learner social presence was not. Similarily, only teacher social presence accounted for some of the variability of satisfaction, while learner social presence did not account for th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the online teacher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were suggested.

      •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and Teaching Practices

        서원석(Won-Seok Suh)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래고등교육연구소 2011 사이버사회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교수자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교수자 관찰, 그리고 이차적인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삼각측정을 통하여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및 장애요소들과 관련하여 세 가지의 중요한 주제(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다수의 교수자들이 교수적 활용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하여 합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과도한 수업자료 및 요구되는 수업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교수자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를 교수적인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방해되는 요소인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둘째, 테크놀로지의 적극적인 교수적 활용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상황적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즉, 테크놀로지의 교수적 활용에 있어서 교수자들의 인식이나 활용 역량보다 사전 경험이나 교수전략의 부재가 보다 영향력을 가진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인 테크놀로지 접목을 위한 사후 지원의 필요성이 다수의 교수자들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특히, 많은 교수자들이 집중적이고 개인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표출하였다. 특히, 교수자 동료들이 테크놀로지를 성공적으로 교수 활용한 사례들은 교수자 본인들로 하여금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하여 자기 성찰적 의식을 강화함과 동시에 매우 긍정적인 도전을 주는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방법의 현주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아울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더 나은 교수 및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of technology adoption and integration in learning along with teaching practices from instructors’ perspectives. Through triangula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nstructor observation, and secondary data analysis, three significant themes were drawn regarding how instructors had perceived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eaching and what barriers they had against their teaching practices. First, a majority of instructors were not in accord with the necessity of technology adoption for their teaching. They had expressed concerns on excessive course materials and activities in curriculum, which are interpreted as hindrances of taking their active role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instructional practices. Second, there were latent and situational barriers that affected the a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to instructional practices with technology was the absence of prior experienc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with technology rather than perception or technical skills. Third, the demand of follow-up support for successful technology integration was shown by a large number of instructors. In addition, many of instructors expressed the necessity of customized and focused training. Especially, it was shown colleagues’ successful innovation practic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a very positive influence that had promote reflective thinking and challenge the instructional use of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instructional utilization of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instructors and also suggest efficient approach to support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 KCI등재

        장애대학생 수업 지원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과 지원 방안

        김동일 ( Dong Il Kim ),손지영 ( Ji Young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 수업 지원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다양한 교수자 지원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장애대학생 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자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수자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62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수자 요구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자 지원 방안을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고, 장애학생지원 체제가 우수한 해외 대학을 방문하여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자들은 장애학생 수업의 조정적 지원에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였으며, 학생의 장애 정보, 수업 및 평가 조정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안내받기를 요구하고 있었다. 교수자 지원 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 정보 제공, 제도 마련, 상담, 교육, 웹 활용 등의 다양한 지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 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자 지원 방안으로서 절차적 지원, 정보지원, 상담 및 교육 지원, 보조서비스지원, 인식개선지원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structor perceptions, needs, and effective support system for instructor to teach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survey of sixty two university instructor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f teach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nterviews of four instructors and four experts in the higher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were implemented. Furthermore, two outstanding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ir policy and strategies for instructor support. The results of survey reveal that instructors have low perception of accommodations related to the test and evaluation and that they need to be provided disability information and accommodation guide.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an instructor support system in terms of five dimensions, which are procedure, informa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assistance, and disability awareness.

      • KCI등재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 S대학교를 중심으로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교수자 98명과 학습자 1,900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Scheffé 사후검증)를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4.57점 부터 4.74점이지만, 교수자의 성별, 캠퍼스 유형,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3.87점 부터 3.94점이며, 성별,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반면, 학년과 캠퍼스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에 비해 교수자가 .61점 부터 .80점 까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자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학습자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통해 부족한 역량은 강화시킴으로써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teachers and 1,900 learners.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ANOVA(Scheffe’s post test) on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was 4.57 to 4.74, but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type of campus,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was 3.87 to 3.94, and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y grade and type of camp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teachers evaluated higher than learners from 0.61 to 0.80,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clearly understand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ack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expect to be strengthened to improv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대학융합교육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조사

        전영미(Jeon, Youngm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습자들에게 융합교육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학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 성과, 전제조건 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자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에서 융합교육을 경험한 교수자와 학습자보다 경험하지 못한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운영되는 융합교육의 개념과 바람직한 융합교육의 개념, 목적, 전제조건 등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는 서로 다른 응답을 하였다. 융합교육의 성과에 대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정의적인 성과를 더 중요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융합교육 활성화 및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융합교육이 미흡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좀 더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 소속 교수자와 학습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황을 분석하여 대학 특성에 맞는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정립하고, 융합교육운영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하는 제도적 장치나 평가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둘째, 학교 차원에서 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정립하고 가이드를 마련한 후에는 이를 교수자에게 알리고, 또한 교수자는 학기 초 학습자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목적, 수업 활동 등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시행하도록 하는 체계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융합교육이 단순 흥미 위주의 수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대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the concepts, goals, preconditions, an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considered the results as a groundwork for deciding its future direction and management. Professo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the capital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utiliz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who did not, but both indicated low awareness of this concept.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overall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thus showing a positive intention to practice (or take the class). Second, professors and stud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concepts, goals, preconditions, an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although they all emphasize emotional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ncepts and goal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y be established first by analyz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competencies, and the university’s situation. The school system, regulations, or assessment likewise need reformation to lessen their burden. Second, system development is necessary to verify the convergence education appropriate for a university,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convergence education needs to be properly disseminated. Third, this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with the students during the first class by orientations and briefing, and the university should monitor this process continuously. In order to avoid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simply out of curiosity, each university should regularly conduct workshops and seminars for professors and students.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P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진주 ( Jin-ju Park ),김은정 ( Eun-ju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표는 대학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의 P국립대학 재학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수업 전반에 대한 학습자, 교수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수자 161명과 학습자 2,59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식분석은 기술통계를 활용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구도 분석은 첫째, t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4분면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순위 항복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와 교수자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인식조사의 경우 온라인 수업의 미래에 대해 교수자보다 학습자가 더 열려있는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수자의 경우 상호작용이 용이한 실시간 수업을, 학습자의 경우 원하는 시간에 반복학습을 할 수 있는 동영상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조사의 경우 최우선순위 항목은 4가지로 온라인 학습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교수자의 인프라활용 능력, 학습자의 열정,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서의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online class system by conducting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nd professors at P National University in Busan, an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of the entire online class were investigated. Finally, 2,599 students and 161 professor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ethod of data analysis was as follows. The perception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needs analysis was first statistically verified by t-test, and second, the priority was derived using Borich's demand formula. Third,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tilized to present the needs using a 4-minute coordinate plane, and fourthly, it was aggregated to derive the top priority and the next priority items. Studies have fou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online classes, depending on learners and professors. In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perceptions analysis, the learners were more open to the future of online classes than the professo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ofessors prefer real-time classes that are easy to interact with the learners, and the learners prefer pre-recorded online classes that they can watch videos repeatedly at any time. For the needs analysis, there were four top priority items: objective and fair evaluation of online learning, the ability of professors to utilize infrastructure, learners' enthusiasm for the class, and the feedback of professors to learner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have been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하이플렉스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과 개선 방안

        이가영,한송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nalyzing Higher Education Instructor’s Perceptionand Future Directions on Hyflex LearningGayoung Lee & Songlee H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in university regarding Hyflex classes and to explore improvements of the Hyflex classes. To this end, a total of 82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o explored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regarding the use of the Hyflex. According to the results,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ositive perception of Hyflex classes were respect for learners’ choice, applicable to practical subjects that are difficult to operate non-face-to-face classes, and overcoming limitations of existing offline classes, showing similar results pattern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On the other hand, an un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ed burden on class preparation, negative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learners, and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non-face-to-face learners affected negative perceptions of Hyflex courses. This study has conducted a meaningful that analyzed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the application of Hyflex classes optimized for higher education and future study needs to explore on perception of students, TA and staff. Key Words: Hyflex Courses,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ors’ Perception, Higher Education, Improve Instructions 대학교육에서의 하이플렉스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과 개선 방안이 가 영*ㆍ한 송 이** 요약: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하이플렉스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대학의 교원 82명을 대상으로 객관식, 주관식 문항이 포함되어있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이플렉스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끼친 요소는 학습자의 선택권 존중, 비대면 수업을 운영하기 어려운 실습 과목 등에 적용 가능, 기존 오프라인 수업의 한계 극복 등이었다. 반면, 부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끼친 요소는 부적합한 교육환경, 교수자의 부담 증대, 비대면 학습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비대면 학습자에 대한 상호작용의 어려움이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적합한 하이플렉스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교수자의 긍정적, 부정적 인식을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학습자, 수업 운영 조교 혹은 교직원들의 인식 조사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핵심어: 하이플렉스 수업, 수업 설계, 교수자 인식조사, 대학 교육, 수업 개선 □ 접수일: 2022년 3월 11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백석대학교 조교수(First Author, Assistant Professor, Baekseok Univ., Email: gayounglee@bu.ac.kr)** 교신저자, 동국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Corresponding Author, Research Professor, Dongguk Univ., Email: songleehan@dongguk.ed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