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자포트폴리오를 통한 교사전문성 훈련 및 평가방안

        김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훈련 및 평가 방안의 하나로 교사포트폴리오를 제안하고, 그 개념과, 구성, 기능 및 적용방식을 국내외의 활용 사례를 통하여 검토한다. 특히 연구자가 3학기에 걸쳐 적용하고 있는 영어교육대학원 내 교사 포트폴리오 훈련과정을 자세히 소개하고 활용상에서 나타난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교사 포트폴리오의 효과적인 제작 및 활용방안으로서 전자포트폴리오를 소개하면서 유형별 특성과 장단점을 선행 연구와 사례를 통하여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포트폴리오 교사훈련의 방향과 그 적용방안에 대해서 영어교과 교사의 전문성 훈련의 예를 들어 제시하고 전자포트폴리오 설계의 기본방향도 제안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포트폴리오 적용 프로그램 개발

        유수경(Yoo Sookyung),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교사 포트폴리오 적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직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고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고 더불어 현 교육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 포트폴리오 적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사들의 교사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은 예비교사 교육에서 근래 교사 포트폴리오가 많이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교사들은 대체로 자신의 효율적 수업 진행을 위한 수업자료 모음인 자료집으로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며 교사들이 현장어서 사용하고 있는 자료집의 형태를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갖추어가는 과점을 통하여 교사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교사 포트폴리오 적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습 및 교수경험 진술, 제작과정 계획, 관련자료 조사, 수행과 결과 수집, 자료 선정과 구성, 평가와 전시로 모두 6단계로 구성하였고 10주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eschool teachers about teachers' portfolios and their needs. In an effort to develop a teachers' portfolio program that could be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n response to their needs. Even though teachers' portfolios were largely applied to th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ers lack of awareness of them. In general, the majority of teachers viewed teachers' portfolios as collections of instructional data that could help boost their efficiency. To cater to their needs, a teachers' portfolio program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o let them produce their own portfolios by systematizing their collection of data in a specific way. This teachers' portfolio program was comprised of six stages, including describing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 mapping out a production plan, checking relevant data, acting out or gathering information on the results, selecting and organizing materials, and evaluating or displaying the results.

      • 한 유치원 교사들의 포트폴리오 평가 경험

        류옥미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경험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남도 소재한 사립, K대학 부설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6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1년 3월 17일부터 2012년 2월 17일까지 12개월 교사면접과 관찰,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수집, 연간․주간․일일교육계획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6단계로 수집된 자료 전사, 메모작업, 자료의 분류, 범주화, 자료의 해석, 분석 결과의 확인 단계로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는 첫째. K유치원의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망망함이나 두려운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시작으로 교사들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확한 개념 없이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여러 가지난제를 겪게 된다. 둘째. 어렵고 힘든 부분도 많이 있지만,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신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평가의 가치를 깨달았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는 교사들에게 어려움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질적인 상호작용을 제공, 유아를 관찰하는 능력 발달,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제공, 유아를 이해하는 능력 향상을 가져다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eachers' experience in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This study surveyed six subjects who work with the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the private university K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period was 12 months from March 17, 2011 to February 17, 2012. During the period,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portfolio assessment data were gathered, and yearly, weekly and daily teaching plans were gathered. The six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es of copying, taking notes,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interpretation, and analysis result confirmation.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teachers had various difficulties evaluating their portfolio. Teachers felt disoriented and confused about assessment, although such feeling intensity varied. Second, teachers overcame the difficulty of portfolio assessment as they evaluated their portfolio. Third, teachers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has improved the quality of instruction to provide a qualitative interaction, the ability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aking into account in dividual differences, providing classes, infant brought to improve the ability to understand.

      • 예비교사를 위한 교사-포트폴리오의 내용 구성

        설양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6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6 No.1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교사의 능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교사의 수업능 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의 수업능력을 평가하라는 요구가 사회 각층에서 일어나고 있다. 교사들의 수업능력은 교사양성기관에서부터 배 양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교육실습시기부터 수업능력에 관련된 요소를 추출하여 예 비교사들의 수업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교육실습록(교사 포트폴라오)의 구성요소를 탐색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교육대학생들이 실습학교에서 작성한 실습록, 교 육대학교의 홈페이지에 제시된 실습록 자료 둥을 참고하였다. 안구의 결과로 두 가자 유형의 포트폴리오(목적지향, 표준지향)를 설명하였으며, 목적지향 포트폴리오의 특징적 요소 열 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tents of teaching portfolio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lmost all would-be elementary teachers have their practicum for around nine months. During the practicum the students are supposed to learn how to teach and how to maintain the class chores. College students are asked to collect all document to prove their ability showing to match several standards that their supervising teachers require them to acquire. The collection of document is called Silsumlok, teaching portfolio.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requirements of six experimental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uthor proposed ten possible items for experimental schools with which they teach future teachers core abilities for their prof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tems of teaching portfolio needs to be standardized nationally. Second, in the same college the items needs to be same. Third, teachers of experimental schools and professors of partner university needs to work together for creating teaching standards for their students.

      • KCI등재

        초등교사교육기관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연구

        박윤경,김민조,이은주,김동원,김미혜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teaching portfolio models to promot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ose teaching portfolio models in the univers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two types of teaching portfolio model; one i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other is for teacher educator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each portfolio model based on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teacher educators. The components of two teaching portfolio models include teaching philosophy, class design, teaching performance, and reflection on teaching. We applied two teaching portfolio models in actual teacher education courses to figure out the validity of those models, and proposed improvements in the portfolio.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utilization and spread of the teaching portfolio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초등교사교육기관에 적합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모형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교사교육기관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을 예비교사용과 교사교육자용으로 구분하고, 문헌 검토,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초점 집단 면접을 바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별 개념 및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예비교사용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관, 수업 설계 역량, 수업 실행 역량, 수업 성찰 역량으로 이루어졌고, 교사교육자용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관, 강의 설계, 강의 실행, 강의 성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티칭 포트폴리오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강의에서 시범 적용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 및 확산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심성경(Seong-Kyung Shim),변길희(Kil-Hee Byon),류경희(Kyung-Hee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4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Test, ANOVA, Scheffe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방법과 효과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별 실제의 수준은 인식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력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4년대졸 이상 학력의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교사에 비해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 방법과 효과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가 더 컸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모든 하위문항에 걸쳐 대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내용별로 부분적 차이만 있었다. 즉,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학력이나 경력이 높은 교사의 경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포트폴리오 평가 실시에 대해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포트폴리오 실시 여부나 질적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교사들이 생각하는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련 연수의 실시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portfolio assessment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d analyzed their dependence on various underlying fact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304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I?G cities in Jeollabuk-do. The answers on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evaluating frequencies, percentag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by carrying out paired t-test, ANOVA, and Scheffe verification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ractice fell meaningfully short of their perception in every sub-categories of the method and the effect of the portfolio assessment. Among the various underlying factors, only teachers’ educational level played significant ro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was relatively large among the teachers with regular 4-year college diploma as compared to junior-college graduates. Second, as we examine the difficulties in the portfolio assessment, teachers in general found difficulties on the questionnaires in all sub-categories, although the dependence on the underlying factors varies across the sub-categories. For example, teacher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or who work at public kindergartens felt relatively more difficulties in the portfolio assesment

      • KCI등재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의 공개와 수업개선 참여활동이 예비교사의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및 수업설계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Min je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 공개와 수업개선 활동에의 참여가 예비교사 자신들의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과 수업설계 전문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두 학기간의 예비교사 대상 수업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교수자의 티칭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공개하는 두 번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1차 연구(예비연구)에서는 단순히 매주 업데 이트되는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를 관찰하게 하는 집단과 관찰 없이 자신들의 티 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집단을 두고, 예비교사들의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과 성찰 에서 드러나는 수업설계 전문성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단순한 관찰은 예비교사들 의 포트폴리오 형성 및 수업설계 전문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발견하여, 이 를 보완하는 연구2(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 한 집단의 예비교사들은 교수 자 티칭 포트폴리오를 관찰하고 직접 수업개선 활동에 함께 참여하여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 해보는 작업에 참여 하였고, 다른 한 집단은 예비연구처럼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 관찰만 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 티칭 포트폴리오를 통해 수업개선 활동에 참여한 집단의 예비교사들이 성찰에서 교수설계 전문성과 관련된 성찰대상과 성찰유형을 보다 다양하게 그리고 풍부하게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교수자와 예비교사가 교수적 경험을 함께 공유하고 성 찰하는 실제적 경험을 통해 교육해나가는 것이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전문성 형성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pen teaching portfolio and participation activity on preservice teachers’ portfolio composi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For the purpose, two series of study was conducted. The first study was a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or’s open teaching portfolio on preservice teachers’ portfolio composi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A two-group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structor’s open teaching portfolio helped preservice teachers to understand how to compose their own teaching portfolio. However, it did not helpful for them to develop their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For the reason, the researcher re-designed the second study with strategies enhancing reflection on instructional design, which is participation in revising activity. The secon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en teaching portfolio and participation activity on preservice teachers’ portfolio composi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activity was effective to foster presesrvice teachers’ refelction on instructional design.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ctual training guidelines for educators who are training presrevice teacher through the use of teaching portfolio.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의 포트폴리오 체제 운영을 통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전략 관련 지식의 변화

        박계신 ( Gye Sh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을 운영할 때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의 교수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있어서 변화를 나타내는지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무엇을 경험하였는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학생 대상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사전사후 교사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사전사후 개념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응용 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교과목 관련 과제 수행 시 작성한 개인별 반성적 저널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이후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자폐성 장애아동 대상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도 상위개념, 종속개념, 밀도 및 위계의 모든 측면에서 뚜렷한 향상을 나타냈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을 수행하면서 이론 수업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학생의 특성 및 자신의 과거의 반응들을 성찰하였고, 수업을 통해 획득한 이론적 지식을 아동의 교육을 위해 적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교육적 실천을 위해 습득한 지식 이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또한 교육적 실천을 통해 기쁨과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아울러 교육적 실천을 위해 확장된 탐구 자세를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을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고 싶은 바램과 각오를 나타냈다. 또한 자신들이 유아특수교사의 길을 선택한 것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System including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eaching efficacy and knowledge chan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o, this study is to inquire how pre-service teachers tell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Portfolio System.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university lecture course participated in the Portfolio System. Teaching efficacy test and concept m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on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ortfolio System, and pre-service teachers` daily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ere proved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t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System. Second,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 on their knowledge(in general concepts, sub-concepts, concept map levels and cross-links) about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And the third, pre-service teachers had a practical experience and established image of good teacher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다중지능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을 통한 통합학급유아교사의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변화

        조희경,강영심 한국통합교육학회 2007 통합교육연구 Vol.2 No.1

        In this study, the method helping inclusion kindergarten teacher for infant was searched by the portfolio activity of multiple intelligence that is able to utilize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advantage of portfolio. In other words, the reflective contemplation change of unification school teacher for disabled infant was search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roblem for this study is “what is the chang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by inclusion kindergarten teacher through the portfolio activity of multiple intelligence?”. To solve this problem, three teacher executing unificat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and investigated by interview. Through the portfolio activity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reflective thinking by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e things for disabled infant, for teacher\'s self and for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ratio of inclusion and lack of time. This reflective thinking changed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passage of the reflective thinking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problem recognition stage that teachers find difficulty. The second stage is to make efforts for overcoming the recognized problem. The third stage is to overcome the problem by efforts and teachers have something worth in many quarter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portfolio changed the reflective thinking by inclusion kindergarten teacher for disabled infant and then increased the understanding standard for disabled infant and had confidence to teach disabled infant and had discrimination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disabled infant. This could be, finally, an method helping inclusion kindergarten teacher for infant. Key words : Multiple Intelligence Portfolio, Reflective Thinking, education teachers,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fant.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의 관점과 포트폴리오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다중지능포트폴리오활동을 통해 장애유아통합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내용과 반성적 사고의 변화과정은 어떠한지에 대해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에 있는 통합교육을 실시하고있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이다. 연구과정은 먼저 연구자가 다중지능을 적용한 교수학습계획안을 만들어 교사들에게 매주 보내주고, 교사들은 통합하고 있는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활동들을 진행하면서 포트폴리오 제작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함께 해나가면서 3회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지능포트폴리오활동을 통한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내용은 크게 장애유아에 대한것, 교사 자신에 대한 것, 통합의 비율과 통합의 스케줄, 시간부족 등의 외부적 조건에 대한 것들로크게 나누어졌다. 이러한 반성적 사고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세 단계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로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교사들은 이렇게 인식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하는 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는 교사들이 노력의 결과로 문제를 극복하게 되면서 여러 측면에서 보람을 느끼는 단계이다. 따라서 다중지능포트폴리오활용은 장애유아통합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변화시켜,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장애유아를 지도하는데 자신감을 갖게 하고, 장애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한 안목을 갖게 함으로써, 결국, 장애유아통합교사가 장애유아를 교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 설계기반 연구

        김민정 ( Min Jeo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설계기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예비교사 교육의 목적에 맞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e-포트폴리오 활용의 일반 특징을 문헌 연구로 밝혀낸 다음, 이를 바탕으로 1차 설계원리의 도출과 시스템 개발을 하였고, 1차 현장 적용, 1차 현장 적용 결과를 토대로 한 2차 설계 원리의 도출과 시스템 개발, 2차 현장 적용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최종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는 국내 예비교사 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테스트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게 해주는 점, 학습과 보다 밀접하게 연계된 맥락화된 성찰 활동을 하게 하기 위한 성찰 안내 스크립트 제작 기능을 가진 점, 예비교사들의 실천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하여 동료학습자와 자발적이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 등에서 기존의 다른 포트폴리오와 차별성을 띤다. 연구의 마지막에서는 후속연구로 이러한 특징들이 예비교사의 학습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중점으로 두고 연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n e-portfolio system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design-based research method. First of all, researcher extract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e-portfolio usage for pre-service teachers to establish the initial framework of the system. Then, she developed the first-round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first system with the first-round design principle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n actual classroom. After the first field study, researcher found a few drawbacks of the system such as lack of specialti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lack of emphasis on refle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derived a few design & development principles for the second e-portfolio system. The second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again. Finally developed e-portfolio system for pre-service teachers is unique in that it allows pre-service teachers to design various types of e-portfolios, including test portfolio, it emphasizes on structured reflection by giving contextualized reflection guide, and it provides many ways of interaction to build community of practice for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inally, further research ideas about the aspects of the final e-portfolio syste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