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사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대학부설기관 한국어 교사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안정민(Ahn, J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사 평가기준과 활용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교사 평가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한국어 교사 평가에 대한 시사점과 나아갈 방향을 함께 모색 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 평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교사 평가의 세부 기준이나 그 활용 방안,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가 많지 않았고 실제로 평가 대상자가 되는 교사들의 생각에 대한 논의는 찾기가 어려웠다. 본 연 구에서는 2018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시행한 대학부설기관 한국어 교사 4명의 인터뷰 분석을 통하여 현장의 교사들이 한국어 교사 평가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 더 나은 한국어 교사 평가 방안에 대한 네 가지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교사 평가에 대해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과 두 번째로 평가결과에 대한 적절한 보상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 세 번째로는 평가의 목표와 방법 및 결과가 교사들과 공유되고 교사들이 행정가들과 함께 교 사 평가를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가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참관 수업을 재교육에 연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evaluation criteria and applic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ee how teacher evaluation i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field.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teacher evaluation. Although teacher evalu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not many discussions about the detailed criteria of teacher evaluation, how to use it, and directions for going. In this study, the interviews of 4 Korean teachers who work in various university institut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how teachers perceive Korean teachers evaluation. In addition, four directions for the evaluation of Korean teachers were suggested. First,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for teacher evaluation. Secondly, adequate compensation for evaluation results should be provided. Third, evaluation goals, methods, and results are shared with teachers Finally, the effect of connecting the observation class which is used a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to the re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비교 연구

        박영민,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 assessment between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based on writing rater factor. 39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were assessed by all 73 teachers who made up of 49 in-service teacher and 24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They assessed 39 argumentative essays equally and did not discuss about the assessment previously. So, they did not be affected by assessor discussion. Then, the result of argumentative essays assessment were analys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or group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Although assessor did not discuss about their assessment,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high correlation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Second, although between two teacher group founded high correlation in assessment result, their assessment difference of formal grammar were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strict writing assessment perspective, they rated the essays lower than in-service teacher of korean generally. Thir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assessment result, it was founded that when assessed, in-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of essay, but pre-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and grammar such as spell, punctuation equally. So pre-service teacher graded lowly for grammar factor in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reflective perspective about in-service teachers' specificity of writing assessment and writing assessment method. And futher studies needed are effect test of assessor discussion in writing assessment and affect analysis of teacher of korean as assessor' belief, correlation of between writing assessment and assessor discussion.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 대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함으로써, 쓰기 평가의 전문성, 쓰기 평가의 결과, 쓰기 평가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평가에 대한 이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국어교사는 49명, 예비 국어교사는 24명에게 중학생 글 39편을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평가자 협의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평가 과정에서 평가자 협의는 진행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글을 평가한 결과는, 평가자 협의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둘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형식 어법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예비 국어교사들이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 점수를 낮게 주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총점을 비교한 결과, 현직 국어교사는 글의 내용에 평가의 중점을 두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예비 국어교사는 내용 및 형식 요소를 균등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는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쓰기 평가에서 현직 국어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드러나지 않은 원인과 현 쓰기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하도록 한다. 더불어 평가자 협의의 효과도 확증할 수 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평가자 협의와 쓰기 평가의 상관 등에 대한 논의가 추후 보완되어야 하며, 또한 평가자인 국어교사의 쓰기 신념 요인 등에 대한 영향 분석도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Rasch 모형을 활용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 분석 -중학생 설명문 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박영민 ( Young Min Park ),최숙기 ( Sook Ki Choi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서 발견되는 국어교사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 설명문 35편을 68명의 국어교사에게 평가하게 하고, 이 중 6편의 중학생 글을 무선 선정하여 Rasch 부분 점수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은 공개된 FACET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8명의 국어교사가 보인 평가자로서의 엄격성은 -1.96 logit(SE=.26)부터 2.48 logit(SE=.33)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평가에 참여한 국어교사들은 평가자로서의 엄격성이나 일관성이 서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국어 교사의 성(性), 경력에 따라 쓰기 평가의 엄격성과 일관성도 차이가 있었다. 일관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엄격성은 차이가 있었다. 여교사는 남교사에 비해 학생 설명문을 더 엄격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엄격성과 일관성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1~5년의 국어교사가 가장 엄격하게 학생 글을 평가하였다. 셋째, 쓰기 평가의 하위 영역 분석에서, 국어교사들은 학생 설명문을 평가할 때, 단어 선택 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조직 요인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특성은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based on Many-Facets Rasch model. For that, the 68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35 expository writ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n, 6 expository writing was selected randomly and analyzed using free FACETS program.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ran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verity was from -1.96 logit(SE=.26) to 2.48 logit(SE=.33). It was showed that severity and consis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engaged writing assessment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verity and consist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career. The female teachers(0.11 logit, SE=0.07) were more severer than male teachers(-0.11 logit, SE=0.03). The range of severity as teachers` career was from -0.52 logit(SE=0.26) to 0.16 logit(SE=l.l). The severity of teacher experienced 1~5 years was more higher than another teacher. Third, as analyzed subordinate constructs of expository writing assessm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ssessed word choice, convention, content, craft, organization highly in order of difficulty. This result will be a helper to develop program for expertises in students` writing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KCI등재

        예비 초등영어교사의 과정중심평가 계획 작성 경험 분석

        조규희 ( Jo Kyuhee ),강정진 ( Kang Jung-j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과정중심평가는 학습자의 내실 있는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평가 패러다임으로 알려져 있다. 초등영어교육에서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내용 고찰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영어교사가 작성한 과정중심평가 계획을 양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활동에서 예비 초등영어교사가 경험한 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 평가 관련 예비교사교육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26명의 예비 초등영어교사가 작성한 과정중심평가 계획 작성 분석 결과 예비교사는 과정중심평가의 핵심 요소를 반영하여 학습자의 종합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계획을 적절히 수립하였으나, 과정중심평가의 성장참조적 성격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예비교사 과정중심평가 계획 작성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에게 해당 경험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내용은 과정중심 평가 관련 인식, 이해, 기술 및 전문성 신장으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에 따른 세부 경험은 만족감, 기대감, 우려감 등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그 가운데 예비교사의 학습자 평가 관련 전문성 성찰의 자세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평가 관련 내용의 구체적 지도, 실천적 활동 제공, 예비교사 개별 지도, 교육실습과의 연계와 같이 영어 교과 과정중심평가 관련 예비교사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Process-oriented assessment is known as a new paradigm that can promote the substantial growth of learn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and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learner assessment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sults of the plans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prepared by 26 pre-service teachers, an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planning activities. The pre-service teachers effectively planned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by considering its core elements, but they could not expressly state the growth-referenced nature of the assessment. Further,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process as meaningful, and their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their awareness, understanding, skills, and reflection of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learner assess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강대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초임교사 167명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조사대상자의 성별, 평가 관련 연수 이수여부, 평가활동 자신감, 평가 전문성 중요도의 정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여성 초임교사가 남성 초임교사보다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이 달라지는 구체적인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관련 연수를 이수한 초임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 간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평가 관련 연수의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상반된 것이지만,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단순한 평가관련 연수 경험여부가 아니라 평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이 중요하다는 전제조건이다. 셋째, 평가활동에 자신감이 높은 초임교사가 보통이거나 그렇지 않은 초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의 중요도를 낮게 생각하는 초임교사보다 보통이거나 높게 생각한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았다. 다섯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의 전문성 기준선과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비교한 결과, 기준선에 비해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초임교사 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양질의 초임교사 맞춤형 평가연수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by analyzing the levels of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167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surveyed, and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level of literacy in assessment of students based on gender of subjects, completion of training,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and extent of importance of literacy in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female beginning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male beginning teachers. However,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specific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depending on gender of beginning teachers.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between beginning teachers who completed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and beginning teachers who did not. This is contrary to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experience with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However, the precondition needs to be considered that substance of training program related to assessment is important, not the experience with simple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Third, beginning teachers with higher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beginning teachers with moderate or lower confidence. Fourth, the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in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moderate or higher importance to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compared to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less importance to specialization in student assessment. Fifth, we compared the literacy baseline for testing the literacy of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and th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scores of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rea, compared to other area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 period to ensure operation of high quality training on assessment which is tailored to beginning teachers.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김신영(Shinyoung Kim),송미영(Mi-Young S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질적 제고가 강조됨에 따라, 별도의 수습기간 없이 교사 임용과 동시에 교단에 서게 되는 예비교사들에게 학생평가 분야에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학생평가와 관련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전문가 합의 기준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확인하고 교원 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평가 관련과목과 교육실습 과정의 이수가 학생평가 전문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강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교육실습 이후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교육실습 이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평가전문성의 기준선을 통과하지는 못한 수준이었다. 교원양성과정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비교사들이 일정 수준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ssess the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i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possess the assessment competency.<B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ield training or practice in the existing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on the assessment competency based on ‘the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field training improved pre-teachers" level on assessment competency and pre-teachers who have took a course related to ‘educational evaluation’ got higher than ot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portunities for field training or practice need enlarging and enhancing.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조현옥,최인화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1차 평가인증지표를 토대로 평가인증을 받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인증 경험에 따라 평가인증의 운영과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차 평가인증에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χ2 검증,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평가인증통과 후 사후 유지관리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에서만 나타났다. 인증경험이 없는 교사는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인증경험이 있는 교사는 ‘보육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인증지표의 실현성에 대한 인식은 보육환경 영역의 ‘예술활동자료’, 운영관리 영역의 ‘보육시설의 운영방침 및 정보 안내’, ‘원아에 대한 관리’, ‘종사자의 근로계약’, 건강과 영양 영역의 ‘식자재, 조리 및 배식과정의 위생적 관리’, ‘아프거나 다친 영유아의 보호’, ‘영유아와 종사자의 건강관리’, ‘영유아를 위한 간식’, 안전영역의 ‘영유아의 안전한 인계과정’ 항목에서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해 실현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평가인증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가 제2차 평가인증지표의 실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교사평가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김민아,김혜숙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Japan from a system-based perspective using the meta-evaluation framework.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ose involved in teacher evaluation in both countries along with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Meta-evaluation refers to an evalu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whose framework consists of evaluation resources, evaluation execution, evaluation results and utilization. Findings/Results: First, Korea's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no linkage between two evaluation systems, while Japan's one is closely linked through interviews. Second, regarding the evaluation organization, Japanese principals decide a specific way of evaluation execution, while Korea gives autonomy to teachers. Third, the evaluation contents of Korea and Japan are very similar and include not only instruction ability but also guidance ability as evaluation factors. Fourth, alth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both countries includes the relative evaluation by the supervisor,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to Korea's teache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hich includes a multi-rater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process. Fifth,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of the two countries does not contribute much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ity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which is the core purpose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However, communication and feedback of those involved in evaluation through the interviews in Japan are useful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Value: These findings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countries’ teacher evaluation system should move forward to develop the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ty of teachers. 교사평가는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기제이며, 동아시아 특유의 교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한 한국과 일본의 교사평가제도를 비교하는 것은 ‘서로 다름을 통한 배움’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교사평가제도를 메타평가의 틀을 활용하여 체제론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조사와 함께 양국의 교사평가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메타평가란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말하는 것으로 그 틀은 평가자원, 평가실행, 평가결과 및 활용으로 구분된다. 양국의 교사평가제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제도 간의 연계・통합성을 살펴보면 한국의 교사평가제도는 평가제도 간의 연계가 전혀 없는 반면, 일본의 교사평가제도는 두 평가제도가 면담을 통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둘째, 평가조직과 관련하여 일본은 교장이 세부적인 평가운영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반면, 한국은 평가대상자인 교사들이 구체적인 평가내용을 정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고 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평가내용은 매우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공통적으로 학습지도뿐만 아니라 생활지도를 평가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근무실적이나 수행능력뿐만 아니라 태도나 열의와 같은 정의(情意)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넷째, 양국의 업적평가제도는 공통적으로 관리자에 의한 상대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나, 평가과정의 공정성과 관련하여 다면평가를 도입・확대하고 있는 한국의 교원업적평가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다섯째, 교사평가제도의 핵심적인 목적인 교사의 전문성 및 책무성 향상과 관련하여 양국의 교사평가제도는 책무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나, 일본의 면담을 통한 평가관련자들의 의사소통과 피드백은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교사평가를 통한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책무성 강화를 위해서는 업무와 결과가 아닌 학교교육의 본질인 수업과 과정 중심의 교사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 수업장학의 내실화와 평가제도의 연계, 평가관련자들 간의 충분한 의사소통 및 공유가 필요하다.

      • KCI등재

        초·중등 예비교사의 형성적 평가 경험과 숙달목표 및 학습을 위한 평가인식의 관계

        김난옥,박정,손원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가 수행하는 일련의 평가절차에 대한 의사결정의 해석틀로써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교사로서의 신념을 계발하기 시작하는 교사교육에서 교사의 평가인식 양상이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의 주된 목적인 학습을 위한 평가인식에 주목하여,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예비교사 간의 ‘학습향상’ 평가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형성적 평가 경험과 숙달목표가 평가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형성적 평가 경험에는 피드백의 경험, 피드백 질, 피드백 활용을 포함하였다. 분석대상은 충청 및 경상권 소재의 6개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초·중등 예비교사 총 557명이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 및 중등 예비교사의 학습향상 평가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집단 구조모형 분석 결과, 교원양성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예비교사가 경험한 형성적 피드백은 피드백 질과 숙달목표에 정적효과를 보였으며, 피드백 질을 높게 지각하거나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피드백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형성적 피드백 자체는 학습향상 평가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피드백 질과 피드백 활용, 숙달목표와 피드백 활용을 통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긍정적인 평가인식 발달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평가인식의 영향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re-service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ith their conceptions of assessment. Especially, the improvement con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core feature of ‘Assessment for Learning(AfL)’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its antecedent variables such as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ere scrutin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N = 557) from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four districts of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y the latent mean analysis, the concep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improvement conception and its antecedent variables were equivalent across the two groups. Thirdly, the formative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while i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conception. The effects of the thre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the quality of feedback, use of feedback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between the formative feedback and the improvement con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conceptions of assessment were discussed and this paper concludes with importance of the formative assessment experience for per-service teachers’s conceptions and practice.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1

        최근의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 고교학점제, 교사별 학생평가, 대입전형에서의 수시 비율의 확대 등에 의해 교실 단위의 학생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는 최신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와 성취평가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포함하여, 최신 학생평가와 관련된 역량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역량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총 1,307명의 교사가 응답에 참여하였다. 이 중 300명의 교사의 응답을 척도 타당화를 위해 사용하였고, 나머지 1,007명의 교사 응답을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는 평가시행(α=0.919),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α=0.913), 윤리성 및 법적절차 준수(α=0.938), 결과환류(α=0.876),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급에 따라, 교사의 교육 경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실태조사를 하였다. 초등 교사가 모든 요인에서 다른 학교 급 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역량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역량을 인식하고 있었다. 남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은 모든 요인에서 초중고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교육 경력별로는 경력이 오래될수록 자신의 역량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 학생평가 정책에 대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보면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이 성취평가와 관련된 항목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The importance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classroom has been increasing due to recent trends and polices on student assessment, and so h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In this study, a self-report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is composed of 18 items including the latest student assessment polices: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standard-based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The survey using the scale was conducted online and a total of 1,307 teachers participated. Among the responses, the responses of 300 teachers’ were used to validate the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ose of 1007 teacher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the scale consists of four factors: administering student assessment (α = 0.919), developing assessment (α = 0.913), ethics and legal process (α = 0.938), and feedback and usage for assessment results (α = 0.876). With the developed scal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were highest in all factors followed by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n high school teachers’. Also, there were no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all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longer the teachers have served, the higher they think their competencies are. Regarding the recent student assessment policies, the mean of the item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was higher than those related to the standard-achievement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