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달

        김찬종(Kim, Chan-J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연구와 실천 Vol.75 No.-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수업 전문성은 양성과정에서 시작하여 교사의 전 생애를 통해서 발달되고 변화된다. 교사 연수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이의 발달을 위한 좋은 계기나 자극이 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통하여 수업 전문성의 특성과 발달, 그리고 교사연수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수업전문성에 대한 이해는 과정-결과 모형과 같은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특정한 기능이나 성향 파악에서 보다 복합적인 PCK, 실천적 지식 등으로 확장되어 왔다. 교사는 생애 주기별로 독특하고 특정한 발달 단계를 겪는다. 이는 개인의 지향과 특성 그리고 근무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우리나라 교사들은 전문적인 발달보다는 현장 적응적인 특성과 경험과 시행착오를 통한 제한적인 발달을 한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서 결정적 경험과 반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교사들은 매일 매일의 수업을 실행하면서 실천적 반성을 통해서 지속적인 변화를 겪는다. 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극복, 수업 전문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활용한 교사 재교육 실행, 교사의 자발적 연구 모임 활성화, 학교의 발전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연계, 교사들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 현장의 필요와 교사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발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developing and changing throughout teachers entire career, beginning from the teacher education college. Attending in-service education or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may provide effective opportunity or stimulus. By summarizing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and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on this are explored.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had been understood based on process-product model. Recently, more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PCK, practical knowledge have been developed. Teachers experience unique developmental process throughout career. It depends on personal orientation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text. Korean teachers develop by adaptation and trial-and-error. In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development, critical experience or incidents play important rol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ch experience to teachers. Teachers also develop and experience continuous change from reflection-in-action in everyday teaching. For developing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overcoming negative perception of teachers on in-service education, developing and administra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research, activating teachers spontaneous study meetings, connecting school develop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ppropriate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and based on needs and demands of teachers.

      • KCI등재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박남수,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1

        이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에 따라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 변수의 문항신뢰도를 확인하였고 교직이수 유형에 따라서 전문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전문성 중 학생평가전문성에서는 교직이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으나 교과전문성 및 학급경영전문성에서는 교직이수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학생평가전문성에서 일반대학 교육과 출신교사 집단과 사범대학 출신집단 간, 그리고 교육대학원 교직과정 출신 집단과 사범대학 출신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교육대학원의 평균이 사범대학보다 높았고 사범대학과 일반대학 교육과 간에는 사범대학 평균이 높았다. 직무만족도에서는 교직이수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서는 교육대학원 교직과정 출신교사가 사범대학 출신 교사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등교사의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는 교직이수 유형별로 그다지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약간의 차이는 교육대학원이 다른 유형에서보다 다소 높게 나타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직이수 유형에 대한 차별적 정책 및 교원양성 체제의 개편 방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 certification.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Data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and frequency, and by using ANOVA.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valuations of professionality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among groups who followed different routes to teacher certif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in subject expertise and classroom management expertise among groups who followed different routes to teacher certific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teac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Polic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 candidates trained in colleges of education are better qualified need to be re-examined.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오채선(Chae Sun Oh),염지숙(Ji Sook Yeo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가정이나 개념들로부터, 향후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논쟁점을 이끌어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데 있어서 전문성 소유의 주체를 1982년 이후부터 유아교사라는 더 광범위한 대상에 포함시켜 논의하다가 2003년 이후 영아보육교사를 고유의 전문성 주체로서 다루어 연구하였다. 이때 영아보육교사를 전문성 소유 주체로서 구분한 것은 의미가 있었으나, 영아보육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의 개념이나 실체에 대한 담론이 더 많이 형성될 필요가 있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도구에서 용어만을 변경한 것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으며, 학력과 지식이 실천과 당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기계론적인 논리가 내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 in the area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were carried by these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fant teachers as agencies have appeared in research since 2003. However, the concept of the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have been more established. Secondly, the measurement instruments for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Lastly, these studies contained the mechanistic logic;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and their knowledge were closely related to practice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 personal responsibility.

      • KCI등재후보

        교사전문성으로서의 독특성

        정정훈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교육연구의 중요한 주제인 교사의 삶에 대한 연구는 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 그들의 사회화, 나아가 전문성 발달의 단계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하였다. 이로서 교사의 전문성 발 달을 이해하기 위해 개별 교사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공고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교사전문성으로서 “개별 교사의 독특성”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개별교사의 삶, 신념, 경험 등 개인의 독특성에 주목하여 교사전문성을 새로운 방향으로 개념화 혹은 이론화하 려는 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삶을 생애사적으로 탐구함 으로써 교사전문성으로서의 “독특성”을 개념화하였다. 교사전문성으로서 독특성은 한 교사가 자신의 주체성, 신념, 헌신, 열정을 바탕으로 주체적으 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서 형성되는 “경험적 실체(empirical entity)”로서 “예견할 수 없는 모자이크”와 같다. 연구의 결과 이영민이 발명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달시키는데 “확고한 주관 성”, “경험에 대한 숙고”, “비폭력적 태도”, 그리고 “그릿(grit)”1)이 중심 요소로 드러났다. 또한 이영민의 독특성은 “조직에서의 인정”,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 획득”, “학습지도와 학 급경영의 변화”, 그리고 “보람과 희열”과 같은 공통성으로 확장되는 시너지효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 독특성은 공통성과 배타적이지 않으며, 2) 현존하는 구조적 한계 속 에서도 발전 가능하고, 3) 독특성 추구에 있어서 이를 저해하는 내재화된 조건화를 경계해야 한다. 또한 4) 독특성은 직무만족이나 행복감을 추구할 수 있는 보다 본질적인 접근이 될 수 있 다는 점에서 5) 독특성은 주체성과 더불어 교사전문성의 필요조건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교사 전문성으로서 독특성을 추구할 때 경계해야할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 Understanding teachers’ lives has been a central theme in educational research. Previous research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ives, their socialization,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contributions have made concrete the argument for how crucial an understanding of teachers’ lives is in study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However, the distinctiveness of an individual teacher with regard to tha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has gained little attention.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little scholarly effort to theorize or conceptualize the distinctiveness of an individual teacher, whose life comprises individual lived experiences, beliefs, characteristics, pain, and aspiration. Thus, informed by the life history approach, this study conceptualizes distinctiveness as an alternative concept for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understanding the life history of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Distinctiveness as a teacher’s professionalism is an empirical entity cultivated by subjectivity, beliefs, devotion, aspir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t is, as I define it, the unexpected and inimitable mosaic of personal experience, qualities and expertise. This study reveals that Young Min Lee, the participant, developed his distinctiveness by “exercising firm subjectivity”, “reflecting on and reconstructing his experience”, “sustaining a nonviolent attitude”, and “exercising grit”. Furthermore, Lee’s distinctiveness produced a synergy that connects and complicates the relation between distinctiveness and commonality. He understands that his distinctiveness as a professional brought him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recognition”, “techniques and wisdom to teach homeroom students”, “healthy authority given by students and parents”, and “delight and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distinctivenes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re, I argue, that 1) it is not exclusive to commonality, 2) pursuing it is possible even under constraining structures, 3) the culture of objectification is internalized, 4) it can be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element for teacher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that 5) distinctiveness informed by subjectivity is a prerequisite for a teacher’s professionalism. Last, I express my concerns about a teacher's pursuit of distinctiveness.

      • KCI등재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 인디스쿨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그 실제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디스쿨을 사례로 선정, 인디스쿨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활동과 그 특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는 온?오프라인 연수는 물론이고, 교사들 간의 자료 공유, 문제 협의, 정서적 지지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는 전통적인 접근방식과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는데,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전문성 개발의 특징으로 교사들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실천의 필요에서 비롯되어 실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성 개발, 교육현장에서 일상화된 전문성 개발, 개개인의 학습요구를 제때 충족시키는 전문성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는 종래 개인주의적 접근방식에서 탈피하여 온라인상에서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이라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시한다. 동시에 협력의 문제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주요 쟁점으로 제기한다.

      • KCI등재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구원회(Gu Won ho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들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국내의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들을 분석하여 교사 전문성 발달의 과정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 전문성 논의의 핵심은 무엇인지, 기존의 연구에서 관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못한 점이 무엇인지,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의 질문에 답하였다. 교사 전문성 발달이 좀 더 충실하게 이루어지려면 교사가 된 이후의 전문성 발달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자생적인 교사연구모임, 온라인 커뮤니티등 교사학습공동체 등 각종 교사조직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교사 전문성 발달의 핵심은 자발성이 높고, 목적의식과 동료의식이 강하며, 진정성을 지닌 변화지향적인 교사를 어떻게 길러낼 것인가에 있다. 주체적인 판단과 자율성을 토대로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동료 교사와 함께 올바른 교육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전문가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자가 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접근 방식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lic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growth b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process. For studying various teacher’s developmental process, I have established for my own viewpoint. That include the meaning of teacher professional growth, reality shock, adaption and development, stability and maturity. In term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so many teachers shocked by the reality which that face after commencing their profession as teachers, differ markedly from their expectation. In many case which I have collected, teachers tried to adapt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hock and confusion, and I have recognized that those efforts had meaning as an adoption for survival, introspection on the tension faced during the process of adaption, a way of overcome which they have faced. I have sincerely understand that it was so difficult to adequately their professional growth amidst the above specified reality, situation, and context of being unable to proper reflective practitioner, and I recommended teachers to research with their peer teachers.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중등교사 양성과정

        김신영(Kim Shi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1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교육의 개혁은 교사들에게 수준 높은 학생평가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의 평가전문성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는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을 파악해 학습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사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가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계발 및 질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의 조건과 교직의 비전문화 현상을 살펴보고 현재 중등교원 양성과정에서 학생평가전문성 계발을 위해 어떤 교육경험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현장교사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진단도구로 진단해 보았다. 이는 중등교사양성과정에서 제공되어야 할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경험의 구성과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신장방안의 모색에 의미있는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educational reform implemented nationwide requires that teachers possess a high level of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since it helps teachers to be prepared to monitor student learning and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However, most teachers frequently report that they are not fully prepared to undertake assessment-related activities. This may be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eachers receive little or no formal assessment training in the existing pre-service program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eacher assessment competency by reviewing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and quantifying the level of teacher preparation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of the current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s do not provide adequate coverage for the assessment competency required of teachers. Even if they had, they were not compulsory. Based on the diagnostic tool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e level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were shown to be moderate. These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ce for exploring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s necessary to enhance the overall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levels of teachers.

      • KCI등재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 관계에 관한 시론적 논의

        문지윤,김병찬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시론적인 접근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 개념을 협의와 광의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두 개념의 차이와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개념관계를 비슷하게 보거나, 완전히 포괄한 상위개념으로 보거나, 아예 독립적으로 보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두 개념을 비슷하게 볼 때는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의 속성이 있고, 교사리더십에도 교사전문성의 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다. 포괄관계는 두 개로 나타났는데 교사리더십에 교사전문성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리더십은 교사전문성이 바탕이 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교사전문성에 교사리더십이 포함되는 포괄관계로, 교사전문성의 여러 영역 중에 하나를 교사리더십으로 보는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을 각각 별개로 독립적인 병렬관계로 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교사전문성은 능력에 초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능력의 발휘에 초점을 둔다는 점과, 교사전문성은 교사가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 중점을 두지만, 교사리더십은 교사가 학생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둔다는 점 등에 대해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현장에서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 두 개념을 비교하여 나타냄으로써 교사전문성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하나의 접근으로, 두 개념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2

        전통적인 교사 연수의 한계에 문제제기하며 최근 학교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심지로 만 들기 위한 노력이 일고 있다. 학교중심의 교사 전문성 개발이 사실 새로운 것은 아니다. 비록 기관중심의 교사 연수가 주를 이루어왔지만, 단위학교중심의 교사연수제가 시행되어왔고 교 내 연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들 연수는 대체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던 연수 를 학교 안으로 가져온 것이었다. 외부에서 기관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획일적 연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지식 전수·적용식 교사 연수의 한계를 안고 있다. 최근의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은 학교의 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형성, 서로의 교 육실천을 공개, 공유하고 함께 더 나은 교육실천을 탐구, 학교의 교육실천을 협력적으로 개선 하며 교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집단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아가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 다. 본 연구는 이같은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고, 특히 교직을 협 업적 활동으로 재개념화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협업관계 속에서 형성, 발현, 진화하는 역동적 성격의 집단역량으로 재개념화한 대안적 관점과 학교의 교육실천에 대한 공동탐구를 통한 협 업적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서 그 실제 사례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계획, B학교의 공동수업개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이 협력을 넘어 실천 수 준의 협업으로 그리하여 집단 수준의 전문성 개발로 나아가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chool has traditionally been a place where the knowledge developed by outs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as applied. Teachers learn the theoretical knowledge outside of the school and bring in to the school and apply it to their practice. This kind of traditional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s decontextualized and standardized approach failed to respond the diversity of student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build the school as a place for learning, not only for the learning of students, but also the learning of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effor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eachers’ collective expertise and inquiry-bas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Also, the case studies on the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case studies provide an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ve inquiry on the school practice, but raise the critical issues, such as teacher collaboration at the practice level and collective expertise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issues, the implication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