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체육수업에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열정이 학생의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필환(Cho Phil-H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느끼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정이 교사-학생관계와 아동의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학생이 느끼는 교사의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사의 조화열정, 교사-학생관계의 헌신과 친근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교사가 수업했을 때 학생들은 교사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및 교사-학생관계 중 헌신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육수업 담당교사가 담임교사와 전담교사 간에는 변인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화열정, 헌신, 친근감 및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내생 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은 전반적 지수가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경로계수에서 조화열정→교소-학생관계, 조화열정 → 수업 참여의도, 강박열정 → 교사-학생관계, 교사-학생관계 → 수업 참여의도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열정과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있어서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학생 관계는 이 두 변인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교사가 조화로운 열정으로 체육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교사-학생관계를 강화할 수 있으며 교사-학생 간의 관계는 학습자가 체육수업에 참여하게 하는 의도를 강화한다는 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 of teachers’ passion as a view of children on inten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ethods: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teacher’s passion view of children, and endogenous variables as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were 512 children(boys: 240, girls: 272)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This study used passion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scale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hildren. This study used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 analysis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teacher-students relation, participate inten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In analysis Path analysis,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harmonious passion ⟶ teacher-student relation, → participate intention, obsessive passion → teacher-student re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 participate intention. In analysis mediator effect, teacher-student relation had mediator effect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Conclusion: Harmonious passion as view of students had positive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children, but obsessive passion of teachers had a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had mediator effect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childre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상태가 교직열정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

        채승희(Chae Seung Hee),박수진(Park So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교사 개인의 내면적 특성인 자아상태와 교직열정의 관계에서 교사의 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중요성을 밝혀 교사교육에서 보육교사들의 교직열정 증진에 관심을 높이기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강원·충정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최종 525부였다. 설문자료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그리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상태, 교직열정, 교사의 민감성의 일반적 경향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모두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상태는 성인자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직열정은 조화로운 열정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의 민감성 부분은 민감한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상태, 교직열정, 그리고 민감성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자아상태, 교직열정, 그리고 교사의 민감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고 모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민감성은 보육교사의 자아상태와 교직열정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육교사의 교직열정에는 자아상태보다 민감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개인의 내면적 특성인 자아상태와 교직열정의 관계에서 교사의 민감성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보육교사 교육에서 민감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기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자아상태를 기반으로 민감성 증진을 지원하여 교직열정을 조화롭게 발전시킬 수 있는 전문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s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state and teaching passion, which are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acher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eachers sensitivity that is one of the ways that nursery teachers react to infant play and to clarify importance of it and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raise interest in the promotion of nursery teachers passion for teaching in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firstly, the general tendency of the nursery teachers’ ego state, teaching passion and teachers sensitivity are all somewhat high. In particular, ego state showed the highest in adult ego and the teaching passion showed the highest in harmonious passion and the part of the teachers sensitivity showed a high level of sensitive interaction. Second,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ego state, teaching passion and teachers sensitivity of the nursery teacher, the ego state, teaching passion and teachers sensitivity of the nursery teacher as a whole, were significant and all appeared to be static correlations. Third, the teachers sensitiv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state and teaching passion of the nursery teacher.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sensitivi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ego state on teaching passion of the nursery teache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nsitivity in nursery teacher education by revealing the impact of teacher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 state and teaching passion, which are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acher.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develop teaching passion harmoniously based on the ego state of nursery teacher in support of sensitivity enhancement.

      • KCI등재

        교사 열정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진영은(Chin Youngeun),이선영(Lee Seonyoung),김진희(Kim Ji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s’ passion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s. While previous research centered on teachers’ passion as an instrumental tool, I intended to reveal their passion on the basis of relationship dimension and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teachers’ passion by in-depth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observation in their classes. Although teachers’ 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was beyond the teaching techniques to connect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it was not only a thankful affection but also a burden. In the relationships among co-teachers, passion became both a restriction as well as a shared energy. From the view of education, teachers’ passion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gained authentic meaning when a potential passion was transformed into practical passionate behaviors of teachers through struggling human beings(entwurf). Second, passionate teachers tried to embrace others’ perspectives and to reflect on their own activities in spite of their desire for deterritorization. Third, passions were increased by various layers of relationships. In this respect, teachers’ passions in education should be tolerant passions, rather than immersed passions. Also, teachers’ passions had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hoice between two extremes such as ‘to be, not to be.’ or ‘much, little.’ 이 연구는 관계 측면에서의 교사 열정 체험에 관한 탐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열정의 도구적 역할에 중점을 둔 반면, 이 연구는 열정적인 두 교사와 학생들을 심층면담하고 참여관찰 함으로써 열정의 속성을‘관계’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열정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열정은‘내가 불을 밝혀서 함께 쓰는 에너지’이기에 관계가 기반이 된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열정은‘테크닉 너머의 가르침’이고‘나와 너로 이어주는 힘’이었으며 또한‘고맙지만 부담스러운 마음’이기도 했다.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열정은‘함께 나누는 에너지’였지만 때로는‘삶을 구속하는 모습’이기도 했다. 교육의 관점에서 열정 체험은 첫째,‘기투’라는 존재론적 특성에 의해 잠재적 열정이 실천적 열정으로 이행된 것이며 타자에게 전이될 때 의미를 더했다. 둘째, 탈영토화의 욕망 속에서도 자신의 지평을 성찰하고 타인의 지평을 포용하려 했다. 셋째, 여러 층 관계 구조도‘나와 너’의 존재적 관계에서의 열정을 상승시켰다. 열정 체험이 갖는 이러한 의미는 교사의 열정이 몰입하기 보다는 배려하는 열정이어야 하며 열정은‘있다, 없다’,‘많다, 적다’로 단정 지을 수 없는 다양한 모습의 존재 특성임을 함의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직열정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정희,채승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the teacher's efficac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s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icacy and the passion for teaching. For this, 540 the child car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col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483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the teacher's efficacy were rather high.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nce and total score of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and the sub-variance and total score of the passion for teaching.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nt of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the teacher's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and the passion for teaching,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and the passion for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and the teacher's 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the passion for teaching profession,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elf-elasticity of teachers and the teacher's 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the passion for teaching.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직열정,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직열정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5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회수된 483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 자아탄력성, 교직열정, 교사효능감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하위변인과 총점과 교직열정 하위변인과 총점 간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직열정 하위변인과 교사효능감 하위변인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직열정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직열정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은 교직열정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변인이며, 교직열정을 높이기 위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을 개발시키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사 자율성, 교사 협력과 전문성 개발의 관계에서 그릿과 교직 열정의 매개효과

        유지선(Jee Seon Yoo),임효진(Hyo Jin L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자율성, 교사 협력, 그릿, 교직 열정과 전문성 개발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릿과 교직 열정이 교사 자율성, 교사 협력과 전문성 개발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수집된 자료는 모형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나타난 표준화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교사 자율성은 그릿과 교직 열정을 모두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교사 협력은 교직 열정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그릿과 교직 열정의 하위요인인 강박열정은 전문성 개발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자율성에서 그릿을 거쳐 전문성 개발로 가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교사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교사의 자율성을 지지하고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교직 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들이 교육에 대한 목적의식과 열정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collaboration with teachers, grit, passion for teaching (i.e. harmonious vs. obsessiv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grit and passion for teaching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eacher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ata fit the model. Examining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of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eacher autonomy positively predicted grit and passion for teaching. Teacher collaboration positively predicted passion for teaching. Grit and obsessive passion directly and positively predi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in the path of teacher autonomy to professional development via gr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nfirming that gri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ers' autonomy and create a culture that can promote a cooperative environment, and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have a sense of purpose and passion for teach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선택동기에 미치는 영향: 열정의 매개효과

        엄세진,이해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공감능력, 교직에 대한 열정, 교직선택동기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며, 예비유아교사의공감능력이 교직선택동기와의 관계에서 열정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예비유아교사 307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열정, 교직선택동기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열정 및 교직선택동기의 인식에서 공감능력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정서적 공감이 인지적공감보다 높게, 열정에서는 조화열정이 강박열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직선택동기에서는 교직적성, 자아실현 가능성, 사회적 존경, 직업적 안정성, 우발적 동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선택동기, 열정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직선택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열정이 공감능력과 교직선택동기에 대해 부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선택동기와의 관계에서 열정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여 열정이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직선택동기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최혜영 ( Choi Hye-yeong ),김수영 ( Kim Su-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효능감, 행복감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직에 대한 열정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36개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효능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검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에 대한 열정 하위영역 중 열정과 조화로운 열정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외적행복, 내적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에 대한 열정 하위영역 중 조화로운 열정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자기조절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between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and happiness.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between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and happiness. Research subjects are 178 child care teachers who are employed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u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passion,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teacher efficac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 of passion, harmonious passion and external happiness. teacher efficac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 of passion, harmonious passion and internal happiness. teacher efficac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self-control happines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조직지원인식이 교직열정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경희,강 상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직지원인식, 교사효능감, 교직열정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조직지원인식과 교직열정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어린이집 유아교사 2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경로분석 하였고, 교사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과 유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직지원 인식, 교직열정, 교사효능감 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조직지원인식과 교직열정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지원 인식과 교직열정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이 발휘된다면 교직열정이 더욱 높아짐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향상을 도모하고 교직열정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여교사가 지각하는 체육수업열정이 주관적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

        안지훈,김인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4

        본 연구는 초등 여교사의 주관적 체육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여교사의 체육수업열정과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 체육수업열정과 체육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며 직접 체육을 가르치는 여성 담임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열정,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 주관적 체육수업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상호작용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초등 여교사가 인식하는 체육수업열정과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은 주관적 체육수업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초등 여교사가 지각하는 체육수업열정과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이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체육수업열정과 주관적 체육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는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에 의해 정적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열정과 함께 교사-학생 간의 친밀하고 긍정적인 관계 함양이 교사의 체육수업만족도 제고를 위한 의미 있는 심리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교사 교육의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mphasizes female teachers’ enthusiasm for physical education (PE) class and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s variables that affect elementary female teachers’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PE class. Furthermore, it statistically verifies the interaction effect of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husiasm and satisfaction with PE class. Thu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2 female teachers who teach PE at elementary schools to measure teacher enthusiasm,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subjective PE class satisfac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Thus, teachers’ enthusiasm for PE class and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perceived by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PE clas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ositive influence of teacher enthusiasm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efficacy on PE class satisfaction was verified. Moreover, the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husiasm for PE class and subjective PE class satisfac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

        조안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유아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 열정에 대한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행복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체적 열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행복감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직열정에는 교직열정전체를 제외한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영유아가 모두 행복한 교실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on their sense of happiness and enthusiasm for teaching profess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al stress.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32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e of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level.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enthusiasm for teaching profess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level, b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facto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sense of happiness and enthusiasm for teaching profess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ll of th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except overall enthusias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happy classroom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