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최윤경(Choi Yoon-Kyeong),임부연(Lim Boo-Ye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획일적이고 패턴화된 교사의 수업형태에 문제를 느끼고 새로운 교육과정 재구성방법을 고민하는 유아교사들이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목적적 표본선정으로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면담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과정으로 유아교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를 정답으로 오해하며 구조적인 수업의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이를 벗어나고자 교사와 유아의 경험과 삶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그러나 내러티브를 구상하는데 다양한 한계가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내러티브를 새롭게 변주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내러티브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는 교사의 교육과정-되기(becoming), 유아의 교육과정-되기(becoming), 유아교육과정의 놀이화로 분석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교육과정, 유아, 교사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재정립 할 수 있었다. 전통적관점인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와 유아를 과학적인 지식의 개념을 가르치고 배우는 장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에서는 유아와 교사의 삶과 경험이 교육과정 속에서 무한히 변화하고 구현되었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일상적인 삶의 경험으로 이해하며 교육과정의 창의적 해석자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유아는 어른의 도움을 받는 미숙한 존재가 아닌 교사와 동등하고 평등한 입장에서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니라 자신의 삶의 경험으로 교육과정을 만들어내는 교육과정 수행성을 가진 존재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feel the problem of patterned teacher s teaching style and how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using narrativ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hoosing the target sample an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Results: First, a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narrative-centered curriculum, the early childhood teacher misunderstood the teacher s guidebook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correct answer and was in the form of a structured clas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teacher s and child s experience and life, And the curriculum was reorganized. However, there were various limitations in designing the narrative and tried to change the narrative to overcome it. Second, the meaning of reconstruction of the narrative-centered curriculum was analyzed by the teacher s curriculum-becoming, the infant s curriculum-becoming, and the play of the infant curriculum. Conclusion: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narrative, it was possible to redefine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he child and the teacher. The curriculum is an infinite change in the story of life and experience together with the child and the teacher. The teacher should be a creative interpreter of the curriculum that understands the curriculum as an everyday life experience in the classroom. Infant is not a passive learner but a curriculum capable of producing a curriculum based on his own life experience.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김선영(Kim Sun Young),김가은(Kim Ka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교육과정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의해서 현실화된다. 따라서 교사들이 교육 과정 실행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이나 혼란, 즉 갈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력 있는 4명의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가로서 현장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것이 국가의 교육과정 개 발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들이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겪는 갈등은 교사마다 다른 모습을 보였다. 만족감과 부담감이라는 이중적인 감정, 평범함과 새로움 사이의 고민,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의 괴리감, 관리자와의 대립 속에서의 혁신적인 시도 등이 바로 그것이며, 이러한 갈 등은 교사 개인의 가치관이나 신념, 과거 경험, 현재 처한 삶의 맥락 등의 원인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는 교사가 처한 교육적 여건, 교사들의 삶의 맥락과 가치관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역시도 자신의 갈등을 인식하고 이를 극 복할 수 있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curriculum can be realized by the teachers’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this respect, we need to understand various difficulties or confusion, in other words conflict, which the teachers face whil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at are the aspects of the conflict and its cause which the 4 experienced teachers, as the implementers of curriculum, undergo in the field. And this study seek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ing. In order to do so, interview based qualitative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the aspect of conflict, which the teachers face whe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differ from each other among every teachers. The aspect of conflict are twofold emotion of satisfaction and pressure, worry between commonplaceness and newness,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innovative trial in a confrontation with administrators. These conflicts originate from teachers’ private values, belief, experience, and their own life context. From this, nation need to understand educational condition, personal context and belief of teachers and teachers also need to have will which can cognize their own conflicts and overcome them.

      • KCI등재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심우정(Woo-jeong Shim),백선희(Sunhee Paik),강호수(Ho Soo K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진단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교원 양성기관 1개교, 대전과 대구에 위치한 중등교원 양성기관 2개교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주는 도움 정도(15문항),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6문항),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수준(9문항)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교양과정, 교직과정, 전공과정 순으로 그들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도움 정도는 교양과정은 보통 이상, 교직과정과 전공과정은 보통 이하였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는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역량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글로벌교육 역량 간 관계는 교원양성기관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 사범대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 중에서 교직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정적 연관이 있었으나, 교육대학교와 국립 사범대의 경우, 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 모두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s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98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ttending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located in Gyeonggi-do and two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s located in Daejeon and Daegu.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sking about the degree of help provided by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to pre-service teachers’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15 items),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6 items), and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y level(9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helped develop their global competency in the order of liberal arts course, teaching profession course, and major course among the curriculum. However, the level of help was above average for liberal arts courses and below averag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major courses. Also,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below averag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lobal competency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global education competency was different for each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other words, in terms of one pr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mong the curriculum, the teaching cour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However, in terms of one national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one national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and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how to reform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better foster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were provided.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개인특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과 교육현장 혼란과의 관계

        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가 각 교실에서 충실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한데,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교사가 혼란스러움을 호소한다면 그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현장이 혼란스럽다고 인식한 교사와 인식하지 않은 교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개인변인, 개정 실과교육과정관련 변인,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변인들의 경우,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실과 연수 경험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정 실과교육과정 관련 변인들의 경우, 교과명칭 변경 필요성,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교사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생 입장),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 인식(학부모 입장),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용 축소에 대한 인식,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인식 정도 등이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현장의 혼란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과에 대한 인식이 수준이 낮은 교사일수록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에서 혼란스러움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p of teacher who realizes confuse the education field and realizes and teacher who doesn't by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discuss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x, teaching career, experience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 case of factors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content reduction of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ppreciat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general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Third, the lower level of perception of practical arts, influence confusion of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특성을 반영한 양질의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방안 연구: 광주교대 사례를 중심으로

        황윤한 ( Yunhan Hw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자격무시험검정령의 개정으로 인한 새로운 요구를 반영하고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인해 특성이 다양해진 예비교사들에게 양질의 초등 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교육의 세계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선진국들의 초등교사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교육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두 종류의 질문지를 활용하여, 먼저 광주교대 전체 학생들의 학업생활 특성들을 분석·확인하고, 교육과정을 대부분 이수한 4학년 학생들과 이미 이수하고 현장에서 3~4년 근무한 초등1급정교사 자격연수생들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동향과 선진국들의 초등교사교육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서 얻은 시사점들 활용하여 예비교사들과 현장교사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적 교육과정 모델을 강구하고자 하였다.이 연구는 교사교육의 패러다임을 역량/수행에 기반한 21세기형 수업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초등교육 현장 중심 교육과정이자 예비교사들의 요구에 순응하는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정방향, 편성지침, 교육과정 체제 순으로 제안하였다.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show great diversity;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for earning teacher certificates have changed.These two factors dem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reconstruct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er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raises four research questions: 1) How have teacher education paradigms been changed?; 2) What do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advanced countries look like? 3)How do students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differ from their counterparts admitted via regular admission, and what are their needs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4) How does the new constructi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look like? To answer each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changes in teacher education paradigms an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advanced countries to extract implications that can then be used to set the direction of new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change South Korea.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need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surveys. Finally, reflecting all the implication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teacher education paradigm changes an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and the needs of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a model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high-qual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수업의 운영 상태에 관한 탐색

        최승현 ( Choe Seung-hyun ),황혜정 ( Hwang Hye Je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논문집 Vol.31 No.2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문서는 그간 오랫동안 권위적이면서도 추상적인 내용을 담아왔으며, 교육과정 문서 내용은 학교 및 교사에 의해 구체적으로 효율적으로 실천, 운영되지 못하여 왔는데,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 개인적 요구, 교사의 적절한 역할, 지역 특성화 등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운영이 조정되기를 기대하면서 교사에 의해 전개되는 수업의 실제 상황을 탐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이, (예전의)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설문 및 면담 의견의 실험 결과를 회고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 교사 수준(단위)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계획을 지원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교사들은 학습자의 성취 정도와 관심과 태도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진정한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의 구분을 혼란스러워하는데, 비록 일부 교사들이 교과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기초한 것임을 알고 있더라도, 이 사실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라면 기본적으로 교과서와 교육과정 문서의 차이점을 올바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교사들은 교사 교육을 통해 수학 교사로서 전문성이 강화,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사들의 행정적 책임과 의무를 줄여야 할 것이며, 교사들이 협력적으로 그들의 작업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도록 교과 운영실을 제공하고 아울러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업 도구가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nstruction in school field be affected by th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instruction provided by teachers while expecting to be adjusted the curriculum with respect to the consideration given to individual student needs and regional specialization by focusing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nd expect how well mathematics instruction would be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while reflecting the experimental result on teachers` opinions of the previous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and supporting plans so that at the teacher level the curriculum might be successfully implemented.

      • KCI등재

        환경 과목 담당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에 관한 연구

        조성화,최돈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urpose of providing environment teachers with the waysto improve PCK. Education immensely depends on teachers' capability. In that sense, thestudy on the competence of environmental teacher is also significant in environmentaleducation, since their ability determines its qualit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anddiscussions on the principles with 15 environmental teachers, 2 categories of "knowledge ofcurriculum" that environmental teachers should have has been drawn out. What has been drawn is "curriculum restructuraion, ability of curriculum analysis". Curriculum restructuation is an independent domain when that compare environment teachersand general teachers. Ability of curriculum analysis is that whale teachers must have basicability. We belie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of curriculum" discussed in this paper iswhat environment teachers should have when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s on a separatesubject. Moreov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encourage them to have suchcontents in the course of environment teacher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15명의 환경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환경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 중 교육과정지식을 도출한 후 연구 결과를 일반 교사의 PCK, 환경교사 자격기준, 일반적인 환경교육자가 갖추어야 하는 능력 등과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환경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은 “교육과정 재구조화, 교육과정 분석 능력” 등 2개의 요소로 드러났다. 교육과정 재구조화는 환경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가 교사의 교육 상황(시수, 교육 여건, 주제, 철학 등)에 맞게 교육과정 전반을 재구조화 해서 장기간 교육을 하는 능력을 말하며, 교육과정 분석 능력은 앞서 제시한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현재의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며, 다른 과목의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까지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독립 과목으로서의 환경을 가르치는 교사는 PCK의 교육과정지식에 있어서 이와 같은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도출된 연구 결과를 일반 교사의 PCK, 환경 교사 자격기준, NAAEE에서 제시한 환경교육자의 능력과 비교해본 결과, 일반 교사에 비해 환경 교사는 교육과정을 재구조화 하는 능력이 추가로 요구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환경 교사 자격기준과 환경교육자의 능력 중 일부 영역에 본 연구 결과가 부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사회과 교과서 제작 경험 연구: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문현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studies textbook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and suggest improvements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 training process. To this end, it was designed to include a series of courses related to textbook writing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lecture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social textbook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vealed experienced numerous dilemmas and ambiguity by experiencing non-linearity such as becoming a scholar, a teacher, a student, and a designer. Writing social studies textbooks is meaningful in that first, pre-service teachers have grown into active pre-service teachers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o be included in textbooks and second, cultivating an eye for critical reading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u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curriculum first,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apply the teacher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rich their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social studies. Third, pre-service teachers should provide active, and field-oriented educational opportunities. Writing textbooks as a ‘curriculum re-writing’ in the social studies is a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to cultivate field sui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사회과 교과서 제작 과정과 경험이 교사양성과정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질적 기술을 통해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강의 과정에 교과서 제작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이 포함되도록 설계하였다. 교육과정 문해력을 바탕으로 만든 예비교사 20명의 사회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그들은 ‘학자 되기’, ‘교사 되기’, ‘학생 되기’, ‘디자이너 되기’ 등의 ‘타자되기’를 비선형적으로경험하며 수많은 딜레마와 모호함을 느꼈다. 예비교사의 사회과 교과서 개발은 첫째, 교육과정과 교사, 학생의 매개물로서 교과서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의 관계를 탐색해 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며,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안목을 함양하였으며, 셋째, 사회과를 가르치기 위해 스스로 함양해야할 능력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능동적 예비교사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사회과 교육과정 ‘다시 쓰기’로서의 교과서 개발은 예비교사들의 현장적합성 함양을 위한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이라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적용할 실제적 교육이 확대되어야 하고, 둘째, 사회과를 구성하는 모 학문의 내용학적 보강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느끼는 학문적 빈곤감을 충족시킬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교육과정에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현장감 있는 활동을 포함해, 역량 있는 교사로 자립할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사회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이해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길현주 ( Hyun Joo Ghil ),박가나 ( Ga N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사들이 실천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교사 2명을 목적 표집하였고, 그들이 작성한 반성적 수업 글쓰기, 교육과정 재구성 글쓰기, 초점 집단 면담, 수업 관찰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우리가 본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가 가진 신념과 가치관이 그들의 수업과 관련된 요소들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과정이었다. 두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과정에 자신의 가치관을 녹이는 것 뿐 아니라 자신의 학교가 속한 지역사회, 교과의 목표와 본질, 교사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학생들의 배움에 대한 고민을 통해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다시 재설계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은 동료 교사들과의 협력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겪는 여러 가지 불안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바탕 역시 동료 교사들로부터 찾고 있었다. 두 교사는 교사 공동체를 통해 집단 지성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집단 지성은 개인들의 총합으로서가 아닌 집단 자체가 가지는 힘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두 교사의 경험을 통해 볼 때,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의 가치와 신념이 녹아드는 교사 교육과정의 탄생, 가르치고 배우는 본질을 탐구해가는 집단 지성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from two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wo cases of social studies teacher that they actively practi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school. Employ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s, observations, and collections of teachers`` essay about instruction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two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We found that two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characterized as a co-work with their colleague. They replaned their own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belief and values. They set up and gave shape to an educational plan and practi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in-deep considerations about their community,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identity as a teacher. Teachers`` collaboration also would help resolve some of their anxiety and difficulties which they felt during develop their own curriculum. They initiatively interpreted and understood textbooks, students, and standards of accomplishment with their own educational belief.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experience which two teachers gained by reconstructing of curriculum was characterized that as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nd that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profession and as a process in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their collea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