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주 초·중등교육 정규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김나라(Nara Kim),정진철(Jinchul Je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1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직업세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체계적인 진로교육에 있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교육은 행사위주의 단발성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현실이다. 비록 많은 학교에서「진로와 직업」교과를 선택하여 운영하고 있기도 하지만, 학교 체제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내실 있는 진로교육이 운영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기존 교과와 교육과정 측면에서 연결되어 시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최근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교과통합에 의한 진로교육의 선진 외국 사례 분석은 향후 우리나라의 학교 진로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진로교육을 통합시키려는 많은 노력이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인터뷰와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호주 연방정부 및 주정부 수준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현황과 주정부별 정규교과 내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NSW주의 건강 및 체육 교과에는 자신과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진로교육 요소가 중점적으로 포함되어 있었고, SA주의 경우는 일의 세계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범교과적으로 강조하고 있었으며, VIC주는 사회 및 환경교과에 진로교육 요소가 중점적으로 포함되어 있었고, NT주의 경우에는 핵심학습 교과의 내적학습자 단원에 진로교육과 관련된 내용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Radical changes in modern society have influenced on the nature of the works an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is emphasized more than any time. Various scholars have continuous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in regular schools. Most career educations in regular schools, however, consist of one-time event-oriented programs because of the systematic limitations immanent in Korean school syst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chool system, scholars have contended that career educations in regular school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subjects and the curricul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emplary cases of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integration in developed countries. The targe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Australia because Australia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made great efforts in integrating the career education into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With interviews and literature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integration i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al levels and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of local governmental level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areer education components were mainly contained in the PDHPE(personal development,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 in New South Wales; 2) Understandings of a wide range of work were emphasized in the cross-curricular perspective in South Australia; 3) Career education components were mainly contained in the SOSE(studies of society and environment) subject in Victoria; and 4)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were integrated mainly in the ‘inner learner’ unit in Essential Learning subject in Northern Territory.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outcomes of the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ap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the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서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Home Econom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for strengthe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o do this, the trend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Home Economics in high schoo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analyzed, methods for Home Economics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en a case study was developed.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importance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here are much rooms to improve in oper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herefore, the systematic preparation for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expansion of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Second, all achievement criteria in three domains of Home Economics were shown to be highly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Eventual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Home Economics is a core subject that meets the goals of career education and hon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o be prepared as future human resources. Final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 case study of Home Economics integrated career curriculum focusing on the association with curriculum-teaching & learning-evaluation was developed and proposed. Even though the developed case study of curriculum has not been proven yet in the clas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largement of care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as fundamental data for integration of Home Economics and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김은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라 실과(기술․가정)에서 진로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가정교과통합에 따른 진로교육의 타당성과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진로교육 방향 및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동향,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과 실과(기술․가정)에서 교육과정 분석 및 가정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하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의미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생애 전반에 걸친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으로 진로교육은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것이다. 둘째, 교과를 배제한 진로교육은 실효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교과를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인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것이다. 셋째, 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실과(기술․가정)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에서의 핵심성취기준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에서의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방향 및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자유학기제의 개념의 모호성에 따른 실천의 모호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지 못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실행에 앞서 교과 내에서의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appropriate way of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of home economics subjects, as a way of re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free semester system. For this goal, the meaning and trend of free semester system, trend of subject-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alysis of curriculum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subject, and trend of research about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wa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spite of the ambiguity of the meaning of free semester, the career education will be expanded as the importance of lifelong career education was more and more required. Second, the career paths separated from subjects had problem in its effectiveness, therefore, subject-integrated career education emphasizing on school subjects will become more crucial. Third, it was presented that extracting core achievement standard in subject-integrated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according to core achievement standard was critical. For these reasons, the objective and model of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under free semester system were illustrated.

      • KCI등재

        진로역량 중심의 교과통합형 초등학교 진로 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방안 연구

        김선영(Kim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진로역량을 강조하는 사회적 추세에 발맞추어, 초등학생의 진로역량을 강화하는 학교 진로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 하였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6학년 시기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통합형 학교 진로교육 과정과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진로역량 함양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및 수업 설계 방안과 진로교육 전반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 다. 연구 결과, 진로역량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 진로교육의 과정이 요구되며, 학년별로 세밀하게 설계된 진로역량을 성취할 수 있게 하는 학교 진로교육과정 및 수업의 설계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진로교육과 교과교육의 층위의 부조화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진로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통합형 학교 진로교육과정 및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을 체계화하는 기반이 될 것이며, 초등교육에 적합한 진로교육 방안을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discussions on school career curriculum and classes that strengthen career competence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line with the social trend of emphasizing career competenc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sign and apply integrated career curriculum and classes that can be used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o obtain suggestions on career education, including career curriculum and class design pl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presented a course of career education that clarified the meaning of career competence, confirmed the need for design measures of school career curriculum and classes to achieve detailed career competence by grade, and suggested that problems of the level of career education and curriculum should be solved.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systemizing and designing the integrated school career curriculum and classes to enhance career competence pursued by the nation s national curriculum, and will be the basis for identifying career education suitable for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갯벌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성재,김관영,이현주,전상학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1

        Adolescence is an important time to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 and to require practical experience as well as learning about occupational roles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the world of work. Subject integrated career education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achieve the features of independently operated subject and career education, together and it is growing attention as a way of overcoming the separation of subjects and career education. In this study, a subject-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in marine life science was developed on tidal flat experiences and inquiry activities. The program contained (1) collecting species of tidal flat and rocks, (2) understanding the anatomy and its function of animals through clam and shrimp dissection, (3) tidal-flat creature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poster presentation about them, and (4) career education includding meetings with experts in marine life science. Although each activity is focused on either subject or career education, we tried to include career education ideas into the subject education activiti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better comprehension and interest in a career in marine life science. It shows that the program can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the subject and career maturity at the same time. 청소년기는 진로에 대한 탐색과 준비를 하는 중요한 시기로 자기 자신과 직업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직업 역할에 대하여 학습하는것은 물론 실제적인 경험이 필요한 시기다. 교과통합 진로교육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교과와 진로교육의 요소를 함께 달성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의 분리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 체험과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한 해양생명과학 분야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갯벌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채집한 생물을 탐구하는 활동과 진로교육 활동으로 구성된다. 체험과 탐구 활동은 (1) 갯벌 생물 채집: 갯바위와 갯벌을 중심으로, (2) 대합·대하 해부를 통한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 (3) 갯벌생물 분류 및 동정과 갯벌 생물에 관한 자료를 만드는 프로젝트 발표로 구성되며, 이어지는 진로교육으로 (4) 해양생명과학분야 전문가와의 만남 활동을 포함한다. 각 활동은 교과교육 혹은 진로교육 중 하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명확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교과교육 활동에서도진로교육 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해양생명과학분야의 진로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과학 교과에서 현장체험과 탐구 활동이 함께 이루어진 진로교육프로그램이 교과에 대한흥미와 진로성숙도를 동시에 증가시켜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향 탐색

        김은정(Kim Eun 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실과교육을 통해 진로교육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의 연구 동향 및 교육 과정에 나타난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실과교육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관련 연구는 2015년 이후부터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실과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함을 나타내준다. 둘째, 실과교육과 진로교육의 교육과정 문서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내용적인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과교육이 여전히 진로교육의 중핵교과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교과통합 진로 교육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로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ays of how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perform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research analyzed research trends i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ituation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vealed in curriculum. And, finally,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s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150 researches on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vealed that, while there had been active researches on it from 2011 to 2014, such researches have slowly decreased after that.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ar docum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did not reveal any discernable differences in contents related with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From such a finding, we can recognize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play the core course as career education. Third, this research suggested an exemplary idea 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n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focus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 of school career education, this research implicitly suggested the performance standard in integrated subjects career education, aim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capacity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model of career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ve methods. This research has a limit that, as it was performed befor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would be applied to schools,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could not appli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어교과통합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역기능적 진로 사고에 미치는 효과

        김주연(Jooyoun Kim),김수리(Suri Kim)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3 지식융합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들이 국어수업 내용과 자신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진로 교육을 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국어교과 성취기준과 진로연계 학습 요소를 융합하여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셋째, 서울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127명 중 63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8차시 적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는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를 이은경(2001)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화 작업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척도는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등 4개 하위요인의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이은경, 2001). 진로사고 검사(Career Thought Inventory: CTI) 도구는 Sampson 등(1996)이 개발하고 장선철(2003)이 요인분석하여 타당화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진로와 관련된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측정하는 것으로 진로 결정 과정에 관한 일반화된 의사결정 혼란, 수행불안, 왜곡된 정체감 등 3개 하위요인의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하였고, 이후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84.35점, 사후 평균점수는 98.90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644, p<.001). 또한 실험집단의 진로사고검사의 전체 사전 평균점수는 54.21점, 사후 평균점수는 46.84점으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역기능적 진로 사고의 수준이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430, p<.01). 이와 같이 실험집단에서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가 향상되고, 역기능적 진로 사고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국어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학생들이 진로탐색을 하는 데 있어 방해요소가 되는 역기능적 진로 사고를 감소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thinking by devis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subjects and integrating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career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dreams. there i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was examined for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Second,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subjects was conceived by converging Korean language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and career-related learning elements. Third, the Korean languag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8th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of 63 out of 127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s a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tool,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F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was validated by Lee Eunkyung(2001)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ed The self-efficacy scale for career decision-making consists of a total of 25 questions of 4 sub-factors: goal selection, job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nd future planning (Lee Eunkyung 2001:49). The Career Thought Inventory (CTI) tool developed by Sampson et al. (1996) and validated by factor analysis by Jang Seon-Cheol(2003) was used. This questionnaire measures career-relate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and consists of a total of 26 questions in three sub-factors: generalized decision-making confusion, performance anxiety, and distorted identity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 25.0, followed by a paired samples t-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total pre-average score fo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84.35 points, and the post-average average score was 98.90 points. (t=-7.644, p<.001). In addition, the overall mean score of the career thinking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54.21 points,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46.84 points. (t=3.430, p<.01).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improved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as improved throug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Korean subjects. Second, it reduced the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that interferes with students’ career exploration.

      • KCI등재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 탐색: 가정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김환준(Kim Hwan J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년제 시행 하에서 가정교과 영역의 진로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정교과 영역에서 진로교육의 동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가정교과의 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가정교과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 자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자유학기제 시행 하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 역시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한 상황이다. 둘째, 가정교과에서 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핵심성취기준을 제시하고, 핵심성취기준이 잘 녹아들어 있는 교과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과정 모형과 마을공동체 및 메이커 교육과 연계된 진로교육 교수·학습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한편 중학교 기술교과 영역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내용을 담지 못했다는 점, 분석대상 논문의 수가 다소 적다는 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교육현장 적용을 통해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꼽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ploring measures for effectively operating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the free year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research examined trends of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and searched the direction which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needs to proceed.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which deal with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Also, researches which cover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exist much less than the former. Second, this research suggested core achievement standards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And it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odel for integrated career education which includes core achievement standard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odel for career education which is connected to village community and maker education. This research did not deal with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field. Also, it analyzed relatively few disquisitions and models which are suggested by this research are not verified by application to school classrooms. These are limi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정연순,진성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3

        This exploratory study aims at identifying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by narrative inquiry metho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teachers revealed themes related to the main questions of: 1) how they perceive career education and develop their perspectives on career education, 2) in what ways they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and 3) how they perceive the problems in career education from practitioners' perspectives. Participants perceive career education as critical educative endeavors evolving through students' lives, but show passive attitudes about disciplinary approach to career education. Participants think middle school students delay their vocational interests due to continuous pressur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uccess case-based approach often demotivates students in some cases.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often regarded as teacher's individual practice, so teachers' activities are limited and bounded in school system.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s of career education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진로상담부장을 맡은 중학교 교사 세 명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사들의 진로교육 경험을 탐구하여 그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점, 구체적인 진로교육 실행 경험, 진로교육 실행을 제한하는 현실적인 문제 등을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이들은 진로교육 실행 경험을 통해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삶 전반에 개입하는 핵심적인 교육이라는 확장적 안목을 형성하고 교사로서의 노하우를 진로교육 수행에 통합하고 있으나,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소극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중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가면서 오히려 성적 압박 때문에 진로에 대한 관심을 유예하고 있고, 엘리트들의 성공담 중심의 진로교육이 오히려 학생들의 무기력을 초래하는 측면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개별 교과교육 중심인 학교에서 진로교육은 진로상담부장의 개인적 업무로 인식되어, 책임감이 강한 진로 담당교사일수록 다른 교사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제한적 수준에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