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왜란 초 官軍의 재편과 성격에 대한 재인식

        김진수(Kim, Jin-Soo)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3 No.-

        광복 이후 1990년대까지의 임진왜란 연구는 의병에 관한 성과가 풍부하지만, 전쟁 극복의 주요한 주체 중의 하나인 관군에 대한 연구가 부진했다. 이는 전쟁 당시 관군의 허약성과 조선 정부의 무능력한 전쟁 대응 능력을 보여주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임진왜란에 대한 기존 인식의 재검토를 제기한 성과를 시작으로 관군의 전쟁 대응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쟁 발발 직후 관군은 정상적인 동원 체제를 작동하여 일본군의 침공에 대응했지만, 예상치 못한 대규모 일본군의 압도적인 공세로 초기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하였다. 결국 관군 지휘부가 붕괴되고, 국왕 선조가 도성을 떠나 개성-평양-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로 인해 조선은 심각한 국가적 위기에까지 몰리게 되었다. 한성 점령 이후 관군의 대응 양상을 거시적으로 살펴보면, 표면적으로 관군은 거의 붕괴되고 의병이 전쟁을 주도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그 실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선 조정은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북방 지역 관군의 가세를 통한 군사력 보강과 남부지역 근왕군의 출진 등 여러 조치들을 단행했고, 실제로 공세 행동에 들어가기도 했다. 반면, 일본군은 한성을 점령하였음에도 이전보다 진격 속도가 둔화되기 시작했으며, 조선 수군의 활동과 명군의 참전으로 수세에 몰리기 시작했다. 한편, 각 道의 관군도 신속한 재편이 이루어졌다. 이후 관군은 조직적인 반격을 감행함으로써, 주요 지역을 수복함과 동시에 일본군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 양상을 나타났다. 또한 관군은 화포를 비롯한 화약무기를 적극적으로 운용하면서,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을 점차 압도하기 시작했다. 개전 이후 2~3개월이 지난 후에는 관군이 일본군에 대해 우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임진왜란 당시 육상에서의 조선 관군의 대응이 거의 무기력하였으며, 결국 의병이 이를 대신하여 전투를 주도할 수밖에 없었다는 그간의 인식과는 다른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관군의 전투력과 일본군에 대한 자신감이 급속히 회복되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조선 왕조가 유지해온 강력한 행정력과 자기 방어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상과 같이 관군의 전쟁수행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전쟁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임진왜란 초 호남지방의 실정과 관군의 동원실태

        하태규(Taekyu Ha) 역사문화학회 201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6 No.2

        이 글은 임란 초기 호남지방의 관군의 동원 실태와 활동 내용을 당시의 전라도의 실정과 전황의 추이에 따라 동태적으로 세밀하게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란 극복에 있어서 호남 관군의 활동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한 것이다. 임진왜란 초기 전라도 또한 조선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란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민심이 크게 동요되어 전쟁을 수행할 만한 상황이 되지 못하였다. 다행히, 당시 왜군이 전라도로 공격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전라감사 이하 지방의 행정과 군사지휘체계가 유지되고 있었으며, 여기에 일부 지역 사족과 수령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민심이 어느 정도 수습되었다. 이에 따라 전라도에서는 대규모 관군이 동원되어 근왕과 호남방어를 위한 전투에 투입되었다. 4월 말경 감사 이광에 의해서 8천의 근왕병이 소집되어 공주까지 북상하였다가 회군하였고, 이후 다시 북상한 4만의 근왕병은 6월 초 용인전투에서 왜군에게 무참한 패배를 당하고 무너졌다. 그 뒤 병사 최원이 6월 중순에 2만의 병사를 거느리고 다시 근왕을 위하여 경기도로 북상하여 활동하였으며, 왜군의 호남공격이 저지된 뒤에는 권율에 의하여 대규모의 관군이 동원되어 경기도로 북상하여 행주대첩을 거두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전쟁이 장기화되자 왜군이 전라도를 향하여 공격해 오기 시작하였다. 이 때 감사 겸 순찰사인 이광(李洸)은 전라도 각 고을의 관군을 동원하여 웅치(熊峙)ㆍ이치(梨峙)ㆍ전주(全州) 등지에서 왜군을 격퇴하였고, 진산ㆍ용담ㆍ진안ㆍ장수지역으로부터 금산ㆍ무주의 왜군을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등 지속적인 작전을 전개하여 왜군의 호남침공을 스스로 저지하였다. 이와 같이, 임란초기 전라도에서 대대적인 관군이 근왕병(勤王兵)으로 동원되어 전투에 임하였으며, 또한 왜군이 호남으로 공격해오자 전라도 전 지역에서 동원된 관군이 전선에 투입되어 호남을 지켜내어 임란기 국가의 보장(保障)으로 만들었다. 그러므로 임란 초기 관군의 대응과 역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재고되어야 하며, 그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uring the early Imjinwaeran the Jeolla province like other provinces was not also prepared for the war and experienced the big agitation of civilians. Fortunately Japanese troops did not directly attack the Jeolla-do and the officials and ruling class(Yangban) of the area could keep the orders of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ntrol system with the help of civilians. This was the main reason that the province could mobilize a great scale of government forces to stop the advance of Japanese troops. In the end of April, 1592, the governor of Jeolla, Lee Kwang advanced about eight thousand royal forces that he mustered up to north bound but withdrew. And in early June he again went to the north with forty thousand royal troops to participate in Yongin Battle but was defeated brutally by Japanese forces. After the defeat, a general Choi Won, with twenty thousand soldiers, again moved to the Gyeongki province and took an active part in several battles, and after stopped the Japanese troops in Jeolla he took a major part in Haengju Victory with the general Kweon Yul who led a great number of government forces. Meanwhile the War extended a long period time the Japanese forces began to attack the Jeolla province. The governor of Jeolla, Lee Kwang, however, stopped the Japanese advances to Jeolla by appointing the general Kweon Yul as chef-of-staffs and mobilizing government troops in every villages and towns in the province with the help of leadership of the areas. They drove the enemy back in Ungchi, Echi, Joenju, Kumsan, and Muju. Thus, in the early Imjinwaeran, the grand-scale of government forces mustered from every villages and towns in the Jeolla province kept the Honam from the hands of Japanese invaders and made the province a major bastion of the country. The negative evaluation in the role of the government forces in the early Imjinwaeran, therefore, should be reviewed and made just reappraisals.

      • KCI등재

        司法문제를 통해서 본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

        이명미(Myungmi, Le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1

        1269년 원종 복위 이후 다루가치와 몽골군이 고려에 주둔하게 되면서, 주로 軍事와 관련하여 다루가치와 管軍官이 사법권을 행사하는 사례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법문제 처리과정에서 주목되는 지점은 다루가치와 관군관, 고려국왕 혹은 신료가 함께 사법문제를 처리하는 ‘雜問’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는 約會와 같은 몽골의 합의제적 재판방식과도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총체적 감독관으로서의 다루가치와 군사업무를 주로 하는 管軍官, 그리고 고려국왕(공주) 측이 함께 軍事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법처리가 필요한 사안이 발생할 경우, 상호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雜問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조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雜問에 참여했던 주체들이 황제의 朝廷에 나아가 서로의 입장 차이를 조율해야 했다. 1278년 충렬왕의 親朝역시 몽골의 국가체제 안에서 중요한 위상을 갖고 있었던, 직접적으로는 일본원정이라는 大業과 관련해 중요한 역할을 할 두 주체 사이의 갈등이 김방경 무고사건을 통해 外化한 가운데 더 이상의 분란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요구된 것이었다. 고려국왕은 몽골 측 관인과 함께 심문하고 그 결과를 직접 보고하기 위해 入朝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나아가 스스로의 정치적 처사와 관련해서 몽골 측에서 문제가 제기될 경우 그에 대한 변론을 위해 入朝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몽골 황제권은 그러한 분쟁을 수습하는 중재자 및 최종 결정권자로서 기능했으며, 이러한 상황은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국왕의 사법적 권한 혹은 위상에 발생한 변화를 보여준다. After the restoration of King Wonjong in 1269, Darughachis got to stay in Goryeo, and the Mongolian forces also stationed in Goryeo to suppress the Revolt of Sambyeolcho, and to persuade and prepare for an expedition to Japan. Since then, there were cases in which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exercised judicial power mainly in relation to the military. The officers of royal forces exercised judicial power on their own when the military command system was clear, and Darughachis would exercise judicial power over daily matters. What is worth noting in the handling process of judicial matters during the period was “Japmun(雜問)”, in which Darughachis, officers of royal forces, and Goryeo kings or officials dealt with judicial issues together. Both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were part of the Mongolian force and followed the orders from the emperor including suppressing the Revolt of Sambyeolcho and persuading and conquering Japan.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while the officers of royal forces focused on the “military” in their activities, Darughachis made responses to specific matters even covering the stabilization of common people in Goryeo. Since the Revolt of Sambyeolcho was an uprising against the king of Goryeo, as well, the forces of Goryeo were also active with suppressing it. Darughachis and officers of royal forces were, however, in different positions regarding the persuasion of and expedition to Japan. When there were issues requiring judicial settlemen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common military duties in that situation, they seem to have coordinated and reflected their mutual interests through the system of “Japmun.” When they failed to coordinate their mutual interests in the Japmun process, the individuals that took personal part in it had to go and see the emperor in the royal court and adjust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s. The King Chungryeol’s personal attending the emperor in 1278 can be understood in that context, which was requested to control further trouble after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parties, which held an important status within the Mongolian national system and were supposed to play critical roles in the expedition to Japan more directly, grew external through the false accusation of Kim Bang-gyeong. The situation that Goryeo kings had to attend the Mongolian royal court to personally report the results of joint interrogation with the Mongolian officials in matters related to the Mongol empire and further to defend their treatment of internal affairs of Goryeo when someone raised an issue with it at the emperor’s court shows the changed status of Goryeo kings. In that process, the imperial power of Mongolia functioned as an arbitrator and final decision-maker to settle such disputes.

      • KCI등재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이욱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In Yeongcheon, righteous armies and the government army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recovered the Yeongcheon Wall.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was the first victory that Korean forces won in ground battles during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1592‐1599). This victory was so meaningful that even people in those days called it the greatest victory by the Joseon army along with the Great Battle of Myeongryang. However, their campaigns have been forgotten now. In order to review the roles and meanings of righteous armies during Imjin Waeran, we need to reilluminate the forgotten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the Yeongcheo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Yeongcheon is situated in the middle of Gyeongsang‐do, and was an important strategic place connecting Gyeongju to Andong. For this reason, Kato Kiyomasa’s force that occupied Yeongcheon left 1,000 soldiers behind to defend the area. This remaining force raided nearby areas through major routes, and in response to the invasions, righteous armies began to rise for local defense. In Yeongcheon and Sinnyeong, leaders such as Jeong Se‐ah, Jeong Dae‐im, and Kwon Eung‐soo raised righteous armies based on their hometown. At the beginning, their campaigns were limited to attacking small units of Japanese army plundering villages. Gradually, however, righteous armies in the Yeongcheon area began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Factors inducing such expansion were as follows. First, Choyusa (Overseer) Kim Seong‐il appointed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and this established the command system. Second, as the Ming Army joined in the war, the war situation turned favorable to Joseon. Third, Yeongcheon righteous armies’ victories at a number of battles stirred up the morale. As a result, righteous armies in Yeongcheon and nearby areas formed a united front. The joint force of righteous armies won a great victory at the Bakyeon Battle. With enhanced spirit,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in Yeongcheon went up to the front line in order to reclaim the Yeongcheon Wall. For this, righteous armies from at least 10 counties and villages were encouraged to join the united force. Along with the righteous armies, the command post of the government army also participated, and explosives and weapons were supplied. Moreover, the invincible will of the command post and the strategic choice of attacking with fire led to the reclamation of the Yeongcheon Wall. With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Gyeongsangjwa‐do to the south of Andong were isolated because the supply route through Gyeongju, Yeongcheon, and Andong was blocked. This inflicted a severe blow to the Japanese forces, and seizing the momentum, the righteous armies recovered Gyeongju and Ulsan as well.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was attained through joint operation of government and civil forces, and this raises the necessity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post of the government army and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It is because behind the brilliant military achievement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superior weapons of the government army and excellent tactics of the command post. A new approach to this aspect may provide opportunities to overcome the distorted perception that the Joseon Dynasty was incompetent and devoid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s. 영천에서는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영천성을 수복하였다. 영천성 복성 전투는 임진왜란당시 우리가 육전에서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이 승리는 명량대첩과 함께 조선 군대가 거둔 최고의 승리라고 당대인들이 평가할 정도로 큰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들의 활동이 잊혀지고 말았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의 역할과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잊혀진 영천 지역 의병활동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영천은 경상도의 중로에 위치하면서 경주에서 안동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때문에 영천을 점령한 가등청정 부대는 1,000명의 부대를 잔류시켜 영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들 잔류부대는 주요 교통로를 오가면서 침략을 자행하였다. 일본군의 침탈이 자행되면서, 향토방위차원에서 의병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영천과 신녕에서는 정세아, 정대임, 권응수 등이 거주지를 근거로 의병을 일으켰다. 그들은 초기에는 노략질에 나선 소수의 일본군을 공격하는 수준의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점차 영천 지역 의병들은 활동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그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유사 김성일이 의병대장을 임명함으로써 지휘 체계가 확보되었다. 둘째, 명군이 참전하면서 전황이 유리하게 바뀌었다. 셋째, 영천 의병들이 몇 차례의 전투에서 승리하며서 사기가 고조되었던 점 등이다. 이에 따라 영천과 인근 지역의 의병 부대가 연합 전선을 형성하였다. 의병 연합 부대는 박연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영천 의병장들은 승세를 타고 영천성을 수복하기 위한 작전에 나섰다. 이를 위해 단일 군현의 연합부대가 아니라, 최소 10여개 이상의 군현 의병의 참가를 독려하였다. 의병과 함께 관군 지휘부도 참여하였고, 화약과 무기의 지원을 받는 등 민관 협력의 모습도 보였다. 거기에 지휘부의 불굴의 의지와 화공火攻이라는 적절한 전략 선택은 영천읍성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영천성 수복으로 안동 이하의 경상좌도에 주둔하던 일본군들은 경주, 영천, 안동을 잇는 보급로가 차단되었다. 이는 일본군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의병은 승세를 이어 경주와 울산 읍성까지 수복하였다. 영천성 수복이 관과 민의 연합 작전에 의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관군 지휘부와 의병장의 관계에 대해 새롭게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의병의 혁혁한 전과 뒤에 관군이 지닌 뛰어난 무기와 관군 지휘부의 전술도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당시 조선 국가의 무능과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의 부재라는 왜곡된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동학농민군의 대둔산 항쟁

        신순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24 동학농민혁명 연구 Vol.2 No.-

        이 논문은 1994년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있었던 동학농민군의 대둔산 항쟁에 관한 글이다. 1894년 11월 초,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한 동학농민군은 관군과 일본군의 추격에 쫓기면서 도피와 해산의 과정을 겪었다. 그러나 일부 농민군은 대규모 항쟁을 이어가는데, 그 중 하나의 세력이 대둔산에 진지를 구축하고 있었던 농민군 세력이다. 이들은 연산, 진산, 고산 등지의 농민들로 추정되며 1894년 11월 하순부터 이듬해 2월 18일까지 약 70일간에 걸친 저항을 이어갔다.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계에 있는 대둔산은 자연 지형이 바위로 된 절벽이 많은 매우 험한 산이다. 농민군은 이 산 서남쪽에 위치한 150m 이상 되는 높이의 미륵바위 위에 진지를 구축하고 30~50명이 머물면서 관군과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그러나 1895년 2월 관군과 일본군의 기급 공격으로 농민군의 진지는 함락되고 20여 명의 농민군이 희생되었다. 이 논문을 통해 대둔산 농민군 진지의 정확한 위치와 접근로, 관군과 일본군의 위치, 그리고 진지 함락 당시의 관군과 일본군의 공격로를 지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본군의 노획물인 총기와 탄약, 지표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遺構)와 유물 을 통해 불태워진 농민군 진지의 규모와 수용인원과 농민군의 화력 등을 추정하였다. This essay is about the Donghak Peasant Army’s resistance at Daedunsan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In early November 1894, the peasant army, defeated at the Battle of Ugeumchi in Gongju, experienced a series of fleeing and disbanding as they were chased by Joseon governmental forces and Japanese forces. However, some of the peasant army continued large scale resistances, and one of the forces that did so were the peasant forces that occupied a camp in Daedunsan Mountain. This force is presumed to be consisted of peasants from Yeonsan, Jinsan, and Gosan, and they continued their resistance for 70 days, from late November of 1894 to February 18th of the following year. Located between the borders of Chungcheong-do and Jeolla-do, Daedunsan is a very rugged mountain, with many rocky cliffs forming the natural formation. The peasant army formed their base atop Mireuk Rock, which was located to the southwest of the mountain and was over 150m high. Thirty to fifty men garrisoned the base and resisted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However, in February 1895, the base fell to a surprise attack from the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and around 20 men from the peasant army were killed. Through this essay, we were able to verify the precise location and approach of the peasant army, the loc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forces and Japanese forces, and the path the governmental and Japanese forces took when they assaulted the base of the peasant army, using a map. In addition, the size of the burned peasant army’s camp, their numbers, and their firepower were able to be estimated by analyzing the remains (such as house sites or the traces left behind by ol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s) and artifacts that were confirmed through the guns and ammunition the Japanese forces took as spoils, as well as through surface surveys.

      • KCI등재

        임진왜란기 경기 의병의 활동양상과 특징

        정해은(Chung, Hae-Eun)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5

        이 논문은 임진왜란기 경기 의병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로서 경기의병의 특징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초기 경기는 37개 읍 가운데 강화?교동을 제외한 35개 읍이 피해를 입었다. 이는 임진왜란초기 피해가 컸던 영남보다도 나쁜 상황으로 경기가 일본군의 북상로와 퇴각로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각종 자료에 나타난 경기 의병장의 이름은 16명 정도에 불과하나, 필자가 주목한 사항은 병마절도사나 수령과 같은 지휘관 휘하에 들어가 활약한 이름없는 의병의 활약이다. 경기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 것은 의병장의 부재와 함께 경기에 근왕과 도성회복을 위해 각지에서 모여든 군 지휘관들이 집결해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경기 의병의 특징은 1593년 1월 평양성 전투 이후 官軍과 연계하면서 활동이 두드러졌다는 점에 있다. 이 점은 더 밝혀져야 할 부분으로, 당시 경기의 관군이나 의병에게 도성회복이 중요한 당면 과제로 떠오르면서 의병과 관군의 연계가 긴밀해졌다고 생각한다. 이 무렵 영남에서 의병장이 관료가 되고 의병이 明軍의 支待를 위한 수송군으로 격하되면서 의병 활동이 쇠퇴하지만 경기에서는 오히려 의병이 관군과 연합하면서 활동이 더 살아나는 양상을 보였다고 판단된다. 이 점이 경기 의병의 특징이자 임진왜란 의병사에서 차지하는 특별한 위치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result of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actions of the righteous militia units, which originated in the Gyeong’gi region(京畿) during the war with the Japanese in the 1590s. Primary aspects of the righteous militia movements in this particular region,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in details. In the early stages of the 1590s’ war, total of 35 counties out of 37 in the Gyeong’gi region, with the exception of Gang’hwa(江華) and Gyo"dong(喬桐), sustained heavy damages by the Japanese troops. The situation was even worse than the Yeongnam region(嶺南), which was the first to fall victim to the invading Japanese troops. Gyeong’gi was located in the path of the Japanese troops which was moving North, and also the path of their retreat, so that might have been the reason for such extensive damages. There are only 16 people who are confirmed by records to have been part of the Gyeong’gi region’s righteous militia, yet there were other people who were equally important as well, such as the nameless militia soldiers who fought the Japanese soldiers, under the command of local prefects or military commanders. Militia soldiers serving under governmental officials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gi righteous militia movement, and it was because there was no militia leader left, and governmental commanders from various regions of the peninsula were already in the region to launch an offensive designed to guard the king and retake the capital. Since the battle of the Pyeong’yang-seong(平壤城) fortress that occurred in January 1593, the Gyeong’gi righteous militias actively coordinated their efforts with governmental troops. This aspect deserves further attention and examination, as it seems that retaking the capital became a mutual objective and even a unifying bond for both the Gyeong’gi region’s official troops and righteous militia members. In the Yeongnam region, righteous militia leaders became governmental officials, and the righteous militia soldiers’ role was reduced to delivering supplies to the Chinese Ming troops, so their overall activities eventually diminished. Yet in the Gyeong’gi region,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militias were literally ‘re-energized’, with their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al troops.

      • KCI등재후보

        船山詩學에 나타난 詩學範疇 ‘興’ 에 관한 小考

        이종무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7 No.-

        本論文主要硏究目的在於, 分析王夫之詩學中出現的“兴”範疇的内涵,以此考察“兴”範疇的多種運用樣態, 進而根據其研究結果探討王夫之詩學體系的結構原理及在中國文學批評史上的意義。“兴”是中國傳統藝術理論中最能反映傳統文化特徵的範疇之一, 以緣情感物、借景抒情的美感心理方式, 濃縮了藝術創造的奧秘, 其含意的演變、擴展呈現出歷史與邏輯相一致的特点。“兴”從最早一般動詞的意味卽“起”開始, 經過“比兴”託喻之辭, 演化充實爲感兴寄託與与“文已盡而意有餘”的内涵。 “兴”範疇是王夫之詩學論著當中頻繁涉及的批評詞滙之一。在他的詩學理論當中, “兴”可分爲三種意義: “賦比兴”的“兴”、“感兴”的“兴”、“兴觀群怨”的“兴”。在王夫之詩學論著裏的“兴”範疇中, “賦比兴”的“兴”與“物”、“事”有關聯, 或發揮隱喩的修辭效果, 或發生聯想作用, 或令詩歌有“文已盡而意有餘”的藝術境界。王夫之嚴格要求作者將審美感兴(“兴”)與生命的本體(“氣”)聯系在一起, 進而要求將審美感兴看作對人的生命本體的體會。王夫之“兴觀 群怨”說的“兴”, 同时贯穿和包括傳統“兴觀群怨”的“起也”義与“引譬連類”義的两个側面, 以之爲新“兴觀群怨”說的理論基础。總之, 從以上的論述中可以知道: 王夫之此“兴”範疇的運用, 在接受鑑賞方面, 令讀者能作自由自在的豊富聯想, 想象作者的創作意圖, 而且令詩歌充分發揮其對讀者的在美感、認識、教育、批判作用等多方面的功能。与此同时, 還令詩歌以生動具體的形象和强烈的感情来激動人心, 起到深刻的教育作用. .

      • KCI등재

        금속섬유 버너를 채택한 0.5 t/h 급 무연소실 보일러의 열전달 특성

        안준(Joon Ahn),김종진(Jong Jin Kim)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5 No.2

        산업용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이고 체적을 줄이기 위하여 0.5 t/h 급 무연소실 보일러를 개발하였다. 별도의 연소실이 없이 증발관이 화염에 노출된 구조에서 화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섬유버너를 채택하였다. 증발관은 관군의 형태로 버너 하류에 배치되고 하류에 설치된 증발관에는 휜을 설치하여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였다. 무연소실 보일러는 관군에 대한 열전달 관계식으로부터 설계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시제품에 대한 실험 및 보일러 내부의 유동 및 열전달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관군에 대한 관계식을 적용한 설계와 비교하였다. A 0.5 t/h class non-furnace boiler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im of achieving a high efficiency and compactness. A metal fiber burner has been adopted so that a stable flame can be obtained. The tube banks are installed downstream of the burner. Bare tubes are used upstream, while finned tubes are installed downstream. The heat-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non-furnace boiler have been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as well as those of the experiment. Important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bulk temperature along the streamwise direc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n tips have been evaluated using the CFD results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empirical correlations typically used for the design of the boiler.

      • KCI등재

        홍경래난을 통해서 본 19세기 조선정치

        박현모(Park Hyun M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5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4 No.2

        홍경래난은 1811년(순조11)에 평북 가산지역에서 발발하여 119일 간 진행된(1811.12.18 - 1812.4.18) 세도정치기(1800-1863) 최대의 반란이다. 홍경래ㆍ우군칙 등 이른바 ‘저항지식인’들은 외척세도정권의 폐정을 비판하는 한편, 정감록 사상과 서북민의 지역적 소외감 등을 이용해 농민ㆍ광산노동자ㆍ상인들의 봉기를 이끌어냈다. 2,000여명의 반군(叛軍)이 정주성에 농성하면서 8,300여명의 관군(官軍)과 맞서 싸우는 동안 순조정권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다. 이 논문은 그 동안의 연구에서 누락된 조성의 대응방식을 고찰하여 보다 입체적인 난의 진행상황을 고찰할 수 있게 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간과된 홍경래난의 국제적 사건으로서의 측면을 드러냈다. 특히 난의 와중에서 노정된 조정의 공론정치 메커니즘의 마비와 순조정권의 무능력, 그로 인한 민심의 이반 현상을 통해 세도정권이 직면한 정당성 위기를 그려내고자 했다. 그리고 정주성 전투에서 나타난 “약탈 관군”의 모습과, 그로 인해 반군을 지원하고 또 의지하는 인근 백성들의 모습에서 ‘누가 정말로 반란군인간’라는 정치학의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데 본 논고의 목적이 있다. Hong KyeongRae's Rebellion has been commonly portrayed as a domestic problems. A number of studies dealt with it from the viewpoint of conflict between central power and local society, competition and division among the marginalized elite. However, looking at the Sunjo Sillok[Authentic Record of the King Sunjo Era], it was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issue. This study place the focus on the King Sunjo's response and measures during the actual unfolding of rebellion, especially the Chinese military assistance.

      • KCI등재

        연구논문 : 임란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하태규 ( Tae Gyu Ha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9 No.-

        임진왜란기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송정현교수가 선구적 역할을 하였고, 1980년대부터 조원래 교수가 주도하여 왔다. 최근 임진왜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연구자들이 많은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호남의 의병의 양상과 특성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그렇지만 아직 몇가지 측면에서 검토되어야할 과제가 남아 있다고 보여진다. 임란기 호남의병의 개념과 실체를 좀 분명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는 의병진을 형성하는 지도층의 계층 구조, 의병의 전투력의 근원이 되는 병력 구성원, 국가의 전란 대응책으로서 의병 장려정책과 통제책, 그에 따른 의병의 변질 문제 등을 좀 더 세심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호남의병의 봉기의 계기와 성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임란 초기 호남지역의 의병활동은 호남근왕병의 출동과 거의 같은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도성함락과 임금의 파천``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근왕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그러나 왜군의 호남 침공으로 위기에 직면하자 지역을 지키기 위한 향보활동을 하였고, 호남지방이 지켜진 뒤에는 주로 경상도로 출동하여 구국활동을 전개하였다. 기왕의 연구에서 대립적으로 파악했던 호남의병과 관군의 관계에 대해서도 좀 더 고찰이 필요하다. 호남 의병은 처음부터 수령이나 관군 장수들의 협력과 지원을 받으며 결성되었고, 그들이 전투에 임할 때도 서로 협력하여 적을 공격하였다. 또한, 임란기 호남의 관군이 엄존하고 구체적인 활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의병의 역할만을 강조하는 것도 불합리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호남의병의 전술·전략적 역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사례 검토가 필요하다. 의병 관련 사료의 발굴과 함께, 현존하는 사료의 신빙성에 대한 검증도 필요하다. 그동안 연구자들이 활용하였던 사료 중에는 신빙성이 의심스러운 것이 상당히 많이 있다. 따라서 의병관련 사료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기왕의 연구성과도 비판적으로 뒤돌아 볼 필요가 있다. In 1970s professor Song Jeong Hyu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tudy of the Honam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waeran and professor Jo Won Rae has led the study since. Recently quite a number of researchers has announced many products of their studies with a high profile about the Imjinwaeran. The facet and the feature of the Honam righteous army have been revealed in some degree through such studies. But it would seem that there are some assignment that should be reviewed in several way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ecessity to stipulate more clearly the concept and the substance of the Honam righteous army in the Imjinwaera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more closely about the hierarchy in the leadership class of the Honam righteous army, the members of army as the root of combat power, army incentive policy and control plan as the countermeasure of war, and as a result, the problem from transmutation of the righteous army etc.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tart and character about the uprising of the Honam righteous army. In the early Imjinwaeran the action of the righteous army in Honam started with Royal guards in Honam at nearly the same time and was founded for the loyalty to the king in national crisis of ‘being taken capital city and royal refuge from the palace’. However there was the crisis because of Japanese invasion of Honam in Korea. and the righteous army started to protect their region. After guarding Honam area, it mobilized to Gyungsang province and kept on protecting the nation. Moreover there is the necessity to study more about relation between the Honam righteous army and the government army that is regarded as adversarial one. The Honam righteous army had been organized with the local governors or the royal forces’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 beginning and they attacked the enemy together in the battle. Also it is absurd to overemphasize only the role of the righteous army though there was the royal forces in Honam during the Imjinwaeran. Therefore it is definitely required to examine the concrete and empirical cases about the tactical and strategic role of Honam righteous army. It is needed to inspect authenticity of the present historical records with discovery of historical documents about the righteous army. There are many unclear ones among the previous historical records to be utilized by history researchers. So it is also necessary to review critically the foregone research achievement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with the righteous ar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