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 수업이 외모 만족도 및 대인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

        권경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 및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연관성을 비교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 전후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발레수업 사전과 사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0.652, 0.730으로 외모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대인관계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전보다 사후의 상관계수 값이 더 높게 나타나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성을 더 높게 나타나게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학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3학년과 4학년에 있어서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85, 0.675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5학년과 6학년에서는 상계계수가 0.609, 0.590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는 고학년보다 저학년에서 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경제상태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경제상태가 좋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32, 0.708로 양의 상관관계이며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경제상태가 좋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외모관심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837, 0.697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외모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생들 주변의 부모와 관계, 친구와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발레 수업의 필요성과 심리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compar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ballet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allet classes affect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the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ha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nd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higher correlation values after the class than before the class, which shows appearance satisfac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e ballet class has effects on improvemen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and economic conditions, it was found ballet classes by the school year were more effective in the third and forth grade groups that had higher learning depend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than the upper grades that went through the secondary growth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Third, significant results were produced regardless of economic conditions; girls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in the aspect of the effect(size of increase) girls with ‘normal’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al problems an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s,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the reason the result was bigger in the girls’ group with the ‘normal’ size of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considered that girls in the ‘good’ economic conditions already ha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ue to appearance satisfaction so the increase was not bigger any more, while girls in the group with ‘normal’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result than in the group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as they had physical confidence after ballet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appearance satisfaction by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elementary school girls due to ballet classes,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showed bigg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girls with normal interest.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 problems and had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신향,임종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충청남도 D시에 소재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변수는 기술통계로,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대인관계만족도의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외모만족도는 2.18점, 우울은 1.81점, 대인관계만족도는 3.00점이었다. 외모만족도, 우울,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우울은 외모만족도(r=-453, p<.001), 대인관계만족도(r=-.370,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외모만족도는 대인관계만족도(r=.482,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대인관계만족도에 외모만족도(β=.395, p<.001)는 긍정적 영향을 우울(β=-.191, p<.001)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지를 통하여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고, 우울을 감소시킬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무용참여 중고생의 무용수업만족,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이해원 ( Lee Hae-w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과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 간의 인관관계를 살펴보고, 무용수업만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북지역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320명을 무작위표본추출 하였고, 최종 301부를 SPSS24와 AMOS2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은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는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과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참여 중고등학생들이 무용수업에 만족하고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가 향상되면 이로 인해 학교생활만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을 위해 무용수업을 통해 교우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무용수업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그룹별 창작무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lass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participa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dance class.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3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Nov, 15, 2019 to Nov. 22, 2019. The data on 301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4.0 for Window and Amos 24.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ance clas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Second, peer relationship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dance clas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orth, peer relationship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lass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김두환(Kim Doo-Hwan),김지혜(Kim Ji-hy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4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의 학교에 대한 사회 심리적 적응의 정도를 나타내며, 교육적ㆍ규범적 적응과 더불어 학생의 발달 및 학교생활의 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다시 말해 학교는 지식을 전달하고 인적자본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곳일 뿐만 아니라 학창시절과 그 이후의 삶에 기초가 되는 사회적 관계들이 형성되는 장이라는 점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은 학생의 학업능력 및 행동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내용에 따라 학교에 대한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의 만족수준을 높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할 것이라 본다. 이러한 가정 위에서 학생들이 가정 및 학교를 중심으로 부모ㆍ친구ㆍ교사와 맺는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추가 표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 2007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학교 유형의 계층적 분화가 결과하고 있는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기본적 차이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ㆍ친구ㆍ교사와의 사회적 관계들은 선행 연구들에서 고려한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나 친구관계 변수들과 달리 교사와의 관계 변수는 다른 통제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반고와 비교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던 특목고의 통계적 유의성을 사라지게 했다. 더구나 특목고의 일반고 대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기여는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달려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일반고에 비해 전문계고는 본 연구가 고려하는 사회적 관계 변수와 모든 통제 변수들을 모형에 포함한 후에도 학교생활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생활만족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달리 학생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significant others)들, 즉 부모ㆍ친구ㆍ교사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많은 사회학적 연구들이 검증해온 이들 사회적 관계의 영향이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학생의 학교생활경험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Research has shown that students satisfied with school life tend t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 delinquent behaviors or disciplinary problems. When we consider school as a sphere for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skills and forming social relations which would influence students during their whole lifetime as well as school life,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relations surrounding students in home or school, which shap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e hypothesized that students could be more content with their school life when they have better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o control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differentiated by horizontal stratifi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we analyzed 2007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on high school seniors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SPHS), General High Schools (GH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VHS). The findings indicate that better social relation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re contributing to increase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When we take into account student-teacher relations only, the advantage of SPHS which shapes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has been disappeared. Interestingly, such higher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than GHS is depending on student-teacher relations. However, even after we take into account other control variables as well as students’ social relations, VHS lower students’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compared to GHS. The implication of our findings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different types of schools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B2B 관계전환비용과 관계전환 경향: 만족집단과 불만족 집단의 비교

        하홍열 ( Hong Youl Ha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3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B2B 관계구축 및 교환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관계전향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전환 비용의 효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고찰한다. 특히 관계구축과정에서 나타나는 만족집단과 불만족집단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B2B 관계형성에 참여하는 기업(공급자 또는 파트너) 중 기존의 관계에 만족하는 집단과 불만족하는 집단의 관계전향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전향비용에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공존한다. 유사점으로 관계전향비용은 오직 준비비용만이 두 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차이점은 혜택손실비용, 인적관계손실위험, 경제위험비용 등은 만족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불만족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조사되었다. 또한 두 집단 사이의 공통점은 금전적 손실비용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witching costs on propensity for switching using logistic regression.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between satisfied and dissatisfied groups among B2B relationship participant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seve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parties when they seem to have switching intentions. The main similarity is set-up costs between two groups, whereas differences vary. More specifically, three types of switching costs (benefit-loss costs, personal relationship-loss costs and economic risk costs) are only significant for satisfied group, whereas these types are insignificant for dissatisfied group. Interestingly, one common factor is monetary-loss costs that are insignificant for both groups. In line with this observation, the author discuss several research insights and provide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및 스트레스와 학과만족도와의 관련성

        최미현,이혜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ntal hygien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tress levels and to develop positive measures for adapting to university lif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ir relevance to the departmental satisfaction. It was conducted by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of students enroll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a self-reported survey. Collected data were analyzing by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2.0 program (p=0.05). The correlations among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tress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ere examined to show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artment satisfaction, while str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atter. Both department intelligi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s factors influencing their department satisfac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department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dental hygiene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department intelligibility.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generaliz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department-related information programs as a way to increase department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및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학과만족도와의 관련성 규명을 통하여 대학 생활 적응에 필요한 긍정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치위생과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스트레스, 학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시행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은 학과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스트레스는 학과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과 이해도, 대인관계 능력이 학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주어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 능력과 학과 이해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나, 학과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보완자료로 의의가 있으며, 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인관계능력 및 학과 관련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객만족 -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관계품질의 매개효과와 관계길이의 조절효과

        최덕철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3

        본 연구는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형성과 유지가 강한 은행서비스를 통해 고객만족-관계품질-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거래의 관계길이에 따라 관계품질의 매개역할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확인하고, 또 고객만족-관계품질, 고객만족-고객충성도, 관계품질-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관계길이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서비스에서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관계품질의 매개역할이 관계길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거래초기 관계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고객만족이 고객충성도에 직접 영향을 주기에 관계품질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하지만 관계길이가 길어지면 만족은 충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대신 관계품질을 통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져 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길이는 고객만족-고객충성도, 관계품질-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역할을 하나 고객만족-관계품질간의 관계에서는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은 관계길이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관계품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계길이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서 관계길이에 따라 관계품질의 매개역할과 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은행서비스와 같이 거래관계가 장기적인 경우에 고객만족은 거래 초기에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관계길이가 길어지면 부정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환장애로 인한 의사충성도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관계길이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of mediating role of relationship length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nd to confirm whether relationship lengt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banking service. However, according to relationship length, the results are different. When relationship length is low,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because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only direct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When relationship length is high, customer satisfac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through relationship quality. As a result, there is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Relationship lengt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and customer loyalty and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However, it doesn'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With the analysis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 can find more obviously how relationship quality has played mediating role in customer satisfaction-customer loyalty and relationship length has played moderating roles in customer satisfaction-relationship quality-customer loyalty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roles of relationship length in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may help to explain inconsistent findings with regard to satisfaction in previous studies. A possible reason for these inconsistent findings is that previous studies may have not considered the moderating roles of relationship length. With no regard to relationship length, customer satisfaction has always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when relationship length is low. However, when relationship length is high, customer satisfac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is means that there seems to be spurious loyalty resulting from such switching barriers and inertia.

      • KCI등재

        만 족-충 성도 연계의 확장: 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 친숙성과 조절초점이 미치는 영향

        김영두 ( Young Doo Kim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5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7 No.2

        고객만족과 충성도 및 기업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아내는 것은 마케팅 이론 및 실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과 관계지속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강화 혹은 약화)하는 변수로서 친숙성과 조절초점의 역할을 이동통신(휴대폰) 서비스를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만족과 충성도 간의 관계를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관계지속 의도는 만족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지만 친숙성과 조절초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만족-충성도 연계 프레임에서 이를 검증해 본 문헌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는 관계지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족도가 높을수록 관계지속 의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친숙성은 관계지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친숙성이 높을수록 관계지속 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초점은 친숙성이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조절함이 밝혀졌다. 즉, 친숙성이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향상초점이 강할수록 강화되는 반면 예방초점이 강화될수록 약화되었다. floodlight분석 결과 예방초점이 강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조절초점은 만족도가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함이 밝혀졌다. 즉, 만족도가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향상초점이 강할수록 약화되며 예방초점이 강할수록 강화되었다. floodlight분석 결과 향상초점 혹은 예방초점이 매우 강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친숙성이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사항들에 대한 이론적, 마케팅 실무적 시사점을 기술해 놓았다.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familiarity, regulatory focus,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as the framework for an extension of the satisfaction-loyalty link.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mobile phone (cellular phone) services.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Customers who reported a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level were found to have a stronger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Second, familiarity related to mobile phone services was found to also positively influence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Customers had a stronger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with services that were more familiar to them. Third, regulatory focus was found to positively moderate relations between familiarity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e impact of familiarity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increased as customers` relative promotion-focus increased. This impact decreased as consumers` relative prevention-focus increase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was negatively moderated by regulatory focus.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increased as consumers` relative prevention-focus increased. This impact decreased as consumers` relative promotion-focus increased. Fifth, satisfaction was shown to indirec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워라밸,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석원,정찬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2

        직무만족은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조직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인사관리 지표로 193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는데,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임금, 복리후생, 근무 시간을 포함한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 승진, 대인관계, 일과 삶의 균형(이하 워라밸) 등으로 다양하다. 그 리고 최근엔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 성장을 중요시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어 개인 성장 가능성에 대한 부분도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 중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 워라밸, 직무자율성 그리고 최근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을 중심으로 변수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독립변수로는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있으며, 조절변 수로 프로티언경력,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LMX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소통이 잘 되고,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직무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LMX의 질은 긍극적으로 조직유효성을 높힐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 단위의 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으며 생 산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조직분위기와 시스템을 조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 때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가치가 상승하고 스스로 설정한 직무목표를 달성했을 때 직무만족을 느 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워라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직장 생활을 통해 가정의 행복과 개인의 삶의 의미에까지 확장되고 있는 워라밸의 의미와 의의를 되새기게 하는 부분이다. 조직이 개인의 집합체로 구성된 것을 감안하면 개인차원의 삶의 질은 결국 조직차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가장 주요 관심사인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 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는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확인되었고,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LMX가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이 정(+) 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LMX가 증가할수록 직무만족이 증가하는데 프로티언경력은 이러한 영향력을 더 증가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LMX가 직무만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프로티언경력의 주요 특성인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성향이 LMX 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리더와 구성원 간의 관계의 질 이 높은 상태에서 스스로 동기부여된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만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과거 고용안정성, 평생고용에서 최근 고용가능성 그리고 고용지속성을 통한 평생직장을 위한 개인차 원의 경력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및 개인차원에서 중요한 직무만족의 인과관계를 LMX, 직무자율성, 워라밸에서 다시 살펴보고 여기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과에서 LMX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 관계에 프로티언경력의 조절효과 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서 조직 내 리더와 구성원 간의 높은 신뢰와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 원의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경력관리태도에 의해 직무만족을 더 높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러한 직무만족은 긍극적으로는 개인에게는 삶의 질, 조직에게는 조직성과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유효성의 예측변수인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조직 인사관리의 실무 담당 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새로운 성향의 인재들(MZ세대)이 들어오는 요즘 시점에 조직 및 기업에 있어 최 근 점점 더 강화되는 자기주도적, 가치지향적 개인 경력 태도인 프로티언경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Job satisfaction is a personnel management index that should be dealt with very importantly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1930s until recently. Many scholars have been conducting various studies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a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ages, welfare benefits,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orking hours, pro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 work-life balance, etc. And recently, the tendency to place importance not only on the organization but also on individual growth is increasing, and the possibility of personal growth is also increas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work-life balance, job autonomy, and protean career, which has become a major issue in recent year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leader-member exchange(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and protean career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ere set.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LMX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job satisfaction can be elicited throug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increasing tissue effectiveness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e organization needs to create a pl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udder of the organizational unit and its member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ystem that can form productive relationships. Second, job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when the level of job autonomy is high, the individual’s self-worth will increase, and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to feel job satisfaction when the job goals set by themselves are achie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is a part that reminds us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work-life balance, which is expanding to the meaning of family happiness and personal life through recent work-life balance. Considering that an organization is composed of a group of individual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quality of life at the individual level eventually affects the organization level as well.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job autonomy, and work-life balanc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terests of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as confirmed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It was confirmed that protean career ha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LMX’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job satisfaction increases as LMX increases, but protean career further increases this influence. there was. This suggests that the self-directed and value-oriented tendenci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tean career,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generating positive interactions with LMX in the positive impact of LMX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self-motivated member’s protean career attitude can further increase job satisfaction while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members is high. It is the time when career management at an individual level is necessary for lifelong workplaces through employment stability in the past, possibility of employment in recent years in lifelong employment, and employment continui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important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 in LMX, job autonomy, and work-level,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which is a recent issue.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job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f protean’s career. Through this, the high trus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the organization was driven by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career management attitude of the members. It was confirmed that job satisfaction could be further increased. This job satisfaction is expected to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organiz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given the importance of job satisfaction, which is a predi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elf-directed, value-oriented personal career attitude that has been increasingly reinforced in organizations and companies has the influence of leadership on personnel in charge of organizational personnel management and policy makers. This suggests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in protean career is needed.

      • KCI등재

        서비스회복이 불평처리만족과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거래·관계특성의 조절 및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김주현,윤만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논집 Vol.19 No.4

        본 연구는 서비스회복 수행, 불평처리만족, 관계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초모델을 구축하고 이 모델에서 작용하는 거래/관계적 특성의 매개 및 조절적 역할을 검토한다. 선행 연구를 통해 결과가 입증된 서비스회복 변수관계에 직접효과 가설 3개(서비스회복→불평처리만족, 불평처리만족→전환비용, 불평처리만족→관계지속의도)를 추가함으로써 기초모델을 구성한 후, 친숙성과 구매방법을 서비스회복과 불평처리만족 관계 사이의 조절 및 매개변수로, 그리고 구매방법과 전환비용은 불평처리만족과 관계지속의도 사이에서 조절변수와 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안한다. 고객이 보낸 불평편지에 대한 기업의 응답 결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실시한 실증분석에서 본 연구의 제안모델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주요 변수인 서비스회복 수행은 불평처리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평처리만족은 거래관계 특성인 전환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환비용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 회복에서 고객이 지각한 공정성은 서비스회복 수행과 불평처리만족사이에서, 전환비용은 불평처리만족과 관계지속의도사이에서 각각 부분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관계 특성인 친밀감은 서비스회복 수행과 불평처리만족사이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였다. 거래특성인 구매방법에 따라 서비스회복 수행이 불평처리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불평처리만족과 관계지속의도, 전환비용과 관계지속의도의 관계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proposes a service recovery (base) model that explains the effects of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SRP) on complaint-handling satisfaction (CHS)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RCI), and it investigates the transaction/relationship characteristics that moderate and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base model. In the base model, we add three hypotheses to the replication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confirmed in the previous studies. We consider intimacy and purchase mode (online, offline) as the moderating variabl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RP and CHS, and purchase mode as another modera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S and RC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witching cost and RCI. Fairness and switching cost are also evaluated for their mediation roles in the linkages SRP→CHS and CHS→RCI, respectively. In the empirical studies that used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1,352 participants of customer complaint campaign, the result shows a good fitness of base model to the actual data and strong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ree hypotheses (SRP→CHS, CHS→RCI, switching →RCI) that have not enough explored. It is an interesting finding that once customer's complaint has been handled satisfactorily, it becomes a important source for increasing switching cost. It is found that fairness plays a partial mediation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SRP and CHS, while switching cost do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S and RCI. The intimacy and purchase mode are found to be a effective factor moderating the linkage SRP to complaint handling satisfaction. Another notable finding is that purchase mode not only works differently in influencing between CHS and RCI but also plays between switching cost and RC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