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오스만 황실 여성의 사회적 위상과 공적 역할 - 오스만 황태후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은정 ( Lee Eunjung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6

        본고는 엄격한 성별 역할과 남녀 격리 제도가 강제되었던 가부장적인 이슬람사회 구조 속에서도 오스만 황실 여성들이 수행했던 공적 역할과 그것이 가능했던 배경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오스만 황실하렘은 그간 많은 이들의 호기심의 대상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놀랍게도 그들에 대한 진지한 연구 성과물들은 그 양이 얼마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오해와 왜곡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오스만 황실여성들에 관한 역사적인 평가이다. 남성 중심적인 역사 해석에 사로잡힌 많은 오스만사학자들은 철저한 격리 제도로 인해 황실 여성들은 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혹여나 그러한 활약이 있었을지라도 그것은 모두 불법적인 일탈 행위였고 심지어 정도에 벗어난 황실 여성들의 공적 활동은 제국 쇠퇴의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엄격한 규율과 서열이 존재하는 여성들의 공동체이자 의전 원칙에 따라 모든 행동양식이 결정되는 국가 조직의 일부였던 황실하렘에서 황실 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적 영역에 참여해 왔고 황실 가문의 일원으로서 권력을 행사해 왔다. 특히 황실하렘의 수장이었던 황태후의 역할이 독보적이었다. 황태후는 어머니로서 언제나 술탄의 곁에서 정치적 조언을 아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황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황실 내의 문제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국정에도 관여했다. 또한 오스만제국의 대표로서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막강한 경제력과 권위를 가진 `정의의 구현자`로서 민중들을 위한 각종 자선 사업에도 앞장섰다. 자선사업은 이동의 자유와 가시성이 제한된 여성들이 자신의 부와 권위를 표상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많은 무슬림 여성들이 이 일에 앞장섰다. 그 중에서도 황실의 재력과 힘을 과시할 수 있는 건축 사업에 황실 여성들이 후원자로 대거 동참했다. 이 외에도 황실 여성들은 자신의 재산으로 공공사업의 재원이 될 와크프를 조성하는 등 황실의 위엄과 경건함을 선전하는 사업에 적극 참여하였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황실 여성들의 영향력은 중심부가 아닌 주변부에서, 그것도 남성들의 중재를 통해 행사되었고 사회적 이상으로서 무슬림 여성들의 격리는 계속 주장되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녀들의 사회적 참여와 공적 역할이 불법적인 행위로 간주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오스만 사회는 `모권`을 중시하는 이슬람적 전통과 유목민 특유의 남녀 평등적인 개념을 상속한 사회였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황실의 `어른`인 황태후에게는 세대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술탄의 곁에서 조언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되었고 황실의 대표로서 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특권이 허용되었다. 또한 오스만 사회에서 여성을 통제하고 구속하는 종교적 규율과 사회적 강제는 여성의 신분과 연령, 경제적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오스만 사회는 공/사 영역과 남/녀 유별이 명확하며 성별 역할이 고착된 문명이고 오스만 사회특유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오스만 황실 여성은 아무런 역사적 역할도 할 수 없었다는 이분법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역사관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royal women of the Ottoman Empire accomplished public roles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how it was possible in such a patriarchal society where the practice of gender segregation was enforced. Most traditional historians proposed that the Ottoman royal women barely took any public roles because of the strict segregation policy, and even if they did, it was illegal and in some cases their public activity eventually led to the downfall of the empire. However, the Ottoman royal women participated diversely in the public sphere, exercising legitimate political rights. Among them, the valide sultan (queen mother) was especially distinguished. She not only gave the sultan political advice, but as the dynasty`s elder member had an eminent influence on royal family issues as well as political affairs. Also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Ottoman Empire, she functioned as diplomat and she carried on philanthropic roles for the common people. Strictly speaking, the influence of royal women were exercised on the periphery, not at the center, of the society and could only be done indirectly through men`s intercession. Moreover, for the social idealistic concept, the seclusion of women was still asserted.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public roles were not regarded as illegal behaviour. Ottoman society had inherited the Islamic tradition which emphasized the mother`s authority, and the Turco-Mongol heritage which accorded women equal treatment with men. Therefore under this social agreement, as head of the harem the valide sultan wielded authority over the dynastic family, as mentor and protector of her son gave political advice to sultan, and functioned as exemplar of such sovereign attributes as justice, piety, munificence. Besides in the Ottoman society, the religious regulation and social enforcement that controlled women were in some ways applied flexibly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age,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woman. Thus, many exceptions were tolerated to the royal women for a long time under the tacit consent of the religious leaders who were on the same boat with the imperial ruling class. Given these facts, the male-dominant historical prejudice, that is royal women were of no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Ottoman society which was dichotomized into spheres characterized by notions of public /commonwealth /male and private /domestic /female,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후보

        지난 20년간 독일 공적 건강보험 개혁과 시사점 - 경쟁적 다보험자체계에서 공적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 -

        이용갑 ( Yong-gab L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保健社會硏究 Vol.29 No.2

        경쟁과 효율이 강조된 다보험자체계, 민간 의료보험 활성화를 위한 국민건강보험의 기초보장제도로의 제한 등 최근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재검토 논의가 활발하다. 하지만, 전 국민의 공적 건강보험 또는 민간 의료보험에의 가입 강제, 국고보조금 지급의 확대 및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건강보험기금에 의한 전국차원의 재정분산기전 도입 등 공적 건강보험에 대한 국가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한 독일의 공적 건강보험제도 개혁 2007은 이러한 논의와는 상반되는 개혁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980년대 후반부터 실시된 독일의 공적 건강보험 개혁의 전체적 과정을 의사결정자 및 재정의 조달자·관리자로서 국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독일 공적 건강보험의 개혁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본 연구는 단일보험자체계인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사점을 국가의 역할과 책임 강화, 재정안정화를 위한 모든 이해 당사자들의 재정적 부담 및 지속적인 개혁에도 불구하고 공적 건강보험제도의 역할과 기능 유지에서 찾고자 하였다. Recent issues surrounding the reform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include the introduction of a multi-insurers system with competition and efficiency, the limitation of the NHI in basic health security for the activation of private health insurance. But, the reforms of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during the last 20 years, especially the Reform 2007, provide definitely different lessons for the recent discussions of NHI reform in Korea. The major contents of the Reform 2007 are the coercion of public/private health insurance entry, extension of the state subsidy for the public health insurance, the state`s direct management of the Health Insurance Funds that is comprised of state subsidies and contributions, the redistribution of the financial resources to Sickness Funds through the Health Insurance Fund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forms of the German Public Health Insur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trengthening state`s role and responsibility. The major lessons of the German reforms are not only in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e`s role and responsibility for the public health insurance, but also in sharing financial burdens between all stake-holders of the public health insurance,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functions and structure of the public health insurance through reforms.

      • KCI등재

        한국의 공영뉴스통신 정체성 연구

        최영재(Choi, Young-Jae) 한국언론법학회 2016 언론과 법 Vol.15 No.3

        이 연구는 한국의 뉴스통신 제도에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 형태의 공영뉴스통신사가 배태되는 역사적 연원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치열한 국익 경쟁이 전개되는 국제뉴스시장에서 국가정보 주권 수호 등이 공영뉴스통신사의 공적 책무로 부여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공영뉴스통신의 정체성을 드러내 보고자 했다. 한국의 공영뉴스통신 정체성의 연원은 군부독재정권에 의한 언론통폐합이 단행된 1980년 체제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권위주의적 정권은 공영적 뉴스통신인 연합통신에 ‘전국 유일의 뉴스통신사’라는 독점적 지위를 부여하는 정책적 지원과 정부구독료 방식의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대신, 국익과 공익 추구에 부응하는 공적 역할 수행의 책무를 요구했고, 그것은 공영뉴스통신의 정치적 종속이라는 부작용을 낳았다. 한국의 공영뉴스통신은 2000년대 들어 국력의 신장에 따른 국제뉴스시장에서의 국가정보주권 수호 등의 공적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라는 법적 지위를 받았지만, ‘1980년 체제’가 배태한 공영뉴스통신의 정치종속의 문제, 그리고 사영 뉴스통신과 경쟁에서 혼탁한 시장 질서 문제를 해결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결론에서는 공영뉴스통신의 공적 역할과 책무 방안과 사영뉴스통신과의 시장경쟁 방안을 논의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identity of public news agency in Korea, by reviewing the historical trace of formulating the public news agency institution, as the form of nation news agency in Korea, through which normative public roles, including the defense of national sovereignty of information, have been bestowed to the public news agency. The fomulation of the public news agency’s indentity have originated from the ‘1980 regime’, when military authoritative political regime forced diverse private news agencies to be merged into ‘the only one national news agency’, the Yonhap News Agency. Since then, the identity of the public news agency in Korea consists of performance of normative public role, in stead of having monopoly position in market. However around 2000, several private news agencies have entered into the hitherto public-dominant news agency market, then competitions in market and performance of public norm began to conflicting values for the public news agency.

      • KCI등재

        공적영역에서의 부모전환기 부부친밀감: 바니 밀러-맥리모어의 "살아있는 인간 망"을 중심으로

        이정란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3 No.-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n approach to marital intimac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the public sphere. Until now, studies on marital intimac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have focused on the intrapsychic and couples’ systemic approaches but not much on an approach in the public sphere. This study discusses marital intimacy with the concept of the “living human web” of Bonnie J. Miller-McLemore,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sphere. Approaching marital intimac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using the concept of the living human web means considering a patriarchal and oppressive social structure. Motherhood ideology is a factor that has a 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 this ideology, distorted perceptions and ideals of motherhood assign the caring role to women, and women’s excessive sacrifice and dedication are forced. Therefore, women suffer from self-loss by failing to balance self-care and other-care. When a woman does not exist as the whole self, the couple has difficulty in forming an intimat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of love has a mutuality, and in order to have an intimate marital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ciprocal relationship. This study discusses three ways of developing a reciprocal relationship. First, a mutual relationship should have a balance between self-care and other-care. Self-care means not only taking care of oneself but also taking mutual care in a marital relationship. To this end, status and value should be given to women’s housework and child care,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Second, a reciprocal relationship indicates an equal one, in which women freely to speak in their own voices. When married couples discuss equality in their relationship, they should acknowledge the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nd try to complement them. Third, a mutual relationship sh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of care. This is not just the work of married couples and should be extended to the web of social relationships. For mutual marital relationships to become the norm, role expectations in the public sphere also require trans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ur functions that Miller-McLemore presented—resistance, empowering, nurturing, and liberating—as the way forward toward such transformation. 이 논문은 부모전환기 부부 친밀감에 공적영역으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부모전환기 부부 친밀감의 관한 연구는 심리내적인 접근과 부부 체계적 접근만 있을 뿐 공적영역에서의 접근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적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니 밀러 맥리모어(Bonnie J. Miller-McLemore)의 “살아있는 인간 망(living human web)”이라는 개념으로 부부 친밀감을 논의하였다. “살아있는 인간 망”으로 부모전환기 부부의 친밀감을 접근한다는 것은 가부장적이고 억압적인 사회구조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성 이데올로기는 부모전환기 부부 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모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이상이 돌봄의 역할을 여성에게 귀속하여, 여성의 지나친 희생과 헌신을 강요하고 이에 여성은 자기 돌봄과 타인 돌봄의 균형을 갖지 못함으로 자기 상실(lose oneself)을 겪게 된다. 여성이 온전한 자기로 존재 하지 못할 때 부부도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한다. 사랑의 관계는 상호적인(mutuality) 것으로 친밀한 부부관계를 갖기 위해서는 상호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데 그 방안을 세 가지로 논의한다. 첫째, 상호적인 관계는 자기 돌봄과 타인 돌봄의 균형이 있어야 한다. 자기 돌봄은 스스로 자신을 돌보는 것 뿐 만 아니라 부부관계에서 서로를 돌아보는 돌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이 하고 있는 가사와 육아에 지위와 가치를 부여하고 적절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둘째, 상호적인 관계는 평등한 관계를 의미하는데 그것은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고 그것이 허용되는 관계를 의미한다. 부부관계의 평등을 논할 때 생물학적인 차이를 인정하되 남녀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상호적인 관계는 돌봄의 책임을 함께 해야 한다. 이것은 부부만의 일이 아니라 사회관계 망(web)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공적영역에서의 역할로 밀러-맥리모어가 제안한 4가지 기능인 저항(resistance), 힘의 부여(empowering), 양육 (nurturing), 해방(liberating)을 제안한다.

      • KCI등재

        민간경비의 역할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연구

        이주락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18

        현대사회에서는 민간경비가 치안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치안역량의 향상을 위해서 는 민간경비의 역할을 잘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민간경비 의 역할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전무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민간경비의 역할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직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설문지는 폐쇄형질문과 개방형질문으로 구성하였다. 폐쇄형 질문에 대한 답변은 양적연 구방법인 빈도분석과 t검증 및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고,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자의 서술형 답변은 질적 연구방법인 내용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수의 경찰관들이 우리 사회에서 민간경비는 아직까지 경찰의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고 있지만 이는 민간경비가 정착 되어 가는 과도기적 과정으로 향후 민간경비가 더욱 발전하면 전체 치안에 있어서 지금보다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민간경비의 세부적 역할에 대하여는 손실방지 및 보호측면에서 비교적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범죄예방과 사회질서유지라는 또 다른 측면에 대하여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는데, 이는 경찰관들이 민간경비가 공적인 기능의 수행보다는 이윤추구와 관련이 있는 분야에 더 치중한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보여주 는 결과였다.

      • KCI등재후보

        팬데믹 시대의 교회의 역할과 책임

        봉원영(Bong, Won Young)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29 No.-

        지난 2019년 12월 이후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COVID-19로 인해 지금 세계는 팬데믹이 선고된 가운데, 국가별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택대피 행정명령 등이 시행하는 등 온 세계가 이 전염병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14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전역을 강타했던 흑사병이 최근에 다시 사람들의 입에서 회자되고 있다. 그 당시 루터가 한 목회자에게 답장으로 보냈던 편지는 오늘날의 전염병 시대를 경험하는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어떠한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지고 하나님의 공적 교회로서의 바른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분명한 대답을 주고 있다. 공적 책임의 수행자로서의 현대 교회는 첫째로, “죽은 자와 산 자 사이에” 서있다는 사회적 책임의 인식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 “주의 손으로 나와 내 아버지의 집을 치소서”라는 마음으로 하는 사회적 역할의 실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수년 내에 주님의 일을 부흥시”키는 또 다른 사회적 확산의 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COVID-19 known to have started since December 2019, the world is now striving to overcome the epidemic, with social distancing and stay-at-home order enforced by each country. In this situation, the Black Death, which hit all parts of Europe from the 14th to the 19th century, has recently been talked about again. The letter, which Luther wrote back to a pastor at the time, gives a clear answer to what kind of social responsibility churches and Christians experiencing today s epidemic era will be able to handle the right role as God s public church. The modern church as a performer of public responsibility; first, we will have to recogniz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tanding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Second, we need to practice our social role with the spirit of repenting. Finally, through this incident, it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another social spread to revive the Lord s work in the years .

      • KCI등재후보

        대학교 교양교육의 의미

        박숭인(Park, Sung-I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4 교양학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교양교육에 대한 어원적·역사적 고찰을 시작으로 하여 궁극적으로는 오늘날 대학교에서 행해지는 교양교육의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역사적으로 로마의 자유인에게 그들의 사회적 공적 역할을 바르게 수행하기 위한 덕목을 쌓기 위한 교육으로 행해진 교양과목(artes liberales)은 그 역사적 의미를 오늘로 연장시켜볼 때, 오늘 시민사회의 지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할 대학교 졸업자들이 지녀야 할 사회적 공적 책무에 대한 보편적 교양 교과목의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의미는 교양교육의 역할이 강조되는 미국 대학의 현실과 복잡성과 융복합으로 특징지어지는 현대 사회에서의 지식인의 역할을 고려할 때 더욱 크게 부각된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오늘날 대학교에서의 교양교육은 대학에서 공부한 졸업 자들에게 현대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교육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그들이 현대사회의 흐름에 무분별하고 무책임하게 스스로의 몸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의 흐름을 바르게 주도하는 지도자의 역량을 부여하는 교육 이다. 이상의 교양교육의 의미에 부응하여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진은 물론 대학 전반적 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원론적 고찰을 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러한 고찰을 통한 교양교육의 근원적인 개선이 절실하다. This thesis suggests needs to re-establish of liberal arts in the university today, starting from etym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of liberal arts . Basically liberal arts are those subjects or skills that in classical antiquity were considered essential for a free person in Ancient Greece. Liberal education was to let them know how to participate in public debate, defend himself in court, serve on juries and military service. It meant essential education for leaders. If the roles of free person at that time are searched in our society, they might be those of bachelor of arts, because possible leaders or the intelligent in our society can be thought students in the university. In this sense, liberal education today should be an approach to learning that empowers individuals and prepares them to deal with complexity, diversity, and change. It provides students with broad knowledge of the wider world. Therefore it is necessary duty for professors of liberal arts faculty to know essential meaning about liberal arts and try best to make radical change

      • KCI등재

        종교적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 고찰

        염승준(廉勝竣)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공공성 개념은 종교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종교분야의 공공성의 의미는 종교인이나 종교기반 기관의 사회참여로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공공성 개념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구분하는 경계 설정에 있어서 몇 가지 논란을 야기한다.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公)과 사(私)에 대한 개념적 논쟁의 단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종교적 공공성의 개념을 다음의 단계로 접근하였다. 첫째, 종교의 사회참여를 공공성으로 보는 개념이다. 이 단계에서는 보편적 가치와 대비되는 종교적 근본주의의 사회정치적 역할을 공적 역할이나 공공성과 동일시 할 때, 근본주의와 대립되는 영역이 사적 영역으로 귀속됨으로 인해서 두 영역 사이에 갈등과 모순 그리고 대립이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둘째, 사회학적 관점에서 공공성은 자연 발생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닌 다양한 행위 주체자들의 역동적인 정치과정이 만들어낸 정치적·사회적 산물이며 구성물이라는 견해다. 이 견해는 역사적 맥락, 사회체계, 권력의 사회적 관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는 공공성 개념의 다차원성을 관통하는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정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공공성에서 ‘공’의 개념이 갖는 특수성과 상대성으로 인해 첫째 단계에서 밝힌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사이의 갈등과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데 한계가 있다. 셋째, 공과 사의 변증법적 대립을 통한 초월적 공공성의 획득단계이다. 공공성은 단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월성과 전체성의 발현을 통해 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회 정치적 산물로서의 사회학적 차원에서 정의된 공공성 개념과 종교의 공공성을 구별하고 ‘초월성’을 서양 근대 종교의 공공성의 본질적인 요소임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The concept of publicness is being discuss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politics, social studies, economics, administration as well as religion. And in many occasions,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religion is regarded as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nist or religious organization. However, the concept of publicness leads to a few controversies between "something public" and "something privat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publicness, we need to consider phases of conceptual controversy concerning "public" and "private". In this vein, this study approaches the concept of religious publicness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in the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Firs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religion itself is to be deemed as publicness. In this stage, when the socio-political role of religious fundamentalism which is contrasted with universal value is identical with public role or publicness, the part which is against fundamentalism gets to belong to private part, so that conflict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m become inevitable. Secondly, in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publicness is not something given naturally but political and social outcome and constituent made through political dynamics of actors. This is meaningful in terms of proposing a general and fundamental definition which penetrates multidimension of publicness concept defined with various ways in the context of history, social system, power and society relations and so on, But, due to specialty and relativeness of ‘justness’of publicness, it has the limitation of not suggesting universal alternative which can solve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the first discussion. Thirdly, there is the stage of achieved publicness through dialectical confrontation of "public" and "private". Publicness can be exercised through transcendency and wholeness beyond the boundary of "public" and "private". This study tells social publicness as an outcome of socio-politics from religious publicness, and also suggest transcendency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 publicness of modern religion in the West.

      • KCI등재

        목회(기독교) 상담사의 협동조합 모델 실천 경험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정아름(Arum J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이 연구는 목회돌봄이 교회를 넘어 공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에 출현한 협동조합 모델의 실천이 돌봄의 또 한 명의 주체인 상담사에게 이 경험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이 모델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통해 한국 목회상담의 모델로서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성과 중심의 무한 경쟁 사회로 달리고 있던 신자유주의 체제의 시대는 사회적으로 불평등과 양극화의 심화 등의 한계가 대두되며 사회적이고 공평한 체제로의 전환을 위하여 세계는 사회적 경제를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사회적 경제는 자본보다 사람 중심을 강조하며 등장하였다. 삶의 질 증진, 빈곤, 소외 극복 등을 위해 협력과 호혜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시점에 코로나19 팬데믹이 나타나면서 삶의 현장에서 연대와 민주적 상호 호혜의 가치는 더욱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강조되고 있다. 목회돌봄 또한 교회 내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목회신학적 가치로 사회에 공적 역할에 대한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협동조합 모델이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목회상담가들이 각자 개인의 한 주체로서 협동조합에 참여하여 공적 역할의 실천을 기대하고, 그 실천을 행하고 있다. 그렇기에 연구자는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한 협동조합 모델이 그동안의 실천 경험 속에서 각 주체로서 개인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협동조합의 철학과 운영이 실천 경험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인터뷰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사회적 경제 체제로, 코로나19로 인하여 마음의 연대가 중요하게 대두되는 시대의 전환기에서 돌봄의 현장의 필요와 목회상담가들의 필요에 목회(기독교) 상담의 협동조합 모델이 응답하는 실제적인 대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practice of the cooperative model which emerged at a time when pastoral care was called to play a public role beyond the church. It also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r the counselors, another practitioner of care. Finally it looks at the requirements for this model in the future. Through pastor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the study is also an attempt establish a new alternative for Korean pastoral counseling. In an era of neoliberalism, marked by a performance-centered society in endless competition, negative impacts of social inequality and deepening polarization are emerging. The world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economy in order to transition to a social and equitable system. The social economy has placed the emphasis on people over capital. It is based on cooperation and reciprocity toward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overcoming of poverty and alien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 values of solidarity and democratic reciprocity are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social values in various walks of life. It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for pastoral care to play a public role in society, with pastoral theological values. Thus, the cooperative model was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Pastoral counselors participate in the cooperative model as individual subjects and, embracing their public roles, put it into practice. By analyzing interviews, this study looks at the cooperative model and its significance for individuals as subjects in their pract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cooperatives’ philosophy and practical experience of operation. In an era shifting from the neoliberal system to the social economy, and in an era where solidarity of the mind becomes vital due to COVID-19, this study hopes to offer a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needs of caregivers and pastoral counselors through the cooperative model of pastoral (christian) counseling.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를 향한 한국인의 태도에 관한 실증적 분석: 불평등, 공정성, 정부 역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은미 ( Eun Mi Kim ),변지영 ( Gi Yeong Beon ),정헌주 ( Heon Joo Jung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24 동북아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와 연계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소득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 심화라는 맥락에서 불평등 인식, 공정성 인식, 정부 역할에 대한 인식이 ODA에 대한 인식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펴본다. 분석을 위해 「2023년 불평등·공정성 국민인식 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불평등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ODA 증액을 지지하지 않지만, 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ODA 공여 태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필요에 기반한 분배가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ODA 공여 및 증액을 지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득 재분배에 대한 책임이 정부에 있다는 인식과 ODA 공여 및 증액 태도 사이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득수준, 정치적 성향, 한국의 수원 인식 여부에 따라 응답자를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불평등 인식과 ODA 지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ODA 지지와 연관된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지속가능한 기여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upport for foreign aid among Korean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and growing social tensi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ceptions of inequality, fairness,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are linked with support for foreign aid provision and budget expansion. For empirical analyses, ordinal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is employed to test hypotheses, utilizing data from 2023 Inequality and Fairness National Awareness Panel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exacerbating domestic inequality i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foreign aid expansion while the former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upport for foreign aid provision. Meanwhile, it finds that those who regard need-based distribution as fair are supportive of foreign aid.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s active role in ensuring fair distribution and reducing income disparities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ts provision of foreign aid and expansion. Additional analyses reveal that lower-income, younger, more conservative, and more equality-sensitive respondents are likely to oppose foreign aid expansion. This study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aid by empirically analyzing factors associated with support fo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