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西游錄」 所在 漢詩에 나타난 韓溪 李承熙의 文明意識

        송지현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This study is to figure out Lee Seung-hui’s Civilization Consciousness(文明意識) in the poem of 「Seoyurok(西游錄)」. Lee seung hui is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1909, He established a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called ‘Han heung dong(韓興洞)’ in Mishan of Jilin province, but he m oved a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 to Andong of Fengtan province. He found out Gonggyo Movement(孔敎運動) in Andong, so he established Korean Organization of Confucius Religion in Manchuria(東三省 韓人孔敎會). His branch was officially approved by Gonggyohoe (孔敎會) where there is a main branch in Beijing, which made him visit Qufu. 「Seoyurok」 is the record of journey in Beijing and Qufu. It is the travel essay, and he expressed his feeling about his journey in the poem . We found out Lee Seung-hui’s Civilization Consciousness in the poem of 「Seoyurok」. When he moved from Andong to Beijing, he mentioned Dangun and Gija. He said that Dangun founded the country and Gija is the person who transmitted civilization and gave edification. In addition, it showed that Consciousness of Native Land(故土意識) which recalls previous territory that was part of Korea through Dangunand a sense of self-esteem(自尊意識) that Korea is the only one country with authenticity of confucian culture through Gija. He had a pride of Confucian culture through Dangun and Gija. When he experienced westernized china and western culture, he worried about the future, but at the same time he accepted wester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inocentrism. Lee Seung hui tried to keep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even though he was in difficult situation. A lot of his works he had performed in China could be highly appreciated as a kind of independence movement that dreamed of new beginning and revival of our nation. 이 연구는 한계 이승희의 「서유록」 소재 한시에 나타난 문명의식을 찾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승희는 우리나라가 일제의 통치를 받게 되자, 중국으로 망명했던 인물이다. 그는 1909년 길림성 밀산부에 ‘한흥동’이라는 정착촌을 건설하였으나, 사정이 여의치 않아 1913년 봉천성 안동현으로 이동하였다. 안동현에서 중국의 공교 운동에대해 알게 된 이승희는 동삼성한인공교회를 설립하였다. 그리고는 곧장 북경으로 가서 공교회의 지부로 승인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하여 곡부도 다녀오게 되었다. 안동현을 떠나 북경과 곡부를 둘러본 여정을 담은 기록이 바로 「서유록」이다. 「서유록」 은 이동 경로와, 각 공간에서 느낀 바를 쓴 한시를 수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서유록」의 한시를 통해 이승희의 문명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안동현에서 북경으로 이동할 때 단군과 기자가 종종 언급되었다. 기본적으로 단군은 나라를 세운 국조로, 기자는 문명을 전달하고 교화를 펼친 인물로 인식하였다. 단군을 통해 고대의 영토를 떠올리는 고토의식이 주로 드러났으며, 기자를 통해 우리나라가 유교 문화의 정통성을 가진 유일한 나라라는 자존의식이 나타났다. 이승희는 단군과 기자를 통해서우리나라의 오랜 역사를 잊지 않고 유교 문화에 대해 자긍심을 갖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이승희는 서구화된 중국의 현실을 맞닥뜨리고 서양인을 직접 접하면서, 서구화에 대한 우려와 안타까움을 표출하였다. 동시에, 중화의식의 기준에서는 서구를 인정하는 유연한 태도도 보였다. 서구에 대한 낯섦과 거부감을 중화의식으로 극복하며,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의식을 드러냈다. 이승희는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과 험난한 타국에서의 현실 속에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 의식을 지키려 노력했던 인물이다. 그가 우리 민족의 새로운 시작과 부흥을꿈꾸며 펼쳤던 중국에서의 다양한 활동들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영토관과 간도정책의 실시

        李花子 전북사학회 2009 전북사학 Vol.0 No.35

        In this paper I examined several problems of the northern terri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1897, especially Korean perception of Tomun and Duman rivers, a theory of 'vacant lots' in the north of Abnok and Duman rivers, and resurgence of 'homeland awareness.' The cause and the essence of Korea's policy toward the Gando were also studied. Th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s. The Joseon government tried to manage the northern district of the Duman river when Russia occupied Manchuria. It came not simply from Korean attachment to the territory, but from her policy of territorial expansion with the escalated national consciousness. It showed the adventurous spirit of the independent "Great Han Empire." But the policy failed in the face of the resistance of China, because it threatened to claim the territorial loss to her.

      • KCI우수등재

        이광수 기행문의 국토여행의 논리와 공간 정치의 이데올로기

        홍순애(Hong, Sun-ae)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는 1933년 이광수의 「만주에서」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만주사변 전후 이광수의 만주인식과 민족주의운동의 사상적 변모를 논의하였다. 「만주에서」 재현되는 고토의식은 도산이 도모하고 있던 이상촌 건설과 수양동우회 운동이 복구되지 못할 것이라는 좌절감에 기인한 것으로, 이광수는 가능성이 사라진 공간에서 스스로 위무하는 방식을 동원하여 기행문을 집필하고 있다. 이에 기행문은 식민지인의 자의식과 내적 자괴감을 동반하며 연민과 낭만성의 수사로 점철되고 있다. 이광수의 만주인식은 당대 조선 이주민의 만주 개척에 대한 낙관론인 ‘낭만적 유토피아’와는 다른 개인의 주관적 정서의 과잉과 몰입에 의한 나르시시즘과 로맨티시즘의 피상화에 지나지 않는다. 이광수의 이러한 서술은 탈민족주의적인 성향으로 경사되는 됨으로써 이 시기 민족주의 사상의 분열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된다. 따라서 만주기행문의 서술방식은 만주 전적지에서 제국주의의 자취를 받아쓰기 하지 않는 것, 그러면서도 민족주의자로서의 일면을 상실하지 않는 고도화된 전략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만주에서」의 기행문은 만주사변 전후의 현실과 민족개량주의 운동이 교호하지 못한 결과를 반영하는 동시에 이광수의 민족주의의 분열을 보여주며 1930년대 후반 사상적 전향에 있어 중요한 결절점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scussed Lee Gwang-su’s perceptions of Manchuria and ideological changes to the nationalist movements around the Manchurian Incident with a focus on his travel essay In Manchuria(1933). His consciousness of old territory reproduced in the travel essay was stemmed from his frustration with the failure to recover the utopia construction pursued by Dosan and the movement of Suyangdongwoohoi. He wrote the travel essay by adopting a method of soothing himself in the space where the possibilities were gone. His travel essay contains the self-consciousness and internal sense of shame of colonists and is studded with the rhetoric of sympathy and romance. His perceptions of Manchuria were nothing but his superficial perceptions of narcissism and romanticism by the excess and commitment of his personal and subjective emotions different from the “Romantic Utopia,” an optimistic view of Manchuria pioneering by Joseon migrants those days. Such writing of his thus seems to have been devised by his style of following no traces of imperialism at the battlefields of Manchuria and losing no aspect of himself as a nationalist. His In Manchuria was the result of no alternation between the reality around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movement of national reformism, showed his ideological division of nationalism, and became an important node in his ideological convers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