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 나타난 文法形態에 대한 硏究

        鄭在永(Chung Jae Young) 구결학회 2004 구결연구 Vol.12 No.-

        이 연구는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 나타나는 문법형태들을 전체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鷄林類事에는 釋讀口訣이나 鄕歌, 吏讀 등의 資料에서는 볼 수 없는 단어나 어구들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두와 향가, 석독구결 등에서 확인할 수 없는 문법형태들이 보인다.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 나타나는 문법형태들을 정확하게 추출해 내기 위해서 먼저 鷄林類事의 異本들에 나타나는 高麗方言 표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鷄林類事의 高麗方言에는 한자어를 비롯하여 고유어로 표기된 名詞들이 많이 보인다. 파생명사나 복합명사뿐 아니라, ‘ㄱ’ 曲用語와 ‘ㅎ’ 곡용어, ‘아ㅿ’ 등도 나타난다. 다른 對譯語彙集들과는 달리. ‘木曰南記(남기)’, ‘犬曰家稀(가히)’, ‘土曰轄希(?기)’ 등과 같이 주격조사가 통합된 어형으로 나타나는 것도 이 자료의 특징이다. 이 자료에 대격조사는 나타나지 않지만, 호격 조사 ‘-아’가 반영된 어형은 나타난다. 動詞의 경우는 부동사형으로 제시되는 것도 있지만 동사의 어간형이 단독형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이런 점은 『朝鮮館譯語』와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鷄林類事에는 명령법어미가 ‘-?(-라)’와 ‘-受勢’, ‘-少時’ 등 두 가지로 나타난다. 이 중 ‘­受勢’, ‘-少時’는 다른 고대국어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중세국어의 ‘-쇼셔’와 같은 것이다. 古代國語에는 동명사어미 ‘-ㄴ’과 ‘-ㄹ’이 생산적으로 쓰이는데, 이 자료에서도 ‘-ㄴ’과 ‘-ㄹ’ 동명사어미는 많이 나타난다. 형용사에 동명사어미 ‘-ㄴ’이 통합한 어형으로 제시된 例 중에는 名詞文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다. 부정구문에서는 부정부사 ‘安理’와 ‘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중세국어의 ‘아니’와 ‘몯’에 대응되는 것이다. ‘安理’는 용언의 앞뒤에 오는 용례가 나타난다. 특히, ‘飢曰 擺?安理(배? 아니)’는 그동안 다른 자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面醜曰 ?翅 沒 朝?(나치 몯 됴?)’에 나타나는 ‘沒’은 부정부사 ‘몯’에 대응하는 것이다. ‘몯’ 부정 구문은 鄕歌와 吏讀, 釋讀口訣 등에서는 볼 수 없는 구문이다. 향가와 이두, 석독구결 등에 나타나지 않는 문법 형태나 부정 구문의 유형이 鷄林類事에 나타난다는 사실은 국어 문법사에서는 중요한 것이다. 계림유사는 北宋의 孫穆이 高麗의 단어와 어구들을 채록하여 開封音이 많이 반영된 漢字로 對譯 表記한 자료집이다. 이 자료에는 부분적으로 당대의 借字表記 資料도 반영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도 계림유사는 다른 고대국어 자료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고려시대 석독구결 자료나 향가와 이두 등에서는 볼 수 없는 當代의 우리말 자료가 많다는 점에서도 이 자료가 가지는 가치가 크다.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grammatical morphemes which appear in <Goryeo Bangeon(高麗方言)〉 of Jilin leishi(鷄林類事). Jilin leishi contains many lexical or grammatical morphemes which do not appear in Hyangga(鄕歌), Idu(吏讀) or Seokdok Kugyol(釋讀口訣). In order to extract grammatical morphemes correctly, I examine various versions of Jilin leishi and features of the writing scheme of <Goryeo Bangeon> firstly. This material contains many nouns, both Korean and Sino-Korean. Among these are derived nouns, compound nouns and nouns which show special alternation involving /g/ or /h/. Unlike other biligual glossaries, this material contains several inflected noun forms involving nominative case marker, e.g. '木曰南記(namgi)', '犬曰家稀(gahi)', '土曰轄希(h?lgi)', and vocative case marker '-a', but no accusative case maker. Verbs are presented as isolated forms or converbal forms, which is different from Joseongwan Yeokeo(朝鮮館譯語). Imperative endings appearing in this material is of two types, one written as '-?(-ra)' and the other as '-受勢' or '-少時', which is supposed to be '-syosyeo' in Middle Korean. The verbal noun endings '-n' and '-l' appear many times in this material. Adjectives often appear with the verbal noun ending '-n' attached, among which there are cases which can be regarded as nominal clauses. Negative adverbs '安理' and '沒' are found, which correspond respectively to '아니' and '몯' in Middle Korean. '安理' can be positioned before or after a verb. The latter case, exemplified in '飢曰 擺?安理(b?y ?? ani)', can not be seen in other materials. The negative adverb '沒(mot)', exemplified in '面醜曰 ?翅 沒 朝?(n??i mot dyoh?n)', is not attested in Hyangga, Idu or Seokdok Kugyol. In that it contains data not attested in other materials, Jilin leishi is an important material in Korean historical grammar.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was written by a foreigner, although some examples are presumed to reflect orthographic tradition in Korea.

      • KCI등재

        백거이시문집동전고(白居易詩文集東傳考) -"계림고인구시설(鷄林賈人求詩設)"의 진위(眞僞)문제를 중심으로-

        정선모 ( Sun Mo Ju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5

        본 연구는 한반도에의 白居易(樂天, 772~846) 수용에 관한 최근 연구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統一新羅(669~935)시기의 한문학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백거이 수용과 중국문학 수용 양상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특히 신라의 재상이 백거이 詩文을 고액에 구입했다고 하는 `鷄林賈人求詩` 고사의 眞僞논쟁에 관한 선행 연구의 문제점을 재검토하고, 역사문헌자료의 고찰을 통해 백거이 시문의 수용 양상을 고증하였다. 이러한 고증 작업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중국문학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元?(779~831)이 長慶 4년(824)에 백거이의 문집을 편찬할 때 쓴 「白氏長慶集序」에서, 백거이의 시문이 해외에까지 유행하고 있다는 예로써 "또한 신라의 상인들이 저자거리에서 구입하길[又云, 鷄林賈人求市]……"이라는 에피소드를 소개하였다. 그런데 兪炳禮와 朴現圭는 이 `계림고인구시` 고사에 관련된 문장을, 平水지방의 어린아이들이 전하는 말이라고 한문 원전을 잘못 해석한 다음, `계림고인구시`설의 진위문제에 대한 찬반논쟁을 거듭하였다. 또 兪炳禮와 金卿東은 당시의 신라 시단에서는 한시문학이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백거이의 시가 수용될 수 없었다고 본 다음, 고려 중기에 이르러서 백거이의 시문이 수용된 구체적인 문헌자료가 보이기 시작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필자는, 당시 통일신라는 唐과의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하면서, 백거이의 시문이 유행하던 元和연간(806~820)에는 거의 매년 시문 능력을 갖춘 使臣을 파견하고 있었던 사실, 그리고 이 시기 당의 수도 長安에는 `宿衛王子` 및 `賓貢科`에 합격하기 위하여 10년 가까이 國子監에서 수학하면서 시문을 연마하는 `宿衛留學生`들이 많이 체재하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제시하고, 두 선행 연구자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였다. 백거이의 문학 동우였던 張籍(768~830)이 `宿衛王子` 金士信에게 보낸 송별시 「送金少卿副使歸新羅」와 「送新羅使」의 고찰을 통해, 실제로 김사신이 두 번에 걸쳐 장안에 체재하면서 당대 문인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賓貢科`에 합격한 金雲卿 및 金立之 등의 견당유학생의 시가, 일본의 大江維時(888~963)가 편찬한 「千載佳句」에 수록되어 전해 오고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당시 신라 견당유학생들이 시문 제작 능력을 갖추고 있었던 사실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또한 신라의 재상 `金獻貞`이 원화 8년(813)에 찬술한 「斷俗寺神行禪師碑」의 고찰을 통해, 실제로 당시의 신라 재상이 시문 능력을 갖추고 있던 사실을 확인하고, 원진의 `계림고인구시` 고사는 거의 사실에 근거하고 있었던 것으로 결론지었다. 마지막으로, 崔致遠(857~?)이 쓴 「朗慧和尙塔碑銘」을 통해, 신라 시단에 백거이의 존재가 이미 널리 알려졌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려 文宗 5년(1051)에 지은 「柳邦憲墓誌銘」과 文宗 31년(1077)에 지은 「李정墓誌銘」의 銘文 내용을 통해, 고려전기 문단에서는 백거이가 당대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었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attempted to illustrate the major issues of modern research concerning the transmission of Bai Juyi白居易 to the Korean peninsula. This overview was attempted from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Korea Chinese literature in the age of the Union Silla 統一新羅 Dynasty (669~935) to Bai Juyi白居易`s collection of poetry transmission, as well as the research of the transmission of Chinese literature in general. More specifically, the problem of early research regarding the controversy claiming that the Prime Minister of the Union Silla Dynasty bought Bai Juyi白居易`s poetry and prose for a large sum of money is reviewed in detail. Here we shall also study the historical evidence for the transmission of Bai Juyi白居易`s poetry and pros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The author hopes hereby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 Chinese literature by clarifying exactly how Chinese literature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When Bai Juyi白居易`s collection of works was compiled in 824 by Yuan Zhen元? (779~831), the piece "白氏長慶集序" introduces the following: episode "Moreover, that merchants of the Silla Dynasty had bought in the market……", being an example of Bai Juyi白居易`s poetry and prose becoming popular even in foreign countries. Incidentally, 兪炳禮 and 朴現圭 iterated sentences relating to this episode, and after a mistake in the original Chinese written interpretation had been made, this controversy was renewed when it was said that it had been fabricated by some children in the 平水provinces. Moreover, 兪炳禮 and 金卿東 insisted that Bai Juyi白居易`s poetry was not able to be received, considering that the Chinese poetry had not developed in poetical circles of the Silla Dynasty at that time. In addition, they insisted that versions of Bai Juyi白居易`s poetry and prose were received only around the middle of the Korea 高麗Dynasty. On the contrary, the author would like to put forth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Union Silla Dynasty maintained an amiable diplomatic relation with the Tang 唐 Dynasty, and sent messengers that were able to produce poetry and prose almost every year throughout the 元和 period (806~820), just when Bai Juyi白居易`s poetry and prose had become popular. In addition, it was insisted that in those days the international student of the Union Silla Dynasty had to study poetry and prose to pass the "賓貢科", for which reason he spent many years of study in the Chinese capital 長安 in the Tang Dynasty. In fact, we may confirm that 金士信 had an intimate relation with writers of the Tang Dynasty while staying in 長安. This may be verified in light of two points: First,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farewell poem that張籍 (768~830), a friend of Bai Juyi白居易, literature sent to 金士信. Second, international students, such as金雲卿 and金立之, are recorded as having passed the "賓貢科" examination of the Tang Dynasty. Their poetry has been collected in the 『千載佳句』 compiled in Japan by 大江維時(888~963) Based on these facts, it is clear to what degree the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Silla Dynasty studied and produced poetry and prose. 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poetry written by a certain Prime Minister of the Silla Dynasty at that time was based almost entirely on 元?`s "鷄林賈人求詩", in virtue of the beautiful verses recorded on the inscription of `斷俗寺神行선師碑` written by the Prime Minister金獻貞of the Silla Dynasty in the year 813.

      • KCI등재

        IPA 분석을 통한 중국 계림(桂林)의 관광이미지 지각 특성

        팽옥원,노재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2

        중국의 관광산업은 이미 도상학과 스마트문화관광 체험의 단계에 들어섰으며, 특별한 관광이미지는 점차 목표 관광객의 시선을 끌뿐 아니라 여행지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요인이 되었다. 계림 여행지 이미지 조사의 과학성과 지향성을 한 층 더 높이기 위해 계림을 방문한 관광객과 현지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독립 t-검증과 설명적 통계량 그리고 IPA 를 통해 계림 관광객의 탐방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관광객들이 계림시 관광이미지에 대한 지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계림 관광객들은 자연경관을 주축으로, 인문경관을 부축으로 하는 여행환경 인지가 드러났지만 인문경관에 대한 향유와 체험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림 여행지 이미지의 IPA 분석 결과, 사회치안 및 교통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도에 비해 낮은 편으로 중점 개선해야 할 중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계림 여행지 이미지 최적화 전략, 계림시 여행지 이미지 확보와 홍보·개선 등 뉴미디어 마케팅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밖에 교통 인프라와 치안 문제 또한 시급히 개선해야 할 문제로 건의하였다. China's tourism industry has already entered the stage of iconography and smart cultural tourism experience, and the special tourism image has gradually become a key factor that not only attracts the attention of target tourists but also enhanc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stination.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scientific and directivity of the image survey of Guilin tourist destina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Guilin and local tourists. In particular, in this study, we tried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tourists' perception of Guilin's travel image by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isiting Guilin tourists through independent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IPA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ourists in Guilin sensed the travel environment mainly with natural scenery and humanistic scenery as relief, but they lacked enjoyment and experience perception of humanistic scenery. In addition, as a result of IPA analysis of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in Guilin, satisfaction with social security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was l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which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be impro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ew media marketing needs to be supplemented, such as optimizing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in Guilin, securing, promoting, and improving the image of the tourist destination in Guilin.

      • KCI등재

        신라 계림로 14호분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와 수용 경로

        이송란(Lee Songran)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8 No.258

        금제감장단검, 화살통장식, 장식대도 등의 무구, 금은입사철제안교, 은입사행엽, 등자 등의 기마구 등이 부장된 경주 계림로 14호분은 개마무사의 무덤이다. 이 무덤에서는 감장기법과 누금기법으로 표면이 화려하게 장식된 금제감장단검이 피장자 왼쪽 허리편에서 발견되었는데, 검집 측면에 부착된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을 통해 허리띠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다. 이 글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패용구로 이해되는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의 발생과 전개과정을 분석하여 계림로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수입품으로 알려진 이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신라 공예에 반영된 서방계 금공의 한 계보를 파악하는 문제뿐 아니라 신라에 수용된 기마문화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제이다. 두 개의 패용구가 부착된 계림로 금제보장단검과 같은 형식의 검들은 기마민족과 관계된 지역에서만 출토되기 때문이다. 패용구가 부착된 형식의 검은 처음 기마민족인 사르마티아(Sarmatia)에 의해 기원전 7세기에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형식의 검은 월지를 통해 동서로 확산된 뒤 중국의 漢, 인도의 쿠샨(Kushan), 파르티아(Partia)와 사산조 이란(Sasanian Iran), 유럽의 아바르(Avar)에 의해 1000여 년이 넘게 이용되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검을 패용하는 것은 사산조 이란의 6세기로 추정되는 탁-이-부스탄(Taq-i-Bustan)에 새겨진 샤푸르 3세(Shapur Ⅲ)의 장검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후반 무렵, 현재의 아프카니스탄(Afganistan) 북부와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남부 등에 해당하는 박트리아(Bactria)지역을 놓고 패권을 다투던 에프탈과의 접촉을 통해 수용한 것이다. 당시 에프탈의 정치적 판도를 참고하면 계림로의 금제감장단검과 같은 형식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Kazakhstan) 보로보에(Borovoye) 호수에서 발견된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를 박트리아로 좁혀 볼 수 있다. 이는 박트리아 중심으로 발전한 서방계의 금공과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고, 감장의 재료인 흥마노가 박트리아산인 점을 참고하여 내린 결론이다. 에프탈에서 시작된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은 소그드(Sogd)와 고구려와 교류에 의해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 중반의 안악 3호분, 5세기 중반의 장천 1호분에 그려진 소그드 출신의 예인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상인들의 무리와 같이 움직이던 집단으로 생각되어 중앙아시아와 고구려와의 교섭을 반영하는 존재들로 파악하였다. 7세기 중엽 사마르칸트(Samarkand) 아프라시아브(Afrasiab) 벽화에 그려진 고구려 사절단에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와 소그드의 꾸준한 관계가 바탕이 되어 사마르칸트에 직접 사신을 보낼 정도의 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아프라시아브 벽화에서 보이는 고구려 사신들이 착용하고 있는 M자형 패용구가 달린 장검은 고구려 유민의 무덤인 다카마츠츠카(高松塚)에서 발견된 P자형과 D자형의 패용구가 달린 장식대도와 비슷한 형태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계림로 14호분에서 묘주가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을 착용하고 있는 의미를 묘주의 무장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5세기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였던 신라에서 개마무사의 존재는 4세기 말부터 확인되고 있다. 생시에 개마무사였던 계림로 14호 묘주가 사용한 주된 무기는 창이지만, 허리에 패용된 단검은 창을 놓쳤을 때 또는 보병들에 의해 밀집되어 창을 쓸 공간의 여유가 없는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천마층 환두대도에서 확인된 4각형의 쌍각금구는 계림로 금제감장단검과 같이 허리에 패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신라에 수용된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The large array of weaponry and horse trappings yielded from Gyerimno Tumulus No. 14 suggests that this Silla tomb located in Gyeongju belonged to a cavalryman. A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arrow-holder ornaments, ornamental swords, a gold and silver wire-inlaid iron saddle, silver wire-inlaid horse strap pendants and stirrups are some of the artifacts harvested from the Silla tomb. The gold dagger with brilliant surface decorations created using insetting and granulation techniques was lying left of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t waist level. The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letters P and 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cabbard appear to have been used to hang the dagger to the waist bel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le place of fabrication of this gold dagger and the path through which it reached Silla by retracing the stylistic origins of the two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P and D, which have thus far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Establishing a precise place of origin and path of transmission for this gold dagger, presum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somewhere in Central Asia, can not only cast light on the influence of this region and regions further West on the genealogy of Silla metalwork, but also and more importantly help us pinpoint which of the equestrian civilizations that flourished in this general region principally influenced Silla Daggers and swords having two ornamental plates on the scabbard like the Gyerimno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have been found only in regions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equestrian peoples. Swords and daggers attached with similar accessories were first produced toward the 7th century BCE by Sarmatians, a horse-riding nomadic people of Central Asian origin. They were later spread to regions east and west by the Yueh-chih (Yuezhi), another nomadic people of Turkish stock, including the Han Dynasty of China, the Kushan Dynasty of India, Sasanid Iran and Avars in Europe, to remain in use for more than 1,000 years. Meanwhile, examples of sword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date as far back as the 6th century CE. The long sword that belonged to Shapur Ⅲ of Sasanid Iran, bearing with the inscription "Taq-i-Bustan" is one such example. This change was introduced mainly thanks to the Hephthalites, with whom the Sasanids fought for control over Bactria,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rthern section of present-day Afghanistan and southern Uzbekistan, toward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the sphere of power of the Hephthalites at the time, gold daggers with inset jewels, similar to the Gyerimno dagger, found in Kazakhstan and Lake Borovoye are likely to have been fabricated in Bactria. This estimate is based on the style of metalwork in these daggers, which shows substantial similarities with that developed in regions further West and more particularly the Bactrian region, and also on the fact that the red agates inset on their surface were of Bactrian origin. Daggers with two ornamental plates, originating in Hephthalite Empire are believed to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Sogdiana and Goguryeo. The paper discusses musicians and performers of Sogdian origin depicted on the murals of Anak Tumulus No. 3 from the mid-4th century, and Jangcheon Tumulus No. 1 from the mid-5th century as evidence lending weight to this hypothesis., These people considered proof to Gogurye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were likely to have followed merchants to the ancient Korean state. As demonstrated by the murals in Samarkand and Afrasiab from the mid-7th century, portraying visiting Goguryeo delegations, the ancient Korean state appears to have maintained a steady exchange with Sogdiana, eventually developing a close enough tie to dispatch envoys. The paper discusses similarities between the long swords with an accessory in the shape of letter M, worn by Goguryeo envoys in Afrasiab murals, and the ornamental sword f

      • KCI등재후보

        <<계림유사>>와 15세기 국어의 성조 비교

        김성규 민족어문학회 2004 어문논집 Vol.49 No.-

        Kyerim Yusa(鷄林類事) is a glossary of Early Middle Korean compiled in Sung China at the beginning of the 12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whether Kyerim Yusa(鷄林類事) has any rule in transcribing Korean tones of 12th century, especially tones of bi-syllabic words. But we do not have any Korean materials that show Early Middle Korean tones. That is why tones of Late Middle Korean is used for th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author's comparison of two syllabic words are shown in <table 1>. Here, L means Level tone(平聲), H means Departing tone(去聲) and R means Rising tone(上聲) in Late Middle Korean and Kyerim Yusa(鷄林類事). By the <table 1>, we can assume that the letters of Level tone was selected in Kyerim Yusa(鷄林類事) to transcribe Level tone of 12th century's Korean. And to transcribe the Korean syllables of Rising tone or Departing tone, the letters of Rising tone or Departing tone are used randomly. The correspondences are shown in <Table 2>. In the comparison of <Table 2> Entering tone(入聲) is excluded. Because we can not find any tendencies of transcribing Entering tones of Kyerim Yusa(鷄林類事). And for the tonal reconstruction of Kyerim Yusa(鷄林類事), Jungwoen Eumun(中原音韻) is used. 이 논문은 12세기에 송나라 손목이 지은 계림유사의 성조 표기와 15세기 국어의 성조를 비교함으로써 고려시대의 국어 성조를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계림유사 자료 가운데 15세기의 2음절어로 해석되는 어휘들에 대해 ≪中原音韻(1324)≫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음절 사이의 상대적 높낮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2음절어 이상이 적당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비교 결과 다음과 같은 대응 규칙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鷄林學塾」과 凡父 金鼎卨(1) - '設立期'를 중심으로 -

        최재목,정다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This paper is a succession paper of ‘A Study on Bom Bu Kim Jeongseol's Life and Thoughts’, and it's a study about 「Gyerymhagsuk(鷄林學塾) and Bom Bu Kim Jeongseol」. But, it will describe only 'foundation-times of Gyerimhagsuk' because of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facts of「Gyerymhagsuk」 that was build in an old house of Choi(崔氏古宅) and Hyangkyo(鄕校) at Kyungju Kyodong(慶州 校洞) will be reorganized through data that are custody data in the Yeungnamhagwon and testimony of the survivor in here. This paper will be describe that these are the entity of 「Gyerymhagsuk」 and the relevance with Bom Bu Kim Jeongseol through <before mentioned 「Gyerymhagsuk」> and <「Gyerymhagsuk and Kim Bom Bu>. In result, we will get at the entity of 「Gyerymhagsuk」and the specific relation between it and Kim Bom Bu. I think that 「Gyerymhagsuk」study is beginning now and the entity of 「Gyerymhagsuk」will describe through testimony of the survivor and field·work than now.

      • KCI등재

        계림유사의 독법 검토 - 한자음의 기원을 찾아서

        황국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1

        The value of this materials could be read by the characters of the sounds of the Hwang ju chinese a few undeciphered writing systems in the Goryeo Jilin leishi(鷄林類事). Moreover, Silla language reflected on qie-yun associated Goryeo gyunyeo hyang ga. The sounds of chinese also afflected on goryeo gugyeol, which was provided transcrip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provision of phonemes on the phonological systems under Joseon, on focus transcription of the undeciphered writtings the arrounds phonemes lists, this studys on the the sounds changes, change of phonemes lists, changes of Alveolar Coda. Therefore,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tures associated on the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issue Koryo-gayo. In conclusion, we discussed on the legitimacy of Koryo standards sounds and association, the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phonemes systems in the Koryo. According to this Koryo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it was associated by Jilin leishi(鷄林類事), few the shapes and combination types of gugyeol on reading systems. This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was different from Guangyun(廣韻), this systems was reformed systems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s from choseon dynasty. 고려 초 간행된 <고려방언 <계림유사>>의 한자음 독법을 통해 당시의 한자음의 계보를 밝히고, 이 문헌 자료 안에 쓰여진 미해독 글자 몇 개의 음독 및 자구풀이를 함으로써 고려방언 내 몇몇 어휘들의 존재를 확인하며, 이로써 당시의 음운사적 논의를 구체화시켜 고려초 음운 목록 및 음운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한다. 이 문헌의 국어사적 가치는 계림유사 문헌 안의 몇몇 미해독글자들을 당시 고려 방언 한자음으로 추정되는 황주 방언 한자음으로 읽어내어 독법을 가능케 했으며, 고려 한자음의 계보를 다시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는 중국 절운 계열의 한자음의 독법이 신라로 유입된 이후 이로 인해 향가의 독음법이 정해지고, 이것으로 고려의 수도 방언을 중심으로 형성된 표준 한자음, 개경부의 한 지역 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 방언의 한자음이 본 연구의 대상 문헌인 계림유사 고려방언의 편찬에 영향을 주었음을 논의하였다는 데 있다. 따라서 이 문헌의 편찬 이후, 당시의 고려가요(속요) 간행을 비롯한 각종 문헌 편찬에서 한자음의 독법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려 시대 표준한자음의 정통성 및 그것의 영향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고, 그로 인한 한자음 및 고려시대 음운 체계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였다. 이 한자음으로 계림유사를 비롯하여 소수의 음독구결, 능엄경 자료의 독음법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한자음은 당나라 광운 계열과 다른 것으로, 이 독음법은 조선 초기부터 근대 말 고종의 언문개혁 발령 전까지 지켜진 조선의 한자독음법으로 규정된다. 결론적으로 고려말 후두설내 입성음의 파열음화, 내파음화, 그로 인한 어두 초성의 된소리화 현상이 당시의 음운 체계 내의 변화를 가져와 음소 설정 및 음운 체계 내 음소 목록이 달라지는 내적 체계의 변화를 겪는다. 또, 이와 관련하여 미해독 글자의 독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며, 음운 체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음소 변화를 비롯한 음운사적 논의, 그리고 음운 현상으로 인한 어휘사적 변화 양상에 대한 논의를 살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운론적으로 유의미한 음운변화와 재음소 설정에 대한 연구, 고려말 한자음 정리 및 어문사적 양상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중국 계림지역의 산수 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호대뢰,김희균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to the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mountain and wate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ajor features of the Chinese landscape and by extracting and summing up cultural elements. This was specifically extracted 5 points in Xiàngbíshān(象鼻山), Li River(漓江), Sweet Osmanthus, cassia flowers, and white heron in Guilin of China from the mountain and water factors in mountain, water, tree, flower and bird. The major colors were used blue, yellow, green and violet color, thereby having mapped out a pattern of the mountain and water elements. The application of this to cultural commodities in fashion, stationery, tableware, and household items led to having designed 16 types of cultural products in total. In this study, the cultural product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ountain and water elements in Guilin of China combined the image available for representing the main characteristic in the Chinese Guilin landscape. On top of this, the design with the mountain and water elements as a motive used gradient colors, thereby having intended to express the whole image. This study was embodied and applied the interpretation on the Chinese Guilin landscape culture to cultural commodities, thereby having blended the culture and tradition in the Chinese Guilin region and having shown the possibility of diverse designs in cultural products with strong practicality. 본 연구에서는 중국 산수의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계림지역의 산수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 지역의 산수 요소를 활용하여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계림지역의 산, 물, 나무, 꽃, 그리고 새의 산수 요소 중 상비산, 이강, 계화나무, 계화, 그리고 백로의 5가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주요 색채로는 파랑, 노랑, 녹색, 보라색을 사용하여 산수 요소의 문양을 구상하였고, 이를 패션, 문구, 식기, 생활용품에 적용하여 총 16개 유형의 문화상품을 디자인하였다. 중국 계림지역의 산수 요소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은 계림 산수의 주요 특징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로 조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계림지역의 산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회화 스타일을 적용함으로써 중국 계림 산수의 신비롭고, 한적하고 ‘선경’ 같은 느낌을 연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산소 요소를 모티브한 디자인은 그라디언트 효과의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계림지역의 산수문화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이를 문화상품에 구현· 적용함으로써 계림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융합하고, 실용성이 강한 문화상품들의 다양한 디자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신라 국호의 양상과 ‘계림’

        채미하(Chai, Mi-ha)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7

        본 논문은 다양한 신라 국호 중 국호 계림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국호 신라는 기림이사금 10년 이후부터 사용되었지만, 사로 · 사라 등과 병용되다가 지증왕 4년(503)에 국호 신라로 정해졌으며 법흥왕대 국가체제가 정비되면서 확정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국호 신라와 계통을 달리하는 계림은 탈해이사금 9년(65) 이후 사용되었으며 지증왕 4년 이후 국호 신라가 정해진 이후에도 사용되었다. 이후 계림은 왕도인 경주를 이르는 지명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이것은 책봉호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당의 기미주 정책으로 신라왕의 책봉호는 문무왕 3년 이후 낙랑군공~신라왕(계림왕)에서 계림도독~신라왕으로 바뀐다. 이와 같은 책봉호의 변화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관념적인 것에서 명목적인 것으로의 전이였다면 신라의 입장에서는 중국 군현지배라는 역사적 경험의 극복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책봉호에 신라왕과 더불어 계림도독이 보이는 이유는 김씨 왕실의 알지에 대한 인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하였다. The nation name of Silla is various, and this thesis is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 that the naKerim had. The nation name of Silla had been used since KirimEsakeum 10 years, however it had been used jointly with Saro and Sara, and determined as the nation name since Jijeung 4 years and when the nation’s system was maintained, its name was confirmed as Silla too. And Kerim which was the different descendants from Sillla had been used since TalheEsakeum 9 years and kept even after Silla was the only nation name since Jijeung 4 years. This was shown through Chaekbongho, Silla king’s Chakbongho had been changed from Nakranggungong~Silla’s king(Kerim’s king) to Kerimdodok~Silla’s King since king Munmoo 3 years. This seem to have been Chinese position’s transferring from ideal to nominal but Silla’s posion was overcoming historical experience of Chinese kunhyun ruling. And the appearing of kerimdodok together with Silla’s king in Chakbongho had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realizing of Alji of Kim’s royal family.

      • KCI등재

        『鷄林類事』의 어휘항목 산정에 대하여

        김영국(Kim Young Guk) 동악어문학회 2007 동악어문학 Vol.49 No.-

        『계림유사』에 대한 선행 연구물(346-368항)과 사전류(350-365항) 그리고 인터넷(355-361항) 등에 기재되어 있는 어휘 항목의 수를 비교 검토하여,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또한 ??계림유사??의 자료적 가치와 신뢰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어휘 항목의 산정 기준을 제시하였고, 현전하는 異本들 중에서 자료의 순수성과 전형성을 갖춘 順治板本을 定本으로 삼을 것을 제안했다. 계림유사 소수 어휘 항목의 산정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東西南北同”이나 “春夏秋冬同”처럼 ‘同’이 붙은 항목은 단 어별로 분리해 다루어져야만 다른 항목과의 형평이 맞는다. (2) “雪下曰嫩?”, “洗手曰遜時蛇” 등의 구문은 다른 어휘 항목과 마찬가지로 한 항목으로 설정해야 한다. (3) “雪下曰嫩?凡下皆曰?”처럼 항목간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어별로 항목을 구분해야 한다. 즉 ‘凡下皆曰 ?’는 ‘下’라는 동사를 轉寫한 것이므로 두 항목으로 설정해야 한다. (4) ‘亦, 或言, 又’ 등이 병기된 항목들은 標題語에 대한 다른 명칭이거나 설명이므로 한 항목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어휘 항목 산정 방안에 따르면, 『계림유사』에 수록된 어휘 항목은 順治板을 定本으로 삼을 때 366항목에 달한다. In order to get KYERIM-YUSA's materials merit and reliability, We suggest that Sunchipan(順治板) would be a the criterion of existing an alternative version. And We would like to suggests the method of union about the number of vocabulary item. (1) It have handle the one item which stick to ‘dong(同)'. By the way, In case of "東西南北同", It have described four direction, So It have to handle four items. (2) Phase such as “雪下曰嫩?”, “洗手曰遜時蛇” have to handle one item which equally other vocabulary item. (3) In case that Limitation of item is not clear such as “雪下曰嫩?凡下皆曰?”, It have to sort out items by word. That is to say, Because ‘凡下皆曰?’ transcripts ‘fall(下)’, it have to set by two items. (4) The item which description such as ‘亦, 或言, 又’ is other naming or explanation on a headword or title. So, I have to set one item. As a Result, KYERIM-YUSA show 366 item which based on Sunchipan(順治板). According to the this baseline, It can be more reliable material KYERIM-YUSA and can be preven ted confusion with material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