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음화, 남은 몇 문제

        임석규 ( Im Seok-kyu ) 국어학회 2013 국어학 Vol.67 No.-

        본고는 수의적인 경음화 ― ㄹ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의 경음화, 수관형사 뒤에서의 경음화, 명사구에서의 경음화 ― 에 대해 긴밀도와 음절수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ㄹ 관형사형 어미에 후행하는 성분이 의존명사인 경우에는 긴밀도가 높으므로 경음화가 필수적으로 일어난다. 반면, 후행 성분이 자립명사인 경우에는 경음화가 수의적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관형어의 음절수, 후행 명사의 음절수가 늘어날수록 경음화가 수의성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 ‘여덜끄릇’과 같은 수관형사 뒤에서의 경음화 또한 ㄹ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의 경음화 양상과 동일하다. 후행 성분이 의존명사이면 경음화가 필수성을 띠며, 후행 명사가 자립명사이거나 그 음절수가 늘어날수록 경음화는 수의성을 보인다. 셋째, ‘이번ㅅ방학’, ‘영남ㅅ교회’ 등에서 보이는 명사구에서의 경음화는 합성어에 비해 수의적인 경향이 높다. 합성어에 비해 긴밀도가 떨어지는 것이 수의성과 관계될 것이다. 넷째, ‘여덟+부터→여덜부터, *여덜뿌터’의 경우에는 명사의 자립성에 근거한 종성 제약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그것은 명사의 자립성과 관계되며, 그것이 바로 긴밀도를 약화시켜 경음으로의 변동을 저지할 수 있다. 활용의 경우는 어간과 어미의 긴밀도가 높으므로 경음화를 자음군단순화에 앞서 적용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some issues remaining on tensification in korean language. Tensification of syllable-initial consonant of nouns following adnominalizing endings of verbs, and tensification of nouns following numerals is not phonological but non-phonological. Tensification in multi-syllable noun can be considered tensity of two constitution, adnominalizing endings and noun. And tensification of nones following numerals yeodeolp(八) and noun in mult-syllable noun can be considered tensity of two constitution, between numerals yeodeolp and noun. As bounded nouns in two constru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ensity, and their tensification can be derived easily. Moreover the tensification in noun phrase such as ibeon#panghak can be occurred optionally. By tensity, certain processes are compulsory, others are optional.

      • KCI등재

        대학생들의 어두 경음화 실현 및 인지 양상 연구

        한명숙 ( Myeong Suk Han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 실현 실태와 어두 경음화에 대한 표기 인식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93명(남성 149, 여성 144)의 발표를 녹취하여 구어에서의 어두 경음화 실태를 살펴보고, 어두 경음화 현상이 표기에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받아쓰기를 하였다. 연구 결과, 발표자에 따라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비율은 40.6%였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좀``을 /쫌/으로 발음하는 경우였다. 그밖에, ``조금(/쪼금/)``, ``다른(/따른/)``, ``짝다(/짝다/)`` 등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자어는 경음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데 ``계속(/꼐속/)``의 경우 빈도수 9로 상대적으로 높은 경음화 빈도를 보였다. 표기 면에서 어두 경음화 비율이 가장 높은 어휘는 ``주꾸미(/쭈꾸미/)(90.0%)``와 ``곰장어(/꼼장어)``(90.0%)`이다. 이는 언중들이 어두 경음화된 발음을 표준어로 인식하고 이것이 그대로 표기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어두 경음화 표기 비율이 높은 어휘로는 ``숙맥(/쓱맥/)(61.7%), 골초(/꼴초/)(48.8%)``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음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어두 경음화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두 경음화 현상이 화자와 개별 어휘에 따라 실현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별 어휘에 따른 경음화의 정도를 계량적으로 살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가 다소 격식을 갖춘 발표 구어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좀더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에서 실현되는 어두 경음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iscusses word-initial glottaliza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focuses on college students`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indica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ations made by 293 college students(149 male and 144 female) were recorded to examin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occurs in verbal language and 420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dictation to investigat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affects written language. In result, 40.6% of students show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was ``Jon`` pronounced as /Jjon/. Other frequently used words were ``Jogeum(/Jjogeum/)``, ``Dareun(/Ddareun/)``, and ``Jakda(/Jjakda/)``. Generally, words from Sino-Korean words writing do not show glottalization, but ``Gyesok`` also showed relatively frequent 9 tines use of glottalization. In case of written language,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associated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were ``Juggumi(Jjuggumi)(90.0%)`` and ``Gomjangeo(/Ggomjangeo/)(90.0%)``. It seems that many people believe the glottalization words are correct and write them as they as they sound. Other words that are frequently written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clude ``Sukmaek(/Ssukmaek/)(61.7%)`` and ``Golcho(/Ggolcho/)(48.8%)``.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male use more glottalized words than female, bu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understood that word-initial glottaliza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speaker and each individual word and glottalization of each word is quantitatively examined. However, it was limited to verbal language used in formal present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at appears in everyday conversation in more natural settings.

      • KCI등재

        한국어 합성어에서의 경음화 습득 양상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부가준 ( Fu Jia-jun ),배영환 ( Bae Young-hwa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경음화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합성어에서의 경음화는 일반적인 장애음 뒤 경음화와 공명음 뒤경음화와는 달리 매우 불규칙적이다.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합성어에서의 경음화를 학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합성어에서의 경음화 현상은 비음운론적 정보가 필요한데, 먼저 특정 형태소에서 실현되는 경음화와 의미 관계에 따라 실현되는 경음화로 나눌 수 있다. 특정 형태소에서 실현되는 경음화는 사이시옷을 항상 동반하는 ㅅ-전치형 형태소와 ㅅ-후치형 형태소가 있다. 의미 관계에 따른 경음화는 합성어의 앞 요소가 뒤 요소의 ‘시간, 장소, 용도, 기원이나 소유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어에서의 경음화를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교수할 때는 비음운론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합성어에서의 경음화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재 분석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사 목록 83개를 선정하였다. 추출된 어휘 목록을 대상으로 초·중·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4명을 대상으로 발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합성어에서의 경음화 실현율은 59%에 불과했다. 다만 고급 단계의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실현율이 높았다. 아울러, 경음화를 과도하게 적용하는 경우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추’에 따른 오류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합성어에서의 경음화에 대해 두 가지로 나누어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정한 형태소에서 나타나는 경음화는 청각 구두 교수법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의미 관계에 의한 합성어 경음화는 두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를 중국어와 대조하면서 그 특성과 유사점을 살리며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zation of phonograms in Korean compound words and discusses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Unlike the fortis behind obstruent or sonorant, the phonological fluctuation principles and pronunciation rules of compound phonation are complicated and irregular, based on various realization environments, thus making it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Korean. Korean phenomena are divided into fiv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a in Korean compound words are examined. The phenomena in compound words require non-phonological informat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fortis realized in specific morphemes and fortis realized according to semantic relations. There are two types of fortis that are realized in certain morphemes: the S-prepositional morphology and the S-postpositional morphology, which are always accompanied by saisiot. In phonation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ship, the front element of the compound word can be categorized into time, place, use, origin, or owner of the back el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n-phonological information is required when teaching phonology in compound words to foreign learner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alization of phonation in compound words for students studying Korean in China. For this purpose, 83 survey lists were selected based on textbook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A survey regarding pronunciation was conducted on 34 Korean learn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grade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realization rate of the fortis in the compound word was only 59%, and many errors were noted. However, the higher-level learners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realization. Furthermore, excessive application of fortis was noted to be a high rate. In these errors, words with high independence showed high errors. Therefore, two types of phonation in compound words are presented in a specific morpheme. Synthetic verbalization by semantic relations led to the suggestion of a learning method by comparing the semantic relations of the two components with the Chinese language and utilizing its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어두 경음화 실현 및 인지 양상 연구

        한명숙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This study discusses word-initial glottaliza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and focuses on college students'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indica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ations made by 293 college students(149 male and 144 female) were recorded to examin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occurs in verbal language and 420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dictation to investigate how word-initial glottalization affects written language. In result, 40.6% of students show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verbal languag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was ‘Jon’ pronounced as /Jjon/. Other frequently used words were ‘Jogeum(/Jjogeum/)’, ‘Dareun(/Ddareun/)’, and ‘Jakda(/Jjakda/)’. Generally, words from Sino-Korean words writing do not show glottalization, but ‘Gyesok’ also showed relatively frequent 9 tines use of glottalization. In case of written language,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associated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were ‘Juggumi(Jjuggumi)(90.0%)’ and ‘Gomjangeo(/Ggomjangeo/)(90.0%)’. It seems that many people believe the glottalization words are correct and write them as they as they sound. Other words that are frequently written with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clude ‘Sukmaek(/Ssukmaek/)(61.7%)’ and ‘Golcho(/Ggolcho/)(48.8%)’.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male use more glottalized words than female, bu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understood that word-initial glottalization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speaker and each individual word and glottalization of each word is quantitatively examined. However, it was limited to verbal language used in formal present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at appears in everyday conversation in more natural settings. 이 연구는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일련의 연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 실현 실태와 어두 경음화에 대한 표기 인식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93명(남성 149, 여성 144)의 발표를 녹취하여 구어에서의 어두 경음화 실태를 살펴보고, 어두 경음화 현상이 표기에도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받아쓰기를 하였다. 연구 결과, 발표자에 따라 구어에서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비율은 40.6%였으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좀’을 /쫌/으로 발음하는 경우였다. 그밖에, ‘조금(/쪼금/)’, ‘다른(/따른/)’, ‘짝다(/짝다/)’ 등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자어는 경음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데 ‘계속(/꼐속/)’의 경우 빈도수 9로 상대적으로 높은 경음화 빈도를 보였다. 표기 면에서 어두 경음화 비율이 가장 높은 어휘는 ‘주꾸미(/쭈꾸미/)(90.0%)’와 ‘곰장어(/꼼장어)’(90.0%)’이다. 이는 언중들이 어두 경음화된 발음을 표준어로 인식하고 이것이 그대로 표기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어두 경음화 표기 비율이 높은 어휘로는 ‘숙맥(/쓱맥/)(61.7%), 골초(/꼴초/)(48.8%)’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음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어두 경음화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어두 경음화 현상이 화자와 개별 어휘에 따라 실현 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별 어휘에 따른 경음화의 정도를 계량적으로 살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가 다소 격식을 갖춘 발표 구어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좀더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에서 실현되는 어두 경음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어 방언에 반영된 어두경음화

        오종갑 ( Jong Gap Oh )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중세 혹은 근대국어에서 어두 복자음을 가졌던 어사 57개와 어두 단자음(평음)을 가졌던 어사 69개의 현대국어 방언형을 『한국방언자료집』에서 찾아 이들의 경음화 여부와 거기에 적용된 규칙(변화)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어두 복자음의 경음화율이 어두 단자음의 경음화율보다 높음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사실은 국어음운사에서 경음이 음운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전자의 경음화에 의한 것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해 준다. 어두 경음화와 관련된 규칙(변화)에는 복자음 경음화규칙, ``ㅂ``탈락규칙, 폐쇄음 경음화규칙, 마찰음 경음화규칙 등이 있는데 이들의 개신지는 다음과 같다. 어두 복자음의 경음화는 전국적으로 그 적용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개신지가 어디인지를 추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ㅂ``탈락규칙의 개신지는 경북의 동남부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지역에서 발생된 개신파는 한편으로는 경북의 서북부 지역으로 전파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남의 서부 지역으로 전파되어 간 것으로 추정된다. 폐쇄음 경음화규칙의 개신지는 경북의 동남부 지역과 경남의 동북부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개신파는 경남북 내부에서의 확산과 동시에 인접 도로 전파되어 갔을것으로 추정된다. 마찰음 경음화규칙의 개신지는 경남의 서남부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개신파의 주류는 전라도를 거쳐 충청도 지역으로 전파되고 그 아류는 경남의 동북부와 경북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 경산 지역에서 ``ㅆ``가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어두 복자음(``ㅄ``)이나 어두 단자음(``ㅅ``)의 어느 것도 이 지역에서 경음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①what phonological rules had existed by looking into the historical changes of initial consonant clusters/initial lenis consonants, and ②what the spread course of each rule had been by comparing its application percentages by province group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 Four phonological rules ― the glottalization of initial consonant clusters rule, p-deletion rule, glottalization of plosives rule, glottalization of fortis rule ― had been applied to the historical changes of initial consonants. 2. It was thought that the birthplaces of the p-deletion rule, glottalization of plosives rule, glottalization of fortis rule were East-South Kyeongpuk Province, East-North Kyeongnam/East-South Kyeongpuk Province and West-South Kyeongnam Province respectively. But it could not be thought where the birthplace of the glottalization of initial consonant clusters rule was because its application percentages was very high in all provinces of South Korea. 3. The p-deletion rule had spread from East-South Kyeongpuk Province into West-North Kyeongpuk Province principally and into West-Jeonnam Province by sea secondary. 4. The glottalization of plosives rule had spread from East-North Kyeongnam/East-South Kyeongpuk Province into all provinces of South Korea. 5. The glottalization of fortis rule had spread from West-South Kyeongnam Province into Jeolla/Chungcheong Province principally and into East-North Kyeongnam/Kyeongpuk Province secondary. 6. There was not phoneme /s`/ in phonemic system of Kyeongsan dialect because both glottalization of initial consonant clusters(/ps/) rule and glottalization of fortis(/s/) rule had not existed in this dialct.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경음화 습득 양상 연구

        배영환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study analyzed glottalization among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glottalization into morpheme boundaries and inside morphemes. It was found that amo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glottalization of Korean is acquired in the following order: after plosive sound > after stem-final consonant cluster > after nasal of predicate > after adnominal clause endings > sound of Sino-Korean-l > Saisiot. Nevertheless, several interesting facts were also observed. First, even with the advancement of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s, i.e., from beginner to intermediate to advanced, the glottalization rate did not increase proportionally. This suggests that it is difficult even for advanced learners to completely acquire glottalization. Moreover, even among beginners, glottalization after plosive sound, consonant cluster, and nasal was relatively common. Similarly, among advanced learners, glottalization after sound of Sino-Korean-l and due to Saisiot was rarely obser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irst learn glottalization within the context of morpheme boundaries and then expand it to words within morphemes. Considering that words within morphemes vary in realization rate according to individual words and learners, separate education must be provided for this specific subject. 이 연구는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을 형태소 경계와 내부로 나누어 보고, 이 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 고급 학습 자의 경음화 실현 양상을 분석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을 수 있었다. 중국인 학습자를 통해 볼 때 한국어의 경음화 현상은 ‘평파열음 뒤(용언>체언) > 어간말 자음군 뒤 > 용언의 비음 뒤 > 관형형 어미 뒤 > 한자 음 ㄹ 뒤 > 사이시옷’ 순서로 경음화를 습득해 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도 확인되었다. 먼저,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 고급 학습자와 같이 학습자의 단계가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경음화 현 상에 대해 비례적으로 실현율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이는 고급 학습자라고 하 더라도 경음화를 완전히 습득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 초급 학 습자라고 하더라도 평파열음 뒤와 자음군 뒤, 그리고 비음 뒤에서의 경음화는 비교적 높게 실현되었다. 또, 고급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한자음 ㄹ뒤의 경음화 와 사이시옷에 따른 경음화는 실현율이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의 경음화는 형태소 경계의 환경에서 먼저 습득하고, 그 후에 형태소 내부의 단어 들로 확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형태소 내부의 단어들은 개별 단어에 따라 실현율이 달라지고, 또 개인별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 실태 연구

        한명숙 ( Myeong Suk Han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3 No.-

        이 연구는 인터넷 웹 검색을 활용하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실태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형태의 표기들은 어문규범에 어긋난 표기라는 점만 주로 부각되었으나 본고에서 는 어두 경음화가 실현된 형태가 표기에 나타나는 것은 어두 경음화 현 상이 발음뿐만 아니라 표기에도 확산되어 가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현대국어의 어두 경음화 표기 실태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어두 경음 화 표기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두 경음화 표기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어두 경음화 표기 정도 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사용 실태를 계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거의 굳어진 경우 둘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우세한 경우 셋째, 어두 경음화 표기가 증가하는 경우 넷째, 어두 경음화 표기와 표준 표기가 비슷한 경우로 나누어 최근 10년 동안 표기 선호도 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in modern-Korean by searching the Internet. So far, the real transcription form which is realized as word-initial glottalization has been dealt wit3h an error based on language norms. This paper, however, viewed it as a spreading process of word-intial glottalization; i.e. word-intial glottalization occurs not only pronunciation but also language transcrip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transcription condition and the transcription changing aspects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over time. This study, particularly, employed infinite size of the Web documents as a living language resources and identified specific figures of transcription in word-intial glottalization. In this sense, this research has the distinction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jookkoomi, kkomjangeo, ssukmaek`` was identified. These are the fixed transcrip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The ratio of ‘Jjookkoomi, kkomjangeo, ssukmaek`` which are represented as fortis is more than 70% in the real world. Especially, in the case of ‘Jjookkoomi’, the ratio is over 90% and it shows that fortis is preferred. This representation, however, already was used ten years ago, so this indicates that language audiences regard word-fortis transcription as a standardtype. Second, the transcription of word-intial glottalization appeared prominently. These examples were ‘ssaeoul, jjolbyenong, jjoejipkye, etc’. In the case of ‘saeoul or jjolbyeong’, these transcriptions tend to change as standard notation. ‘jjoejipkye’ did not show a remarkable change. Third, the transcription of word-initial glottalization gradually increased. These instances were ‘kkomul, kkolcho, ssaengkicho, jjifinae, etc.’ Fourth, the two sets of data which the standard transcription and word-initial glottalization had similar ratios were dealt with. These were ‘jalida/jjalida’, ‘saengchobo/ssaengchobo’, and ‘jaturi/jjaturi’. These forms are currently understood that they co-exist with a similar level. In the case of ‘jaturi/jjaturi’, ‘jaturi’ had the upper hand. With regard to ‘jalida/jjalida’ and ‘saengchobo/ssaengchobo’, they did not show any particular direction.

      • KCI등재

        현대국어 한자어의 어두 경음화 현상 연구

        한명숙 우리말학회 2015 우리말연구 Vol.41 No.-

        이 글은 현대국어의 한자어를 대상으로 어두 경음화 실현 양상 과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국어에서 나타나는 어두 경음 화 현상은 주로 고유어에서 나타나므로 한자어의 어두 경음화를 예외적 이라고 보았으나 현실 발음에서는 종종 나타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 해 한자어 어두 경음화 목록을 수집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자어의 어 두 경음화 발음 실태를 조사하고 인터넷 웹 검색을 활용하여 어두 경음화 한 한자어의 표기 실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자어의 어두 경음화의 구조 적 기제는 과연 무엇이며 한자어 어두 경음화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설명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1,2,3학년의 경음화 적용에 대한 연구: 말하기, 읽기, 쓰기를 중심으로

        김화수,이지우,김민경,최경윤 한국초등교육학회 2018 초등교육연구 Vol.31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glottalization in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asks for elementary school 1st, 2nd and 3rd graders.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0 elementary students, with 20 first graders, 20 second graders and 20 third graders. The glottalization vocabulary was selected from each five nouns and predicative words, and used each 10 items for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for a total of 30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at the scores increased as the grade goes up. Also the first grad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cores, but second and third graders were not seen in the three tasks. In the second grade, the writing scor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eading score, and both the reading and writing scores were similarly the highest in the third grad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tasks,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reading, reading and writing. Finally, the results of the glottalization error showed that the types of errors were non-glottalization, substitution, addition, deletion and no response. In speaking and reading,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showed the highest errors in non-glottalization, and the third graders showed no errors. In writing, the first grade showed errors in order of no response, substitution, non-glottalization, deletion, and addition, and then the second graders followed the same frequency of substitution and deletion after non-glottalization. In addition, third grade showed errors in order of non-glottalization, substitution, and addition, and had the least number of errors. According to these studies, the first grade is the completion stage of speaking, the second grade is the transitional stage of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and the third grade is the completion stage of all. Therefor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using speaking is effective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ading also influences other tasks as the intermediate step of speaking and 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e more effective phonological rule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is. These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udy phonological rul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3학년을 대상으로 말하기, 읽기, 쓰기 과제에서 경음화 발달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1학년 20명, 2학년 20명, 3학년 20명으로 총 60명의 일반아동으로 하였다. 경음화 어휘는 명사와 서술어 각각 5개씩 선정하였고, 말하기 10문항, 읽기 10문항, 쓰기 10문항으로 총 30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음화 말하기, 읽기, 쓰기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수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 과제에서 학년별 비교 결과 1학년은 말하기와 읽기, 쓰기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학년과 3학년은 보이지 않았다. 2학년의 경우 읽기 점수보다 쓰기 점수가 미세하게 높았고, 3학년은 읽기와 쓰기 점수 모두 가장 높은 점수로 비슷했다. 경음화 세 과제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말하기와 읽기, 읽기와 쓰기에서 상관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음화 오류유형 분석 결과 오류유형은 경음화비적용, 대치, 첨가, 탈락, 무반응으로 나타났다. 말하기와 읽기에서 1학년과 2학년은 경음화비적용 오류가 가장 높았으며 3학년은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다. 쓰기에서 1학년은 무반응, 대치, 경음화비적용, 탈락, 첨가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으며, 2학년은 경음화비적용 뒤에 대치와 탈락이 같은 빈도로 뒤를 이었다. 3학년은 경음화비적용, 대치, 첨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오류개수는 가장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말하기가 완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말하기를 이용한 읽기와 쓰기교육이 효과적이며, 2학년은 읽기와 쓰기 발달의 과도기 단계, 3학년은 완성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읽기는 말하기와 쓰기 발달의 중간 단계로써 다른 과제에 영향을 주고, 2학년과 3학년 시기에 이를 활용하면 더 효과적인 음운규칙 교육이 실시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음운규칙 교육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자어 단어 구성에서의 두음법칙과 경음화

        여채려 ( Caili Yu ),김양진 ( Ryangjin Kim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본고에서는 한자어 단어 구성성분을 이루는 형태의 구조가 두음법칙 및 경음화와 관련됨을 살펴보았다. 한자어 중에는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양상에 따라 단어 구조가 구별되는 경우가 있다. 두음법칙의 대상이 되는 음절이 어중 음절인 한자형태소는 ‘신여성(新女性), 처녀작(處女作)’과 같이 단어 속에 포함될 때, 표기상 그 한자가 소속 단어(1차어)의 첫음절일 때만 적용되고 첫음절이 아닌 위치에 있을 경우에 원래 발음대로 적는 것이 한자어 두음법칙의 주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軟綠色’과 같은 단어의 경우 의미에 따라 ‘軟-綠色’의 단어 구조로 이해하여야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일주년(一週年)’과 같은 단어의 구조는 단어의 의미에 따라 ‘일주-년’ 혹은 ‘일-주년’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한자어 ‘ㄹ’뒤에서의 ‘ㄷ, ㅅ, ㅈ’의 경음화는 사이시옷의 개입으로 인한 경음화와는 다르며 원칙적으로 한자어 1차어 내부에서만 나타나는 경음화이므로 발음의 실현에 따라 한자어의 단어 구조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2차어인 3음절 한자어의 음절 경계에서 이러한 경음화 현상이 나타날 때, ‘1음절+2음절’의 경우에는 결합 경계가 분명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경음화 양상이 달라졌고 ‘2음절+1음절’의 경우에는 의미 차이에 따라 경음화 양상이 달라졌는데, 후자는 ‘일반적인 의미’(비경음화)를 지닌 경우와 ‘특정한 의미’(경음화)를 지닌 경우에 따른 구별로 보아 한자어 경음화의 양상을 세분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s of Sino-korean Words and the Word-initial Rule as well as Fortition. The Structures of Sino-korean Words can be differently analysed following the different aspects in the Sino-korean morphemes which observe the Word-initial Rule. A Sino-korean morpheme which is in the non-initial positions of the words, especially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word, such as ‘yeo(女)’, we can find that ‘sin-yeo seong(新女性)’ is subject to the Word-initial Rule, but ’cheonyeo-jak(處女作)’ is no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spects is the structures of them. Also, the Structure can be differently analysed by the meaning of the words. We take a good illust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d -- ‘軟綠色’. which is subject to Word-initial Rule and the structure is ‘軟-綠色’, with the meaning of ‘light green’. When describing ‘the light green color’, it is not subject to Word-initial Rule and the structures is ‘軟綠-色’. Also, The Fortitions have various aspects in Sino-korean phonology d(ㄷ), s(ㅅ), j(ㅈ) of plain souds become fortis after r(ㄹ), this rule applies to all bisyllabic words, but not Native Korean words. For that reason, the Fortition also can analyse the Structures of Sino-korean Words. but the Fortition also be observed in the three-syllable. Specifically,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one-syllable sino-korean morpheme’ are found in the ‘two-syllable + one-syllable’ structures. and we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 by analysing the word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