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양육기 결혼만족도 연구 분석
이도경(Lee, Do Kyung),김형빈(Kim, Hyung 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청소년, 자녀, 양육, 유아, 부모 역할, 취업모, 출생 등의 키워드가 같이 포함되어 있는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의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양육기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여러 키워드를 도출하여 양육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빈도 분석과 TF-IDF를 통해 어떤 주제가 많이 연구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키워드의 연결중심성을 확인하여 다른 주제어와 많이 연결되어 있는 키워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를 주제어로 하는 논문 132편을 수집하고 27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후 NOTEPAD++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1차 정제한 후 텍스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어 재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빈도분석과 Textom 프로그램의 TF, TF-IDF, N-gram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첫째, 2000년대 이후 매년 이루어져 오던 연구가 2010년 이후부터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 연구는 52개의 학술지에 총 132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한국가족복지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아동학회지,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등 가족관계 및 아동, 영유아를 연구하는 학술지에서 주로 활발하게 연구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양육과 관련된 결혼만족도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는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어머니’,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양육효능감’, ‘문제행동’,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는 출현 빈도 순위와 거의 유사하나 ‘결혼만족도’는 상위 키워드 안에 들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어머니’,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양육참여’, ‘자녀’, ‘부부갈등’, ‘문제행동’ 등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는 주요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 순으로 나열하면 ‘자녀’, ‘우울’, ‘아버지’, ‘양육태도’ 등이 각각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가중치가 높은 키워드는 ‘아버지’와 ‘양육참여’로 ‘결혼만족도’에는 ‘아버지’와 ‘양육참여’가 같이 많이 연관되어 언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론 양육과 관련된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더욱 정교히 하여 다양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rough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 extracted and analyzed the keywords of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that contain keywords such as youth, children, parenting, infants, parental roles, working mothers, and births. By deriving several keywords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and TF-IDF, which topics were studied the most, and by confirming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to identify keywords that are highly connected to other keywords.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132 papers with the theme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parenting’ were collected and 270 keywords were derived. After that, the main word was first refined using NOTEPAD++, and then the word was re-refined using the textom program. Afterwards, based on the refined keywords, frequency analysis and TF, TF-IDF, and N-gram of the Textom program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Results First,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every year since the 2000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10 onwards. Second, a total of 132 papers were published in 52 academic journals regarding the study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that study family relationships, children, and infant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Welf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Socie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Relations, the Journal of the Children s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ant Ca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of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father’, ‘mother’,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ren’, ‘marital conflict’, ‘Parenting efficacy’, ‘problematic behavior’, and ‘depression’ appeared in the order. Fourth, as a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was derived almost similar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but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enter the top keywords. Keywords with high weight were identified as ‘mother’, ‘father’, ‘parenting stress’, ‘parenting participation’, ‘child’, ‘marital conflict’, and ‘problematic behavior’. fifth,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keywords was confirmed in the N-gram analysis. When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re listed in order,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depression’, ‘father’,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respectively.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weight were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father’ and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ere mentioned a lot in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centrality of the degree of connection expressed through the network was connected centered on ‘marriage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studies on marital satisfaction related to child rearing are increa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further elaborated and suggestions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were made.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al attachment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a sample of 948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a 5th grader in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However,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to each. Second, the acto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were appeared. Thir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and ego-resiliency. In addition, children's ego-identity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Moreover,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y, ego-identity,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김효정,고선규,권정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that retirement stress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mong the retree.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20 retired older men.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retirement stress scale, the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scal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mediating effect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of Higginbottom, Barling, & Kelloway(1993)'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relation to retirement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demographical variables, retirement variables, retirement stress,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retirement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explained 27% of total variables in the retired older men. Second,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wed better fit indices than alternative models. Third, the paths of partial mediational model indicated that career dissatisfaction of pre-retirement, plan of retirement preparation, living expenses' sufficiency of post-retirement wer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retirement variables that explained retirement stress. And retirement stress was significant which explained depression. Moreove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stress and depression. Therefo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on relationship that retirement stress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은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와 함께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은퇴한 남자 노인 220명이었으며 은퇴 스트레스 척도, 노인 우울 척도(GDSSF), 결혼만족도 척도(K-MSI)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은퇴만족도가 우울증상을 매개로 결혼만족도로 이어지는 경로를 검증한 Higginbottom, Barling과 Kelloway(1993)의 모형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은퇴 스트레스, 우울,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 노인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 은퇴 변인, 은퇴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은퇴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는 우울을 2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결혼만족도의 무효과모형, 완전매개모형,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해본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다른 모형에 비해 더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셋째, 결혼만족도의 부분매개모형의 경로를 살펴본 결과, 은퇴 전 직업불만족도, 은퇴대비 계획수립 정도, 은퇴 후 생활비 충분성의 은퇴 변인은 직접적인 경로로 은퇴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은퇴 스트레스는 직접적인 경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 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퇴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결혼만족도는 이들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기독교인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태영 한국가족치료학회 2004 가족과 가족치료 Vol.12 No.2
본 연구는 기독교인 부인들에 대한 결혼만족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지금까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여러 변수 중 수입, 학력, 배우자 직업, 결혼지속년수, 결혼생활의 결정권, 가사분담, 가족과의 관계,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 부부간의 의사소통문제, 성적만족도를 중심으로 결혼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들로서,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Schumm(1990)이 개발한 캔사스 결혼만족 측정도구(Kansas Marital Satisfaction)를 사용하였다. 결혼생활의 결정권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od와 Wolfe(1960)가 개발한 결정권 색인(Decision Power Index), 가사분업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od와 Wolfe(1960)가 개발한 업무참가 색인(Task Participation Index)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개념은 deTurck과 Miller(1986)가 개발한 부부의 이해 측정도구(Conjugal Understanding Measure)를, 성적 만족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Hudson의 성적 만족의 색인(Index of Sexual Satisfaction)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가족과의 관계와 시댁 식구와의 관계를 측정하는 도구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연구자가 만들어 사용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비모수 표집방법 중 편의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는 부인 37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성적만족도, 의사소통, 시댁식구와의 관계, 그리고 자신의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변인들이었으며, 이 4가지 변인들이 부인들의 결혼만족도의 51.5%를 설명하였다. 특히, 응답자가 기독교를 가지고 있는 부인들임에도 불구하고 성만족도와 의사소통의 변수가 결혼만족도의 45.5%를 설명하여 준다는 점이 특이한 것으로 보인다.
여성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1 No.-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가사일 부담, 남편과의 관계, 남편의 여성의직장생활에 대한 이해도 및 실질적인 도움, 일이 가정생활에 지장을 주는 정도, 여성들의 성역할인식, 가사와 직장의 병행의 어려움 등이 현재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여 여성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가정생활 및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1차와 2차가 사용되었다. 1차와 2차에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 1차에 취업상태에 있다 2차에 비취업인 여성, 1차와 2차에 계속 비취업인 여성, 1차에 비취업이나 2차에 취업한 여성의 네 집단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가사분담만족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태도와 실질적인 만족의 차이가 없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편이 가사일을 평일에 하는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결혼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데 주말에 남편이 가사일을 많이 분담할 경우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관련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보면 일-가족 전이가 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낮고 일-가족전이가 낮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일만족도가 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유무에 관계없이 가사분담이나 성적 만족에 대한 태도와 실제의 차이가 적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지지는 주말에 가사일을 많이 해줄 경우 여성의 취업유무에 상관없이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의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부부관계는 결혼만족도를 높였고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은 결혼만족도를 낮추었다. 비취업상태인 여성의 경우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과는 달리 남편의 지지는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hold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pouse's understanding of women's employment and help, and women's gender identity. This study used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partment Institute. The sample is consisted of four groups(employed1-employed2; employed1-unemployed2; unemployed1-employed2; unemployed2-employed2) and the size is 2084.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f there was a satisfaction of the housework sharing with the spouse,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husbands' weekday work hours but a difference with weekend work hours. In regards to job-satisfaction, if job-family transfer was low,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When spouses shared the housework,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conflict due to house chores reduced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status. Also regardless of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f the relationship within a couple was good,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 husband's support did not affect the one who did not have a job.
여성의 취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김미령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여성연구 Vol.79 No.-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household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pouse's understanding of women's employment and help, and women's gender identity. This study used the first and second wave of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partment Institute. The sample is consisted of four groups(employed1-employed2; employed1-unemployed2;unemployed1-employed2; unemployed2-employed2) and the size is 2084.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f there was a satisfaction of the housework sharing with the spouse,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husbands' weekday work hours but a difference with weekend work hours. In regards to job-satisfaction, if job-family transfer was low,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When spouses shared the housework,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But the conflict due to house chores reduced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status. Also regardless of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if the relationship within a couple was good, the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The husband's support did not affect the one who did not have a job. 본 연구에서는 취업유무에 따른 여성의 가사일 부담, 남편과의 관계, 남편의 여성의직장생활에 대한 이해도 및 실질적인 도움, 일이 가정생활에 지장을주는 정도, 여성들의 성역할인식, 가사와 직장의 병행의 어려움 등이 현재의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소들을 파악하여 여성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가정생활 및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 1차와 2차가 사용되었다. 1차와 2차에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 1차에 취업상태에 있다 2차에 비취업인 여성, 1차와 2차에 계속 비취업인 여성, 1차에 비취업이나 2차에 취업한여성의 네 집단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가사분담만족에 대해서는 주관적인 태도와 실질적인 만족의 차이가 없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편이 가사일을평일에 하는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결혼만족도에는 차이가 없는데 주말에 남편이 가사일을 많이 분담할 경우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관련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보면 일-가족 전이가 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낮고 일-가족전이가 낮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았으며, 일만족도가높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장유무에 관계없이 가사분담이나성적 만족에 대한 태도와 실제의 차이가 적을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지지는 주말에 가사일을 많이 해줄 경우 여성의 취업유무에상관없이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의 취업유무에 관계없이 부부관계는 결혼만족도를 높였고 가사분담으로 인한 갈등은 결혼만족도를 낮추었다. 비취업상태인 여성의 경우 취업상태에 있는 여성과는 달리 남편의 지지는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역할 태도와 자아존중감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노출의 매개 효과
이정은,이윤형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self-esteem, self- disclosure and the husbands’ perceived self-disclosure of the spouse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o do so, 328 married men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husbands’ self-esteem, gender role attitude and self-disclosure affected the level of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ose with higher self-esteem and those with more self-disclosu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rital satisfaction rates. Those with mor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arital satisfaction rates.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steem level and gender role attitudes had direct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It also showed that the self-esteem level indirectly affected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through the self disclosure level. Husbands self-disclosure level also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perceived self-disclosure of the spouse.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more flexible gender role attitude and self-disclosure as well as self-esteem a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본 연구의 목적은 남편의 성역할 태도, 자아존중감, 자기노출 및 남편이 지각한 아내의 자기노출이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로모형을 통해 남편의 성역할 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자기노출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혼 남성 328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태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감정적 자기노출 척도 및 결혼만족도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편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결혼에서의 만족을 더 크게 경험하며 자기노출을 많이 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역할 태도가 보수적일수록 결혼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로모형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성역할 태도, 자기노출이 모두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나타났으며 자기노출은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지만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노출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역할 태도는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자기노출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각된 아내의 자기노출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유연한 성역할 태도와 적절한 수준의 자기노출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영균,이민자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3
급속하게 증가되고,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이들 여성이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점에서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에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250명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은 사회적 자본인 신뢰, 사회네트워크, 규범과 생활만족도에 대해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다만 사회적 자본의 가족네트워크와 참여에 대해 보통수준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의 인식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분석에서 가족네트워크의 경우 40세 미만의 연령, 결혼 한 년차가 5년 미만, 한국에 온 연수가 5년 미만, 남편의 학력수준이 대졸 이상일 때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참여의 경우 결혼이주여성의 남편 학력수준이 대졸이상이고 본인의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나아가 결혼이주여성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중에서 사회네트워크, 참여, 규범에 대한 인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한국어를 잘할수록 사회적 자본 중에서 신뢰, 참여, 규범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서 다문화지원센터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 참여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지원서비스를 잘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 여성들이 한국어를 보다 잘 구사할 수 있는 지원프로그램의 내실화가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사회적 자본의 신뢰,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참여, 규범 모두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관계분석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신뢰, 가족네트워크, 사회네트워크, 규범이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여는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을 지속적으로 향상하려는 정책적 노력은 곧 이들 여성의 생활만족도를 제고하는 방안일 수 있다는 사실을 검정할 수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태연,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of migrants married women.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according to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how relationship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rd, how intermediation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s study investigates 143 migrants married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in S-city, T-gun. They are consist of 14 Korea races, 27 Chinese, 46 Vietnam, 29 Philippines and others peoples.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Sex Behavior Scale, Sex Role Stereotype, Marital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Data.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t-test, Chi-squ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need multiple programme for the respect of peculiar culture and tradition rather than one community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They need policy plan for cognition improvement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Third, We need reduce programme for the sex role stereotyp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cognition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and cognition of stereotype and prejudic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의 관계를 성 허용 정도가 매개하는가? 연구를 위하여 S시와 T군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아내 14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성 행동규범, 성 역할 고정관념, 결혼만족도,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설문지의 자료 처리는 t-검정,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논의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에서의 차이에서는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혼 전 성 허용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은 결혼 전 성 허용과 및 결혼생활만족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성 허용 정도는 결혼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도사이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의 세계화와 다민족 사회로의 이행이 매우 바른 속도로 진정되는 가운데 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위해서 많은 정책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을 하나의 공동체로 보기보다는 출신국가마다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 친지 지역사회 모두가 출신국가 마다의 다른 문화배경을 이해하고 다름을 인정할 수 있도록 인식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낮은 결혼생활 만족도로 해석되기에 결혼이주여성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출신국가의 다른 문화배경을 인정하여 선입견과 편견을 갖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여 다문화 가정을 색안경을 끼지 않고 우리 사회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전 국민 의식개선이 중요하다.
대만 결혼여성이민자 현황 및 워라밸에 관한 연구: 직무 스트레스, 직장내 괴롭힘, 직업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김혜나,Yun-Hsiang Hsu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학논총 Vol.35 No.-
결혼여성이민자의 증가는 세계적인 흐름으로 대만에서도 주요한 사회 현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들을 전통적인 어머니, 며느리, 부인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대만에서 일하는 근로자로서 이들의 워라밸에 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많은 결혼여성이민자들이 대만내에서 가정밖에서 고용되어 일을 하고 있으나 이들은 직무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직장내 괴롭힘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일과 삶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무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직장 내 괴롭힘은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워라밸에 많은 장애를 주기에 이들의 직업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대만 결혼여성이민자들의 현황 및 워라밸에 영향을 주는 직장 내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직업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만 타오위안 정부의 협조를 받아 타오위안에 소재한 제조업체 공장에서 일하는 대만내 결혼여성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TATA 프로그램을 통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결혼여성이민자들 직무 스트레스가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결혼여성이민자들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역시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직업 만족도는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긴밀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직무만족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그리고 직장내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제조업체들이 결혼여성이민자들의 심리적인 면을 고려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직장내 따돌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그들의 삶의 만족도도 함께 증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직장내에서 결혼여성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온보딩 프로그램 (Onboarding Program)을 실시할 때 직무 스트레스와 따돌림에 관하여 어떻게 대처하고 지원받을 수 있는지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대책이 구비되어야 이들의 워라밸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의 워라밸을 위해 정부, 제조업체, NGO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추후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의 국가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